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995Y1 - 개폐 조절손잡이를 구비한 텀블러용 뚜껑 - Google Patents

개폐 조절손잡이를 구비한 텀블러용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995Y1
KR200473995Y1 KR2020130002897U KR20130002897U KR200473995Y1 KR 200473995 Y1 KR200473995 Y1 KR 200473995Y1 KR 2020130002897 U KR2020130002897 U KR 2020130002897U KR 20130002897 U KR20130002897 U KR 20130002897U KR 200473995 Y1 KR200473995 Y1 KR 2004739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opening
auxiliary
clos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8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충일
Original Assignee
우충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충일 filed Critical 우충일
Priority to KR20201300028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9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9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9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폐 조절손잡이를 구비한 텀블러용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보조 뚜껑에 설치된 개폐 조절손잡이의 조작에 의하여 개폐량이 조절되는 보조 뚜껑을 주 뚜껑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용물을 저장하고 보온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고 내용물의 토출이 가능하도록 토출공과 통기공이 형성된 주 뚜껑을 개폐할 수 있도록 주 뚜껑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보조 뚜껑을 구비한 뚜껑을 포함하는 텀블러에 있어서, 상기 보조 뚜껑은, 보조 뚜껑을 주 뚜껑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뚜껑의 상측 면에 보조 뚜껑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개방하는 개폐 조절손잡이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폐 조절손잡이를 구비한 텀블러용 뚜껑{CAP FOR TUMBLER HAVING HANDLE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본 고안은 개폐 조절손잡이를 구비한 텀블러용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조 뚜껑에 설치된 개폐 조절손잡이의 조작에 의하여 개폐량이 조절되는 보조 뚜껑을 주 뚜껑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 조절손잡이를 구비한 텀블러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텀블러란 굽과 손잡이가 없고 바닥이 납작한 큰 잔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보통 커피나 음료를 담은 스테인레스 재질의 용기 상단부를 뚜껑으로 닫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텀블러는 일반적인 컵이나 일회용 용기에 비하여 음료수의 온도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물, 맥주, 주스, 뜨거운 커피를 담는 용기로 이용되는데 보온성과 휴대성이 좋아 많이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2중 구조 간이 컵을 도시한 도면으로, 컵(2)은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4)와 용기(4)의 입구를 개폐하게 결합된 뚜껑(6)으로 구성된다. 또한, 컵의 사양에 따라 컵 손잡이가 형성된 것도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6)은 보행 또는 운전 중인 차량에서 컵(2)을 이용하게 될 경우, 뚜껑의 토출공(H1)을 통해 내용물이 왈칵 쏟아져 나옴에 따라 혀를 데이는 등 토출되는 양을 조절하기 어려워 내용물을 섭취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뚜껑(6) 자체에 형성된 토출공(H1)의 위치를 조정해야 하는 경우, 뚜껑(6)에 형성된 구멍위치 조정용 손잡이(8)를 잡고 용기(4)에 결합된 뚜껑(6) 전체를 돌려야 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토출공(H1)의 위치를 조정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뚜껑(6)의 토출공(H1)과 통기공(H2)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내용물의 온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단점이 있어 내용물을 따뜻한 상태로 장시간 보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뚜껑(6)에서 토출공의 위치를 조정하기 불편한 점과 보온 효율이 약화되는 점을 개선한 액체 용기용 뚜껑(1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4)에 결합되는 주 뚜껑(12)과 주 뚜껑(12)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보조 뚜껑(14)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뚜껑(10)에는 보조 뚜껑(14)을 회전시켰을 때 주 뚜껑(12)과 보조 뚜껑(14)에 각각 형성된 반쪽 홈들을 일치시켜 내용물이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공(H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뚜껑(14)에는 주 뚜껑(12)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는 보조 뚜껑(14)용 손잡이(16)가 돌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주 뚜껑(12)을 따라 흘러나오는 내용물의 섭취 시 보조 뚜껑(14)의 손잡이(16)가 위치하지 않은 부분을 통해 내용물을 섭취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상기 주 뚜껑(12)은 고무링(18)을 구비하고 있어 내용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용기(4)와 긴밀하게 결합되지만 보조 뚜껑(14)은 주 뚜껑(12)에 간단히 조립시켜 사용되기 때문에 누출과 보온에 취약하여 내용물을 장시간 보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뚜껑(10)의 밀폐와 보온의 취약성을 해소한 이중캡(2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4)에 결합되는 주 뚜껑(22)과, 주 뚜껑(22)을 덮어 바닥의 토출공(H1)과 통기공(H2)을 개폐하도록 결합되는 보조 뚜껑(24)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보조 뚜껑(24)에는 주 뚜껑(22)의 바닥에 먼저 닿음으로써 주 뚜껑(22)의 바닥에 있는 토출공(H1)과 통기공(H2)을 밀폐할 수 있도록 하는 고무링(2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고무링(25)이 주 뚜껑(22)의 바닥에 먼저 닿도록 보조 뚜껑(24)의 하단에 설치된 고무링(25)은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이중캡(20)의 보조 뚜껑(24)은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고 보온성을 향상시키지만 내용물을 섭취할 때 주 뚜껑(22)에서 보조 뚜껑(24)을 완전히 분리시켜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등록 실용신안 제0260738호“2중 구조 간이 컵”(2002.06.21. 외주면 [특허문헌 2] 등록 실용신안 제0230231호 “액체 용기용 뚜껑”(2001.07.19. 공고) [특허문헌 3] 등록 실용신안 제0349805호“머그컵의 이중캡”(2004.05.08. 공고)
본 고안의 목적은, 보조 뚜껑에 설치된 개폐 조절손잡이의 조작에 의하여 개폐량이 조절되는 보조 뚜껑을 주 뚜껑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텀블러용 뚜껑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내용물을 섭취할 때 개폐 조절손잡이의 간섭을 받지 않도록 보조 뚜껑의 상측 면에 개폐 조절손잡이를 접어놓을 수 있도록 하는 텀블러용 뚜껑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주 뚜껑의 경사턱과 보조 뚜껑의 고무링이 주 뚜껑과 보조 뚜껑의 결합 시 밀착력이 증대되도록 함으로써, 주 뚜껑에 대한 보조 뚜껑의 밀폐와 보온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텀블러용 뚜껑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용물을 저장하고 보온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용기(4)와, 상기 용기(4)의 입구에 결합되고 내용물의 토출이 가능하도록 토출공(H1)과 통기공(H2)이 형성된 주 뚜껑(C1)을 개폐할 수 있도록 주 뚜껑(C1)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보조 뚜껑(C2)을 구비한 뚜껑(C)을 포함하는 텀블러(T)에 있어서,
상기 보조 뚜껑(C2)은, 보조 뚜껑(C2)을 주 뚜껑(C1)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뚜껑(C)의 상측 면에 보조 뚜껑(C2)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개방하는 개폐 조절손잡이(5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 뚜껑(C2)은, 뚜껑의 상측 면에 개폐 조절손잡이(50)를 접어 둘 수 있도록 하는 수납용 홈(52)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납용 홈(52)은, 뚜껑(C)의 상측 면에 개폐 조절손잡이(50)를 접어 둘 수 있도록 깊이를 가지는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홈의 내주면과 홈의 바닥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면(52a)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 조절손잡이(50)는, 수납용 홈(52)에서 힌지핀(56)을 축으로 두고 세울 수 있도록 힌지핀(56)의 타측에 기립용 곡면 홈(54)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 조절손잡이(50)는, 보조 뚜껑(C2)의 수납용 홈(52) 내부에 힌지핀(56)을 축으로 두고 세우거나 접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 뚜껑(C1)에는, 보조 뚜껑(C2)의 고무링(60)이 하강하면서 밀착하도록 내주면에 하향 방향으로 경사지면서 좁아지는 경사턱(70)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텀블러용 뚜껑은 보조 뚜껑에 설치된 개폐 조절손잡이를 돌리는 정도에 따라 개폐량이 조절되는 보조 뚜껑을 주 뚜껑에서 분리하지 않고서도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텀블러용 뚜껑은 보조 뚜껑의 상측 면에 개폐 조절손잡이를 접어놓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을 섭취할 때 개폐 조절손잡이의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텀블러용 뚜껑은 주 뚜껑과 보조 뚜껑의 결합시 경사턱과 고무링의 밀착력이 증대되도록 함으로써, 주 뚜껑에 대한 보조 뚜껑의 밀폐와 보온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2중 구조 간이 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액체 용기용 뚜껑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머그컵의 이중캡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텀블러용 뚜껑을 용기에서 분해한 도면.
도 5는, 텀블러의 용기를 밀폐하도록 용기에 결합된 뚜껑과, 보조 뚜껑에 설치된 개폐 조절손잡이를 세우거나 접는 상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텀블러용 뚜껑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보조 뚜껑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텀블러의 용기에 결합된 뚜껑과 용기의 내용물이 토출 가능하도록 보조 뚜껑이 결합된 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텀블러(T)는, 내용물을 저장하고 보온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용기(4)와, 상기 용기(4)의 입구에 결합되고 내용물의 토출이 가능하도록 토출공(H1)과 통기공(H2)이 형성된 주 뚜껑(C1)을 개폐할 수 있도록 주 뚜껑(C1)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보조 뚜껑(C2)을 구비한 뚜껑(C)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보조 뚜껑(C2)에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C1)에서 보조 뚜껑(C2)을 분리하지 않고도 보조 뚜껑(C2)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개방시킬 수 있도록 뚜껑(C)의 상측 면에 개폐 조절손잡이(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개폐 조절손잡이(50)는 세우거나 접을 수 있도록 뚜껑 본체의 상측 면에 힌지핀(56)으로 설치된다. 힌지핀(56)은 개폐 조절손잡이(50)의 조작 시 회전축 기능을 하도록 함으로써 개폐 조절손잡이(50)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개폐 조절손잡이(50)에는 힌지핀(56)의 타측에 기립용 곡면 홈(5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기립용 곡면 홈(54)은 수납용 홈(52) 내에 접혀 있는 개폐 조절손잡이(50)를 손가락으로 밀어 올릴 수 있도록 형성한 홈이다.
그리고 개폐 조절손잡이(50)는 힌지핀(56)이 설치되는 힌지축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이러한 개폐 조절손잡이(50)는, 주 뚜껑(C1)에서 보조 뚜껑(C2)을 분리하지 않고 내용물의 섭취가 가능하도록 보조 뚜껑(C2)의 개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뚜껑(C2)에는, 상측 면에 돌출되지 않게 개폐 조절손잡이(50)를 접어 둘 수 있도록 하는 수납용 홈(5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용 홈(52)은 뚜껑 본체의 상측 면에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내주면과 바닥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면(52a)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52a)은 접은 개폐 조절손잡이(50)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개폐 조절손잡이(50)가 수납용 홈(52) 바닥에 닿지 않고 떠 있도록 한다. 즉, 개폐 조절손잡이(50)를 용이하게 세우기 위하여 수납용 홈(52) 바닥에 떠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보조 뚜껑(C2)에는, 주 뚜껑(C1)의 내주면에 밀착하도록 외주면 홈에 고무링(60)이 설치되어 있다. 고무링(60)은 보조 뚜껑(C2)에 형성되는 나사부(58) 하단의 둘레턱(59) 상부 홈에 분리되지 않도록 삽입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무링(60)의 단면 형태는 사각형, 직사각형, 원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이러한 고무링(60)은, 보조 뚜껑(C2)을 주 뚜껑(C1)에 완전히 결합시키면 주 뚜껑(C1)과 보조 뚜껑(C2)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여 내용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보온도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보조 뚜껑(C2)의 둘레턱(59)은 고무링(60)의 밀착작용을 방해하지 않도록 모따기가 되어 있고 나사부(58)가 형성된 보조 뚜껑(C2)의 외주면에 대한 외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주 뚜껑(C1)에는, 도 4, 5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주면에 하향 방향으로 경사지면서 좁아지는 경사턱(7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 뚜껑(C1)에 형성된 경사턱(70)은 경사 구간내에서 보조 뚜껑(C2)이 상향으로 이동하면 고무링(60)의 밀착력이 약화되도록 하고 반대로 보조 뚜껑(C2)이 하향으로 이동하면 고무링(60)의 밀착력이 강화되도록 한다.
상기 경사턱(70)은 보조 뚜껑(C2)이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때 보조 뚜껑(C2)에 설치된 고무링(60)이 분리 또는 밀착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즉, 경사턱(70)과 고무링(60)의 밀착 시에는 내용물의 누출 방지와 보온이 유지되도록 하지만 경사턱(70)과 고무링(60)의 분리 시에는 주 뚜껑(C1)의 토출공(H1)을 통해 내용물의 토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한 주 뚜껑(C1)과 보조 뚜껑(C2)사이에는 나사부가 생략된 토출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토출통로는 내용물의 토출이 용이하도록 주 뚜껑(C1)의 토출공(H1) 가까이에 형성된다.
또한, 텀블러(T)에는 보조 뚜껑(C2)을 돌려 개방 위치에 둔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주 뚜껑(C1)과 보조 뚜껑(C2)에 마크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보조 뚜껑(C2)을 돌린 후 주 뚜껑(C1)과 보조 뚜껑(C2)에 표시된 마크끼리 일치 시켰을 경우 보조 뚜껑(C2)이 개방 상태에 있다는 것을 간단히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뚜껑(C)에 마크를 표시하지 않는 경우, 보조 뚜껑(C2)의 개방 상태 판단은 보조 뚜껑(C2)이 주 뚜껑(C1)에 헐겁게 결합되어 있으면 개방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보조 뚜껑(C2)의 개방정도는 개폐 조절손잡이(50)를 잡고 보조 뚜껑(C2)을 흔들어 보았을 때 보조 뚜껑(C1)이 어느 정도 움직이는 가를 보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텀블러(T)의 용기(4)내에 내용물을 넣고 용기(4)의 입구에 주 뚜껑(C1)을 돌려서 결합시킨다.
주 뚜껑(C1)이 결합되면, 주 뚜껑(C1)에 결합시킬 보조 뚜껑(C2)을 준비한다.
보조 뚜껑(C2)이 준비되면, 뚜껑 본체의 상측 수납용 홈(52)에 힌지핀(56)으로 설치되어 접혀 있는 개폐 조절손잡이(50)를 세운다.
수납용 홈(52)에서 개폐 조절손잡이(50)를 세울 때는 수납용 홈(52) 내에 약간 들뜬 상태로 접혀있는 개폐 조절손잡이(50)의 기립용 곡면 홈(54)에 손가락을 걸어 밀어 올리면 세워진다.
이후, 개폐 조절손잡이(50)를 잡고 보조 뚜껑(C2)을 들어 주 뚜껑(C1)에 삽입시킨 다음 클로즈 표시 화살표 방향으로 돌려주면 보조 뚜껑(C2)은 나사부(58)에 의하여 주 뚜껑(C1)에 결합된다.
이때, 보조 뚜껑(C2)은 주 뚜껑(C1)에 결합될 수 록 주 뚜껑(C1)의 내주면을 따라 하강하면서 견고하게 결합된다.
보조 뚜껑(C2)이 주 뚜껑(C1)에 결합되면, 보조 뚜껑(C2)에 조립된 고무링(60)은 주 뚜껑(C1)의 내주면에 형성된 경사턱(70)에 밀착하게 된다. 이때 고무링(60)이 경사턱(70)에 밀착될 때, 보조 뚜껑(C2)의 둘레턱(59)은 고무링(60)이 분리되지 않도록 삽입을 안내하고 경사턱(70)에 대한 고무링(60)의 밀착을 유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보조 뚜껑(C2)을 주 뚜껑(C1)에 결합시켜 용기(4) 내부의 내용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보조 뚜껑(C2)으로 차단되면, 주 뚜껑(C1)의 토출공(H1)과 통기공(H2)은 완전 밀폐된다.
보조 뚜껑(C2)으로 주 뚜껑(C1)이 완전 밀폐됨에 따라 용기(4)에 들어있는 내용물은 누출이 방지되고 외부와 차단됨에 따라 보온이 장시간 유지된다.
이후, 개폐 조절손잡이(50)의 사용이 끝나면, 세워 놓은 개폐조절손잡이(50)를 접는다. 접힌 개폐 조절손잡이(50)는 보조 뚜껑(C2)의 수납용 홈(52) 내부에 접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개폐 조절손잡이(50)를 보조 뚜껑(C2)의 수납용 홈(52)에 접어 두게 되면, 보조 뚜껑(C2)은 주 뚜껑(C1) 내부에 깊이 결합되기 때문에 외부의 간섭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텀블러(T)를 가방에 넣어 보관하거나 손에 들고 이동하더라도 보조 뚜겅(C2)의 결합 상태는 견고하게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텀블러(T)를 휴대하다가 내용물을 섭취하는 경우에는, 보조 뚜껑(C2)을 주 뚜껑(C1)에서 분리하지 않고서도 보조 뚜껑(C2)의 개방정도를 조절하면 용기(4)에 저장된 내용물을 섭취할 수 있다.
즉, 보조 뚜껑(C2)을 주 뚜껑(C1)에서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용기(4)를 단단히 잡고 나서 보조 뚜껑(C2)에 접어놓은 개폐 조절손잡이(50)를 먼저 세운다. 개폐 조절손잡이(50)를 세울 때는 개폐 조절손잡이(50)의 기립용 곡면 홈(54)에 손가락을 대고 개폐 조절손잡이(50)를 상향으로 밀어 올리면 된다.
개폐 조절손잡이(50)를 세운 후에는, 개폐 조절손잡이(50)를 잡고 오픈방향을 표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보조 뚜껑(C2)을 돌린다. 즉, 보조 뚜껑(C2)을 반 바퀴 돌리면 주 뚜껑(C1)에 결합된 보조 뚜껑(C2)은 결합상태가 풀려 헐거운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한 보조 뚜껑(C2)을 돌린 후 주 뚜겅(C1)과 보조 뚜껑(C2)에 표시된 마크끼리 일치시켜 보조 뚜껑(C2)의 개방상태를 확인한다. 또는 보조 뚜껑(C2)을 움직여 보고 개방정도를 확인할 수도 있다.
상기한 보조 뚜껑(C2)이 주 뚜껑(C1)내에서 헐거운 상태가 되면, 주 뚜껑(C1) 바닥의 토출공(H1)과 통기공(H2)은 개방된다. 그리고 주 뚜껑(C1)과 보조 뚜껑(C2)의 사이를 통해 내용물의 토출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주 뚜껑(C1) 바닥의 토출공(H1)과 통기공(H2)이 개방되면, 용기(4)를 일정 각도로 기울인다. 용기(4)를 기울이게 되면 내용물은 토출공(H1)을 통해 토출된 후 주 뚜껑(C1)과 보조 뚜껑(C2)사이에 형성된 토출통로를 통해 토출된다.
즉, 보조 뚜껑(C2)을 주 뚜껑(C1)에서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서도 내용물만 토출시킬 수 있을 정도로 회전시켜 주게 되면 용기(4)에 저장된 내용물은 뚜껑(C)에 의하여 형성된 토출통로를 통해 따뜻한 상태로 토출된다. 뚜껑(C)의 토출통로를 통해 용기(4)에 저장된 내용물이 토출되면 내용물을 섭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보조 뚜껑(C2)을 열어 놓은 상태에서 내용물을 섭취한 후 다시 개폐 조절손잡이(50)를 사용해 보조 뚜껑(C2)을 주 뚜껑(C1)에 완전히 결합시키게 되면 뚜껑(C)은 텀블러(T)의 용기(4)에 저장된 내용물을 밀폐하고 보온하게 된다.
또한, 상기 텀블러(T)는 보조 뚜껑(C2)을 주 뚜껑(C1)에서 분리하지 않고 개방정도를 조절한 상태에서 내용물을 섭취할 수도 있지만 보조 뚜껑(C2)을 주 뚜껑(C1)에서 완전히 분리한 후 내용물을 섭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4: 용기 50: 개폐 조절손잡이
52: 수납용 홈 52a: 경사면
54: 기립용 곡면 홈 56: 힌지핀
58: 나사부 59: 둘레턱
60: 고무링 70: 경사턱
C: 뚜껑 C1: 주 뚜껑
C2: 보조 뚜껑 H1: 토출공
H2: 통기공 T: 텀블러

Claims (6)

  1. 삭제
  2. 내용물을 저장하고 보온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용기(4)와, 상기 용기(4)의 입구에 결합되고 내용물의 토출이 가능하도록 토출공(H1)과 통기공(H2)이 형성된 주 뚜껑(C1)을 개폐할 수 있도록 주 뚜껑(C1)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보조 뚜껑(C2)을 구비한 뚜껑(C)을 포함하는 텀블러(T)에 있어서,
    상기 보조 뚜껑(C2)은, 보조 뚜껑(C2)을 주 뚜껑(C1)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뚜껑(C)의 상측 면에 보조 뚜껑(C2)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개방하는 개폐 조절손잡이(50)가 더 설치되며,
    상기 보조 뚜껑(C2)은, 뚜껑의 상측 면에 개폐 조절손잡이(50)를 접어 둘 수 있도록 하는 수납용 홈(52)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조절손잡이를 구비한 텀블러용 뚜껑.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 홈(52)은,
    뚜껑(C)의 상측 면에 개폐 조절손잡이(50)를 접어 둘 수 있도록 깊이를 가지는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홈의 내주면과 홈의 바닥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면(52a)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조절손잡이를 구비한 텀블러용 뚜껑.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조절손잡이(50)는,
    수납용 홈(52)에서 힌지핀(56)을 축으로 두고 세울 수 있도록 힌지핀(56)의 타측에 기립용 곡면 홈(54)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조절손잡이를 구비한 텀블러용 뚜껑.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조절손잡이(50)는,
    보조 뚜껑(C2)의 수납용 홈(52) 내부에 힌지핀(56)을 축으로 두고 세우거나 접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조절손잡이를 구비한 텀블러용 뚜껑.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뚜껑(C1)에는,
    보조 뚜껑(C2)의 고무링(60)이 하강하면서 밀착하도록 내주면에 하향 방향으로 경사지면서 좁아지는 경사턱(70)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조절손잡이를 구비한 텀블러용 뚜껑.
KR2020130002897U 2013-04-15 2013-04-15 개폐 조절손잡이를 구비한 텀블러용 뚜껑 KR2004739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897U KR200473995Y1 (ko) 2013-04-15 2013-04-15 개폐 조절손잡이를 구비한 텀블러용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897U KR200473995Y1 (ko) 2013-04-15 2013-04-15 개폐 조절손잡이를 구비한 텀블러용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995Y1 true KR200473995Y1 (ko) 2014-08-12

Family

ID=51986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897U KR200473995Y1 (ko) 2013-04-15 2013-04-15 개폐 조절손잡이를 구비한 텀블러용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99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81638S1 (en) 2018-05-15 2020-04-21 Runway Blue, Llc Tumbler lid
USD886528S1 (en) 2018-05-15 2020-06-09 Runway Blue, Llc Tumbler with lid
USD909816S1 (en) 2018-05-15 2021-02-09 Runway Blue, Llc Tumbler
CN113371328A (zh) * 2021-06-05 2021-09-10 安庆市千禧龙包装有限公司 一种可循环利用纸杯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2916Y1 (ko) * 1994-07-26 1998-12-01 박주웅 보온병용 마개
KR19990036225U (ko) * 1998-02-17 1999-09-27 이종열 보온병의 속뚜껑
JP2002145323A (ja) * 2000-05-16 2002-05-22 Sekisui Seikei Ltd 容 器
US20130056467A1 (en) 2011-09-07 2013-03-07 Seth Shepard Beverage container closure with vent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2916Y1 (ko) * 1994-07-26 1998-12-01 박주웅 보온병용 마개
KR19990036225U (ko) * 1998-02-17 1999-09-27 이종열 보온병의 속뚜껑
JP2002145323A (ja) * 2000-05-16 2002-05-22 Sekisui Seikei Ltd 容 器
US20130056467A1 (en) 2011-09-07 2013-03-07 Seth Shepard Beverage container closure with venting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81638S1 (en) 2018-05-15 2020-04-21 Runway Blue, Llc Tumbler lid
USD886528S1 (en) 2018-05-15 2020-06-09 Runway Blue, Llc Tumbler with lid
USD909816S1 (en) 2018-05-15 2021-02-09 Runway Blue, Llc Tumbler
USD929185S1 (en) 2018-05-15 2021-08-31 Runway Blue, Llc Tumbler with lid
USD941628S1 (en) 2018-05-15 2022-01-25 Runway Blue, Llc Tumbler lid
CN113371328A (zh) * 2021-06-05 2021-09-10 安庆市千禧龙包装有限公司 一种可循环利用纸杯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62871B (zh) 容器的盖子
US9266667B2 (en) Portable and user-friendly multi-functional thermos cup
KR200473995Y1 (ko) 개폐 조절손잡이를 구비한 텀블러용 뚜껑
KR101244567B1 (ko) 휴대용 3중 용기
JP4154722B2 (ja) 液体用容器の開口口部の構造
US20170280913A1 (en) Knockdown pour-over kettle and kettle cover thereof
JP3159974U (ja) 飲料用容器の蓋
KR200475129Y1 (ko) 찻잎을 보관할 수 있는 휴대용 차 물병
KR20120021781A (ko) 기능성 텀블러
WO2008020301B1 (en) A drinking vessel
JP2008260544A (ja) 蓋付き容器
US20210267393A1 (en) Compartment Technology for Lids of Beverage Container
KR200480924Y1 (ko) 텀블러 캡
CN204161794U (zh) 按钮内藏式防误开容器盖
JP2008062952A (ja) 飲料用カップ蓋
CN202698947U (zh) 单手打开式调味瓶
CN212678862U (zh) 一种杯盖以及两用杯
KR100933665B1 (ko) 내용물의 안전 보관이 가능한 음료 용기
KR20120131012A (ko) 밀폐수단을 구비한 음료용기 뚜껑
CN205872806U (zh) 一种密封盖总成及其盒装容器
CN218791686U (zh) 一种多功能水杯
CN216984426U (zh) 翻盖咖啡杯
KR20140126218A (ko) 토출구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마개가 음료용기 내부로 개폐되는 컵 덮개
KR200479030Y1 (ko) 원터치형 물통
CN203252141U (zh) 具有自锁功能按钮的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