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5255B1 - 시각 장애우용 음료 용기 - Google Patents
시각 장애우용 음료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15255B1 KR102115255B1 KR1020190049476A KR20190049476A KR102115255B1 KR 102115255 B1 KR102115255 B1 KR 102115255B1 KR 1020190049476 A KR1020190049476 A KR 1020190049476A KR 20190049476 A KR20190049476 A KR 20190049476A KR 102115255 B1 KR102115255 B1 KR 1021152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beverage
- inner container
- outer container
- outl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 용기에 관련된 것으로, 시각 장애우도 음료를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게 한 음료 용기에 대한 것으로, 실시예로 외부 용기, 상기 외부 용기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외부 용기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한 내부 용기 및 상기 내부 용기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일측에 음료 출구가 구비된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용기에는 상기 음료 출구와 대향한 위치에 빈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빈 공간부를 제외한 공간에 채워진 음료의 무게로 인하여 상기 내부 용기가 회전하여 상기 외부 용기가 기울은 방향으로 상기 음료 출구가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우용 음료 용기를 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료 용기에 관련된 것으로, 시각 장애우도 음료를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게 한 음료 용기에 대한 것이다.
테이크아웃용 음료 용기나 텀블러 등에는 일측에 음료 출구가 구비된 뚜껑이 구비된다. 이러한 용기에 담긴 음료를 마시기 위해서는 음료 출구를 입에 가깝게 하여 적당히 기울여야 하는데, 시각 장애우가 사용하려면 음료 출구의 입구를 일일이 손으로 더듬어 확인하여야 하므로 불편함이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음료 출구를 찾지 않고 쉽게 마실 수 있게 고안된 것들은, 뚜껑이 없는 것이거나 빨대를 이용한 것들이다. 뚜껑이 없는 컵은 마시면서 이동하기 어렵고, 들고 운반하려면 내용물이 넘칠 우려가 있으며, 컵 안에 오염물이 들어가는 등 여러 문제가 있다.
빨대는 최근 대두된 환경 문제로 인하여 사용이 가급적 지양되고 있으며, 뜨거운 음료를 빨대로 마시기에는 입안에 화상을 입을 우려가 있어 바람하지 않다.
본 발명은 시각적으로 음료 출구를 확인하지 않은 상태에서 음료 용기를 입에 가져다 대면 자동으로 음료 출구가 입을 향하도록 하여, 시각 장애우 등이 안정하고 쉽게 음료 섭취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외부 용기, 상기 외부 용기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외부 용기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한 내부 용기 및 상기 내부 용기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일측에 음료 출구가 구비된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용기에는 상기 음료 출구와 대향한 위치에 빈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빈 공간부를 제외한 공간에 채워진 음료의 무게로 인하여 상기 내부 용기가 회전하여 상기 외부 용기가 기울은 방향으로 상기 음료 출구가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우용 음료 용기를 제시한다.
나아가 상기 외부 용기의 바닥과 상기 내부 용기의 바닥 사이에는 베어링이 개재될 수 있으며, 추가로 상기 빈 공간부를 제외한 공간의 저부에는 무게추가 장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 용기를 기울이는 것만으로 음료 출구가 입에 맞춰 회전됨에 따라 사용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특히 음료 출구를 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시각 장애우에게 유용하며, 어두운 환경에서 뜨거운 음료를 마실 때에서도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개략적인 분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조립 후 측면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내부 용기의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 상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조립 후 측면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내부 용기의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각 장애우용 음료 용기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도면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와 관련된다.
도시한 실시예의 음료 용기(100)는 외부 용기(10), 내부 용기(20) 및 뚜껑(30)을 포함한다. 나아가 생략 가능한 추가 구성으로 베어링(40)과 무게추(23)를 구비한다.
외부 용기(10)는 상부가 개방된 컵의 형상이고, 내부 용기(20)가 안으로 수납 가능한 것이다.
내부 용기(20)는 외부 용기(10)의 안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보다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외부 용기(10)의 바닥과 내부 용기(20)의 바닥 사이에는 베어링(40)이 개재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외부 용기의 내주면과 내부 용기의 외주면 사이에 미끄럼 밴드와 같은 추가 미끄럼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뚜껑(30)은 상부가 개방된 내부 용기(20)의 입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뚜껑(30)의 일측에는 음료가 배출되는 음료 출구(31)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 용기(20)에는 음료 출구와 대향한 위치에 빈 공간부(21)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빈 공간부(21)는 내부 용기(20)의 뒷편 하부를 오목지게 형성하여 음료가 채워지지 않는 공간으로 형성하고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서 일정 부피를 차지하는 공기주머니로 대체될 수 있다. 이 공기주머니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물보다 가벼운 무게로 제작될 수 있다. 또는 내부 용기 단면을 반원형으로 함으로써, 빈 공간부를 갈음할 수 있다.
이러한 빈 공간부(21)가 형성된 위치는, 음료 용기(100)를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에 뚜껑(30)의 음료 출구(31)와 반대되는 방향이다. 빈 공간부(21)와 반대 방향에 음료 출구(31)가 오도록 뚜껑(30)을 장착할 수 있게, 내부 용기(20)에는 올바른 뚜껑(30)의 결합 방향을 나타내는 마크(24)가 더 해질 수 있다.
나아가 빈 공간부(21)를 제외한 공간(22)의 저부에 무게추(23)가 장착되어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수평으로 놓인 음료 용기에 음료수를 채웠을 때에, 빈 공간부(21)를 제외한 내부 용기(20) 안에 음료수가 담기게 된다.
이 상태에서 음료수를 마시기 위하여 음료 용기(100)를 기울이게 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울어진 방향으로 음료수가 쏠리면서, 음료수가 담긴 내부 용기(20)의 무게 중심(G)이 기울어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무게 중심(G)의 이동은 음료 용기(100)의 기울기 각도가 커짐에 따라 더욱 크게 나타난다.
내부 용기(20)의 무게 중심이 기울어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중력에 의해 내부 용기(20)에 회전력이 작용하고, 그에 따라 내부 용기(20)와 뚜껑(30)이 회전하여 음료 출구(31)가 기울어진 방향으로 맞춰지게 된다.
즉 음료 출구(31)의 원래 위치와 상관없이 음료 용기(100)를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이는 것만으로도 음료 출구(31)가 해당 방향에 따라 놓이게 된다. 이러한 작동은 음료 출구의 위치를 확인하고, 음료 출구에 맞춰 음료 용기를 기울여야하는 기존 음료 용기의 사용에 비하여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특히 시각 장애우와 같이 음료 출구의 위치를 미리 확인하기 어려운 분들에게 매우 편리한 기능이다.
나아가 베어링(40)은 내부 용기(20)의 회전 작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돕는다. 즉 음료 용기의 작은 기울임에도 내부 용기와 뚜껑이 곧바로 회전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무게추(23)는 내부 용기(20)의 중심으로부터 무게 중심을 크게 편심시킴으로써, 담긴 음료수가 적은 경우에도 내부 용기(20)의 회전(음료 출구의 자동 맞춤)이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나아가 뚜껑을 제거하고, 기존의 테이크아웃용 종이컵을 내부 용기 안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100 : 음료 용기
10 : 외부 용기
20 : 내부 용기 21 : 빈 공간부 22 : 공간 23 : 무게추 24 : 마크
30 : 뚜껑 31 : 음료 출구
40 : 베어링
G : 무게 중심
10 : 외부 용기
20 : 내부 용기 21 : 빈 공간부 22 : 공간 23 : 무게추 24 : 마크
30 : 뚜껑 31 : 음료 출구
40 : 베어링
G : 무게 중심
Claims (3)
- 외부 용기,
상기 외부 용기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외부 용기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한 내부 용기
상기 내부 용기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일측에 음료 출구가 구비된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용기에는 상기 음료 출구와 대향한 위치에 빈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빈 공간부를 제외한 공간에 채워진 음료의 무게로 인하여 상기 내부 용기가 회전하여 상기 외부 용기가 기울은 방향으로 상기 음료 출구가 놓이며,
상기 외부 용기의 바닥과 상기 내부 용기의 바닥 사이에는 베어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우용 음료 용기. - 삭제
- 제1항에서
상기 빈 공간부를 제외한 공간의 저부에는 무게추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우용 음료 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9476A KR102115255B1 (ko) | 2019-04-29 | 2019-04-29 | 시각 장애우용 음료 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9476A KR102115255B1 (ko) | 2019-04-29 | 2019-04-29 | 시각 장애우용 음료 용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15255B1 true KR102115255B1 (ko) | 2020-05-26 |
Family
ID=70914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9476A KR102115255B1 (ko) | 2019-04-29 | 2019-04-29 | 시각 장애우용 음료 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15255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114295A (ko) * | 2008-04-29 | 2009-11-03 | 문재성 | 이중용기 |
KR20140126218A (ko) | 2013-04-22 | 2014-10-30 | 김영채 | 토출구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마개가 음료용기 내부로 개폐되는 컵 덮개 |
-
2019
- 2019-04-29 KR KR1020190049476A patent/KR10211525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114295A (ko) * | 2008-04-29 | 2009-11-03 | 문재성 | 이중용기 |
KR20140126218A (ko) | 2013-04-22 | 2014-10-30 | 김영채 | 토출구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마개가 음료용기 내부로 개폐되는 컵 덮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993758B2 (ja) | 自動閉鎖蓋付き容器 | |
US5653362A (en) | Thermal lid and beverage server | |
CA1283382C (en) | Closure for hot beverage container | |
US9340333B2 (en) | Lid with nose accommodation | |
US6422426B1 (en) | Dispensing cap with internal measuring chamber | |
US5109995A (en) | Beverage drinking set with straw holder | |
US5072858A (en) | Divided beverage server | |
JP2021050009A (ja) | 飲料容器用ロック機構および飲料容器 | |
KR102115255B1 (ko) | 시각 장애우용 음료 용기 | |
JP6292531B1 (ja) | 液体用容器 | |
JP2013536134A (ja) | 飲料容器用ガード | |
CN207985651U (zh) | 旋转瓶盖以及水瓶 | |
EP2265151A1 (en) | Lid assembly | |
JP2009161196A (ja) | 飲料容器 | |
KR101641989B1 (ko) | 유체용기 | |
KR101169635B1 (ko) | 빨대 고정용 하우징 | |
JP2021019731A (ja) | 容器 | |
JP2003339545A (ja) | 急 須 | |
CN218552011U (zh) | 一种多功能水杯 | |
CN108408239A (zh) | 旋转瓶盖以及水瓶 | |
CN210095363U (zh) | 可半自动开启的水具盖及水具 | |
KR20240025470A (ko) | 음료용기용 캡 및 이를 갖는 음료용기 | |
FR2762088A1 (fr) | Recipient avec dispositif indicateur de niveau de remplissage | |
JPH11171222A (ja) | 開閉自在な注出口を有するコップ用の蓋 | |
KR20220003942A (ko) | 차단홈을 구비하는 음료 용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