KR200434081Y1 - 취수구 커버를 구비하는 병뚜껑 - Google Patents

취수구 커버를 구비하는 병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4081Y1
KR200434081Y1 KR2020060024867U KR20060024867U KR200434081Y1 KR 200434081 Y1 KR200434081 Y1 KR 200434081Y1 KR 2020060024867 U KR2020060024867 U KR 2020060024867U KR 20060024867 U KR20060024867 U KR 20060024867U KR 200434081 Y1 KR200434081 Y1 KR 2004340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cap
bottle
intake
cover
intak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48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금열
Original Assignee
유금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금열 filed Critical 유금열
Priority to KR20200600248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40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40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40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B65D77/283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located initially inside the container, whereby the straw is revealed only upon opening the container, e.g. pop-up str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취수구 커버를 구비하는 병뚜껑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취수구 커버를 구비하는 병뚜껑은 내부에 음료수 등의 액체를 수용하는 병몸체의 상부에 착탈하는 병뚜껑 본체부에 취수구가 형성되어, 그 취수구로 스트로우를 삽입하여 사용하게 되는 취수구가 형성되는 병뚜껑에 있어서, 상기 병뚜껑 본체부의 측면 둘레 표면에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병뚜껑 본체부의 측면 둘레의 외표면을 감싸서, 상기 취수구를 밀폐되게 포장 부착되는 취수구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취수구 커버를 구비하는 병뚜껑은 상기 취수구를 밀폐하도록 포장 부착되는 취수구 커버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취수구를 더욱 견고하고 확실하게 밀폐할 수 있으며, 먼지 및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음료수병, 병뚜껑, 취수구, 커버, 덮개

Description

취수구 커버를 구비하는 병뚜껑{A Bottle Cap with Intake of Drink Cover}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취수구가 형성되는 병뚜껑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수구 커버를 구비하는 병뚜껑의 병뚜껑 본체부에 부착되는 취수구 커버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고안에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취수구 커버를 구비하는 병뚜껑의 병뚜껑 본체부에 부착되는 취수구 커버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에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취수구 커버를 구비하는 병뚜껑의 병뚜껑 본체부에 부착되는 취수구 커버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취수구 커버를 구비하는 병뚜껑에 스트로우가 내삽되어진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의 스트로우의 상단부가 취수구 커버로 감싸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취수구 커버를 구비하는 병뚜껑의 병몸체에 라벨 테이프 및 스트로우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본 고안에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취수구 커버를 구비하는 병뚜껑의 병뚜껑 본체부 및 취수구 커버의 형상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7b는 본 고안에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취수구 커버를 구비하는 병뚜껑의 병뚜껑 본체부 및 취수구 커버의 형상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
10: 병뚜껑 본체부 11: 실링부재
12: 암나사부 13: 취수구
20: 병몸체 21: 병목부
22: 수나사부 30: 스트로우(Straw)
100,102,112,120: 취수구 커버 121: 절취부
122: 당김부 200: 라벨 테이프
본 고안은 취수구 커버를 구비하는 병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음료수 등의 액체를 수용하는 병몸체의 상부에 착탈하는 병뚜껑 본체부에 스트로우를 삽입하여 사용하게 되는 취수구가 형성되는 병뚜껑에 상기 취수구를 밀폐하도록 부착되는 취수구커버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취수구를 더욱 견고하고 확실하게 밀폐할 수 있으며, 먼지 및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취수구 커버를 구비하는 병뚜껑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음료수병은 위의 병뚜껑을 빼내고 병목부의 주입부를 통해 내부에 수용되는 음료수를 마시므로 병 자체를 들어올려 머리를 뒤로 재치고 마시게 된다.
그러기 때문에 마실 때, 자세가 불안정하거나 움직이면서 또는 흔들리는 차안에서는 마시다가 흘리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병뚜껑을 빼내고 주입구에 스트로우를 집어넣어서 마시기도 하는데, 이 경우에도 스트로우 크기에 비해 주입구가 넓기 때문에 고정되지 않고 개방되므로 흔들리는 차안에서 마실 때, 주입구로 음료수가 흘러나올 수 있어 마시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본 고안의 고안자가 고안하여 실용신안등록출원한 '취수구가 형성되는 병뚜껑' 등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상기 본 고안의 고안자가 고안하여 실용등록출원한 '취수구가 형성되는 병뚜껑'을 바탕으로 하여 고안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취수구가 형성되는 병뚜껑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병뚜껑 본체부(10)는 상기 병몸체(20)의 병목부(21)에 상응하는 크기의 측벽 내부 둘레에 암나사부(12)가 형성된다. 상기 병뚜껑 본체부(10)는 상기 암나사부(12) 와 상기 병몸체(20)에 형성되는 수나사부(22)의 결합으로 착탈하여 상기 주입구를 개폐하도록 형성된다.
취수구(13)는 상기 병뚜껑 본체부(10)의 종단면상 상부 중앙에 해당하는 측벽 소정위치에 일정크기로 관통형성된다. 실링부재(11)는 상기 병뚜껑 본체부(10) 의 상면 내측에 부착되어서, 상기 병몸체(20)의 주입구를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취수구를 밀폐하도록 포장 부착되는 취수구 커버를 더 구비하여, 상기 취수구를 더욱 견고하고 확실하게 밀폐할 수 있고, 먼지 및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취수구 커버를 구비하는 병뚜껑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취수구 커버를 구비하는 병뚜껑은 내부에 음료수 등의 액체를 수용하는 병몸체의 상부에 착탈하는 병뚜껑 본체부에 취수구가 형성되어, 그 취수구로 스트로우를 삽입하여 사용하게 되는 취수구가 형성되는 병뚜껑에 있어서, 상기 병뚜껑 본체부의 측면 둘레 표면에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병뚜껑 본체부의 측면 둘레의 외표면을 감싸서, 상기 취수구를 밀폐되게 포장 부착되는 취수구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내부에 음료수 등의 액체를 수용하는 병몸체의 상부에 착탈하는 병뚜껑 본체부에 취수구가 형성되어, 그 취수구로 스트로우를 삽입하여 사용하게 되는 취수구가 형성되는 병뚜껑에 있어서, 상기 병뚜껑 본체부의 측표면에 상기 취수구를 덮을 수 있는 소정의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취수구가 밀폐되게 부착되는 취 수구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내부에 음료수 등의 액체를 수용하는 병몸체의 상부에 착탈하는 병뚜껑 본체부에 취수구가 형성되어, 그 취수구로 스트로우를 삽입하여 사용하게 되는 취수구가 형성되는 병뚜껑에 있어서, 상기 취수구에 삽입되어 밀폐시킬 수 있는 크기의 돌기가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취수구 주위를 덮는 소정넓이의 원판형태로 형성되는 취수구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병몸체의 내부로 수용되어 상단부가 상기 취수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스트로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취수구 커버는 상기 스트로우의 노출부가 병뚜껑 본체부의 외부표면과 밀착되게 꺾이고, 그 외부면과 상기 스트로우를 동시에 감싸서, 밀폐되게 포장 부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병몸체의 표면둘레를 감싸서 부착되며, 소정의 폭을 가지고 상부 표면에 상표 및 로고가 인쇄되는 라벨 테이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트로우는 상기 라벨 테이프와 병몸체 표면 사이에 부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내부에 음료수 등의 액체를 수용하는 병몸체의 상부에 착탈하는 병뚜껑 본체부에 취수구가 형성되어, 그 취수구로 스트로우를 삽입하여 사용하게 되는 취수구가 형성되는 병뚜껑에 있어서, 상기 취수구의 내주연에 상응하는 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절취부; 및 상기 병뚜껑 본체부의 취수구가 형성되는 외표면 상측에 위치되게 상기 절취부의 일측 소정부위에 돌출형성되는 당김부;로 구성되는 취수구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병뚜껑 본체부와 상기 절취부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취수구의 내주연과 상기 절취부의 둘레의 접합부에는 절취선 이 형성되어, 상기 당김부를 손으로 당김에 따라 상기 취수구가 개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병몸체의 표면둘레를 감싸서 부착되며, 소정의 폭을 가지고 상부 표면에 상표 및 로고가 인쇄되는 라벨 테이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트로우는 상기 라벨 테이프와 병몸체 표면 사이에 부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하며,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수구 커버를 구비하는 병뚜껑의 병뚜껑 본체부에 부착되는 취수구 커버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취수구 커버(100)는 병뚜껑 본체부(10)측면 둘레 표면에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취수구 커버(100)는 상기 병뚜껑 본체부(10)측면 둘레의 외표면을 감싸서, 상기 취수구(13)밀폐되게 포장 부착된다.
도 2b는 본 고안에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취수구 커버를 구비하는 병뚜껑의 병뚜껑 본체부에 부착되는 취수구 커버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b에 도 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취수구 커버(102)는 상기 병뚜껑 본체부(10)의 측표면에 상기 취수구(13)를 덮을 수 있는 소정의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취수구(13)가 밀폐되게 부착된다.
상기 취수구 커버(100,102)는 합성수지 재질의 비닐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는 본 고안에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취수구 커버를 구비하는 병뚜껑의 병뚜껑 본체부에 부착되는 취수구 커버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측단면도이다. 도 3a,3b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취수구커버(112)는 상기 취수구(13)에 삽입되어 밀폐시킬 수 있는 크기의 돌기가 중앙에 형성된다.
상기 취수구 커버(112)는 상기 취수구(13) 주위를 덮는 소정넓이의 원판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취수구 커버(112) 중앙에 형성되는 돌기가 상기 취수구(13)에 삽입고정되어 밀폐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취수구 커버를 구비하는 병뚜껑에 스트로우가 내삽되어진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의 스트로우의 상단부가 취수구 커버로 감싸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5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상기 병몸체(20)의 내부로 수용되어 상단부가 상기 취수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스트로우(30)를 구비한다.
상기 스트로우(30)의 노출부가 상기 병뚜껑 본체부(10)의 외부표면과 밀착되 게 꺾이게 된다. 이때, 상기 스트로우(30)의 노출부는 하방 또는 측방으로 꺾어서 상기 병뚜껑 본체부(10)의 외부표면에 밀착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취수구 커버(100)는 상기 병뚜껑 본체부(10) 및 스트로우(30)의 상단 노출부를 동시에 감싸서, 밀폐되게 포장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취수구 커버를 구비하는 병뚜껑의 병몸체에 라벨 테이프 및 스트로우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라벨 테이프(200)는 상기 병몸체(20)의 표면둘레를 감싸서 부착된다.
상기 라벨 테이프(200)는 소정의 폭으로 이루어지는 띠 형태로 상기 병몸체(20)에 부착되는 내면은 접착면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라벨 테이프(200) 접착면의 반대측 상부 표면에는 상표 및 로고가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트로우(30)는 상기 라벨 테이프(200)와 병몸체(20) 표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라벨 테이프(200)의 접착면에 의해서 상기 병몸체(20)의 표면에 부착된다.
도 7a는 본 고안에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취수구 커버를 구비하는 병뚜껑의 병뚜껑 본체부 및 취수구 커버의 형상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7b는 본 고안에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취수구 커버를 구비하는 병뚜껑의 병뚜껑 본체부 및 취수구 커버의 형상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7a,b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취수구 커버(120)는 절취부(121) 및 당김부(122)로 이루어져, 상기 병뚜껑 본체 부(10)에 일체로 형성된다.
절취부(121)는 상기 취수구(13)의 내주연에 상응하는 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병뚜껑 본체부(10)의 두께보다 얇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당김부(122)는 상기 병뚜껑 본체부(10)의 취수구(13)가 형성되는 외표면 상측에 위치되게, 상기 절취부(121)의 일측 소정부위에 돌출형성된다.
상기 병뚜껑 본체부(10)와 상기 절취부(121)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취수구(13)의 내주연과 상기 절취부(121)의 둘레의 접합부에는 절취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당김부(122)를 손으로 당김에 따라 상기 병뚜껑 본체부(10)와 상기 절취부(121)에 절취선이 형성되어, 연결부가 찢어지면서 상기 취수구(13)가 개방된다.
이때, 상기 절취부(121)의 두께가 병뚜껑 본체부(10)보다 얇게 형성되어,상기 취수구(13)가 수월하게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취수구 커버를 구비하는 병뚜껑은, 상기 취수구를 밀폐하도록 포장 부착되는 취수구 커버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취수구를 더욱 견고하고 확실하게 밀폐할 수 있으며, 먼지 및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7)

  1. 내부에 음료수 등의 액체를 수용하는 병몸체의 상부에 착탈하는 병뚜껑 본체부에 취수구가 형성되어, 그 취수구로 스트로우를 삽입하여 사용하게 되는 취수구가 형성되는 병뚜껑에 있어서,
    상기 병뚜껑 본체부의 측면 둘레 표면에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병뚜껑 본체부의 측면 둘레의 외표면을 감싸서, 상기 취수구를 밀폐되게 포장 부착되는 취수구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구 커버를 구비하는 병뚜껑.
  2. 내부에 음료수 등의 액체를 수용하는 병몸체의 상부에 착탈하는 병뚜껑 본체부에 취수구가 형성되어, 그 취수구로 스트로우를 삽입하여 사용하게 되는 취수구가 형성되는 병뚜껑에 있어서,
    상기 병뚜껑 본체부의 측표면에 상기 취수구를 덮을 수 있는 소정의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취수구가 밀폐되게 부착되는 취수구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구 커버를 구비하는 병뚜껑.
  3. 내부에 음료수 등의 액체를 수용하는 병몸체의 상부에 착탈하는 병뚜껑 본체 부에 취수구가 형성되어, 그 취수구로 스트로우를 삽입하여 사용하게 되는 취수구가 형성되는 병뚜껑에 있어서,
    상기 취수구에 삽입되어 밀폐시킬 수 있는 크기의 돌기가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취수구 주위를 덮는 소정넓이의 원판형태로 형성되는 취수구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구 커버를 구비하는 병뚜껑.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병몸체의 내부로 수용되어 상단부가 상기 취수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스트로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취수구 커버는 상기 스트로우의 노출부가 병뚜껑 본체부의 외부표면과 밀착되게 꺾이고, 그 외부면과 상기 스트로우를 동시에 감싸서, 밀폐되게 포장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구 커버를 구비하는 병뚜껑.
  5.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병몸체의 표면둘레를 감싸서 부착되며, 소정의 폭을 가지고 상부 표면에 상표 및 로고가 인쇄되는 라벨 테이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트로우는 상기 라벨 테이프와 병몸체 표면 사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구 커버를 구비하는 병뚜껑.
  6. 내부에 음료수 등의 액체를 수용하는 병몸체의 상부에 착탈하는 병뚜껑 본체부에 취수구가 형성되어, 그 취수구로 스트로우를 삽입하여 사용하게 되는 취수구가 형성되는 병뚜껑에 있어서,
    상기 취수구의 내주연에 상응하는 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절취부; 및
    상기 병뚜껑 본체부의 취수구가 형성되는 외표면 상측에 위치되게 상기 절취부의 일측 소정부위에 돌출형성되는 당김부;로 구성되는 취수구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병뚜껑 본체부와 상기 절취부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취수구의 내주연과 상기 절취부의 둘레의 접합부에는 절취선이 형성되어, 상기 당김부를 손으로 당김에 따라 상기 취수구가 개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구 커버를 구비하는 병뚜껑.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병몸체의 표면둘레를 감싸서 부착되며, 소정의 폭을 가지고 상부 표면에 상표 및 로고가 인쇄되는 라벨 테이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트로우는 상기 라벨 테이프와 병몸체 표면 사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구 커버를 구비하는 병뚜껑.
KR2020060024867U 2006-06-22 2006-09-15 취수구 커버를 구비하는 병뚜껑 KR2004340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867U KR200434081Y1 (ko) 2006-06-22 2006-09-15 취수구 커버를 구비하는 병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817 2006-06-22
KR2020060024867U KR200434081Y1 (ko) 2006-06-22 2006-09-15 취수구 커버를 구비하는 병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4081Y1 true KR200434081Y1 (ko) 2006-12-15

Family

ID=41782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4867U KR200434081Y1 (ko) 2006-06-22 2006-09-15 취수구 커버를 구비하는 병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40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9637B1 (ko) * 2018-02-19 2019-02-18 정규태 급수용 캡 및 이를 이용한 스팀생성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9637B1 (ko) * 2018-02-19 2019-02-18 정규태 급수용 캡 및 이를 이용한 스팀생성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63822C (en) Drinking receptacle covers
US20040256386A1 (en) Beverage can cover and seal combination
KR100616705B1 (ko) 작동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된 용기뚜껑
JP4270622B2 (ja) 飲料密閉容器
KR200487682Y1 (ko) 밀봉된 상태에서 빨대로 음용이 가능한 뚜껑
KR200434081Y1 (ko) 취수구 커버를 구비하는 병뚜껑
KR200271323Y1 (ko) 음용수단을 구비한 음료수 캔
JP4866249B2 (ja) 飲料パッキング・ユニット
KR200182058Y1 (ko) 음료수 용기의 밀봉용 마개
JP2005138901A (ja) ボトルキャップおよびボトル
KR200457587Y1 (ko) 스트로우 투입구의 개폐가 가능한 병뚜껑
KR200413867Y1 (ko) 빨대가 내장된 음료용기
KR200271038Y1 (ko) 빨대가 내장된 음료용기
KR200423236Y1 (ko) 취수구가 형성되는 병뚜껑
KR200173349Y1 (ko) 캔용기의뚜껑
JP3146619U (ja) 市販ボトル装着容器
KR200185021Y1 (ko) 스트로우 내장형 음료수 용기
WO2005097612A1 (en) Drinking cup
JP7190302B2 (ja) 容器用栓体
KR100312993B1 (ko) 위생 캔 음료용기
KR20060059750A (ko) 스트로를 구비한 용기마개
JP2007276827A (ja) カプセル容器、カプセル、及びカプセル付き液体容器包装体
KR200375757Y1 (ko) 빨대를 내장한 음료 저장용 팩.
JP4999481B2 (ja) ストロー兼備容器
KR100432235B1 (ko) 합성수지 병뚜껑의 밸브식 내용물 유출장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