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0974B1 - 다기능 휴대용 음료 식품 용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휴대용 음료 식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0974B1
KR101560974B1 KR1020140050604A KR20140050604A KR101560974B1 KR 101560974 B1 KR101560974 B1 KR 101560974B1 KR 1020140050604 A KR1020140050604 A KR 1020140050604A KR 20140050604 A KR20140050604 A KR 20140050604A KR 101560974 B1 KR101560974 B1 KR 101560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cap
container
support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0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진광
Original Assignee
임진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진광 filed Critical 임진광
Priority to KR1020140050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09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0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0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4Multi-cavity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and closure-retaining means
    • B65D47/14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and closure-retaining means for threaded caps
    • B65D47/143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and closure-retaining means for threaded caps with internal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6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 B65D81/3869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16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into which liquid is added and the resulting preparation is retained, e.g. cups preloaded with powder or dehydrated f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용기에 음식물과 음료수를 각각 격리된 상태로 함께 넣을 수 있어 야외활동 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휴대용 음료 식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용기의 내부에 음식물과 음료수를 따로따로 담을 수 있는 2곳의 격리된 공간을 조성하고, 또 용기 하단을 돌려서 사용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음식물을 인출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식품 및 음료 저장용기를 구현함으로써, 야외 활동 시 음식물과 음료수를 간편하게 휴대 및 보관할 수 있으며, 별도의 섭취 도구 없이도 음식물을 인출하여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음은 물론 음료수 또한 함께 마실 수 있는 한편, 용기의 내부에 들어 있는 음식물 받침대에 홀을 형성하고, 속통 내에 온수를 주입하여 원두커피나 찻잎 등을 우려서 먹을 수 있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 2중 구조의 외통을 적용하여 단열기능을 보강함으로써, 장시간 사용 시에도 뛰어난 보온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휴대용 음료 식품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기능 휴대용 음료 식품 용기{VERSATILE PORTABLE CONTAINER FOR DRINK AND FOOD}
본 발명은 다기능 휴대용 음료 식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용기에 음식물과 음료수를 각각 격리된 상태로 함께 넣을 수 있어 야외활동 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휴대용 음료 식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산이나 조깅과 같은 활동적인 야외 활동 또는 빈번하게 수분을 섭취하는 어린이를 동반하는 등 야외 나들이를 할 때, 허기를 달래거나 갈증 해소를 위하여 각종 음식물이나 음료수 등을 지참하게 된다.
야외 활동을 위하여 출발하기 전에 음식물이나 음료를 별도의 물통 또는 용기에 담아 휴대하는 경우도 있지만, 용기를 청소하거나 사전에 준비하는 등의 불편 때문에 시중에서 음료를 직접 구입하여 음료 용기 그 자체로 휴대하거나, 음식물의 경우에도 별도의 용기에 담아 휴대하는 것이 보통이다.
즉, 야외 등으로 소풍이나 나들이를 나갈 때, 대부분 음식물과 음료수를 각각의 용기에 따로따로 담아서 들고 다니는 경우가 보통이다.
또한, 최근에는 거리를 다니면서 필요에 따라 인스턴트 음식물을 섭취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음식물과 음료수를 용기에 담거나, 또는 그대로 각각 소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렇게 음식물과 음료수를 개별 용기에 담아서 휴대 및 보관하는 경우, 또는 음식물과 음료수를 각각 가지고 다닐 때의 불편함 이외에도 음식물 섭취 시 양손을 사용해야 하므로, 음식물을 먹거나 음료수를 마실 때 상당한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음식물 취식을 위해서는 젓가락 등의 보조도구를 따로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사용 후 이를 버림에 따라 쓰레기를 발생시키게 되는 등 환경 오염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한국등록실용신안 20-0315319호 및 한국등록실용신안 20-0314352호에서는 하나의 용기 내에 음식물과 음료수를 각각 담을 수 있는 형태의『휴대용 2중 용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휴대용 2중 용기』는 용기의 내통이 완전 밀폐가 되지 않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고, 용기의 위생상 완전 분해 세척이 되어야 하는데, 외통이 모두 2중 구조의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서 분해 세척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고, 또 내통의 기밀이 유지되지 않아 음료를 저장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특히, 한국등록실용신안 20-0314352호의 경우, 수직형 나사봉으로 음식물을 관통시켜야만 저장이 가능하여 위생상 좋지 않고, 또 별도의 스틱으로 음식물을 인출하거나 음식물 상승 하강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한국등록특허 10-0963159호, 일본특개평11-278597호 및 일본특개2001-186922호에서도 휴대용 음식물저장수단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것들은 오직 식품만의 저장이 가능하고 음료와 식품을 동시에 저장할 수 없는 등 사용 시 편의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용기의 내부에 음식물과 음료수를 따로따로 담을 수 있는 2곳의 격리된 공간을 조성하고, 또 용기 하단을 돌려서 사용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음식물을 인출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식품 및 음료 저장용기를 구현함으로써, 야외 활동 시 음식물과 음료수를 간편하게 휴대 및 보관할 수 있으며, 별도의 섭취 도구 없이도 음식물을 인출하여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음은 물론 음료수 또한 함께 마실 수 있는 다기능 휴대용 음료 식품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기의 내부에 들어 있는 음식물 받침대에 홀을 형성하고, 속통 내에 온수를 주입하여 원두커피나 찻잎 등을 우려서 먹을 수 있는 등 다양한 용도를 가지는 다기능 휴대용 음료 식품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2중 구조의 외통을 적용하여 단열기능을 보강함으로써, 장시간 사용 시에도 뛰어난 보온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휴대용 음료 식품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기능 휴대용 음료 식품 용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다기능 휴대용 음료 식품 용기는
중공형의 외통(11);
상기 외통(11)의 내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둘레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나선홈(14)이 형성된 중간통(15);
상기 중간통(15)의 내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둘레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되는 2줄의 직선형 가이드 홀(17)이 형성되어 있는 속통(20);
상기 속통(20)의 내측에 배치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홀(17)을 관통하여 상기 중간통(15)의 나선홈(14)에 걸쳐지는 가이드 돌기(22)가 돌출된 음식물 받침대(23);
상기 외통(11)의 하부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캡 지지체(39);
상기 중간통 지지체(13)의 하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외통(11)의 하부에 결합되는 중간통 지지체(13);
상기 중간통 지지체(13)를 수용하는 상태로 상기 캡 지지체(39)와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속통(20)의 하단부가 바닥면에 결합되는 조작용 캡부(21); 및
상기 외통(11), 중간통(15) 및 속통(20)의 상단부를 마감하는 캡(24);
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캡은 음식물 수납 및 인출을 위한 중심의 음식물 홀과 음료수 수납 인출을 위한 외곽의 음료수 홀을 가지면서 외통의 상단부에 체결 고정되는 캡 몸체와, 상기 캡 몸체의 한쪽에 힌지부로 연결되어 개폐가능한 캡 덮개와, 상기 캡 몸체의 음식물 홀을 마감하는 개폐가능한 음식물 덮개 및 음료수 홀을 마감하는 개폐가능한 음료수 덮개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캡은 캡 몸체의 내면에 형성되면서 음식물 덮개를 거치할 수 있는 덮개 거치용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은 캡 덮개에 핀 구조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동시에 캡 몸체의 록킹단에 걸림 및 해제가능한 록킹돌기를 이용하여 캡 덮개의 닫음상태를 유지시켜주는 록킹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식물 받침대에는 다수의 추출홀을 형성함으로써, 음식물 받침대의 저부와 속통의 바닥부 사이 공간에 온수를 주입하여 원두커피나 찻잎을 우려 먹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음식물 받침대의 외주면으로부터 서로 대향되게 돌출된 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음식물 받침대의 저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핀에 의해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외통(11)은 상단과 하단에 나사부(10a,10b)를 가지고 있으며, 내부에 공간을 조성하는 제1외통(11a)과 제2외통(11b)의 2중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중간통(15)은 상기 외통(11)의 내측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외통 내벽과의 사이에 조성되는 음료수 저장부(12)를 가지고 있고, 하단의 중간통 지지체(13)를 이용하여 외통(11)과 체결 결합되며, 둘레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나선홈(14)을 가지며,
상기 속통(20)은 상기 중간통(15)의 내측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내부는 음식물 저장부(16)로 조성되고, 둘레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한 2줄의 직선형 가이드 홀(17)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를 통해 조작용 캡부(21)에 결합되어 조작용 캡부 조작 시 자체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조작용 캡부(21)은 상기 속통(2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가능한 동시에 중간통(15)의 중간통 지지체(13)에 결합되어 있는 캡 지지체(39)의 결합되어 회전 안내를 받으며, 상기 중간통 지지체(13)와 캡 지지체(39)는 각각이 가지고 있는 걸림턱(18a,18b) 간의 위아래 맞걸림 구조로 결합되어, 캡 지지체(39)를 포함하는 조작용 캡부(21) 전체의 아래쪽 탈거가 방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음식물 받침대(23)는 상기 속통(20)의 내부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외주면 양편에는 속통(20)의 가이드 홀(17)을 관통하여 중간통(15)의 나선홈(14)에 걸려지는 가이드 돌기(22)를 가지며, 속통(20)의 회전 시 중간통(15)의 나선홈(14)을 따라 유도되면서 승강되어 음식물을 밀어서 올려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기능 휴대용 음료 식품 용기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용기 내에 음식물과 음료수를 각각 담을 수 있으므로, 야외 활동 시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하고, 협소한 공간에서도 편안히 식사를 즐길 수 있다.
둘째, 하단의 조작용 캡부를 손으로 돌리는 조작만으로 내부의 음식물을 쉽게 인출할 수 있으므로, 수저나 젓가락 등과 같은 취식도구 없이도 음식물을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다.
셋째, 속통 내부에 온수를 넣어 원두커피나 찻잎을 우려먹을 수 있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넷째, 2중 구조의 외통을 적용하여 오랜 시간 보온력을 확보할 수 있는 등 장시간에 걸친 야외 활동 시에도 항상 따뜻한 음식물과 음료수를 취식할 수 있다.
다섯째, 밀폐성이 뛰어나고 공기층 공간이 적어 일반 도시락 용기에 비해서 변질 진행 속도가 늦기 때문에 여름날씨에도 안심하고 음식물을 취식할 수 있다.
여섯째, 친환경 소재로 이루어지고 완전 분해 및 세척이 용이하기 때문에 위생 및 청결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음료 식품 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음료 식품 용기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음료 식품 용기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음료 식품 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음료 식품 용기의 사용상태를 단면도
도 6은 음식물 받침대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음료 식품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다기능 휴대용 음료 식품 용기는 용기 중심부에 밥 등의 음식물을 채우는 동시에 용기 둘레부에는 음료수를 함께 채우고 휴대할 수 있는 구조로서,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3개의 통, 예를 들면 용기 본체를 이루는 바깥쪽의 외통(11)과, 상기 외통(11)의 내부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는 중간통(15) 및 속통(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외통(11)과 중간통(15) 사이에 조성되는 공간에는 물 등의 음료수가 채워지게 되고, 상기 속통(20)의 내부에는 김밥이나 볶음밥 등과 같은 음식물이 채워지게 된다.
상기 외통(11)은 다기능 휴대용 음료 식품 용기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중공형의 형태를 가지며, 보온 및 단열을 위하여 내부에 공간을 조성하는 내외측의 제1외통(11a)과 제2외통(11b)의 결합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때의 제1외통(11a)과 제2외통(11b)은 상단 둘레와 하단 둘레에서 각각 용접되어 일체식을 이루는 구조로 결합된다.
이러한 외통(11)의 상단과 하단, 즉 제2외통(11b)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나사부(10a,10b)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상단의 나사부(10a)는 후술하는 캡(24)에 있는 나사부(10c)와 체결되고, 하단의 나사부(10b)는 후술하는 중간통 지지체(13)에 있는 나사부(10d)와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외통(11)은 플라스틱이나 스테인레스 재질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때의 외통(11)에 구비되는 나사부(10a,10b)는 안팎으로 혹은 일측에 나사선이 형성되는 둥근나사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중간통(15)은 외통(11)의 내측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면서 외통 내벽과의 사이에 음료수 저장부(12)를 조성하는 부분으로서, 하단부에는 중간통 지지체(13)의 바닥면에 고주파 접합 등에 의해 일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중간통 지지체(13)는 중간통(15)을 외통(11)측에 결합시켜주는 수단으로서, 중심부가 뚫려 있고 가장자리에 벽체를 가지는 원형의 캡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벽체의 상단부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10d)를 이용하여 외통(11)의 나사부(10b)에 체결되므로서, 일체식의 중간통(15) 및 중간통 지지체(13)와 외통(11)은 분해 및 조립가능한 구조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중간통 지지체(13)와 외통(11) 간의 나사체결부위와 인접한 서로 간의 접하는 면에는 실링부재(40a)가 개재되어 음료수 저장부(16) 내의 음료가 밖으로 새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중간통 지지체(13)의 벽체 하단부 외주면에도 실링부재(40b)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때의 실링부재(40b)는 조작용 캡부(21)의 내면과 접하면서 기밀을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중간통 지지체(13)의 벽체 상단부 내주면에는 걸림턱(18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걸림턱(18a)에 후술하는 캡 지지체(39)에 있는 걸림턱(18b)이 위아래로 맞걸려지게 되고, 결국 이러한 걸림구조에 의해 캡 지지체(39)를 포함하는 조작용 캡부(21) 전체가 아래쪽으로 탈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분해시에는 조작용 캡부(21)와 캡 지지체(39)를 돌려서 분리시킨 후 캡 지지체(39)는 중간통(15) 위로 빼내어 분리하게 된다.
이러한 중간통(15)이나 중간통 지지체(13)의 경우에도 플라스틱이나 스테인레스 재질 등으로 제작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중간통(15)에는 음식물을 밀어 올려주는 음식물 받침대(23)의 상승 및 하강을 유도해주는 역할을 하는 나선홈(14)이 형성된다.
상기 나선홈(14)은 중간통(15)의 내주면에서 통 길이방향을 따라가면서 나선 궤적으로 형성되며, 이때의 나선홈(14)을 따라 음식물 받침대(23)가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속통(20)은 내부에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 즉 음식물 저장부(16)를 제공함과 더불어, 자체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제자리에서 회전하면서 음식물 받침대(23)의 상승 및 하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부분으로서, 중간통(15)의 내측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속통(20)의 하단부 내주면 둘레에는 엠보(19)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때의 엠보(19)를 이용하여 조작용 캡부(21)에 있는 복수의 체결편(25)에 걸려져 결합되는 구조로 속통(20)은 조작용 캡부(21)에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조작용 캡부(21)를 회전 조작시키면 체결편(25)과 엠보(19) 간의 체결구조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속통(20)도 함께 회전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속통(20)에는 벽체를 관통하면서 통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연속해서 이어지는 형태의 직선형 가이드 홀(1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직선형 가이드 홀(17)에는 음식물 받침대(23)에 있는 가이드 돌기(22)가 관통되고, 이렇게 관통되는 가이드 돌기(22)의 끝 부분은 통 외측으로 연장되면서 중간통(15)에 있는 나선홈(14) 내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속통(20)을 돌려주기 위한 조작수단으로서, 조작용 캡부(21)가 마련된다.
조작용 캡부(21)는 상기 중간통 지지체(13)를 수용하는 상태로 상기 캡 지지체(39)와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속통(20)의 하단부가 바닥면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조작용 캡부(21)는 바닥면에서 수직 형성됨과 더불어 바깥면에 엠보홈(26)을 가지는 다수의 체결편(25)을 통해 속통(20)의 하단부 엠보(19)와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부분으로서, 속통(20)의 하단부를 마감하면서 중간통 지지체(13)의 하단부 둘레를 감싸는 벽체를 가지는 원형의 캡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용 캡부(21)의 바닥면에는 링 모양의 실리콘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 실링부재(40c)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때의 실링부재(40c)는 중간통 지지체(13)의 저면에 밀착되면서 속통(20)의 바닥부 공간에 채워지는 액상의 내용물이 누설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렇게 외통(11)과 중간통 지지체(13) 사이의 실링부재(40a), 중간통 지지체(13)와 조작용 캡부(21) 사이의 2곳의 실링부재(40b,40c)에 의한 3중 실링구조가 구비되므로서, 용기 속의 내용물에 대한 완벽한 실링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용 캡부(21)를 중간통 지지체(13)측에 지지되도록 하는 수단으로 링 모양의 캡 지지체(39)가 마련되고, 이때의 캡 지지체(39)는 내주면 상단 둘레에는 걸림턱(18b)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걸림턱(18b)이 중간통 지지체(13)에 있는 걸림턱(18a)에 걸려짐에 따라 캡 지지체(39) 및 이것과 결합되는 조작용 캡부(21) 전체가 아래쪽으로 탈거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조작용 캡부(21)의 상단부 외주면 둘레에는 나사부(10e)가 형성되고, 상기 캡 지지체(39)의 내주면 하단 둘레에도 나사부(10f)가 형성되어, 이때의 나사부(10e,10f) 간의 체결에 의해 조작용 캡부(21)와 캡 지지체(39)가 일체식으로 결합되어 함께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조작용 캡부(21)의 나사부(10e)와 캡 지지체(39)의 나사부(10f) 간의 체결이 완료되는 지점에는 서로 결속되는 홈(41)과 돌기(42)가 형성되어 있어서, 조작용 캡부(21)와 캡 지지체(39) 간의 결합을 위한 체결 완료 시 홈(41)과 돌기(42)가 서로 결속되면서 조작용 캡부(21)와 캡 지지체(39)가 정확하게 체결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홈과 돌기가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잠기게 되므로 조작용 캡부의 바닥에 있는 실링부재(40b)의 공간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 조작회전시 기밀을 유지하면서 부드럽게 조작된다.
혹은 조작용 캡부(21)와 지지체(39)가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결합되도록 조작용 캡부(21)와 지지체(39)의 임의의 지점에 눈금을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돌기와 홈 간의 결합의 경우, 사용자가 어느 정도 힘을 주어 돌리면 쉽게 끼우거나 빼낼 수 있는 구조로서, 조립 시에는 강제적으로 돌려서 끼울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세척 등의 필요에 따른 분해 시에는 약간 힘을 주어 돌려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실질적으로 음식물을 인출시켜주는 역할의 음식물 받침대(23)는 속통(20)의 음식물 저장부(16)에 있는 음식물을 먹기 편하도록 위로 올려주는 부분으로서, 외주면 양편에 가이드 돌기(22)를 가지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음식물 받침대(23)는 속통(20)의 내부, 즉 음식물 저장부(16) 내에서 동심원상으로 배치되고, 이와 더불어 양쪽에 있는 가이드 돌기(22)는 속통(20)의 가이드 홀(17)을 관통하는 동시에 중간통(15)의 나선홈(14) 내에 끼워지게 된다.
이에 따라, 조작용 캡부(21)를 돌려서 속통(20)을 회전시키게 되면, 속통(20)의 직선형 가이드 홀(17)의 미는 힘(속통 회전력에 따른 가이드 홀과 가이드 돌기 간의 간섭)에 의해 상기 음식물 받침대(23)는 윗쪽 또는 아래쪽으로 힘을 받게 되고, 결국 음식물 받침대(23)는 중간통(15)의 나선홈(14)을 따라 유도되면서 상승 또는 하강되어, 음식물을 밀어서 올려주거나 아래쪽의 제자리로 복귀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속통(20)의 내부에 조성되는 음식물 저장부(16)의 아래쪽으로는 별도의 공간이 조성되고, 이렇게 조성되는 공간을 통해 원두커피나 찻잎 등을 우려먹을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음식물 받침대(23)에는 다수의 추출홀(38)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곳을 통해 온수를 주입하거나 원두커피, 찻잎 등이 우러나온 물을 따라 먹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음식물 받침대(23)의 양 측면에는 받침대 저면 보다 아래쪽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다리부(43)가 각각 형성되며, 음식물 받침대(23)가 가장 아래쪽으로 내려간 상태에서 이때의 다리부(43)가 조작용 캡부(21)의 바닥쪽에 먼저 닿게 되므로서, 음식물 받침대(23)의 저부와 속통(20)의 바닥부 사이 공간에 온수를 주입하여 원두커피나 찻잎을 우려먹을 수 있는 공간이 조성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다리부(43)는 속통(20)에 있는 직선형 가이드 홀(17)의 하단구간을 차단하는 역할도 하게 되며, 조립 시 다리부(43)의 탄력을 통해 약간 내측으로 구부리면서 가이드 돌기(22)를 직선형 가이드 홀(17) 내에 끼우는 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다기능 휴대용 음료 식품 용기의 조립 전 음식물 받침대(23)의 저부 공간에 커피나 찻잎 등을 미리 채운 상태에서 내부에 온수를 부으면, 간편하게 커피나 찻잎 등을 우려 먹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음식물과 음료수가 같이 들어 있는 다기능 휴대용 음료 식품 용기를 밀폐하는 수단으로 캡(24)을 제공한다.
상기 캡(24)은 음식물이 들어 있는 속통(20)의 상부와 음료수 저장을 위해 이중으로 되어 있는 중간통(15)과 외통(11)의 상부를 동시에 효과적으로 막아주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캡(24)은 외통(11)의 상부에 결합되어 음식물 저장부(16)와 음료수 저장부(12)를 동시에 마감하는 수단으로서, 외통(11)에 체결되는 캡 몸체(29), 상기 캡 몸체(29)를 개폐하는 캡 덮개(31), 상기 캡 몸체(29)의 음식물 홀(27)을 마감하는 개폐가능한 음식물 덮개(32), 음료수 홀(28)을 마감하는 개폐가능한 음료수 덮개(33) 등을 포함한다.
상기 캡 몸체(29)는 내주면에 있는 나사산 부분을 통해 외통(11)의 상단부에 있는 나사부(10a)에 체결되는 구조로 결합되고, 이러한 캡 몸체(29)의 중심부에는 음식물 수납 및 인출을 위한 음식물 홀(27)이 형성됨과 더불어 외곽부의 일측에는 음료수 수납 인출을 위한 음료수 홀(28)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캡 몸체(29)의 저면에는 중심부의 음식물 홀(27)의 둘레를 따라 동심원상으로 형성되면서 링 모양을 이루는 2열의 마감부재(44)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캡 결합 시 상기 마감부재(44)가 음료수 저장부(12)의 상부 내측에 끼워지게 되므로서, 음료수 저장부(12)의 상단 개구부가 마감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마감부(44)를 기준으로 이와 인접한 내측 둘레와 외측 둘레에는 각각 실링부재(40d,40e)가 개재되어 있어서, 음료수 저장부(12)로부터의 음료 누출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캡 몸체(29)의 음식물 홀(27)은 이곳에 체결되는 일종의 속뚜껑인 음식물 덮개(32)에 의해 마감될 수 있게 된다.
이때의 음식물 덮게(32)가 체결되는 음식물 홀(27)의 상단 둘레에도 실링부재(40f)가 개재되어 있어서 음식물 저장부(16)의 밀폐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캡 몸체(29)의 일측 음료수 홀(28)의 일측에는 탄성 재질의 음료수 덮개(33)가 후단의 회전가능한 구조로 장착되어 있으며, 이때의 음료수 덮개(33)로 음료수 홀(28)을 손쉽게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음료수 덮개(33)의 경우 열어서 젖힌 상태에서도 계속 캡 몸체(29)측에 붙어 있는 상태로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캡 몸체(29)의 상면 일측에는 반경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일정폭의 유도홈(4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유도홈(45)을 이용하여 음식물 저장부(16) 속의 내용물, 예를 들면 커피나 찻잎 등을 용이하게 따라 마실 수 있게 된다.
상기 캡 덮개(31)는 캡 몸체(29)의 한쪽에 힌지부(30)로 연결되어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특히 그 내면에는 링 모양을 따라 돌출되는 벽체구조로 이루어진 덮개 거치용 홀더(34)가 형성된다.
이때의 덮개 거치용 홀더(34)의 내경은 음식물 덮개(32)의 하단둘레 외경보다 거의 같거나 약간 작은 크기로 되어 있어서, 캡 덮개(31)를 연 다음 음식물 덮개(42)를 열고 음식물 섭취 시 이때의 음식물 덮개(32)를 덮개 거치용 홀더(34)에 끼워놓은 상태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음식물 덮개(32)의 분실 위험을 없앨 수 있고 위생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링 모양을 이루는 덮개 거치용 홀더(34)의 경우 일부 구간이 터져 있는 형태의 절개부(46)로 이루어져 있어서 음식물 덮개(32)의 완전한 닫힘상태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즉, 캡 몸체(29)에 있는 음식물 홀(27)에 음식물 덮개(32)를 완전히 체결하여 닫게 되면, 음식물 덮개(32)의 상면에 있는 일자형의 돌출형 손잡이(45)가 힌지부(30)와 나란한 일직선상에 놓여짐과 더불어 덮개 거치용 홀더(34)에 있는 절개부(46) 내에 위치되므로서, 캡 덮개(31)를 제대로 닫을 수 있게 된다.
만일, 음식물 덮개(32)를 완전히 체결하지 않고 덜 닫게 되면, 돌출형의 손잡이(45)가 약간 삐닥하게 놓이게 되고, 이 상태에서 캡 덮개(31)를 닫게 되면 덮개 거치용 홀더(34)와 손잡이(45)가 간섭을 일으키게 되므로, 이때에는 캡 덮개(31를 완전히 닫을 수 없게 되고, 결국 이러한 간섭구조를 통해 음식물 덮개(32)를 제대로 닫을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캡(24)에는 캡 덮개(31)의 잠금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수단으로 록킹레버(37)가 구비된다.
상기 록킹레버(37)는 캡 덮개(31)의 일측에 핀 구조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한쪽 단부의 하단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록킹돌기(36)를 이용하여 이에 대응하는 위치의 캡 몸체(29) 가장자리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록킹단(35)에 걸림 및 해제 가능하게 되므로서, 캡 덮개(31)의 닫음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되고, 또 록킹레버(37)를 위로 젖히면 록킹단(35)에 걸려져 있던 록킹돌기(36)가 해제되면서 캡 덮개(31)를 쉽게 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인 구성되는 다기능 휴대용 음료 식품 용기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음료 식품 용기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5a 및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기능 휴대용 음식 식품 용기의 속통(20)의 내부에 조성되는 음식물 저장부(16)에는 김밥, 볶음밥 등과 같은 음식물(100)이 채워지게 되고, 외통(11)과 중간통(15) 사이에 조성되는 음료수 저장부(12)에는 물 등과 같은 음료수(110)가 채워지게 된다.
그리고, 음식물 저장부(16)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음식물 받침대(23)는 충분한 양의 음식물을 채울 수 있도록 음식물 저장부(16)의 가장 아래쪽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음식물을 섭취하기 위하여, 록킹레버(37)를 누름조작하여 캡 덮개(31)를 열어 한쪽으로 젖혀 놓고, 음식물 홀(27)을 막고 있는 음식물 덮개(32)를 돌려서 연 상태에서, 아래쪽의 조작용 캡부(21)를 손으로 돌리면, 속통(20)이 회전하게 되고, 이와 연동되면서 음식물 받침대(23)가 중간통(15)의 나선홈(14)의 안내를 받으면서 위로 올라가게 되므로, 결국 음식물 받침대(23)에 의해 위로 떠밀리면서 외부로 나오는 음식물을 쉽게 섭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젓가락 등과 같은 별도의 도구 없이도 조작용 캡부(21)만 적당히 돌려가면서 섭취할 수 있는 만큼씩 음식물을 위로 꺼낼 수 있으므로, 편리하게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음료수의 경우에도 캡 몸체(29)에 있는 음료수 덮개(33)를 열고, 용기를 기울여서 쉽게 따라 마실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음식물 저장부에 음식물을 넣을 수 있는 용도 이외에도 커피나 찻잎 등을 우려놓고 마실 수 있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다기능 휴대용 음료 식품 용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용기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조작용 캡부(21)의 나사부(10e)와 캡 지지체(39)의 나사부(10f)는 서로 간의 체결이 완료되는 지점에는 홈(41)과 돌기(42)에 의해 결속된다.
이에 따라, 용기를 음식물과 물을 담아서 사용하는 평상 시의 경우 조작용 캡부(21)는 정상적으로 회전조작이 가능하게 되며 , 용기의 음식물 저장부(16)를 커피나 찻잎 등을 우려먹는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는 조작을 하지 않아도 된다.
도 6은 음식물 받침대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다.
도 6의 상측 그림 (a)은 도 5a에서 음식물 받침대(23)부분을 부분 확대한 것으로서, 음식물 받침대(23)의 외부면을 돌출시켜 가이드 돌기(22)를 형성한 것을 도시한다.
한편, 도 6의 하측 그림(b)은 가이드 돌기핀(52)을 가지는 것을 도시한다. 가이드 돌기핀(52)는 음식물 받침대(23)의 저부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가이드 돌기핀(52)의 길이는 중간통(15)의 나선홈(14)들 사이에 걸쳐질 정도이어야 한다.
가이드 돌기핀(52)는 중간에 단차를 주기 위한 절곡부를 가진다. 이 단차의 높이는 도 6에 있어서 좌우측에서 서로 대향하는 나선홈들 사이의 피치에 상당한다.
이와 같이, 용기 하나에 음식물과 음료수 등을 모두 담을 수 있기 때문에 야외 활동 시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음식물 또한 쉽게 위로 밀어내면서 섭취할 수 있으며, 또 외통, 중간통 및 속통, 그리고 조작용 캡 등을 쉽게 분리 및 조립할 수 있어 세척이 매우 용이한 이점이 있는 등 취급이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a∼10f : 나사부 11 : 외통
11a : 제1외통 11b : 제2외통
12 : 음료수 저장부 13 : 중간통 지지체
14 : 나선홈 15 : 중간통
16 : 음식물 저장부 17 : 직선형 가이드 홀
18a,18b : 걸림턱 19 : 엠보
20 : 속통 21 : 조작용 캡부
22 : 가이드 돌기 23 : 음식물 받침대
24 : 캡 25 : 체결편
26 : 엠보홈 27 : 음식물 홀
28 : 음료수 홀 29 : 캡 몸체
30 : 힌지부 31 : 캡 덮개
32 : 음식물 덮개 33 : 음료수 덮개
34 : 덮개 거치용 홀더 35 : 록킹단
36 : 록킹돌기 37 : 록킹레버
38 : 추출홀 39 : 캡 지지체
40a∼40f : 실링부재 41 : 홈
42 : 돌기 43 : 다리부
44 : 마감부재 45 : 손잡이
46 : 절개부

Claims (8)

  1. 중공형의 외통(11);
    상기 외통(11)의 내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둘레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나선홈(14)이 형성된 중간통(15);
    상기 중간통(15)의 내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둘레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되는 2줄의 직선형 가이드 홀(17)이 형성되어 있는 속통(20);
    상기 속통(20)의 내측에 배치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홀(17)을 관통하여 상기 중간통(15)의 나선홈(14)에 걸쳐지는 가이드 돌기(22)가 돌출된 음식물 받침대(23);
    상기 외통(11)의 하부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캡 지지체(39);
    상기 캡 지지체(39)를 지지하는 중간통 지지체(13): 상기 중간통 지지(13)체의 하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외통(11)의 하부에 결합되는 조작용 캡부(21);
    상기 중간통 지지체(13)를 수용하는 상태로 상기 캡 지지체(39)와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속통(20)의 하단부가 바닥면에 결합되는 조작용 캡부(21);및
    상기 외통(11), 중간통(15) 및 속통(20)의 상단부를 마감하는 캡(24);
    을 포함하며,
    상기 조작용 캡부(21)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속통(20)이 자체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속통(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나선홈(14)에 걸쳐진 음식물 받침대(23)가 상승 혹은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용 음료식품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24)은 음식물 수납 및 인출을 위한 중심의 음식물 홀(27)과 음료수 수납 인출을 위한 외곽의 음료수 홀(28)을 가지면서 외통(11)의 상단부에 체결 고정되는 캡 몸체(29)와, 상기 캡 몸체(29)의 한쪽에 힌지부(30)로 연결되어 개폐가능한 캡 덮개(31)와, 상기 캡 몸체(29)의 음식물 홀(27)을 마감하는 개폐가능한 음식물 덮개(32) 및 음료수 홀(28)을 마감하는 개폐가능한 음료수 덮개(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용 음료 식품 용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캡(24)은 캡 몸체(29)의 내면에 형성되면서 음식물 덮개(32)를 거치할 수 있는 덮개 거치용 홀더(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용 음료 식품 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용 캡부(21)와 캡 지지체(39)는 각각이 가지고 있는 나사부(10a,10e) 간의 체결 시 나사부(10a,10e)의 끝 부분에 있는 홈(41)과 돌기(42) 간의 결속구조에 의해 항상 정위치에서 체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료 식품 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받침대(23)에는 다수의 추출홀(38)이 형성되어 있어서, 음식물 받침대(23)의 저부와 속통(20)의 바닥부 사이 공간에 온수를 주입하여 원두커피나 찻잎을 우려 먹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용 음료 식품 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22)는 상기 음식물 받침대의 외주면으로부터 서로 대향되게 돌출된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용 음료 식품 용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22)는 상기 음식물 받침대의 저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핀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용 음료 식품 용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통(11)은 상단과 하단에 나사부(10a,10b)를 가지고 있으며, 내부에 공간을 조성하는 제1외통(11a)과 제2외통(11b)의 2중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중간통(15)은 상기 외통(11)의 내측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외통 내벽과의 사이에 조성되는 음료수 저장부(12)를 가지고 있고, 하단의 중간통 지지체(13)를 이용하여 외통(11)과 체결 결합되며, 둘레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나선홈(14)을 가지며,
    상기 속통(20)은 상기 중간통(15)의 내측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내부는 음식물 저장부(16)로 조성되고, 둘레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한 2줄의 직선형 가이드 홀(17)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를 통해 조작용 캡부(21)에 결합되어 조작용 캡부 조작 시 자체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조작용 캡부(21)은 상기 속통(2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가능한 동시에 중간통(15)의 중간통 지지체(13)에 결합되어 있는 캡 지지체(39)의 결합되어 회전 안내를 받으며, 상기 중간통 지지체(13)와 캡 지지체(39)는 각각이 가지고 있는 걸림턱(18a,18b) 간의 위아래 맞걸림 구조로 결합되어, 캡 지지체(39)를 포함하는 조작용 캡부(21) 전체의 아래쪽 탈거가 방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음식물 받침대(23)는 상기 속통(20)의 내부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외주면 양편에는 속통(20)의 가이드 홀(17)을 관통하여 중간통(15)의 나선홈(14)에 걸려지는 가이드 돌기(22)를 가지며, 속통(20)의 회전 시 중간통(15)의 나선홈(14)을 따라 유도되면서 승강되어 음식물을 밀어서 올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용 음료 식품 용기.
KR1020140050604A 2014-04-28 2014-04-28 다기능 휴대용 음료 식품 용기 KR101560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604A KR101560974B1 (ko) 2014-04-28 2014-04-28 다기능 휴대용 음료 식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604A KR101560974B1 (ko) 2014-04-28 2014-04-28 다기능 휴대용 음료 식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0974B1 true KR101560974B1 (ko) 2015-10-26

Family

ID=54428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0604A KR101560974B1 (ko) 2014-04-28 2014-04-28 다기능 휴대용 음료 식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09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607B1 (ko) * 2018-08-13 2019-11-21 김준웅 기능성 김밥수납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301B1 (ko) * 2006-10-25 2008-05-28 주식회사 예찬 포장용기
KR200467038Y1 (ko) * 2010-06-25 2013-05-27 옥영민 일회용 차 추출 컵
KR101384262B1 (ko) * 2012-08-22 2014-04-11 김정섭 다중용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301B1 (ko) * 2006-10-25 2008-05-28 주식회사 예찬 포장용기
KR200467038Y1 (ko) * 2010-06-25 2013-05-27 옥영민 일회용 차 추출 컵
KR101384262B1 (ko) * 2012-08-22 2014-04-11 김정섭 다중용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607B1 (ko) * 2018-08-13 2019-11-21 김준웅 기능성 김밥수납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5707B2 (en) Portable triple container
EP2850915B1 (en) Microwave moisture lock cover
US20100263549A1 (en) Tea and herb infusing beverage container
US20110248037A1 (en) Thermally insulated collapsible cup for hot or cold beverages
AU2013202070A1 (en) Food transport and storage container having removable inner container and insulating outer sleeve
TWM459790U (zh) 冷熱冰杯之改良(第五案)
CN101624113B (zh) 用于分开地容纳消耗品的系统
US20150344178A1 (en) Container system
JP2014104346A (ja) 食べ物及び飲み物用容器
KR101560974B1 (ko) 다기능 휴대용 음료 식품 용기
US10226144B2 (en) Food pouch container
KR101941708B1 (ko) 주류 및 음료 냉각 보관장치
CN208228747U (zh) 零食饮料容器
CN210018770U (zh) 便携饮具组件
WO2004000086A1 (en) Vacuum flask
CN210520778U (zh) 家用液体加热器
KR200167429Y1 (ko) 물탱크를 구비한 보온밥통
KR200289817Y1 (ko) 수납이 용이한 보온밥통의 보조 보온용기 구조
KR20140077371A (ko) 순간 발열이 가능한 발열 용기
KR200314072Y1 (ko) 식탁냉장고
KR200191196Y1 (ko) 탈부착 손잡이가 구비된 용기
CN204181439U (zh) 厨房用具
KR200390862Y1 (ko) 분리형 주전자
CN204192248U (zh) 带内盖双密封保温饭桶
US20170273149A1 (en) Microwave Moisture Lock Cover And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