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6218A - 토출구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마개가 음료용기 내부로 개폐되는 컵 덮개 - Google Patents

토출구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마개가 음료용기 내부로 개폐되는 컵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6218A
KR20140126218A KR20130044511A KR20130044511A KR20140126218A KR 20140126218 A KR20140126218 A KR 20140126218A KR 20130044511 A KR20130044511 A KR 20130044511A KR 20130044511 A KR20130044511 A KR 20130044511A KR 20140126218 A KR20140126218 A KR 20140126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cap
beverage container
discharge hole
cup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4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채
Original Assignee
김영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채 filed Critical 김영채
Priority to KR20130044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6218A/ko
Publication of KR20140126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2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57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made separately from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하면 마개(200)가 내부로 개폐되는 음료용기는 일반적인 음료용기 몸체(100)와 컵덮개(110)에 내용물이 나오는 토출구(220)에 구비되는; 토출구(220)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마개(200)에 관한 것으로 컵덮개(100)의 밑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회전축(300)에 상기 토출구(2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마개(200)가 구비되고, 내부에 구비된 마개(200)와 결합 된 컵덮개(110)의 토출구(220)를 통과하는 외부로 돌출된 손잡이(210)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단에 돌출된 손잡이(210)를 수직방향으로 젖힐때 손잡이(210)와 결합된 마개(200)가 밑면에 구비된 회전축(300)을 통하여 상기 토출구(220)가 개폐되는 구조로서; 사용자가 온수 및 뜨거운 내용물을 보관하여 마개(200)를 닫아 밀폐할 때 음료용기 내부의 공기가 내용물의 온도로 인하여 팽창하여도 토출구(220)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구조의 마개(200)가 음료용기 내부에서 힘을 가지는 자연적 공기압력 작용으로 토출구(220) 밖으로 열리지 않고 이에 따라 내용물이 밖으로 누출되지 않는 기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토출구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마개가 음료용기 내부로 개폐되는 컵 덮개 {The lid of the cup which opens the lid is larger than the entrance into the cup}
본 발명은 컵덮개에 토출구를 개폐하는 마개를 가지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음료용기에 온수 및 뜨거운 내용을 보관 후 마개를 닫아 밀패할 경우, 내부 공기의 팽창의 자연적인 압력으로 인해 마개가 열리는 사고를 방지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마개가 음료용기 내부로 개폐되는 컵덮개 이다.
음료용기에 보관된 내용물을 외부로 유출 시기지 않기 위한 컵으로서 음료용기 상단에 마개 혹은 덮개를 구비하고 보다 편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음료용기 상단의 덮개에 내용물을 외부로 유출하기 위한 토출구를 마련하고 상기 토출구의 상단에서 마개로 막는 구조의 음료용기들이 일반적이다. 그에 더 진보된 고안으로 토출구를 막기 위한 마개가 컵덮개에 항상 붙어있도록 연결선 혹은 수직방향으로 회전축을 구비하여 컵덮개 상단에서 마개가 개폐되는 구조 형태인 도 5와 같은 텀블러 및 마개가 달린 물병이 있다.
하지만 음료용기에 뜨거운 내용물을 넣으면 밀폐된 음료용기 내부의 공기가 팽창하여 마개 혹은 뚜껑이 갑자기 열림과 동시에 갑자기 유출된 뜨거운 내용물로 인해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특허출원번호 10-2010-0079211호 (출원일자 2010.08.17)와 같은 “기능성 텀블러”의 고안이 개시되었지만 구조가 복잡하고, 현실적이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음료용기에 뜨거운 내용물을 넣어 토출구를 마개로 막아 밀폐를 시킬 때, 내부에서 팽창한 압력으로 인해 마개가 사용자의 의도와 다르게 열리지 않도록 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 한다.
음료용기 몸체(110) 상단에 컵덮개(110)가 구비된 음료용기에서 온수 및 뜨거운 내용물을 밀폐된 음료용기에 보관시 내부의 공기 팽창으로 인하여 마개(200)가 열리지 않게 하기 위해서 토출구(220)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마개(200)를 음료용기 내부에 형성하여 내부에서 팽창한 자연적 공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마개(200)를 닫아 열리지 않게 하며, 내부의 팽창한 자연적 공기의 압력으로 마개(200)가 열리지 않을 경우, 사용자가 음료용기가 안정된 자세에서 마개(200) 및 손잡이(210)를 누르거나 젖히면 사용자의 인위적인 힘으로 마개(200)를 개폐하는 해결 수단.
본 발명에 따르면 밀패된 음료용기에 뜨거운 내용물을 넣어 사용자가 마개(200)를 닫을 경우 음료용기 내부에서 밀패된 공기가 팽창하여 압력이 발생할 때, 토출구(220)보다 넓은 면적을 가진 마개(200)가 컵덮개(110)의 밑면과 수직 회전축(300)을 통해 개폐되게 함으로, 자연적 공기의 압력을 응용하여, 마개가 열리지 않게 함으로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게 내용물을 보관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마개(200)를 개폐하는 회전축(300)의 형성이 컵덮개(110)의 밑면에 있어 음료용기 외관의 미려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구조가 간간하여 쉽게 사용가능 하고 생산성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
도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마개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음료용기 외관 사시도
도2a, 2b는 본 고안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마개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컵덮개 내부 단면도
도2c는 본 고안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마개가 컵덮개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내부 단면도
도3a, 3b, 3c은 본 고안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컵덮개 밑면에 위치하여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는 마개의 회전축을 주름판을 이용하여 개폐되는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컵덮개 내부 단면도 및 확대도
도4a, 4b, 4c은 본 고안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컵덮개 밑면에 위치하여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는 마개의 회전축을 얇은 판을 이용하여 개폐되는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컵덮개 내부 단면도 및 확대도
도5 는 종래의 마개가 컵덮개 윗면에서 개폐되는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음료용기 외관 사시도
본 고안의 실시예의 마개(200)가 음료용기 내부로 개폐되는 컵덮개(110)를 가진 음료용기는, 컵덮개(110) 밑면에 마개(200)가 구비되어 내용물이 새지 않도록 하고자 하는 음료용기로서 사용자가 온수 및 냉수를 보관하고 사용하지 않을시 내용물이 새지 않도록 마개(200)를 닫아서 사용할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용기 몸체(100)의 상단에는 컵덮개(110)가 형성되고, 상기 컵덮개(110) 가장자리 부분에 구비된 토출구(220)와
?덮개(110)의 토출구(220) 밑면에 구비된 토출구(220)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마개(200)가 개폐되는 음료용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a, 도 2b는 제 1실시 예에 따른 마개(200)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설명의 이해를 돕기위해 수직으로 컵덮개(110)를 절단한 내부 단면도로서 토출구(220)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마개(200)가 도 2c와 같이 컵덮개(110) 밑면에 형성된 연결구(120)와 마개(200)에 형성된 회전핀(121)에 결합되어 수직 회전축(300)을 이루고, 상기 마개(200)의 개폐하는 힘을 전달하는 역할의 손잡이(210)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컵덮개(110)의 토출구(220)를 통과하여 컵덮개(110) 상단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사용자가 손잡이(210)를 젖힐 때 손잡이(210)와 일체형의 구조를 가진 마개(200)가 수직 회전축(300)을 통하여 개폐되는 구조이다.
본 제 1실시 예에 따른 도 2a, 도 2b는 컵덮개(110)의 밑면에 형성된 연결구(120)와 마개(200)에 형성된 회전핀(121)에 의하여 수직방향의 회전축(300)으로 개폐하는 방식으로 기술하였지만, 청구 1항에 기술한 컵덮개(110)의 밑면에 형성되는 마개(200)가 컵덮개(110)의 밑면에 형성되어 수직형태로 개폐되는 회전축(300)의 고안을 표현하는 방식에 있어.
제 2실시 예에 따른 도3a, 도3b와 같이 컵덮개(110)의 밑면과 마개(200)가 수직형태로 개폐되는 회전축(300)의 형성이 도3b, 도3c와 같이 연질소재의 주름판(130)의 휘어짐을 이용하여 토출구(220)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마개(200)가 수직 형태로 개폐되는 회전축(300)의 구조도 청구1항에 고안에 근거한 진보형태의 구조이다.
그에 더하여 청구 1항에 기술한 컵덮개(110)의 밑면에 형성되는 마개(200)가 컵덮개(110) 의 밑면에 위치하여 수직형태로 개폐되는 회전축(300)의 고안을 표현하는 방식에 있어서,
제 3실시 예에 따른 도4a, 도4b와 같이 컵덮개(110)의 밑면과 마개(200)가 수직방향으로 개폐되는 회전축(300)의 형성이 도4b, 도4c 와 같이얇은 판(140)의 휘어짐을 이용하여 토출구(220)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마개(200)가 수직 형태로 개폐되는 회전축(300)의 구조도 청구1항에 고안에 근거한 진보형태의 구조이다.
사용자가 사용을 위한 실시적인 예로서 컵덮개(110)가 열린상태에서 음료용기 몸체(100)에 뜨거운 물을 넣고 컵덮개(110)로 밀폐시킨다. 이때 컵덮개(110) 상단에 구비된 손잡이(210)는 마개(200)와 일체형 구조물로서 손잡이(210)를 뒤로 젖힘으로 마개(200)역시 컵덮개(110)의 밑면에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300)을 통해서 토출구(220)가 막혀있는 상태이다. 이로서 사용자가 음료용기에 뜨거운 물을 넣고 손잡이(210)를 젖혀 마개(200)를 막아 밀폐상태가 될 때 음료용기 내부에는 뜨거운 물과 공기가 있으며, 일정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내부의 공기가 팽창하여, 음료용기의 내부 기압이 외부의 기압보다 높아 토출구(220)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마개(200)에 압력이 작용하며, 상기 마개(200)가 토출구(220)를 누르는 압력으로 인해 내용물이 음료용기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음료용기의 뜨거운 내용물을 마실 때는 내부의 기압이 외부기압보다 높아, 내부의 기압이 마개(200)에 작용하고 있지만, 내부의 기압은 사용자의 인위적인 손동작 힘으로 쉽게 극복할 수 있는 기압으로서, 사용자가 일정한 인위적인 힘으로 손잡이(210) 젖힘을 통한 마개(200)를 쉽게 열수 있는 형태로 토출구(220)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마개(200)가 음료용기 내부로 개폐되는 컵덮개(110)의 실시내용이다.
100 : 음료용기 몸체 110 : 컵덮개
130 : 주름판 140 : 판
200 : 마개 210 : 손잡이
220 : 토출구 300 : 회전축

Claims (2)

  1. 음료용기 몸체(100)의 상단에 구비된 컵덮개(110)의 토출구(220) 밑면에 형성되는 넓은 면적을 갖는 마개(200)로서; 컵덮개(110)의 밑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개폐되는 회전축(300)을 가지는 마개(200)로서; 마개(200)와 손잡이(210)가 일체형인 구조로, 마개(200)를 개폐하는 힘을 전달하는 역할의 손잡이(210)가 컵덮개(110)의 토출구(220)를 통과하여 컵덮개(110) 상단으로 돌출되는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컵덮개(110)의 밑면에 형성되는, 토출구(300)를 개폐하는 마개(200)가 수직형태로 개폐되는 회전축(300)의 고안을 표현하는 방식에 있어서
    회전축(300)이 도2a, 도2b, 도2c 와 같이 컵덮개(110)의 밑면에 형성된 연결구(120)와 마개(200)에 형성된 회전핀(121)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회전축(300)을 통해 개폐되는 구조.
    회전축(300)이 도3a, 도3b, 도3c 와 같이 컵덮개(110)의 밑면과 결합된 연질소재의 주름판(130)을 이용하여 마개(200)가 수직방향으로 회전축(300)을 통해 개폐되는 구조.
    회전축(300)이 도4a, 도4b, 도4c 와 같이 컵덮개(110)의 밑면과 결합된 얇은 판(140)의 휘어짐을 이용하여 마개(200)가 수직방향으로 회전축(300)을 통해 개폐되는 구조.
KR20130044511A 2013-04-22 2013-04-22 토출구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마개가 음료용기 내부로 개폐되는 컵 덮개 KR201401262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4511A KR20140126218A (ko) 2013-04-22 2013-04-22 토출구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마개가 음료용기 내부로 개폐되는 컵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4511A KR20140126218A (ko) 2013-04-22 2013-04-22 토출구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마개가 음료용기 내부로 개폐되는 컵 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218A true KR20140126218A (ko) 2014-10-30

Family

ID=51995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4511A KR20140126218A (ko) 2013-04-22 2013-04-22 토출구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마개가 음료용기 내부로 개폐되는 컵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62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255B1 (ko) 2019-04-29 2020-05-26 김명섭 시각 장애우용 음료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255B1 (ko) 2019-04-29 2020-05-26 김명섭 시각 장애우용 음료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R046496A1 (es) Recipiente con tapa doble
EP3068706B1 (en) Reclosable lid
BRPI0410017A (pt) fecho para um recipiente em combinação com um fecho
CN108313502B (zh) 一种防漏的热饮杯盖
CN110053864B (zh) 一种超声波焊接式防漏饮料杯盖
KR200473995Y1 (ko) 개폐 조절손잡이를 구비한 텀블러용 뚜껑
KR20140126218A (ko) 토출구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마개가 음료용기 내부로 개폐되는 컵 덮개
KR20100008831U (ko) 흘림방지 기능을 갖는 물병뚜껑
CN207972992U (zh) 一种阻流分隔挡板式的防漏热饮杯盖
US20200367678A1 (en) Leak-proof container lid with foam insulation
KR200409658Y1 (ko) 마개용 패킹 부재
CN209988367U (zh) 一种超声波焊接式防漏饮料杯盖
TWM455698U (zh) 飲料容器密封蓋
CN206108015U (zh) 一种包装瓶
CN206310008U (zh) 一种富氢水杯泄压结构
KR20210042025A (ko)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KR200292087Y1 (ko) 맥주캔
CN208301424U (zh) 一种水壶壶盖
KR200334767Y1 (ko) 음식물용 밀폐용기의 뚜껑구조
KR200390444Y1 (ko) 2단 밀폐구조를 음료용기 뚜껑
KR200315702Y1 (ko) 음료용기의 마개
CN211033609U (zh) 饮料瓶
KR102480655B1 (ko) 빨대 텀블러
KR200315101Y1 (ko) 컵 뚜껑
KR101442411B1 (ko)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