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4262B1 - 다중용기장치 - Google Patents

다중용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4262B1
KR101384262B1 KR1020120091543A KR20120091543A KR101384262B1 KR 101384262 B1 KR101384262 B1 KR 101384262B1 KR 1020120091543 A KR1020120091543 A KR 1020120091543A KR 20120091543 A KR20120091543 A KR 20120091543A KR 101384262 B1 KR101384262 B1 KR 101384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mmodating
coupling
contents
guide
contain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1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5184A (ko
Inventor
김정섭
Original Assignee
김정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섭 filed Critical 김정섭
Priority to KR1020120091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4262B1/ko
Publication of KR20140025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5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6Thin-walled containers, e.g. formed by deep-drawing operations
    • B65D1/265Drinking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용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개구부를 구비하는 몸체부, 몸체부에 구비되어 제1내용물을 수용하는 제1수용부, 제1수용부와 구분되며, 제2내용물을 수용하는 제2수용부 및 제2수용부에 수용되는 제2내용물을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중용기장치{MULTI VESSEL DEVICE}
본 발명은 다중용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이한 수용물을 장치내의 구분된 수용부에 격리 수용 가능한, 다중용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 등의 용기장치는 단일 종류의 내용물을 수용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액체 및 고체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용기장치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종래의 용기장치는 운전, 보행 및 이동 시 사용에 불편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5671호(2012.03.16. 공개, 발명의 명칭: 다중 용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이한 내용물을 서로 격리하여 동시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용기의 외부에서 내용물을 이동시킬 수 있는 다중용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다중용기장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제1내용물을 수용하는 제1수용부; 상기 제1수용부와 구분되며, 제2내용물을 수용하는 제2수용부; 및 상기 제2수용부에 수용되는 제2내용물을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이동부는, 상기 제2수용부의 외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절부; 상기 조절부가 상기 제2수용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조절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수용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제2내용물이 안착되는 안착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2수용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홀; 및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위치하며 상기 이동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1내용물의 입출을 가능하게 하는 제1입출구 및 제2내용물의 입출을 가능하게 하는 제2입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1내용물은 액체이고, 제2내용물은 고체이며, 상기 제1수용부와 상기 제2수용부 사이에는 격벽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몸체부는 컵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2수용부는, 상기 몸체부에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몸체부는 상기 제2수용부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결합부는 상기 제2수용부가 상기 몸체부에 진입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수용부는 외측에 상기 결합가이드부에 맞물리게 형성되는 결합안착부를 구비하여, 상기 결합가이드부와 상기 결합안착부를 끼움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2수용부를 상기 결합부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용기장치는, 상이한 내용물을 서로 격리시켜 저장함으로써, 하나의 용기장치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지품을 손에 들고 있거나 운전 중일 때와 같이, 한 손으로는 다른 작업을 하면서, 다른 한 손으로 복수 개의 내용물이 들어 있는 다중용기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중용기장치 내부의 내용물을 외부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용기를 기울일 필요 없이 간단한 조작으로 내용물을 취음, 취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내용물에 손을 대지 않고 취음, 취식할 수 있으므로 위생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수용부가 몸체부에 탈부착 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제2수용부를 분리 또는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용기장치의 개략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용기장치의 측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홀 및 고정홈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의 개략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의 개략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가 장착된 다중용기장치의 개략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에 탈부착 가능한 제2수용부의 개략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에 탈부착 가능한 제2수용부가 장착되는 몸체부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에 탈부착 가능한 제2수용부가 장착된 몸체부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용기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용기장치의 개략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용기장치의 측단면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다중용기장치(1)는 몸체부(10), 제1수용부(20), 제2수용부(30) 및 이동부(40)를 포함한다.
몸체부(10)는 음료 등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에 개구부(11)를 포함한다. 몸체부(10)는 음료 등을 수용하기 위하여 방수 처리된 종이 또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부(10)가 컵 형상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의 몸체부(10)가 적용될 수 있다.
제1수용부(20)는 몸체부(10)의 내부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수용부(20)는 제1내용물(21)을 수용하며, 특히 액체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내용물이 닿는 부위에 방수 코팅 등을 적용한다.
제2수용부(30)는 제1수용부(20)와 구분되어 제2내용물(31)을 수용한다. 제2수용부(30)는 제1수용부(20)와 구분하기 위하여 격벽(3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격벽(33)은, 제1수용물(21)이 제2수용부(30)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몸체부(10)에 액체 내용물 등이 새지 않게 구비되며, 판형상의 부재를 접거나 이어 붙여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격벽(33)은 제2수용부(30)의 내부에서 안착부(45)가 이동할 수 있도록, 몸체부(10)의 바닥에 평행한 평면으로 자른 제2수용부(30)의 내측 단면이 동일하도록 구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홀 및 고정홈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의 개략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이동부(40)는 제2수용부(30)의 외부에서 제2수용부(30)에 수용된 제2내용물(31)을 이동시킬 수 있게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부(40)는 조절부(41), 가이드부(43) 및 안착부(45)를 포함한다.
조절부(41)는 제2수용부(30)의 외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조절부(41)는 손가락 등으로 밀어 올리거나 내릴 수 있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조절부(41)는 사용자가 조절부(41)를 손으로 이동시킬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손이 닿는 부위에 홈을 적용한다.
가이드부(43)는 조절부(41)가 제2수용부(30) 방향으로 연장되고, 조절부(41)의 이동을 안내한다. 가이드부(43)는 가이드홀(13)에 끼워진다. 가이드홀(13)은 제2수용부(30) 및 몸체부(10)에 구비된다. 단, 제2수용부(30)가 몸체부(10)에 탈부착 가능한 경우에는 제2수용부(30)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부(43)는 가이드홀(13)과 닿는 부위에 고정돌기(44)가 있어서, 고정홈(15)에 끼워져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 구비된다.
안착부(45)는 가이드부(43)에 연결되고 제2수용부(30)의 내부에 위치한다. 안착부(45)의 상면에는 제2내용물(31)이 안착된다.
이동부(40)가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홀(13)에는 가이드부(43)가 끼워지고, 가이드부(43)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홀(13), 가이드홀(13)을 따라 위치하며 이동부(4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홈(15)을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의 개략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다중용기장치(1)는 몸체부(10)의 상측을 개폐하며 제1내용물(21)의 입출을 가능하게 하는 제1입출구(53) 및 제2내용물(31)의 입출을 가능하게 하는 제2입출구(55)를 구비하는 덮개부(50)를 포함한다.
제1입출구(53)는 제1내용물(21)이 입출하는 입출구로써, 제1수용부(20)의 상단 개구부와 연통되게 구비된다. 제2입출구(55)는 제2수용부(30)의 상단 개구부와 연통되게 구비되며 제2수용물(31)이 액체일 경우 몸체부(10)를 기울일 때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되 취음에 불편하지 않는 범위에서 크기 및 형상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덮개부(50)는 상판(51), 제1입출구(53), 제2입출구(55) 및 측판(57)을 포함한다.
상판(51)은 몸체부(10)의 개구부(11)를 덮는 형상으로 몸체부(10)의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며, 제1내용물(21) 및 제2내용물(31)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온, 보냉하는 역할을 한다.
제1입출구(53)는 제1수용부(20)의 상측에 위치하며 덮개부(50)의 일측에 홀 형상으로 구비되며, 덮개부(50)를 몸체부(10)의 상측에 장착한 상태에서 빨대 등을 통하여 제1내용물(20)을 취음할 수 있도록 한다.
제2입출구(55)는 제2수용부(30)의 상측에 위치하여 덮개부(50)를 장착한 상태에서도 이동부(40)를 이용하거나 몸체부(10)를 기울이는 등의 방식으로 제2내용물(31)을 취음, 취식 가능하게 한다.
측판(57)은 덮개부(50)의 상판(51)의 외측이 몸체부(10)를 감싸면서 하측으로 절곡된 형상으로써, 덮개부(50)가 몸체부(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가 장착된 다중용기장치의 개략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A-A'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덮개부(50)는 걸림턱(59)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걸림턱(59)은 상판(51)이 제2입출구(55)의 하측으로 절곡된 형상으로써, 격벽(33)의 외측에서 접하거나 일정간격 떨어져 위치하여 덮개부(50)가 몸체부(10)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에 탈부착 가능한 제2수용부의 개략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에 탈부착 가능한 제2수용부가 장착되는 몸체부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에 탈부착 가능한 제2수용부가 장착된 몸체부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제2수용부(30)는 몸체부(10)에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부(10)는 제2수용부(30)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의 결합부(17)를 포함한다.
결합부(17)는 결합면(18)과 결합가이드부(19)를 포함한다. 결합면(18)은 제2수용부(30)가 몸체부(10)에 진입하는 면으로 제2수용부(30)의 외측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결합가이드부(19)는 제2수용부(30)가 결합면(18)에 진입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2수용부(30)의 결합방향을 안내하고, 제2수용부(30)의 결합안착부(35)와 맞물려 제2수용부(30)가 결합면(18)에 안착되게 한다.
도 8 내지 도 10에는, 결합가이드부(19)가 결합면(18)를 기준으로 홈 형상이고, 결합안착부(35)가 대응되는 형상이지만, 결합가이드부(19) 및 결합안착부(35)는 제2수용부(30)를 몸체부(10)에 탈부착 가능하게 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결합가이드부(19)를 결합안착부(35)에 끼움 결합하여 제2수용부(30)를 몸체부(10)에 결합시키며, 결합된 후에는 이와 반대 방향으로 제2수용부(30)를 몸체부(10)에 대하여 이동시켜 제2수용부(30)를 몸체부(10)에서 탈거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용기장치(1)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음료수 등의 제1내용물(21)을 몸체부(10)의 상단에서 개구부(11)를 통해 제1수용부(20)에 투입한다.
시리얼이나 과자, 조각케익 등의 제2내용물(31)을 제2수용부(30)에 투입한다. 투입된 제2내용물(31)은 제2수용부(30) 내부에 위치한 안착부(45)에 놓인다.
사용자가 다중용기장치(10)를 한 손으로 들고 있을 때, 액체는 기울여서 마신다. 상측의 개구부(11)를 통하여 빨대를 이용하여 취음도 가능하다.
제2내용물(31)은 엄지손가락 등으로 이동부(40)를 밀어 올려 취식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부(40)는, 이동부(40)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가이드부(43)가 가이드홀(13)에 끼워져 있으므로 가이드홀(13)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또한, 이동부(40)는 가이드부(43)의 측면에 돌출된 고정돌기(44)와 가이드홈(13)의 양측에 구비된 고정홈(15)이 맞물려 있으므로, 이동부(40)에 힘을 따로 가하지 않더라고 이동부(4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덮개부(50)가 추가되는 경우, 제1내용물(21)은 제1입출구(53)를 통하여 빨대 등을 이용하여 취음이 가능하고, 제2내용물(31)은 제2입출구(55)를 통하여 취식이 가능하여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는 이외에, 몸체부(10)의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수용부(30)가 몸체부(10)에 탈부착 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제2수용부(30)를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다중용기장치 10: 몸체부
11: 개구부 13: 가이드홀
15: 고정홈 17: 결합부
18: 결합면 19: 결합가이드부
20: 제1수용부 21: 제1내용물
30: 제2수용부 31: 제2내용물
33: 격벽 35: 결합안착부
40: 이동부 41: 조절부
43: 가이드부 44: 고정돌기
45: 안착부 50: 덮개부
51: 상판 53: 제1입출구
55: 제2입출구 57: 측판
59: 걸림턱

Claims (9)

  1. 개구부를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제1내용물을 수용하는 제1수용부;
    상기 제1수용부와 구분되며, 제2내용물을 수용하는 제2수용부; 및
    상기 제2수용부에 수용되는 제2내용물을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2수용부의 외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절부;
    상기 조절부가 상기 제2수용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조절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수용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제2내용물이 안착되는 안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용기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용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홀; 및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위치하며 상기 이동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용기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제1내용물의 입출을 가능하게 하는 제1입출구 및 제2내용물의 입출을 가능하게 하는 제2입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용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제1내용물은 액체이고, 제2내용물은 고체이며, 상기 제1수용부와 상기 제2수용부 사이에는 격벽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용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컵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용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용부는,
    상기 몸체부에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용기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2수용부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용기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수용부가 상기 몸체부에 진입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수용부는 외측에 상기 결합가이드부에 맞물리게 형성되는 결합안착부를 구비하여,
    상기 결합가이드부와 상기 결합안착부를 끼움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2수용부를 상기 결합부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용기장치.
KR1020120091543A 2012-08-22 2012-08-22 다중용기장치 KR101384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543A KR101384262B1 (ko) 2012-08-22 2012-08-22 다중용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543A KR101384262B1 (ko) 2012-08-22 2012-08-22 다중용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184A KR20140025184A (ko) 2014-03-04
KR101384262B1 true KR101384262B1 (ko) 2014-04-11

Family

ID=50640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1543A KR101384262B1 (ko) 2012-08-22 2012-08-22 다중용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42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0974B1 (ko) * 2014-04-28 2015-10-26 임진광 다기능 휴대용 음료 식품 용기
KR20200105274A (ko) * 2019-02-28 2020-09-0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2343U (ko) * 1997-04-01 1998-11-16 김원규 수납실이 있는 통
KR100404136B1 (ko) 2001-08-18 2003-10-30 김차식 벽면부에 유출구를 갖는 음료용기
KR200443386Y1 (ko) 2007-07-31 2009-02-09 허혜진 식품 용기
KR20120027766A (ko) * 2010-09-13 2012-03-22 오지민 풀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2343U (ko) * 1997-04-01 1998-11-16 김원규 수납실이 있는 통
KR100404136B1 (ko) 2001-08-18 2003-10-30 김차식 벽면부에 유출구를 갖는 음료용기
KR200443386Y1 (ko) 2007-07-31 2009-02-09 허혜진 식품 용기
KR20120027766A (ko) * 2010-09-13 2012-03-22 오지민 풀 케이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0974B1 (ko) * 2014-04-28 2015-10-26 임진광 다기능 휴대용 음료 식품 용기
KR20200105274A (ko) * 2019-02-28 2020-09-0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
KR102182590B1 (ko) * 2019-02-28 2020-11-2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184A (ko) 2014-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14322A1 (en) Cup lid and portable protection case therefor
US8042704B2 (en) Container with measuring device holding means
US7263949B1 (en) Animal food and water container assembly
US20150201777A1 (en) Cup lid and portable protection case therefor
ES2597968T3 (es) Aparato dispensador que tiene una sobretapa y una cuchara y método de dispensación
US20060283866A1 (en) Tray with baby food jar holder
KR101384262B1 (ko) 다중용기장치
CA2843534C (en) Dispenser
JPH0710175A (ja) 改良分配装置
KR101920743B1 (ko) 펠릿형 내용물을 일정량씩 배출하는 상품용기
KR101949516B1 (ko) 반찬국물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구획판이 구비되는 스테인레스 도시락 용기
KR101636752B1 (ko) 일회용 도시락 용기
JP2014043277A (ja) 飲み物用カップ蓋および飲み物用カップ
KR200472764Y1 (ko) 아이스크림 전용 용기
KR20170052358A (ko) 음료 용기
KR101751042B1 (ko) 컵 뚜껑
KR102212090B1 (ko) 스트로가 구비된 텀블러
KR101274156B1 (ko) 원터치형 정량 인출케이스
KR101391783B1 (ko) 이중 컵
KR101501604B1 (ko) 단계별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지기
US10765935B2 (en) Tile dispensers and methods of dispensing tiles
KR200311209Y1 (ko) 분유스푼 및 수유기구 보관함을 가지는 분유캔
KR102256184B1 (ko) 용기 자세에 구애받지 않고 분리 보관된 이종의 첨가물을 혼합시키는 음료용 마개
KR101007511B1 (ko) 물병
KR200481151Y1 (ko) 껌 수납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