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5274A -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 - Google Patents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5274A
KR20200105274A KR1020190024238A KR20190024238A KR20200105274A KR 20200105274 A KR20200105274 A KR 20200105274A KR 1020190024238 A KR1020190024238 A KR 1020190024238A KR 20190024238 A KR20190024238 A KR 20190024238A KR 20200105274 A KR20200105274 A KR 20200105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lider
gimbap
lifting
lif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2590B1 (ko
Inventor
박윤제
황성욱
임준찬
박창준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24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2590B1/ko
Publication of KR20200105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5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the piston or movable bottom being pulled upwards to dispense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2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03Articles enclosed in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the whole being wrap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of magnetic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10Adhesive or cohesive means for holding the contents attached to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는 말이 형태의 김밥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단부가 개방된 내부가 원통형의 용기본체부; 상기 용기본체부의 상단부를 덮어 밀폐시키는 뚜껑부; 및 상기 용기본체부 내부에 수용된 김밥을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용기본체부 내측 하단면과 평행하게 구비되고, 수용된 김밥을 지지 및 승강시키는 승강플레이트; 및 상기 승강플레이트와 연동되어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상승 및 하강이동을 가이드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 {A GIMBAP CONTAINER WITH LIFTING STRUCTURE}
본 발명은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길이 방향의 원기둥형태로 제공되는 김밥을 내용물이나 기름이 손에 묻지 않고 용이하게 단계적으로 밀어 올리며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에 관한 것이다.
바쁜 생활 속에 살고 있는 현대인들이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식사로는 휴대가 가능하고 이동 중 취식할 수 있는 김밥, 떡, 빵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김밥, 떡, 빵등과 같은 음식물들은 보통 알루미늄 호일과 같은 포장지로 쌓여져서 보관되거나 운반되며, 사람들은 포장지를 뜯어서 상기 음식들을 취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호일에 포장된 김밥을 먹기 위해서 사람들은 알루미늄호일을 뜯어내고 다수개로 분리되어 있는 김밥들을 손가락이나 젓가락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취식하게 된다.
이러한 취식 과정에서 김밥의 내용물들이 망가져 주변에 떨어지게 되면 취식장소가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젓가락을 이용하지 않고 손가락으로 취식하게 되는 경우에는 김밥 내용물이나 외부의 기름이 손에 묻게 되므로 위생상 청결하지 않을 뿐더러 취식 후 기름등과 같은 음식물들이 손에 묻게 되어 손을 씻거나 닦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음식물을 청결하게 취식하기 위해서는 젓가락과 같은 별도의 도구를 준비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다.
또한, 알루미늄 호일로 포장된 김밥의 경우 포장지가 외부 압력에 대한 저항력을 지니고 있지 않아 외부 압력에 의해 내용물이 눌려지거나 터지게 되어 김밥 본연의 형태를 유지하기가 어렵게 된다.
한편, 김밥을 포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회용 도시락의 경우에는 보관이나 이동 중 김밥의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일회용 젓가락과 같은 취식을 위한 도구를 별도로 준비해야 하며, 일회용품 사용의 증가로 지구 환경을 악화시키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환경 문제는 현대 사회의 문명이 발전할수록 더욱 심각한 사회 문제로 등장하여 인간의 쾌적한 생활을 위협하고 있다.
이의 해결을 위한 노력으로서 정부, 기업, 국민의 책임과 의무 이행이 뒤따라야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개개인의 작은 실천이 모아져야 한다는 것이다.
통계에 따르면 나무 젓가락의 경우 국민 한 사람이 일년에 100쌍 정도를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이는 무게로 따지면 20.662톤에 이르는 것으로, 이러한 양의 나무젓가락으로 집을 짓는다면 2,500채에서 5,000채까지 지을 수 있는 엄청난 양의 삼림 자원이 쓰레기로 버려지는 안타까운 상황이 그대로 방치되는 것이다.
또한, 김밥등을 포장하기 위한 일회용 도시락도 나무 젓가락과 함께 많은 양의 쓰레기를 배출시켜 지구 환경에 나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자원의 낭비로 현대 사회에 큰 손실을 일으키고 있다.
따라서 알루미늄 호일이나 일회용 젓가락등 일회용품 사용을 최소화하여 환경 보호에 기여할 수 있으며, 이동 또는 운전시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취식이 가능하며, 포장 김밥이나 일반 일회용 도시락보다 취식시 이물질이 유입될 염려가 적은 김밥 포장 용기의 요구가 대두되고 있다.
[특허문헌] KR 20-2017-0001441 (공개일자 2017년 04월 24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기둥 형태의 말린 김밥을 수용할 수 있도록 일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단부에 입구를 가지는 통형의 용기본체 내부 하단부에 슬라이드타입의 구동부재와 연동되어 상하부로 승강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승강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플레이트를 밀어올림으로써 취식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이동간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김밥을 밀어올려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는 말이 형태의 김밥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단부가 개방된 내부가 원통형의 용기본체부와 상기 용기본체부의 상단부를 덮어 밀폐시키는 뚜껑부 및 상기 용기본체부 내부에 수용된 김밥을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용기본체부 내측 하단면과 평행하게 구비되고, 수용된 김밥을 지지 및 승강시키는 승강플레이트 및 상기 승강플레이트와 연동되어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상승 및 하강이동을 가이드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는 상기 용기본체부가 일측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일정 폭을 가지며 개방된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는 상기 구동부재가 일측면이 상기 절개부의 양측면에 각각 부착되는 한쌍의 실링테이프와 상기 실링테이프의 타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맞물림수단을 구비한 한 쌍의 실링레일과 상기 실링레일이 삽입되는 홈부가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링레일 상을 슬라이딩함에 따라 상기 실링레일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승강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는 상기 슬라이더가 내부에 상기 실링레일의 결합 및 분리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쐐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쐐기부재는 상기 슬라이더 내부 하단에 상방이 뾰족한 삼각형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상방으로 이동시 결합되어 있는 맞물림수단을 분리하는 분리형쐐기부재 및 상기 슬라이더 내부 양측에 상기 슬라이더 내부 쪽으로 볼록한 타원 형상으로 각각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하방으로 이동시 분리되어 있는 맞물림수단을 가압하여 결합시키는 결합형쐐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는 상기 맞물림수단이 요홈부 및 돌기부로 구성된 파스너형태이거나 등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톱니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는 상기 용기본체부가 반원통형의 제1몸체부 및 반원통형의 제2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부 및 제2몸체부는 일측면이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절첩부재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서로 결합가능한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는 상기 연결부재가 일측이 상기 슬라이더에 접합되고 타측이 상기 용기본체부 내부로 돌출되는 길이 방향의 판형상으로,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이 상기 승강플레이트 내부로 삽입되어 접합됨으로써 상기 승강플레이트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는 상기 승강플레이트가 상기 슬라이더와 대응되는 외주면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본체부는 상기 슬라이더와 대응되는 내주면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플레이트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된 상태로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는 상기 용기본체부의 외측 하면에는 제1자성체가 구비되고, 상기 뚜껑부의 외측 상면에는 제2자성체가 구비되어, 상기 제1자성체와 제2자성체의 자력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부의 하측에 상기 뚜껑부가 결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는 상기 실링레일의 양측 끝단에는 소정 길이로 돌출된 스톱퍼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는 상기 용기본체부 및 상기 뚜껑부가 횡단면 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는 상기 승강플레이트가 상기 용기 본체부 하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는 상기 구동부재가 상기 승강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승강플레이트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내부구동부재; 및 상기 내부구동부재의 외측을 커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외부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는 상기 내부구동부재가 일측면이 상기 절개부의 양측면에 각각 부착되는 한쌍의 내부실링테이프; 상기 내부실링테이프의 타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평행하게 배치되는 톱니 형상의 길이방향 내부레일; 및 상기 내부레일이 삽입되는 홈부가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레일 상을 슬라이딩함에 따라 상기 승강플레이트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는 내부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슬라이더는 상기 내부레일에 걸려질 수 있도록 상기 내부슬라이더의 일측 하단에 돌출 형성되는 걸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는 상기 외부구동부재가 일측면이 상기 절개부의 양측면에 각각 부착되는 한쌍의 외부실링테이프; 상기 외부실링테이프의 타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맞물림수단을 구비한 한 쌍의 외부레일; 및 상기 외부레일이 삽입되는 홈부가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레일을 슬라이딩함에 따라 상기 외부레일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외부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슬라이더는 상기 내부슬라이더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외부슬라이더와 상기 내부슬라이더가 일체로 상하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에 의하면, 승강플레이트 및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승강부에 의해 김밥을 용기본체부의 입구 쪽으로 서서히 밀어 올리면서 섭취할 수 있도록 하여 내용물이나 기름등이 사용자의 손에 묻지 않고 용이하고 위생적으로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알루미늄호일이나 일회용 젓가락을 사용하지 않고도 보관 및 취식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쓰레기 감량화 문제를 해결하여 환경 보호 및 자원 절약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슬라이드된 말이 김밥을 휴대 및 보관 중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반 밀폐 상태로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이동 또는 운전시 편리하게 취식이 가능하도록 하여 바쁜 현대인들이 시간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알루미늄 호일에 의한 포장이나 일반 도시락에 의한 포장보다 취식 중 김밥에 이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이 현저히 저하되어 위생적인 취식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의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제1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의 밀폐된 상태를 나타내는 제2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의 가이드돌기, 가이드홈 및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의 뚜껑부 상단면 및 용기본체부 하단면 내부에 구비된 자성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의 뚜껑부 상단면 및 용기본체부 하단면이 자성체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6(a)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의 맞물림 수단이 요홈부 및 돌기부로 구성된 파스너형태인 경우 슬라이더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의 맞물림 수단이 다수의 톱니 형태인 경우 슬라이더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의 슬라이더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의 구동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의 구동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의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제1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의 밀폐된 상태를 나타내는 제2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의 가이드돌기, 가이드홈 및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1)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부(100), 뚜껑부(200) 및 승강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부(100)는 말이 형태의 김밥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일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단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본체부(100)는 상단부는 개방되고 하단부는 폐쇄되어 고형화된 음식물을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용기본체부(100)의 횡단면의 형상은 원형 또는 타원 형상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에서 상기 용기본체부(100)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다각형 형상으로 변형실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본체부(10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용기로써 잔류물 용출이 없어 식품 접촉 포장용으로 사용될 수 있고 투명하면서도 행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강도를 지닌 수지 재료를 사용하는 것으로, 적당한 두께의 PE 또는 PP수지, 바람직하게는 PET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PE 또는 PP수지, PET 필름은 사출 또는 열간 진공 프레스 등의 방법으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부(100)는 동일한 효과를 내는 다른 재질의 사용을 배재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의 편리성 및 친환경적인 요소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적용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부(100)는 내부에 김밥이 수용될 수 있도록 일반적인 김밥의 크기보다 소정으로 크게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용기본체부(100)의 상하단면의 직경은 약 5~7cm, 길이는 약 20~25cm 정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부(100)는 양단이 말이 김밥의 꼬투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부 구면의 형상일 수 있으나, 수직면의 형상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부(100)는 일측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일정 폭을 가지며 개방되는 절개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110)는 후술할 구동부재(320)가 연결되어 설치되는 공간으로 상기 절개부(11)의 양측단은 후술할 실링테이프(321)가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본체부(100)는 슬라이드된 김밥을 용이하게 담을 수 있도록 상기 용기본체부 횡방향으로 절개선을 구비하여 독립적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용기본체부(100)는 제1몸체부(120), 제2몸체부(130), 절첩부재(140), 고정부재(150) 및 가이드홈(1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부(120)는 상기 용기본체부(100)의 횡방향 절개로 인해 상부로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반원통형의 단면을 갖는 상측 몸체일 수 있다.
상기 제2몸체부(130)는 상기 제1몸체부(120)의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절첩부재(140)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제1몸체부(120)와 대응되어 위치하는 반원통형의 단면을 갖는 하측 몸체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몸체부(130)는 일측에 구비된 상기 절첩부재(140)에 의해 상기 제1몸체부(120)와 연결되고 타측에 절개선을 구비하여 상기 제1몸체부(120)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절첩부재(140)는 상기 제1몸체부(120)와 제2몸체부(130)를 힌지타입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로써, 일측면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150)는 상기 절첩부재(140)와 대응되는 상기 용기본체부(100)의 타측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1몸체부(120) 및 제2몸체부(130)가 결합가능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15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체결 또는 개방할 수 있도록 걸림돌기(151) 및 걸림홈(152)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몸체부(130)에 걸림돌기(151)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걸림돌기(151)와 대응되는 상기 제1몸체부(120) 일측에 걸림홈(152)을 형성하여 소정의 탄성력을 지니고 있는 상기 용기본체부(100)의 제1몸체부(120) 및 제2몸체부(130)가 상기 걸림돌기(151) 및 걸림홈(152)의 체결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5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걸림돌기(151) 및 걸림홈(152)에 의한 결합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효과를 내는 다른 공지의 결합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김밥 용기(1)에 김밥을 담는 경우, 상기 걸림돌기(151)를 해지하여 상기 제1몸체부(120)를 상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몸체부(130)의 상단면을 개방시킨 후 김밥을 담음으로써 일정한 길이 및 부피를 갖는 김밥을 외형의 파손이나 낙하없이 편리하게 상기 용기본체부(100)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홈(160)은 상기 용기본체부(100) 내주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후술할 슬라이더(323)와 대응되는 내주면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홈(160)은 상기 용기본체부(100)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홈으로, 후술할 승강플레이트(310) 외주면에 구비된 가이드돌기(311)와 동일한 위치,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돌기(311)가 상기 가이드홈(160)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승강플레이트(310)가 이동함으로써 이동 중 상기 승강플레이트(310)가 평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구성요소이다.
한편, 상기 용기본체부(100)는 상단부 외주면에 상기 뚜껑부(200)와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나선형의 제1체결부재(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뚜껑부(200)는 상기 용기본체부(100)의 상단부를 덮어 밀폐시키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뚜껑부(20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내주면 하단부에 나선형의 제2체결부재(220)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제2체결부재(220)는 상기 용기본체부(100) 상단부에 구비된 상기 제1체결부재(180)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1체결부재(180) 및 제2체결부재(220)의 대응 결합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부(100) 및 뚜껑부(20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뚜껑부(200) 및 상기 용기본체부(100)의 체결부재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한 나선형 체결부재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용기본체부(100)의 상단부 직경이 상기 뚜껑부(200)의 직경보다 소정으로 작게 구성되어 상기 뚜껑부(200)가 상기 용기본체부(10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의 뚜껑부 상단면 및 용기본체부 하단면 내부에 구비된 자성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의 뚜껑부 상단면 및 용기본체부 하단면이 자성체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뚜껑부(200)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부(200)의 외측 상면에는 제2자성체(220)가 구비되고, 상기 용기본체부(100)의 외측 하면에는 제1자성체(170)가 구비되어, 상기 제1자성체(170) 및 제2자성체(210)의 자력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부(100)의 하측에 상기 뚜껑부(200)가 결합가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자성체(170) 및 제2자성체(210)는 서로 다른 자극으로 구성되어 상호 인력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용기본체부(100)에 보관된 김밥을 취식할 경우 상기 뚜껑부(200)의 상단면을 상기 용기본체부(100)의 하단면에 접촉시켜 자성결합에 의해 상기 뚜껑부(200)가 상기 용기본체부(100) 하단에 접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취식 중 뚜껑부(200)를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듯,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김밥 용기(1)는 개방된 뚜껑을 별도의 장소에 보관할 필요가 없게 구성되어 뚜껑을 분실하는 경우가 현저히 줄어들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김밥을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부(200)는 횡단면 형상이 원형, 타원 또는 다각형 형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승강부(300)는 상기 용기본체부(100) 내부에 수용된 김밥을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기 위하여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승강부(300)는 사용자의 소정의 힘이 상기 용기본체부(100) 외측에 작용하여 내부에 수용된 김밥이 상기 용기본체부(100) 상단부로 서서히 밀려 올라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젓가락과 같은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기 않고도 내부에 수용된 김밥을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취식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승강부(300)는 승강플레이트(310) 및 구동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플레이트(310)는 상기 용기본체부(100) 내측 하단면과 평행하게 구비되고, 수용된 김밥을 지지 및 승강시키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승강플레이트(310)는 상기 용기본체부(100) 하단면과 유사 또는 소정의 크기로 작게 구성되고 상기 용기본체부(100) 하단면의 형상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갖는 판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플레이트(310)는 수용된 김밥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상기 승강플레이트(310) 내부로 후술할 연결부재(324)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승강플레이트(310)는 외주면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이드돌기(31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돌기(311)는 후술할 슬라이더(323)와 대응되는 상기 승강플레이트(310) 외주면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홈(160)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플레이트(310)는 상기 가이드돌기(311)가 상기 가이드홈(160)에 삽입된 상태로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다.
이에, 상기 가이드돌기(311)는 상기 용기본체부(100)의 내주면에 구비된 가이드홈(160)과 동일한 위치,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돌기(311)가 상기 가이드홈(160)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승강플레이트(310)가 이동함으로써 이동 중 상기 승강플레이트(310)가 평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구성 요소이다.
한편, 상기 승강플레이트(310)는 도시된 바와 같은 판 형상일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승강플레이트(310)는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방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승강플레이트(31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승강플레이트(310) 원주상에서 입상되어 일정 높이를 갖는 테두리부가 구비된 상방이 개방된 원통형상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승강플레이트(310)는 잔류물 용출이 없어 식품 접촉 포장용으로 사용될 수 있고 행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강도를 지닌 합성 수지 재료를 사용하는 것으로, 적당한 두께의 PE 또는 PP수지, 바람직하게는 PET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PE 또는 PP수지, PET 필름은 사출 또는 열간 진공 프레스 등의 방법으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승강플레이트(310)는 상기한 바와 같은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효과를 내는 다른 재질의 사용을 배재하지 않는다.
상기 구동부재(320)는 상기 승강플레이트(310)와 연동되어 상기 승강플레이트(310)의 상승 및 하강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재(320)는 상기 승강플레이트(310)와 연결되게 상기 용기본체부(100)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소정의 힘으로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더 부재를 구비하고 이러한 슬라이더 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부재와 연결되어 있는 승강플레이트(310)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재(320)는 사용자가 상기 용기본체부(100) 외측면에 힘을 작용하여 상기 용기본체부(100) 내부에 수용된 김밥을 서서히 이동시켜 취식할 수 있도록 구비된 구성 요소이다.
이에, 상기 구동부재(320)는 실링테이프(321), 실링레일(322), 슬라이더(323) 및 연결부재(3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테이프(321)는 일측면이 상기 절개부(110)의 양측면에 각각 부착되는 것으로,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실링테이프(321)는 직물재질 또는 PVC(Polyvinyl Chloride)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실링테이프(321)의 타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실링레일(322)이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실링레일(322)은 상기 실링테이프(321)의 타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맞물림수단을 구비한 한 쌍으로 구성된다.
도 6(a)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의 맞물림 수단이 요홈부 및 돌기부로 구성된 파스너형태인 경우 슬라이더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의 맞물림 수단이 다수의 톱니 형태인 경우 슬라이더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맞물림수단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홈부(341) 및 돌기부(342)로 구성된 파스너형태이거나 등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톱니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맞물림수단이 톱니형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실링테이프(321)가 직물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맞물림수단이 요홈부(341) 및 돌기부(342)로 구성된 파스너형태인 경우에는 상기 실링테이프(321)가 PVC(Polyvinyl Chloride)재질로 구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효과를 내는 다른 재질로 변형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레일(322)은 양측 끝단에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스톱퍼(3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톱퍼(325)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지퍼 및 지퍼락에 구비된 공지의 것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의 슬라이더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슬라이더(323)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링레일(322)이 삽입되는 홈부(미도시)가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링레일(322) 상을 슬라이딩함에 따른 상기 실링레일(322)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323)는 사용자의 외력이 작용하는 상기 슬라이더(323)의 외측면에 마찰력을 증대시켜 상기 슬라이더(323)가 용이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이어진 돌기가 다수 개 형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323)는 내부에 상기 실링레일(322)의 결합 및 분리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쐐기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쐐기부재(330)는 분리형쐐기부재(331) 및 결합형쐐기부재(3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형쐐기부재(331)는 상기 슬라이더(323) 내부 하단에 상방이 뾰족한 삼각형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더(323)가 상방으로 이동시 결합되어 있는 맞물림수단을 분리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323)는 상방으로 이동시 상기 분리형쐐기부재(331)의 첨부에 의해 상기 맞물림수단이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결합형쐐기부재(332)는 상기 슬라이더(323) 내부 양측에 상기 슬라이더(323) 내부 쪽으로 볼록한 타원 형상으로 각각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더(323)가 하방으로 이동시 분리되어 있는 상기 맞물림수단을 상기 결합형쐐기부재(332)가 양측에서 가압함으로써 상기 맞물림수단이 결합되도록 한다.
이에, 상기 슬라이더(323)는 하방으로 이동시 양측에 구비된 상기 결합형쐐기부재(332)의 가압에 의해 상기 맞물림수단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슬라이더(323)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실링레일(322)을 모두 결합시킨 후 상기 제1몸체부(120)를 개방하여 상기 제2몸체부(130) 내부에 김밥이 수용되도록 담은 후 상기 고정부재(150) 및 상기 뚜껑부(200)를 밀폐시켜 김밥을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김밥 용기(1)에 보관된 김밥을 취식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슬라이더(323)를 상방으로 서서히 이동시켜 상기 슬라이더(323)와 연결된 상기 승강플레이트(310)를 상방으로 승강하도록 하여 내부에 수용된 김밥이 상기 용기본체부(100) 상단부로 이동하도록 하여 손가락이나 젓가락을 사용하지 않고 편리하게 김밥을 취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323)는 잔류물 용출이 없어 식품 접촉 포장용으로 사용될 수 있고 행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강도를 지닌 수지 재질을 사용하는 것으로, 적당한 두께의 PE 또는 PP수지, 바람직하게는 PET 필름이 사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효과를 내는 다른 재질로 변형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결부재(32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323) 및 상기 승강플레이트(310)를 연결하여 결합시키기 위하여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재(324)는 일측이 상기 슬라이더(323)에 접합되고 타측이 상기 용기본체부(100) 내부로 돌출되는 길이 방향의 판 형상으로, 상기 연결부재(324)의 타측이 상기 승강플레이트(310) 내부로 삽입되어 접함됨으로써 상기 승강플레이트(310)와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324)는 상기 슬라이더(323)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승강플레이트(310)가 연동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24)는 상기 승강플레이트(310)와 함께 상기 용기본체부(100) 내부에 수용된 김밥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승강플레이트(310))에 삽입되는 상기 연결부재(324)의 길이는 상기 승강플레이트(310)의 직경과 유사하거나 소정으로 작게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324)는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강도의 합성 수지재질 또는 상기한 합성 수지 재질보다 더 높은 강도를 갖는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의 승강부 구동부재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의 구동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의 구동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재(1)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개부를 이중으로 덮어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재(1)는 상기 승강플레이트(310)와 연결되어 상기 승강플레이트(310)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내부구동부재(410) 및 상기 내부구동부재(410)의 외측을 커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외부구동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구동부재(410)는 일측면이 상기 절개부(110)의 양측면에 각각 부착되는 한쌍의 내부실링테이프(413), 상기 내부실링테이프(413)의 타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평행하게 배치되는 톱니 형상의 길이방향 내부레일(412) 및 상기 내부레일(412)이 삽입되는 홈부가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레일(412) 상을 슬라이딩함에 따라 상기 승강플레이트(310)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는 내부슬라이더(41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구동부재(410)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커터칼의 승강구조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레일(412)은 상기 내부슬라이더(411)가 걸려질 수 있도록 울퉁불퉁하게 절곡된 톱니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레일(412)은 상기 내부슬라이더(411)와 접촉하는 좌 우측 내부레일(412) 모두가 상기한 톱니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슬라이더(411)와 접촉하는 좌 우측 내부레일(412) 중 어느 한 곳에 상기한 톱니 형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내부슬라이더(411)는 상기 내부레일(412)에 걸려질 수 있도록 상기 내부슬라이더(411)의 일측 하단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재(411a)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부재(411a)는 톱니형상의 상기 내부레일(412)의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의 홈에 걸려질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내부슬라이더(411)가 정지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내부실링테이프(413)는 행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강도를 지닌 합성 수지 재료를 사용하는 것으로, 적당한 두께의 PE 또는 PP수지, 바람직하게는 PET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PE 또는 PP수지, PET 필름은 사출 또는 열간 진공 프레스 등의 방법으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외부구동부재(420)는 상기 내부구동부재(410)를 외부에서 감싸 밀폐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구동부재(420)는 상기 절개부(110)와 연결되고 상기 내부구동부재(410)를 커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승강플레이트(310)를 상하 이동시키는 상기 내부슬라이더(411)에 의해 벌이지는 상기 내부레일(412) 사이 공간에 의한 외기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외부구동부재(4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레일(412) 사이에 벌여진 공간에 의해 유입될 수 있는 외기로 인한 김밥의 부패, 변질 및 건조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상기 외부구동부재(420)는 일측면이 상기 절개부(110)의 양측면에 각각 부착되는 한쌍의 외부실링테이프(423), 상기 외부실링테이프(423)의 타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맞물림수단을 구비한 한 쌍의 외부레일(422) 및 상기 외부레일(422)이 삽입되는 홈부가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레일(422)을 슬라이딩함에 따라 상기 외부레일(422)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외부슬라이더(4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슬라이더(421)는 상기 내부슬라이더(411)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외부슬라이더(421)와 상기 내부슬라이더(411)가 일체로 상하 이동하도록 구비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외부구동부재(420)는 상기 외부슬라이더(421)와 상기 내부슬라이더(411)가 일체로 결합되어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상기 외부슬라이더(421)에 외력을 작용하여 상기 외부슬라이더(421)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서 상기 외부슬라이더(421)와 연결된 상기 내부슬라이더(411)가 동일하게 이동하여 상기 승강플레이트(310)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외부레일(422)은 상기 내부레일(412)과 달리 돌기 및 홈이 각각 구비된 좌우 한 쌍의 맞물림수단이 구비되도록 구성됨으로서, 상기 외부레일(422)이 닫혀질 경우 상기 외부구동부재(420)는 외부로 통하는 공간 없이 완전히 밀폐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외부구동부재(42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김밥 용기의 구동부재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상기 외부구동부재(420)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에 의하면, 승강플레이트 및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승강부에 의해 김밥을 용기본체부의 상단구 쪽으로 서서히 밀어 올리면서 섭취할 수 있도록 하여 내용물이나 기름등이 사용자의 손에 묻지 않고 용이하고 위생적으로 섭취할 수 있도록 하고, 알루미늄호일이나 일회용 젓가락을 사용하지 않고도 보관 및 취식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쓰레기 감량화 문제를 해결하여 환경 보호 및 자원 절약에 기여할 수 있으며, 슬라이드된 말이 김밥을 휴대 및 보관 중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반 밀폐 상태로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이동 또는 운전시 편리하게 취식이 가능하도록 하여 바쁜 현대인들이 시간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알루미늄 호일에 의한 포장이나 일반 도시락에 의한 포장보다 취식 중 김밥에 이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이 현저히 저하되어 위생적인 취식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
100 : 용기본체부 110 : 절개부
120 : 제1몸체부 130 : 제2몸체부
140 : 절첩부재 150 : 고정부재
151 : 걸림돌기 152 : 걸림홈
160 : 가이드홈 170 : 제1자성체
180 : 제1체결부재 200 : 뚜껑부
210 : 제2자성체 220 : 제2체결부재
300 : 승강부 310 : 승강플레이트
311 : 가이드돌기 320 : 구동부재
321 : 실링테이프 322 : 실링레일
323 : 슬라이더 324 : 연결부재
325 : 스톱퍼 330 : 쐐기부재
331 : 분리형쐐기부재 332 : 결합형쐐기부재
341 : 요홈부 342 : 돌기부
410 : 내부구동부재 411 : 내부슬라이더
411a : 걸림부재 412 : 내부레일
413 : 내부실링테이프 420 : 외부구동부재
421 : 외부슬라이더 422 : 외부레일
423 : 외부실링테이프

Claims (15)

  1. 말이 형태의 김밥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단부가 개방된 내부가 원통형의 용기본체부;
    상기 용기본체부의 상단부를 덮어 밀폐시키는 뚜껑부; 및
    상기 용기본체부 내부에 수용된 김밥을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용기본체부 내측 하단면과 평행하게 구비되고, 수용된 김밥을 지지 및 승강시키는 승강플레이트; 및
    상기 승강플레이트와 연동되어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상승 및 하강이동을 가이드하는 구동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부는 일측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일정 폭을 가지며 개방된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일측면이 상기 절개부의 양측면에 각각 부착되는 한쌍의 실링테이프;
    상기 실링테이프의 타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맞물림수단을 구비한 한 쌍의 실링레일;
    상기 실링레일이 삽입되는 홈부가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링레일 상을 슬라이딩함에 따라 상기 실링레일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승강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내부에 상기 실링레일의 결합 및 분리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쐐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쐐기부재는,
    상기 슬라이더 내부 하단에 상방이 뾰족한 삼각형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상방으로 이동시 결합되어 있는 맞물림수단을 분리하는 분리형쐐기부재; 및
    상기 슬라이더 내부 양측에 상기 슬라이더 내부 쪽으로 볼록한 타원 형상으로 각각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하방으로 이동시 분리되어 있는 맞물림수단을 가압하여 결합시키는 결합형쐐기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수단은 요홈부 및 돌기부로 구성된 파스너형태이거나 등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톱니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부는,
    반원통형의 제1몸체부; 및
    반원통형의 제2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부 및 제2몸체부는,
    일측면이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절첩부재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서로 결합가능한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일측이 상기 슬라이더에 접합되고 타측이 상기 용기본체부 내부로 돌출되는 길이 방향의 판형상으로,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이 상기 승강플레이트 내부로 삽입되어 접합됨으로써 상기 승강플레이트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플레이트는,
    상기 슬라이더와 대응되는 외주면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본체부는,
    상기 슬라이더와 대응되는 내주면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플레이트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된 상태로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부의 외측 하면에는 제1자성체가 구비되고, 상기 뚜껑부의 외측 상면에는 제2자성체가 구비되어, 상기 제1자성체와 제2자성체의 자력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부의 하측에 상기 뚜껑부가 결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레일의 양측 끝단에는 소정 길이로 돌출된 스톱퍼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부 및 상기 뚜껑부는 횡단면 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플레이트는 상기 용기 본체부 하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승강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승강플레이트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내부구동부재; 및
    상기 내부구동부재의 외측을 커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외부구동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구동부재는,
    일측면이 상기 절개부의 양측면에 각각 부착되는 한쌍의 내부실링테이프;
    상기 내부실링테이프의 타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평행하게 배치되는 톱니 형상의 길이방향 내부레일; 및
    상기 내부레일이 삽입되는 홈부가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레일 상을 슬라이딩함에 따라 상기 승강플레이트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는 내부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슬라이더는,
    상기 내부레일에 걸려질 수 있도록 상기 내부슬라이더의 일측 하단에 돌출 형성되는 걸리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구동부재는,
    일측면이 상기 절개부의 양측면에 각각 부착되는 한쌍의 외부실링테이프;
    상기 외부실링테이프의 타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맞물림수단을 구비한 한 쌍의 외부레일; 및
    상기 외부레일이 삽입되는 홈부가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레일을 슬라이딩함에 따라 상기 외부레일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외부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슬라이더는,
    상기 내부슬라이더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외부슬라이더와 상기 내부슬라이더가 일체로 상하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
KR1020190024238A 2019-02-28 2019-02-28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 KR102182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238A KR102182590B1 (ko) 2019-02-28 2019-02-28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238A KR102182590B1 (ko) 2019-02-28 2019-02-28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274A true KR20200105274A (ko) 2020-09-07
KR102182590B1 KR102182590B1 (ko) 2020-11-24

Family

ID=72472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238A KR102182590B1 (ko) 2019-02-28 2019-02-28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259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159B1 (ko) * 2009-08-21 2010-06-15 김태준 휴대용 음식물보관용기
KR101384262B1 (ko) * 2012-08-22 2014-04-11 김정섭 다중용기장치
KR20170001441U (ko) 2015-10-14 2017-04-24 김상현 김밥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159B1 (ko) * 2009-08-21 2010-06-15 김태준 휴대용 음식물보관용기
KR101384262B1 (ko) * 2012-08-22 2014-04-11 김정섭 다중용기장치
KR20170001441U (ko) 2015-10-14 2017-04-24 김상현 김밥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2590B1 (ko) 202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40468B1 (en) Food container
CN103815768B (zh) 微波容器
US5076437A (en) Pizza storage container
US20110114526A1 (en) Food storage box with compartmentalized tray for meals on-the-go with built in nutritional guide and portion control
KR100965498B1 (ko) 손잡이를 구비한 포장상자
EP1518796A1 (en) Packaged food product
US9585521B2 (en) Bread keeper
WO2016025823A1 (en) Reusable bag
KR102182590B1 (ko) 승강 구조를 갖는 김밥 용기
US20070122599A1 (en) Food storage wrap
KR100963159B1 (ko) 휴대용 음식물보관용기
KR102015447B1 (ko) 햄버거 포장용기
CN202575017U (zh) 双滑盖包装盒
CN209769340U (zh) 可折叠食品餐盒
JP6329809B2 (ja) 化粧料容器
CN209750118U (zh) 一种餐盒
KR20180000716U (ko) 하나의 박스함체에 양쪽으로 덮개가 형성된 포장박스
KR200474424Y1 (ko) 일회용 음식 용기
KR102361443B1 (ko) 햄버거 취식 용구
KR20090097230A (ko) 주름식 포장용기
JP2002104417A (ja) 伸縮容器
CN216103627U (zh) 一种便携式食品保鲜包装袋
KR20120110854A (ko) 밀폐용기
KR200320118Y1 (ko) 음식물 보관과 섭취용기
KR20230162757A (ko) 원터치 뚜컹 칸칸이 반찬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