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6882Y1 - 원터치로 개폐되는 용기의 마개에 씌워지는 컵 수단을갖는 마개 - Google Patents

원터치로 개폐되는 용기의 마개에 씌워지는 컵 수단을갖는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6882Y1
KR200356882Y1 KR20-2004-0012612U KR20040012612U KR200356882Y1 KR 200356882 Y1 KR200356882 Y1 KR 200356882Y1 KR 20040012612 U KR20040012612 U KR 20040012612U KR 200356882 Y1 KR200356882 Y1 KR 2003568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touch
cup means
cup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26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승협
Original Assignee
나승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승협 filed Critical 나승협
Priority to KR20-2004-00126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68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68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68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6Caps or cap-like covers serving as, or incorporating, drinking or measuring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16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컵 수단을 갖는 음료용기 마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터치의 개폐수단을 구비한 것이 특징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현재 컵 수단을 갖는 마개는 컵수단의 중앙에 마개 개폐수단을 구비토록 함으로서 컵수단을 갖는 마개로 구현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원터치로 개폐토록 하는 부분에는 사용이 불가능한 것이고, 원터치로 된 용기의 마개를 제거토록 한 후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컵수단을 갖는 마개를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 이 있는 것이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컵 수단의 중앙에 원터치 마개의 분리라인에 걸려지도록 걸림턱을 갖는 지지간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간의 후방으로는 마개에 형성된 널링부와 맞물리도록 맞물림 널링부를 형성함으로서 가능토록 한 것이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액체 병 용기의 마개

Description

원터치로 개폐되는 용기의 마개에 씌워지는 컵 수단을 갖는 마개{A cap available as a cup which closes and opens a mouth of a bottle with a one-touch}
본 고안은 컵 수단을 갖는 음료용기 마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터치의 개폐수단이 가능한 컵 수단을 갖는 마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컵 수단을 갖는 마개는 컵 수단의 중앙에 마개 개폐수단을 구비토록 함으로서 컵 수단을 갖는 마개로 구현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원터치로 개폐토록 하는 부분에는 사용이 불가능한 것이고, 반드시 원터치로 된 용기의 마개를 제거토록 한 후 제거된 부분에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컵 수단을 갖는 마개를 음료 용기에 직접 마개의 대용으로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컵 수단을 갖는 마개의 중앙에 걸림턱을 갖는 지지간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간의 하방에는 맞물림 널링부를 구현토록 함으로서 음료용기의 원터치 개폐를 위하여 분리라인이 구현된 마개의 분리라인에 걸림턱에 걸려지도록 하고 마개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마개의 측면에 형성된 널링부에 맞물리도록 맞물림 널링부를 형성토록 함으로서 원터치 마개가 형성된 음료용기에 컵 수단을 갖는 마개를 결합하면 널링부에 의한 맞물림에 의하여 비틀림시에 헛 돌게 되는 것이 없게 되고 걸림턱에 의하여 분리되어진 마개가 수납부에 수용토록 됨으로서 반복적인 개폐가 가능하면서 컵 수단을 갖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컵수단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컵 수단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컵 수단의 지지간의 걸림턱에 의하여 마개가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컵 수단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4A는 널링부를 갖는 컵 수단의 평면도.
도4B는 걸림돌기를 나타낸 컵 수단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널링부의 맞물림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 컵수단을 갖는 마개 1a: 경사면
10 : 마개끼움부 11 : 맞물림널링부
12 : 지지간 13 : 걸림턱
20 : 원터치 마개 21 : 분리라인
11a: 걸림돌기 22a; 걸림홈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컵 수단을 갖는 마개(1)의 중앙에 선단으로 걸림턱(13)을 갖는 지지간(12)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간의 하방에는 내벽으로 맞물림 널링부(11)를 갖는 마개끼움부(10)가 형성된 구성이다.
이때 상기 마개(1)는 음료용기의 주둥이부분이 좁다는 점을 감안하여 상측에서 하측으로 벌어지는 경사면으로 형성토록 하는 것이나 이때 경사면(1a)에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이 가능한 것이고 마개끼움부(10)는 컵 수단을 갖는 마개(1)의 중앙에 위치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마개끼움부(10)의 내벽에 형성되는 맞물림 널링부(11)는 기존의 음료용기에 사용될 경우에 적용되는 것이고, 만일 새로운 음료용기(30)의 원터치 마개(20)에 적용할 경우에는 이러한 널링부(22)의 구현이 필요없이 마개끼움부(10)의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걸림돌기(11a)를 형성하고 상기 음료용기의 원터치 마개(20)에의 상측면에는 이와 맞물리도록 걸림홈(22a)을 형성토록 할 경우에도 동일한 작용효과를 갖도록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맞물림에 의하여 원터치 마개(20)가 헛돔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면취를 한다거나 또는 다양한 공지의 방식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현은 금형의 가공시 가공의 용이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고, 또한컵수단을 갖는 마개(1)와 음료용기의 원터치 마개(20)를 동시에 제작토록 함으로서 다른 업체에서 컵 수단을 갖는 마개(1)를 재사용을 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을 위하여는 분리라인(21)을 갖는 원터치 마개(20)가 형성된 음료용기(30)의 원터치 마개(20) 상부로 컵수단을 갖는 마개(1)를 끼우게 되면 지지간(12)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지지간(12)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턱(13)이 원터치 마개(20)의 분리라인(21)에 걸리게 되고 동시에 원터치 마개(20)의 외벽에 형성된 널링부(22)와 컵 수단을 갖는 마개끼움부(10)의 내벽에 형성된 맞물림널링부(11)가 맞물리게 되면서 컵수단이 구비된 마개(1)를 회전시키면 이러한 맞물림널링부(11)의 맞물림에 의하여 원터치 마개(20)가 마개끼움부(10)에서 헛돌지 않게 됨으로 원터치 마개(20)의 분리라인(21)이 분리되어지면서 음료 용기(30)를 열게 되는 것이다.
그후 걸림턱(13)에 의하여 분리라인(21)에서 분리되어진 원터치 마개(20)는 걸림턱(13)을 갖는 지지간(12)에 의하여 마개끼움부(10)에 수용토록 되면서 원터치 마개(20)가 컵수단을 갖는 마개(1)에 항상 수용되어짐으로 반복적인 개폐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음료용기(30)의 원터치 마개를 컵 수단을 갖는 마개와 동시에 성형할 경우에 성형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마개끼움부의 바닥면에 걸림돌기를 형성토록 하고 원터치 마개의 상측면에는 걸림홈을 형성토록 함으로서 분리라인에 걸려지는 걸림턱에 의하여 원터치 마개가 컵 수단을 갖는 마개의 마개끼움부에 헛돌지 않게 수용되어짐으로 반복적인 개폐가 가능하게 되는이다.
또한 컵 수단을 갖는 마개(1)의 형상이 경사면(1a)으로 형성되어짐으로 음료용기에 딱맣게 밀착되어지는 것이어서 미감 또한 우수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기존의 원터치로 개폐토록 되는 음료용기에 단순 끼움토록 함으로서 구매자가 구매하여 컵 수단을 갖는 마개를 회전시키면 원터치 마개가 분리되어지면서 반복적으로 컵수단을 갖는 마개로 음료용기를 개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컵 수단을 갖는 마개(1); 상기 마개의 중앙에 선단으로 걸림턱(13)을 갖는 지지간(12)과 상기 지지간의 하방에는 내벽으로 맞물림 널링부(11)를 갖는 마개끼움부(1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로 개폐되는 용기의 마개에 씌워지는 컵 수단을 갖는 마개.
  2. 제 1항에 있어서, 마개끼움부의 바닥면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음료용기의 마개의 상측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로 개폐되는 용기의 마개에 씌워지는 컵 수단을 갖는 마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수단을 갖는 마개는 음료용기와 밀착되게 하향되는 경사면(1a)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로 개폐되는 용기의 마개에 씌워지는 컵 수단을 갖는 마개.
KR20-2004-0012612U 2004-05-06 2004-05-06 원터치로 개폐되는 용기의 마개에 씌워지는 컵 수단을갖는 마개 KR2003568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612U KR200356882Y1 (ko) 2004-05-06 2004-05-06 원터치로 개폐되는 용기의 마개에 씌워지는 컵 수단을갖는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612U KR200356882Y1 (ko) 2004-05-06 2004-05-06 원터치로 개폐되는 용기의 마개에 씌워지는 컵 수단을갖는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6882Y1 true KR200356882Y1 (ko) 2004-07-19

Family

ID=49348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2612U KR200356882Y1 (ko) 2004-05-06 2004-05-06 원터치로 개폐되는 용기의 마개에 씌워지는 컵 수단을갖는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688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1061A (ko) * 2020-08-12 2022-02-22 주식회사 하나플라텍 음료 용기용 이중캡
KR20220047418A (ko) * 2020-10-08 2022-04-18 주식회사 하나플라텍 음료 용기용 이중캡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1061A (ko) * 2020-08-12 2022-02-22 주식회사 하나플라텍 음료 용기용 이중캡
KR102382033B1 (ko) * 2020-08-12 2022-04-05 주식회사 하나플라텍 음료 용기용 이중캡
KR20220047418A (ko) * 2020-10-08 2022-04-18 주식회사 하나플라텍 음료 용기용 이중캡
KR102409171B1 (ko) * 2020-10-08 2022-06-17 주식회사 하나플라텍 음료 용기용 이중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0663B2 (en) Tamper-evident closure
CN108602603A (zh) 封闭组件和设置有所述封闭组件的容器
JP2008546609A (ja) 一体形注ぎ口装置および内部ストローを有するフレキシブル自立パウチ
EP3068706A1 (en) Reclosable lid
KR200356882Y1 (ko) 원터치로 개폐되는 용기의 마개에 씌워지는 컵 수단을갖는 마개
JP3115076U (ja) ペットボトル
JP2913293B1 (ja) プルトップ缶用キャップ
JP4043712B2 (ja) 合成樹脂製中栓付きの容器
KR20140132067A (ko) 음료 용기 및 그 뚜껑
JP2009249035A (ja) 容器蓋のキャップオープナー
WO2015005874A1 (en) Cap attachment for drinking from cans
JP2006143321A (ja) キャップ保持機能を有するペットボトルのキャップ
KR200413867Y1 (ko) 빨대가 내장된 음료용기
KR200301401Y1 (ko) 음료용 병구와 병마개
KR200292087Y1 (ko) 맥주캔
KR101592184B1 (ko) 컵 또는 글라스 형태로 전환되는 캔 타입 용기
JP2000033959A (ja) 閉鎖膜付チュ―ブ容器
KR200417778Y1 (ko) 마개개시전에 봉인상태의 확인이 용이한 용기 봉인용 마개
JP4176304B2 (ja) 合成樹脂製中栓付き容器
KR200425778Y1 (ko) 위조방지를 위한 뚜껑용 마개
KR200145421Y1 (ko) 오프너
KR200434081Y1 (ko) 취수구 커버를 구비하는 병뚜껑
KR200215321Y1 (ko) 일회용 용기 뚜껑
KR20050103806A (ko) 첨가제 첨가 가능한 위조방지 이중캡
KR200352234Y1 (ko) 다용도 병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