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4567B1 - 휴대용 3중 용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3중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4567B1
KR101244567B1 KR1020120038248A KR20120038248A KR101244567B1 KR 101244567 B1 KR101244567 B1 KR 101244567B1 KR 1020120038248 A KR1020120038248 A KR 1020120038248A KR 20120038248 A KR20120038248 A KR 20120038248A KR 101244567 B1 KR101244567 B1 KR 101244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cap
food
containe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9538A (ko
Inventor
임진광
Original Assignee
임진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진광 filed Critical 임진광
Publication of KR20120139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9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20Lunch or picnic box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16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27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piston co-operating with a screw-thread in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의 내부에 음식물과 음료수를 각각 격리된 상태로 함께 넣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야외 활동시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한 휴대용 3중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용기의 내부에 음식물과 음료수를 따로따로 담을 수 있는 2개의 격리된 공간을 조성하고, 또 간단한 조작으로 음식물을 인출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3중 용기를 구현함으로써, 야외 활동시 음식물과 음료수를 간편하게 휴대 및 보관할 수 있으며, 별도의 도구 없이도 음식물을 인출하여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는 한편, 용기의 하단에 있는 조작용 캡부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구조를 채택하여 필요시 속통의 회전구조를 제한할 수 있음은 물론 용기 기밀상태를 확보할 수 있는 는 새로운 형태의 3중 용기를 구현함으로써, 용기 전체를 물 등의 음료수를 채워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3중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3중 용기{Portable triple chamber type case}
본 발명은 휴대용 3중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의 내부에 음식물과 음료수를 각각 격리된 상태로 함께 넣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야외 활동시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한 휴대용 3중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산이나 조깅과 같은 활동적인 야외 활동 또는 빈번하게 수분을 섭취하는 어린이를 동반하는 등 야외 나들이를 할 때, 허기를 달래거나 갈증 해소를 위하여 각종 음식물이나 음료수 등을 지참하게 된다.
야외 활동을 위하여 출발하기 전에 음식물이나 음료를 별도의 물통 또는 용기에 담아 휴대하는 경우도 있지만, 용기를 청소하거나 사전에 준비하는 등의 불편 때문에 시중에서 음료를 직접 구입하고 그 음료 용기 그 자체로 휴대하거나, 음식물의 경우에도 별도의 용기에 담아 휴대하는 것이 보통이다.
즉, 야외 등으로 소풍이나 나들이를 나갈 때, 대부분 음식물과 음료수를 각각의 용기에 따로따로 담아서 들고 다니는 경우가 보통이다.
또한, 최근에는 거리를 다니면서 필요에 따라 인스턴트 음식물을 섭취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음식물과 음료수를 용기에 담거나, 또는 그대로 각각 소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렇게 음식물과 음료수를 개별 용기에 담아서 휴대 및 보관하는 경우, 또는 음식물과 음료수를 각각 가지고 다닐 때의 불편함 이외에도 음식물 섭취시 양손을 사용해야 하므로, 음식물을 먹거나 음료수를 마실 때 상당한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음식물 취식을 위해서는 젓가락 등의 보조도구를 따로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사용 후 이를 버림에 따라 쓰레기를 발생시키게 되는 등 환경 오염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한국등록실용 20-0315319호 및 한국등록실용 20-0314352호에서는 하나의 용기 내에 음식물과 음료수를 각각 담을 수 있는 형태의『휴대용 2중용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휴대용 2중용기는 용기의 내통이 완전 밀폐가 되지 않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고, 용기의 위생상 완전 분해 세척이 되어야 하는데 외통이 모두 2중구조의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서 분해 세척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으며, 또 내통의 기밀이 유지되지 않아 음료의 저장이 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특히, 한국등록실용 20-0314352호의 경우, 음식물을 관통시켜야만 저장이 가능하여 위생상 좋지 않고, 또 별도의 스틱으로 음식물을 인출하거나 음식물 상승 하강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한국등록특허 10-0963159호, 일본특개평11-278597호 및 일본특개2001-186922호에서도 휴대용 음식물저장수단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것들은 오직 식품만의 저장이 가능하고 음료와 식품을 동시에 저장할 수 없는 등 사용시 편의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용기의 내부에 음식물과 음료수를 따로따로 담을 수 있는 2개의 격리된 공간을 조성하고, 또 간단한 조작으로 음식물을 인출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3중 용기를 구현함으로써, 야외 활동시 음식물과 음료수를 간편하게 휴대 및 보관할 수 있으며, 별도의 도구 없이도 음식물을 인출하여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는 휴대용 3중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기의 하단에 있는 조작용 캡부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구조를 채택하여 필요시 속통의 회전구조를 제한할 수 있음은 물론 용기 기밀상태를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3중 용기를 구현함으로써, 용기 전체를 물 등의 음료수를 채워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3중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휴대용 3중 용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휴대용 3중 용기는 상단과 하단에 나사부를 가지는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측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외통 내벽과의 사이에 음료수 저장부를 조성하며 하단에는 외통의 나사부와 체결되는 나사부를 가지는 하단 캡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2열의 나선홈을 가지는 중간통과, 상기 중간통의 내측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내부는 음식물 저장부로 조성되고 벽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한 2줄의 직선형 가이드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 외주면의 돌기를 통해 중간통의 상단 내주면의 홈에 끼워지면서 자체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속통과, 상기 속통의 하단부에 나사체결 구조로 결합되어 함께 회전가능한 동시에 중간통의 하단 캡부에 있는 홈에 끼워지는 돌기를 가지는 조작용 캡부와, 상기 속통의 내부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외주면 양편에는 속통의 가이드 홀을 관통하여 중간통의 나선홈에 걸려지는 가이드 돌기를 가지며 속통의 회전시 중간통의 나선홈을 따라 유도되면서 승강되어 음식물을 밀어서 올려주는 음식물 받침대와, 상기 외통의 상단부를 마감하는 캡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음식물과 음료수를 함께 보관 및 휴대할 수 있고, 또 음식물을 손쉽게 인출하여 섭취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캡은 서로 간격을 유지하면서 외통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외부 벽체와 중간통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내부 벽체로 이루어진 이중 벽체, 그리고 상단부를 마감하는 개폐가능한 마개로 구성하고, 상기 외부 벽체와 내부 벽체의 상단 개구부는 음료수 인출구를 가지면서 중심쪽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의 차단판으로 막아놓은 구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캡에 있는 마개의 경우, 힌지 역할을 하는 띠편을 이용하여 캡측에 일체 부착되도록 하고, 그 저면에 형성되면서 음식물 저장부의 윗쪽 개구부를 마감하여 기밀을 유지해주는 기밀체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조작용 캡부는 그 내측 바닥면과 중간통의 저면 사이에 조성되는 공간부를 이용하여 위아래로 이동가능하게 조립하고, 상향 이동시 돌기를 통해 중간통에 있는 나사부의 바깥쪽으로 체결되도록 하여, 속통을 포함하는 조작용 캡부 전체를 고정시켜줌으로써, 용기 전체에 물 등의 음료수를 채워서 음료용기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휴대용 3중 용기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하나의 용기 내에 음식물과 음료수를 각각 담을 수 있으므로, 야외 활동시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둘째, 하단의 조작용 캡부를 손으로 돌리는 것만으로 내부의 음식물을 쉽게 인출할 수 있으므로, 젓가락 등과 같은 도구없이도 음식물을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3중 용기의 각 통을 쉽게 분해 및 조립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누구나 쉽게 세척할 수 있는 등 음식물과 음료수를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상부 캡의 이중 벽체에 각각 둥근나사를 형성하여, 기밀유지와 개폐의 용이함이 있으며, 캡의 상하 이중구조로 음료와 식품의 섭취에 편리성이 있다.
다섯째, 용기 하단의 조작용 캡부를 밀어올려서 중간통에 체결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용기의 내부에 물과 같은 음료수를 모두 채워서 음료용기로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휴대용 3중 용기는 외통과 내통의 기밀이 유지되어 각각을 동일한 음료 혹은 각각의 다른 음료를 보관할 수 있고, 휴대용 보온커버를 이용하여 일정시간 보온 혹은 보냉을 유지하거나, 또 외통측 혹은 중간통과 속통측의 어느 한쪽에 찬 물질이나 뜨거운 물질을 담아서 외통 혹은 중간통이나 속통측의 내용물의 보온 및 보냉 효과를 높이거나 보온 케이스와 외통의 밀폐된 공간을 두고 중간통및 속통측 내용물을 담아 보온 보냉을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3중 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3중 용기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3중 용기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 부위 확대도
도 5는 도 3의 "B" 부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3중 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3중 용기를 나타내는 확대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3중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3중 용기는 중심쪽에 음식물을, 그 둘레에는 음료수를 함께 채워넣고 휴대할 수 있는 구조로서,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3개의 통, 예를 들면 용기 본체를 이루는 바깥쪽의 외통(11)과, 상기 외통(11)의 내부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는 중간통(15) 및 속통(20)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통(11)과 중간통(15) 사이에 조성되는 공간에 물 등의 음료수가 채워지게 되고, 상기 속통(20)의 내부에 김밥 등과 같은 음식물이 채워지게 된다.
상기 외통(11)은 3중 용기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나사부(10a,10b)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상단 나사부(10a)는 후술하는 캡(24)과 체결되고, 하단 나사부(10b)는 중간통(15)에 있는 나사부(10c)가 체결된다.
이러한 외통(11)은 플라스틱이나 스테인레스 재질 등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이때의 외통(11)에 구비되는 나사부(10a,10b)는 안팎으로 혹은 일측에 나사선이 형성되는 둥근나사 형태가 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식물과 음료수의 보온을 위한 수단으로 천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 단열 케이스(35)가 마련되고, 이때의 단열 케이스(35)는 외통(11)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져 보온 및 단열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커버에는 위아래 지퍼(36) 등의 개폐수단을 구비하여 손쉽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통(15)은 외통(11)의 내측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면서 외통 내벽과의 사이에 음료수 저장부(12)를 조성하는 부분으로서, 하단부에는 중간통(15)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하단 캡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하단 캡부(13)에는 외통(11)의 나사부(10b)와 체결되는 나사부(10c)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중간통(15)은 하단 캡부(13)의 나사부(10c)를 통해 외통(11)의 하단부 나사부(10b)에 바깥쪽으로 체결되면서 외통(11)측과 일체식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중간통(15)의 상단부에도 나사부(10d)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때의 나사부(10d)를 통해 후술하는 캡(24)측과도 체결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단 캡부(13)의 하단 끝 둘레에는 홈(19b)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때의 홈(19b)에는 후술하는 조작용 캡부(21)에 있는 돌기(18b)가 끼워져 걸려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중간통(15)의 상단부 내측 둘레면에는 나사부(10d)의 바로 아래쪽 위치에 홈(19a)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때의 홈(19a)에는 속통(20)에 있는 돌기(18a)가 끼워져 걸려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중간통(15)에 있는 하단 캡부(13)의 내측 바닥에는 패킹(33)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패킹(33)은 음료수가 채워져 있는 음료수 저장부(12)의 기밀을 유지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패킹(33)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얇은 링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캡부 저면부에 일체 도포되는 탄성재질의 실 수단을 적용할 수도 있으며, 그 밖에 하단 캡부(13) 자체를 탄성 재질로 제작하여 재질 자체의 탄성을 이용하여 기밀을 유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중간통(15)의 경우에도 플라스틱이나 스테인레스 재질 등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이때의 중간통(15)에 구비되는 나사부(10c,10d)는 안팎으로 혹은 일측에 나사선이 형성되는 둥근나사 형태가 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중간통(15)에는 음식물을 밀어 올려주는 음식물 받침대(23)의 상승 및 하강을 유도해주는 수단으로 2열의 나란한 나선홈(14)을 포함한다.
상기 2열의 나선홈(14)은 중간통(15)의 내주면에서 통 길이방향을 따라 가면서 나란하게 형성되며, 이때의 각 나선홈(14)은 서로 간에 180°위상차를 가지면서 통 내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어지는 대칭구조로 배치된다.
즉, 1열의 나선홈(14)은 중간통(15)의 하단에서부터 통 내주면을 따라 나선 모양으로 상단까지 이어지게 되고, 다른 1열의 나선홈(14)은 상기 나선홈(14)의 시작위치에서 180°떨어진 반대쪽의 하단에서부터 통 내주면을 따라 나선모양으로 상단까지 이어지게 된다.
이때의 2열의 나선홈(14)은 동일한 나선각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져 음식물 받침대(23)가 안정적으로 수평자세를 이루면서 상승 및 하강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속통(20)은 내부에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 즉 음식물 저장부(16)를 제공함과 더불어, 자체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제자리에서 회전하면서 음식물 받침대(23)의 상승 및 하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부분으로서, 중간통(15)의 내측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속통(20)의 상단부 외주면 둘레에는 돌기(18a)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때의 돌기(18a)를 이용하여 중간통(15)의 상단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19a) 내에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로 지지된다.
특히, 상기 속통(20)에는 벽체를 관통하면서 통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해서 이어지는 형태의 2줄의 직선형 가이드 홀(1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직선형 가이드 홀(17)에는 음식물 받침대(23)에 있는 가이드 돌기(22)가 관통되고, 이때의 가이드 돌기(22)의 끝 부분은 통 외측으로 연장되어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직선형 가이드 홀(17) 역시 서로 180°의 위상차를 두고 나란하게 위치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각 직선형 가이드 홀(17)은 상단 끝과 하단 끝에 수평구간을 가지면서 막혀 있게 되며, 그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직선형 가이드 홀(17)의 상단 끝은 통 상단으로 터져 있는 형태가 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직선형 가이드 홀(17)의 상단 끝의 한쪽 끝을 터진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속통(20)을 중간통(15)의 내측으로 조립할 때, 통 상단을 약간 오므릴 수 있어 조립을 쉽게 할 수 있으며, 조립된 후에는 자체 탄력에 의해 복원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속통(20)의 하단부 외주면 둘레에는 나사부(10e)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나사부(10e)에 후술하는 조작용 캡부(21)가 체결구조로 결합되므로서, 속통(20)과 조작용 캡부(21)는 하나의 일체식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속통(20)을 돌려주기 위한 조작수단으로서, 조작용 캡부(21)가 마련된다.
상기 조작용 캡부(21)는 속통(20)의 하단부에 나사체결 구조로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부분으로서, 중간통(15)에 있는 하단 캡부(13)와 유사한 직경을 갖고 있으며, 원통형 몸체(21a)의 내주면에는 속통(20)의 하단 나사부(10e)에 체결되는 나사부(10f)가 갖추어져 있고, 원판형 캡(21b)의 내측 둘레에는 중간통(15)의 하단 캡부(13)에 있는 홈(19b)에 끼워지는 돌기(18b)가 갖추어져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작용 캡부(21)와 속통(20)은 각각이 가지고 있는 나사부(10e,10f)를 통해 서로 체결되어 일체식으로 조립되고, 또 속통(20)에 있는 상단 돌기(18a)와 조작용 캡부(21)에 있는 돌기(18b)를 이용하여 중간통(15)의 상단에 있는 홈(19a)과 하단 캡부(13)에 있는 홈(19b)에 각각 끼워져 걸려지게 되므로서, 속통(20) 및 조작용 캡부(21)는 위아래 돌기와 홈 간의 결합구조에 의지하여 중간통(15)측에 지지되면서 자체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돌기와 홈 간의 결합의 경우, 사용자가 어느 정도 힘을 주면 쉽게 끼우거나 빼낼 수 있는 구조로서, 조립시에는 강제적으로 눌러서 끼울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세척 등의 필요에 따른 분해시에는 약간 힘을 주어 잡아 빼내게 되면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음식물 받침대(23)는 속통(20)의 음식물 저장부(16)에 있는 음식물을 먹기 편하도록 위로 올려주는 부분으로서, 외주면 양편에 가이드 돌기(22)를 가지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음식물 받침대(23)는 속통(20)의 내부, 즉 음식물 저장부(16) 내에서 동심원상으로 배치되고, 이와 더불어 양쪽에 있는 가이드 돌기(22)는 속통(20)의 가이드 홀(17)을 관통하는 동시에 중간통(15)의 나선홈(14) 내에 끼워지게 된다.
이에 따라, 조작용 캡부(21)를 돌려서 속통(20)을 회전시키게 되면, 속통(20)의 직선형 가이드 홀(17)의 미는 힘(속통 회전력에 따른 가이드 홀과 가이드 돌기 간의 간섭)에 의해 상기 음식물 받침대(23)는 윗쪽 또는 아래쪽으로 힘을 받게 되고, 결국 음식물 받침대(23)는 중간통(15)의 나선홈(14)을 따라 유도되면서 상승 또는 하강되어, 음식물을 밀어서 올려주거나 아래쪽의 제자리로 복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음식물과 음료수가 같이 들어 있는 3중 용기를 밀폐하는 수단으로 캡(24)을 제공한다.
상기 캡(24)은 음식물이 들어 있는 속통(20)의 상부와 음료수 저장을 위해 이중으로 되어 있는 중간통(15)과 외통(11)의 상부를 동시에 효과적으로 막아주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캡(24)은 서로의 간격(대략 음료수 저장부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는 원통형의 내부 벽체(26)와 외부 벽체(25)를 가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외부 벽체(25)는 외통(11)의 상단 나사부(10a)에, 상기 내부 벽체(26)는 중간통(15)의 상단 나사부(10d)에 각각 나사체결구조로 결합되므로서, 외통(11) 및 중간통(15)과 캡(24)은 일체식으로 조립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내부 벽체(26)와 외부 벽체(25)에는 각각 둥근나사 등의 형태로 이루어진 나사부(10f,10g)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부(10f,10g)가 외통(11)의 나사부(10a)와 중간통(15)의 나사부(10d)에 동시에 체결되므로서, 이중용기 구조의 외측 공간 기밀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캡(24)이 가지는 외부 벽체(25)와 내부 벽체(26)의 상단 개구부는 중심쪽을 향해 하향 경사진 형태의 차단판(29)으로 막혀 있으며, 이때의 차단판(29) 일측에는 개폐가능한 뚜껑(31)으로 덮혀 있는 음료수 인출구(28)가 형성된다.
이렇게 상기 차단판(29)이 경사진 형태를 이룸에 따라 3중 용기를 기울여서 음료수를 따를 때, 음료수가 자연스럽게 흘러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외통(11)과 중간통(15) 사이에 조성되는 음료수 저장부(12)는 캡(27)의 조립과 함께 차단판(29)에 의해 그 상부가 마감되므로서, 외부 노출없이 안전하게 밀폐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캡(27)의 상부는 개폐가능한 마개(27)로 덮혀지는데, 이때의 마개(28)는 원판형으로 이루어지며, 마개(27)의 판체 가장자리 일측에는 힌지역할의 띠편(32)이 일체 형성되는 동시에 이때의 띠편(32)은 캡(24)과도 일체 연결되어 있어서, 마개(27)를 열고 닫을 때 힌지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개(27)의 저면 중심부에는 중간통(15)의 상단 내측으로 삽입되어 기밀을 유지해주는 기밀체(3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밀체(30)의 하단 둘레부에는 캡(27)의 상단 내측 둘레의 홈부분에 걸려지는 기밀용 돌기(34)를 형성하여, 기밀체(30)로 하여금 음식물 저장부(16)의 상부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온이나 기밀을 유지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휴대용 3중 용기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3중 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3중 용기의 속통(20) 내부에 조성되는 음식물 저장부(16)에는 김밥 등과 같은 음식물(100)이 채워지게 되고, 외통(11)과 중간통(15) 사이에 조성되는 음료수 저장부(12)에는 물 등과 같은 음료수(110)가 채워지게 된다.
그리고, 음식물 저장부(16)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음식물 받침대(23)는 충분한 양의 음식물을 채울 수 있도록 음식물 저장부(16)의 가장 아래쪽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음식물을 섭취하기 위하여, 캡(24)을 덮고 있는 마개(27)를 열어서 한쪽으로 젖혀 놓은 다음, 아래쪽의 조작용 캡부(21)를 손으로 돌리면, 속통(20)이 회전하게 되고, 이와 연동되면서 음식물 받침대(23)가 중간통(15)의 나선홈(14)의 안내를 받으면서 위로 올라가게 되므로, 결국 음식물 받침대(23)에 의해 위로 떠밀리면서 외부로 나오는 음식물을 쉽게 섭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젓가락 등과 같은 별도의 도구 없이도 조작용 캡부(21)만 적당히 돌려가면서 음식물을 꺼낼 수 있으므로, 편리하게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음료수의 경우에도 캡(24)에 있는 뚜껑(31)을 열고, 용기를 기울여서 쉽게 따라 마실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음식물과 물을 넣을 수 있는 용도 이외에도 용기 전체에 물을 채워놓고 사용할 수 있는 용도의 휴대용 3중 용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조작용 캡부(21), 즉 속통(20)과 나사체결되어 있는 동시에 중간통(15)에 걸림구조로 걸려져 있는 조작용 캡부(21)는 나사 1∼2 피치 정도의 구간을 위아래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된다.
이러한 조작용 캡부(21)의 상하 이동을 위하여 조작용 캡부(21)의 내측 바닥면과 중간통(15)의 저면 사이에 캡부의 이동 여유를 제공하는 공간부(37)가 조성되고, 상기 조작용 캡부(21)의 돌기(18b)는 중간통(15)의 하단 캡부(13)에 있는 홈(19b) 내에서 위아래로 유동가능하게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외통(11)의 하단부는 일정길이가 내측으로 축소된 직경을 갖는 형태를 취하게 되고, 이와 함께 중간통(15)에 있는 하단 캡부(13) 또한 그 하단부 일정길이, 예를 들면 홈부(19b)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일정길이가 내측으로 축소된 직경을 갖는 형태를 취하게 된다.
이에 따라, 용기를 음식물과 물을 담아서 사용하는 평상시의 경우 조작용 캡부(21)는 정상적으로 회전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한편, 용기 전체에 물을 채워서 사용하는 경우 조작용 캡부(21)를 윗쪽으로 밀어올려서 고정시켜 놓을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아래쪽으로 위치되어 있던 조작용 캡부(21)를 위로 밀어 올려서 그 돌기(18b)를 중간통(15)에 있는 나사부(10c)의 바깥쪽으로 체결시키게 되면, 즉 조작용 캡부(21)를 위로 밀어 올려 나사 체결방향으로 약간 틀어주면서 돌기(18b)를 나사부(10c)에 체결시키게 되면, 조작용 캡부(21)를 중간통(15)측에 고정시켜 놓을 수 있게 되고, 결국 조작용 캡부(21)와 속통(20) 전체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조작용 캡부(21)에 있는 돌기(18b)의 경우 나선형으로 돌아가면서 형성되는 돌기 형태로 형성하여, 중간통(15)의 나사부(10c)에 쉽게 체결시켰다 풀었다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속통(20)의 경우에 조작용 캡부(21)와 함께 약간 위로 올라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속통(20)의 상단부에 있는 돌기(18b)가 끼워지게 되는 중간통(15)의 홈(19a)의 위아래 폭을 약간 넓게 형성함으로써, 속통(20)의 상향 이동시 돌기(18b)도 홈(19a) 내에서 위로 유동되면서 속통(20)의 이동에는 전혀 문제가 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용 캡부(21)의 내측 바닥면과 중간통(15)의 저면 사이에 조성되는 공간부(37)에는 실링패드(38)가 장착되며, 이에 따라 조작용 캡부(21)가 중간통(15)측에 체결 고정됨과 동시에 실링패드(38)가 하단 캡부(13)의 저면에 눌려지면서 압착되므로서, 용기 내의 기밀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중간통(15)에 고정시켜놓았던 조작용 캡부(21)를 반대로 돌려서 풀게 되면, 조작용 캡부(21)가 원래의 하단 위치로 복귀되므로, 이때에는 음식물을 담는 용기로 재차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용기 하나에 음식물과 음료수를 모두 담을 수 있기 때문에 야외 활동시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음식물 또한 쉽게 위로 밀어내면서 섭취할 수 있으며, 또 3중 용기의 외통, 중간통 및 속통, 그리고 조작용 캡 등을 쉽게 분리할 수 있어 세척이 매우 용이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용기 하단의 조작용 캡부를 선택적으로 고정시켜놓을 수 있으므로, 음식물을 채울 수 있는 공간에 물을 넣어서 사용할 수 있는 등 용기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a,10b,10c,10d,10e,10f,10g : 나사부
11 : 외통
12 : 음료수 저장부 13 : 하단 캡부
14 : 나선홈 15 : 중간통
16 : 음식물 저장부 17 : 직선형 가이드 홀
18a,18b : 돌기 19a,19b : 홈
20 : 속통 21 : 조작용 캡부
21a : 원통형 몸체 21b : 원판형 캡
22 : 가이드 돌기 23 : 음식물 받침대
24 : 캡 25 : 외부 벽체
26 : 내부 벽체 27 : 마개
28 : 음료수 인출구 29 : 차단판
30 : 기밀체 31 : 뚜껑
32 : 띠편 33 : 패킹
34 : 기밀용 돌기 35 : 단열 케이스
36 : 지퍼 37 : 공간부
38 : 실링패드

Claims (8)

  1. 상단과 하단에 나사부(10a,10b)를 가지는 외통(11);
    상기 외통(11)의 내측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외통 내벽과의 사이에 음료수 저장부(12)를 조성하며, 하단에는 외통(11)의 나사부(10b)와 체결되는 나사부(10c)를 가지는 하단 캡부(13)가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2열의 나선홈(14)을 가지는 중간통(15);
    상기 중간통(15)의 내측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내부는 음식물 저장부(16)로 조성되고, 벽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한 2줄의 직선형 가이드 홀(1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 외주면의 돌기(18a)를 통해 중간통(15)의 상단 내주면의 홈(19a)에 끼워지면서 자체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속통(20);
    상기 속통(20)의 하단부에 나사체결 구조로 결합되어 함께 회전가능한 동시에 중간통(15)의 하단 캡부(13)에 있는 홈(19b)에 끼워지는 돌기(18b)를 가지는 조작용 캡부(21);
    상기 속통(20)의 내부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외주면 양편에는 속통(20)의 가이드 홀(17)을 관통하여 중간통(15)의 나선홈(14)에 걸려지는 가이드 돌기(22)를 가지며, 속통(10)의 회전시 중간통(15)의 나선홈(14)을 따라 유도되면서 승강되어 음식물을 밀어서 올려주는 음식물 받침대(23);
    상기 외통(11)의 상단부를 마감하는 캡(2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3중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24)은 서로 간격을 유지하면서 외통(11)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외부 벽체(25)와 중간통(15)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내부 벽체(26)로 이루어진 이중 벽체, 그리고 상단부를 마감하는 개폐가능한 마개(27)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부 벽체(25)와 내부 벽체(26)의 상단 개구부는 음료수 인출구(28)를 가지면서 중심쪽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의 차단판(29)으로 막혀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3중 용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캡(24)의 마개(27)는 힌지 역할을 하는 띠편(32)을 이용하여 캡(24)에 부착되고, 저면에 형성되면서 음식물 저장부(16)의 윗쪽 개구부를 마감하여 기밀을 유지해주는 기밀체(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3중 용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간통(15)에 형성되는 2열의 나선홈(14)은 서로 180°위상차를 가지면서 통 내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어지는 대칭구조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3중 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24)은 서로의 간격을 유지하는 원통형의 내부 벽체(26)와 외부 벽체(25)를 가지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벽체(26)와 외부 벽체(25)에는 각각 나사부(10f,10g)가 구비되어, 외통(11)의 나사부(10a)와 중간통(15)의 나사부(10d)에 동시에 체결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3중 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통(11)은 개폐가 가능한 단열 케이스에 의해 감싸여져 보온 및 단열이 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3중 용기.
  7. 상단과 하단에 나사부(10a,10b)를 가지는 외통(11);
    상기 외통(11)의 내측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외통 내벽과의 사이에 음료수 저장부(12)를 조성하며, 하단에는 외통(11)의 나사부(10b)와 체결되는 나사부(10c)를 가지는 하단 캡부(13)가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2열의 나선홈(14)을 가지는 중간통(15);
    상기 중간통(15)의 내측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내부는 음식물 저장부(16)로 조성되고, 벽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한 2줄의 직선형 가이드 홀(1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 외주면의 돌기(18a)를 통해 중간통(15)의 상단 내주면의 홈(19a)에 끼워지면서 자체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속통(20);
    상기 속통(20)의 하단부에 나사체결 구조로 결합되어 함께 회전가능한 동시에 중간통(15)의 하단 캡부(13)에 있는 홈(19b)에 끼워지는 돌기(18b)를 가지는 조작용 캡부(21);
    상기 속통(20)의 내부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외주면 양편에는 속통(20)의 가이드 홀(17)을 관통하여 중간통(15)의 나선홈(14)에 걸려지는 가이드 돌기(22)를 가지며, 속통(10)의 회전시 중간통(15)의 나선홈(14)을 따라 유도되면서 승강되어 음식물을 밀어서 올려주는 음식물 받침대(23);
    상기 외통(11)의 상단부를 마감하는 캡(24);
    을 포함하며,
    상기 조작용 캡부(21)는 그 내측 바닥면과 중간통(15)의 저면 사이에 조성되는 공간부(37)를 이용하여 위아래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향 이동시 돌기(18b)를 통해 중간통(15)에 있는 나사부(10c)의 바깥쪽으로 체결되므로서, 속통(20)을 포함하는 조작용 캡부(21) 전체가 고정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3중 용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조작용 캡부(21)의 내측 바닥면과 중간통(15)의 저면 사이에 조성되는 공간부(37)에는 실링패드(38)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3중 용기.
KR1020120038248A 2011-06-16 2012-04-13 휴대용 3중 용기 KR1012445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58335 2011-06-16
KR1020110058335 2011-06-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9538A KR20120139538A (ko) 2012-12-27
KR101244567B1 true KR101244567B1 (ko) 2013-03-25

Family

ID=47357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248A KR101244567B1 (ko) 2011-06-16 2012-04-13 휴대용 3중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55707B2 (ko)
JP (1) JP5723486B2 (ko)
KR (1) KR101244567B1 (ko)
CN (1) CN103917126B (ko)
WO (1) WO201217346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14365A1 (en) * 2013-07-09 2015-01-15 Jar-With-A-Twist Llc Food dispensing jar
US9150330B1 (en) 2013-08-21 2015-10-06 David M Stravitz Multi-compartment vessel with optional lids
US10173829B2 (en) * 2016-02-18 2019-01-08 Andrew SAWYERS Food container with self-actuator
US10597194B2 (en) * 2016-05-02 2020-03-24 Paden Little Seed Container and Shell Receptacle
AT519789B1 (de) * 2017-04-05 2021-04-15 Essletzbichler Peter Verpackung für Lebensmittel und Befüllvorrichtung für eine solche Verpackung
US10405681B2 (en) 2017-04-13 2019-09-10 Madelin Woods, LLC Food wrap holder
CN107380697B (zh) * 2017-08-28 2023-06-20 四川省宜宾普什模具有限公司 一种旋转闭合式防伪包装盒
US10583951B2 (en) 2017-11-20 2020-03-10 Sharon J. Farahani Easy wash split bottle assembly
KR200486500Y1 (ko) 2018-01-16 2018-05-29 김병찬 회전 압출식 액체 용기
CN108502381B (zh) * 2018-04-18 2019-08-30 上海信谊金朱药业有限公司 一种眼药水包装瓶
KR102047607B1 (ko) * 2018-08-13 2019-11-21 김준웅 기능성 김밥수납용기
KR102084417B1 (ko) * 2018-09-21 2020-03-04 김동우 원터치로 형태 변형이 가능한 조립식 용기
TR201908985A2 (tr) * 2019-06-18 2019-07-22 Sekeroglu Kimya Ve Plastik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İç hacmi̇ ayarlanabi̇len gida ambalaji
US11530069B2 (en) * 2019-08-14 2022-12-20 Econscience, Inc. Paperboard retractable dispenser device
CN110817110A (zh) * 2019-10-25 2020-02-21 浙江正庄实业有限公司 抗菌高刚性八边形双层真空瓶及其制备方法
CN111169780B (zh) * 2020-03-02 2023-08-11 王艳琴 一种可调温容器
US20230140186A1 (en) * 2021-11-03 2023-05-04 Guanwoo Yoon Beverage contain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352Y1 (ko) 2002-12-31 2003-05-27 임진광 휴대용 2중 용기
KR200315319Y1 (ko) 2003-01-17 2003-06-02 임진광 휴대용 2중 용기
KR200344346Y1 (ko) 2003-12-26 2004-03-10 (주)옥야 이중 용기
WO2009108378A2 (en) 2008-02-26 2009-09-03 Sines Randy D Elevating lift dispenser and container for articles in a liquid bath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53676A (en) * 1921-07-21 1923-05-01 Horan Jeremiah Container for packed powder and foodstuffs
US2549114A (en) * 1947-12-03 1951-04-17 Heywood Wakefield Co Built-in tubular ash tray for chair arms
US3815787A (en) * 1973-01-05 1974-06-11 H Spies Dispensing device
JPS50157385U (ko) * 1974-06-13 1975-12-26
JPS61177518U (ko) * 1985-04-26 1986-11-06
JPH08117117A (ja) * 1994-10-24 1996-05-14 Kazuo Ota 冷水筒
DE19807921A1 (de) 1998-02-25 1999-08-26 Pfeiffer Erich Gmbh & Co Kg Austrag-Steuerung für einen Medien-Spender
KR20010000042A (ko) 1999-10-25 2001-01-05 김종출 뚜껑이 필요없는 화장용품 케이스
RU2157779C1 (ru) * 2000-04-12 2000-10-20 Нурматов Владимир Тургунбаевич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и поштучной выдачи таблеток
JP2005104582A (ja) * 2003-09-30 2005-04-21 Yoshihiro Nagai 固形歯磨き収納容器
US7140518B2 (en) * 2003-12-22 2006-11-28 Chi-Hsiang Wang Atomizer
KR200360697Y1 (ko) * 2004-06-09 2004-09-01 임성우 뚜껑을 이용한 삼중용기
US20060201963A1 (en) * 2005-03-09 2006-09-14 Sines Randy D Dispensing container with non-invasive exterior control of interior dispenser lift
US9896260B2 (en) * 2005-03-09 2018-02-20 Twist 'n Serve, LLC Elevating lift dispenser and container
CN200980407Y (zh) * 2006-08-01 2007-11-28 梅加特雷德国际公司 堆叠式食物容器系统
US20090191316A1 (en) * 2008-01-30 2009-07-30 Marco Perry Retractable candy holder
CN201197567Y (zh) * 2008-05-07 2009-02-25 赵颖 带有饭盒的水杯
KR100963159B1 (ko) 2009-08-21 2010-06-15 김태준 휴대용 음식물보관용기
US20110168581A1 (en) * 2010-01-12 2011-07-14 Shirley Mae Williams Sanitary bathroom item storage un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352Y1 (ko) 2002-12-31 2003-05-27 임진광 휴대용 2중 용기
KR200315319Y1 (ko) 2003-01-17 2003-06-02 임진광 휴대용 2중 용기
KR200344346Y1 (ko) 2003-12-26 2004-03-10 (주)옥야 이중 용기
WO2009108378A2 (en) 2008-02-26 2009-09-03 Sines Randy D Elevating lift dispenser and container for articles in a liquid ba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23486B2 (ja) 2015-05-27
US20140131366A1 (en) 2014-05-15
US8955707B2 (en) 2015-02-17
WO2012173462A2 (ko) 2012-12-20
JP2014523375A (ja) 2014-09-11
CN103917126B (zh) 2015-11-25
CN103917126A (zh) 2014-07-09
WO2012173462A3 (ko) 2013-04-04
KR20120139538A (ko) 201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4567B1 (ko) 휴대용 3중 용기
US9266667B2 (en) Portable and user-friendly multi-functional thermos cup
US9314126B2 (en) Beverage container having built-in infuser and passive cooling element
US20110248037A1 (en) Thermally insulated collapsible cup for hot or cold beverages
KR200473995Y1 (ko) 개폐 조절손잡이를 구비한 텀블러용 뚜껑
KR101884195B1 (ko) 케이스를 구비한 휴대용 이중 물병
KR101302419B1 (ko) 음료의 농도조절이 가능한 컵
KR200497485Y1 (ko) 대구경 인입구를 가지는 텀블러 용기
KR101560974B1 (ko) 다기능 휴대용 음료 식품 용기
CN203777335U (zh) 奶瓶
JP7406249B2 (ja) ランチジャー
KR20160015642A (ko) 다기능성 용기
KR200314352Y1 (ko) 휴대용 2중 용기
KR102664352B1 (ko) 친환경 텀블러
CN219645547U (zh) 一种手提保温壶
KR200315319Y1 (ko) 휴대용 2중 용기
JP2002360327A (ja) 弁当箱
WO2006021143A1 (fr) Conteneur à boissons multifonctionnel portatif
KR200359347Y1 (ko) Pet 병을 수납할 수 있는 휴대용 아이스박스
JP3180731U (ja) ランチジャー
CN207084644U (zh) 一种方便使用的真空保温杯
KR200349805Y1 (ko) 머그컵의 이중캡
KR200480312Y1 (ko) 텀블러
CN102551466B (zh) 一种浓度可调温度可控可颠倒使用保温杯
KR200200955Y1 (ko) 온도 보존기능을 갖는 보온병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