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2067A - 음료 용기 및 그 뚜껑 - Google Patents

음료 용기 및 그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2067A
KR20140132067A KR1020130051080A KR20130051080A KR20140132067A KR 20140132067 A KR20140132067 A KR 20140132067A KR 1020130051080 A KR1020130051080 A KR 1020130051080A KR 20130051080 A KR20130051080 A KR 20130051080A KR 20140132067 A KR20140132067 A KR 20140132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lid
holder
exposed portion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1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소정
Original Assignee
박소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소정 filed Critical 박소정
Priority to KR1020130051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2067A/ko
Publication of KR20140132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20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5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hinged, foldable or pivotable spou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47G21/186Details of bendable stra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음료 용기가 개시된다. 이러한 음료 용기는 본체와 뚜껑과, 본체 또는 뚜껑에 음료를 흡입 가능하도록 배치된 빨대와, 본체의 외면부위 또는 뚜껑의 외면부위에, 빨대의 노출부위를 삽탈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빨대홀더를 포함한다. 빨대 노출부위의 삽입은 빨대의 노출부위를 빨대홀더를 향해 밀어서 빨대의 몸통을 빨대홀더에 끼우게 된다. 빨대가 빨대홀더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빨대가 접히거나 구부러짐으로써 막힌상태가 된다. 따라서, 그러한 상태로 이동 중에도 음료가 유출되거나 하는 염려 없이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 용기 및 그 뚜껑{BEVERAGE CONTAINER AND CAP THEREOF}
본 발명은 음료 용기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빨대가 구비된 음료 용기 및 그 뚜껑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커피전문점이 대폭 증가하고 있다. 스타벅스와 같은 서구의 유명 커피전문점이 도입되어 큰 성공을 거두면서 촉발되었고, 이후 전국망을 갖춘 토종 상표의 커피전문점도 많이 등장하였다.
이들 커피전문점의 등장은 커피 소비 행태도 많이 바꾸어 놓고 있다. 커피의 종류와 맛이 다양하지만, 무엇보다도 일회에 제공되는 커피의 양이 상당히 많은 편이다. 일반적으로 일단 입장하면 비교적 긴 시간 동안 머물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이는 주로 최초로 도입된 서구 커피전문점의 판매 방식을 그대로 모방하였기 때문일 수 있다.
또 다른 특징 중의 하나는 커피를 담는 용기가 과거와는 달리 주로 일회용을 이용한다는 점이다. 많은 양의 커피를 수용하여야 할 필요도 있고, 또한 소위 '테이크아웃'과 같이 판매점 내부가 아닌 다른 곳에서 섭취하는 소비자들이 많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커피전문점에서의 용기의 변화는 여타 다른 음료 용기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대량 생산되는 음료의 용기들도 상당수가 유사한 형태를 가지게 되었다.
이와 같이 최근의 음료 용기는 용이한 섭취(흡입)는 물론 운반의 편의도 고려한 형태를 가진다. 이를테면, 운반 중에 용기에 담긴 음료가 흘러넘치지 않도록 용기 본체를 덮어쓰는 뚜껑이나 뚜껑을 대체하는 막부재와, 섭취를 위한 빨대를 구비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일반적인 음료 용기는 일단 빨대를 이용하여 섭취를 시작한 후에는 그 상태에서 다시 용기를 들고 이동하기가 편하지 않았다. 막형태의 뚜껑부재를 사용하는 용기는 일단 빨대를 꽂고 난 뒤에는 빨대의 음료흡입로나 빨대를 꽂느라 찢겨진 부위로 음료가 쉽게 유출된다. 그 외 뚜껑을 걷고 별개로 제공되는 빨대의 경우에는 다시 사용할 수가 없어서 버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55016(이하, 종래특허)가 있다.
종래특허에 의하면, 상면 중 가장자리 부분이 중심 부분보다 돌출 형성되되,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의 가장자리 부분이 점진적으로 그 높이가 증가하다 일정하게 유지되는 수평면이 형성된 후 다시 감소하며, 상기 수평면의 중심에 배출홀이 형성된 바디부; 상기 수평면의 일측에 상기 수평면보다 그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단차를 이루는 지지면 및 상기 지지면의 중심부분에 상기 배출홀과 중첩되어 결합되되, "ㄷ"자 형태로 절취선이 형성되어 가압에 의해 상기 배출홀과 분리되어 상기 배출홀을 개방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의 일측 상면에 돌출된 고정 돌기를 가진 개폐 도어부; 및 상기 바디부의 상면 중 상기 지지면의 일측에 이격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지지면 측으로 갈수록 상기 수평면 및 상기 지지면보다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게 복수의 단차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단차 부분이 각각 주름지면서 상기 도어의 회전축이 되어, 상기 고정 돌기를 가압하여 상기 도어를 상기 배출홀로부터 개방한 후 상기 고정 돌기를 상기 지지면과 상기 고정부 사이의 공간에 끼워넣어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부를 상기 바디부 중심 측으로 가압함에 의해 상기 고정 돌기가 상기 공간으로부터 빠져 나와 상기 도어가 상기 배출홀과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종래특허 기술은 도 1에서와 같이 부분적으로 떼어낼 수 있는 도어부를 구비하여, 그 부분만을 개봉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이 역시 일단 도어부가 개방되고 나면, 이동 중에 그 부위로 음료가 충분히 유출될 수 있다. 더우나 이러한 종래특허 기술은 복잡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일회용 용기라는 측면에서는 상대적으로 제작비용이 많이 든다.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55016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이동 중에도 음료의 유출이 되지 않는 음료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간단하게 빨대를 이용하여 음료흡입로를 개폐할 수 있는 음료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흡입로를 개폐할 수 있는 빨대가 구비된 음료 용기 뚜껑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음료 용기를 제공하며, 이는 본체; 뚜껑;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뚜껑에 음료를 흡입 가능하도록 배치된 빨대; 및 상기 본체의 외면부위 또는 상기 뚜껑의 외면부위에, 상기 빨대의 노출부위를 삽탈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빨대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빨대 노출부위의 삽입은 상기 빨대의 노출부위를 상기 빨대홀더를 향해 밀어서 상기 빨대의 몸통을 상기 빨대홀더에 끼운다.
상기 빨대홀더는, 상기 본체의 외면부위 또는 상기 뚜껑의 외면부위에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돌기이고, 상기 삽입은 상기 빨대 노출부위의 몸통이 상기 적어도 한 쌍의 돌기 사이에 끼워지는 것이다.
상기 빨대는, 상기 노출부위가 상기 빨대홀더에 삽입된 때 음료흡입로가 막힌상태이고, 상기 노출부위가 상기 빨대홀더로부터 이탈된 때 음료흡입로가 열린상태이다.
상기 막힌상태는 상기 빨대의 노출부위의 몸통이 접힘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빨대와 상기 빨대홀더는 상기 뚜껑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빨대는 상기 뚜껑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빨대는 타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뚜껑은 분리형 또는 본체 일체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음료 용기 뚜껑을 제공하며, 이 뚜껑은 상기 뚜껑에 상기 용기 내부의 음료를 흡입할 수 있도록 배치된 빨대; 및 상기 뚜껑의 외면부위에, 상기 빨대의 노출부위를 삽탈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빨대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빨대 노출부위의 삽입은 상기 빨대의 노출부위를 상기 빨대홀더를 향해 밀어서 상기 빨대의 몸통을 상기 빨대홀더에 끼운다.
상기 빨대홀더는, 상기 본체의 외면부위 또는 상기 뚜껑의 외면부위에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돌기이고, 상기 삽입은 상기 빨대 노출부위의 몸통이 상기 적어도 한 쌍의 돌기 사이에 끼워진다.
상기 빨대는, 상기 노출부위가 상기 빨대홀더에 삽입된 때 음료흡입로가 막힌상태이고, 상기 노출부위가 상기 빨대홀더로부터 이탈된 때 음료흡입로가 열린상태이며, 상기 막힌상태는 상기 빨대의 노출부위의 몸통이 접힘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동작으로 음료흡입로를 개폐할 수 있다. 이렇게 흡입로가 폐쇄된 상태로 운반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 중에 음료가 유출될 염려가 없다. 또한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상술한 구성을 구현하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적게 든다. 따라서 일회용 음료 용기에 적용시키기에 적합하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일회용 음료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는 빨대가 빨대홀더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보여주고, 도 3은 빨대가 빨대홀더에 삽입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음료 용기에서 빨대를 살탈하는 동작을 보여준다.
먼저 간략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빨대를 접거나 구부려서 빨대홀더에 끼움으로써 음료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음료 용기 또는 뚜껑에 관한 것이다. 빨대홀더에 삽입된 빨대는 음료흡입로가 막힌상태가 되고, 빨대홀더로부터 이탈되었을 때는 음료흡입로가 열린상태가 된다. 이를 위해, 빨대가 어느 정도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빨대홀더는 빨대의 몸통이 끼워진 상태에서 몸통을 조임으로써 삽입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빨대의 삽입과 이탈을 위해서는 사용자는 빨대를 손가락으로 간단히 밀기만 하면 된다. 이러한 빨대와 빨대홀더의 구성이 특히 음료 용기의 뚜껑에 적용될 때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빨대와 빨대홀더가 함께 용기 본체에 배치되거나 어느 하나가 용기 본체에 배치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는 빨대가 빨대홀더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보여주고, 도 3은 빨대가 빨대홀더에 삽입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음료 용기에서 빨대를 살탈하는 동작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는 뚜껑(20)과, 뚜껑(20)에 배치된 빨대(30) 및 빨대홀더(40)를 포함한다. 빨대(30)는 노출부위를 구부리거나 접을 경우에 빨대홀더(40)에 몸통이 끼워질 수 있다. 빨대홀더(40)는 한 쌍의 돌기(401, 40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을 할 때와 같은 비흡입 시에는 빨대(30)의 노출부위를 밀어서 빨대홀더(40)에 삽입시킬 수 있다.
뚜껑(20)과 용기 본체(10)의 결합은 특별한 제약이 없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일반적인 커피 용기와 같이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음료 용기와 같이 본체(10)에 뚜껑(20)을 덮어씌우는 형태이다.
그러나, 본체(10)와 뚜껑(20)의 결합은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를테면, 뚜껑(20)과 본체(10)를 나사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체(10)와 뚜껑(20)이 일체로 형성된 것도 가능하다.
빨대(30)는 도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뚜껑(20)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빨대(30)는 음료흡입로(31) 외의 바깥 둘레부위가 뚜껑(20)과의 사이에 틈없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빨대(30)는 뚜껑(20) 밖으로 노출된 부위만을 가질 수 있거나, 뚜껑(20) 아래에 하부연장부(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도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빨대홀더(40)는 뚜껑(20)의 외면부위에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빨대(30)의 노출부위를 밀어서 빨대홀더(40)에 끼우면, 예를 들어 억지끼움 방식으로 빨대홀더(40)의 한 쌍의 돌기(401, 402) 사이에 끼워져서 정해진 크기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이탈하지 않고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돌기(401, 402)는 상단부 안쪽에 걸림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빨대(30)가 끼워지고 나면 이탈시키기 위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안정적으로 삽입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빨대(30)는 노출부위가 빨대홀더(40)에 삽입된 때 음료흡입로(31)이 막힌상태가 된다. 이는 빨대(30)의 몸통이 접히거나 구부러짐으로써 구현된다. 또한 빨대(30)의 노출부위가 빨대홀더(40)로부터 이탈된 때 복원되어 음료흡입로(31)이 열린상태가 된다. 이러한 열린상태에서 사용자는 음료를 흡입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빨대(30)의 접힘과 복원은 일반적인 빨대 재질인 플라스틱 합성수지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빨대(30)는 타원형 단면을 가짐으로써 빨대홀더(40)에 삽입된 상태에서 한 쌍의 돌기(401, 402) 사이에서 더 큰 압박을 받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바람직하게는 단면이 가로방향으로 긴 타원형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료 용기는 뚜껑(20)이 용기의 본체(10)와 일체형으로 제조되거나 분리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분리형일 경우에는 나사식으로 본체(10)와 뚜껑(20)이 결합되거나 끼우거나 덮어씌우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특별한 제약없이 다양한 형태의 체결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일체형일 경우에는 빨대를 꽂을 수 있는 빨대홀이 본체 또는 뚜껑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빨대홀더는 빨대를 밀어서 끼울 수 있도록 빨대홀의 부근에 배치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빨대(30)의 노출부위를 빨대홀더(40)로부터 이탈시켜서 빨대(30)의 음료흡입로(31)를 개방하여 음료를 흡입하고, 그 도중에 이동을 하게 되더라도 빨대(30)의 노출부위를 빨대홀더(40) 쪽으로 밀어서 삽입시킴으로서 음료흡입로(31)를 막힌상태가 되어 음료의 유출없이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본체 20: 뚜껑
30: 빨대 31: 음료흡입로
40: 빨대홀더 401, 402: 돌기

Claims (11)

  1. 음료 용기로서:
    본체;
    뚜껑;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뚜껑에 음료를 흡입 가능하도록 배치된 빨대; 및
    상기 본체의 외면부위 또는 상기 뚜껑의 외면부위에, 상기 빨대의 노출부위를 삽탈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빨대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빨대 노출부위의 삽입은 상기 빨대의 노출부위를 상기 빨대홀더를 향해 밀어서 상기 빨대의 몸통을 상기 빨대홀더에 끼우는 것인,
    음료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빨대홀더는,
    상기 본체의 외면부위 또는 상기 뚜껑의 외면부위에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돌기이고,
    상기 삽입은 상기 빨대 노출부위의 몸통이 상기 적어도 한 쌍의 돌기 사이에 끼워지는 것인,
    음료 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빨대는,
    상기 노출부위가 상기 빨대홀더에 삽입된 때 음료흡입로가 막힌상태이고,
    상기 노출부위가 상기 빨대홀더로부터 이탈된 때 음료흡입로가 열린상태인 것인,
    음료 용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막힌상태는 상기 빨대의 노출부위의 몸통이 접힘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인,
    음료 용기.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빨대와 상기 빨대홀더는 상기 뚜껑에 배치되는 것인,
    음료 용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빨대는 상기 뚜껑과 일체로 형성된 것인,
    음료 용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빨대는 타원형 단면을 가지는 것인,
    음료 용기.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분리형 또는 본체 일체형인 것인,
    음료 용기.
  9. 음료 용기 뚜껑으로서:
    상기 뚜껑에 상기 용기 내부의 음료를 흡입할 수 있도록 배치된 빨대;및
    상기 뚜껑의 외면부위에, 상기 빨대의 노출부위를 삽탈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빨대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빨대 노출부위의 삽입은 상기 빨대의 노출부위를 상기 빨대홀더를 향해 밀어서 상기 빨대의 몸통을 상기 빨대홀더에 끼우는 것인,
    음료 용기 뚜껑.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빨대홀더는,
    상기 본체의 외면부위 또는 상기 뚜껑의 외면부위에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돌기이고,
    상기 삽입은 상기 빨대 노출부위의 몸통이 상기 적어도 한 쌍의 돌기 사이에 끼워지는 것인,
    음료 용기 뚜껑.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빨대는,
    상기 노출부위가 상기 빨대홀더에 삽입된 때 음료흡입로가 막힌상태이고,
    상기 노출부위가 상기 빨대홀더로부터 이탈된 때 음료흡입로가 열린상태이며,
    상기 막힌상태는 상기 빨대의 노출부위의 몸통이 접힘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인,
    음료 용기 뚜껑.
KR1020130051080A 2013-05-07 2013-05-07 음료 용기 및 그 뚜껑 KR201401320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080A KR20140132067A (ko) 2013-05-07 2013-05-07 음료 용기 및 그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080A KR20140132067A (ko) 2013-05-07 2013-05-07 음료 용기 및 그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067A true KR20140132067A (ko) 2014-11-17

Family

ID=52453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1080A KR20140132067A (ko) 2013-05-07 2013-05-07 음료 용기 및 그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206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498U (ko) * 2016-11-11 2018-05-21 박한결 하단에 구멍이 있는 빨대가 결합된 일체형 뚜껑
KR20190043350A (ko) 2017-10-18 2019-04-26 김서영 빨대 삽입구가 형성된 뚜껑 및 이를 이용한 뚜껑 세트
KR20230001271U (ko) * 2021-12-14 2023-06-21 신중우 일회용 음료용 컵 뚜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498U (ko) * 2016-11-11 2018-05-21 박한결 하단에 구멍이 있는 빨대가 결합된 일체형 뚜껑
KR20190043350A (ko) 2017-10-18 2019-04-26 김서영 빨대 삽입구가 형성된 뚜껑 및 이를 이용한 뚜껑 세트
KR20230001271U (ko) * 2021-12-14 2023-06-21 신중우 일회용 음료용 컵 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0987B1 (ko) 제2 용기가 부착된 푸시 버튼 플립 마개
KR200461543Y1 (ko) 일회용 컵 뚜껑
US20170181565A1 (en) Cup set for drip coffee
US20200140186A1 (en) Ground coffee drip bag
KR20140132067A (ko) 음료 용기 및 그 뚜껑
EP3068706A1 (en) Reclosable lid
US7398893B2 (en) Cup and lid combination
KR200474817Y1 (ko) 테이크아웃 컵
KR102019018B1 (ko) 테이크아웃 음료컵용 뚜껑
JP2002002767A (ja) 飲料缶用キャップおよびストロー
KR200492223Y1 (ko) 음료용기의 뚜껑
KR200486697Y1 (ko) 다용도 컵 덮개
CN209563939U (zh) 一种饮料杯结构
KR200485733Y1 (ko) 개봉 확인용 물티슈 용기 덮개
WO2011138184A1 (en) A package for tobacco products
KR102071254B1 (ko) 종이컵 홀더를 구비한 캐리어 및 이의 조립체
KR102352993B1 (ko) 뚜껑 일체형 컵
KR101102362B1 (ko) 덮개를 구비한 일회용 컵
JP4630710B2 (ja) 湿潤材収納用容器及びウエ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KR200390548Y1 (ko) 드립식 여과컵을 구비한 천연차류의 패키지
KR20200000762A (ko) 빨대가 내장된 컵
JP3162406U (ja) ストロー付きペットボトル
KR200489294Y1 (ko) 커피 일체형 일회용 종이컵
KR101317424B1 (ko) 음료캔용 캡
KR200464376Y1 (ko) 음료 포장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