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1443B1 - 햄버거 취식 용구 - Google Patents

햄버거 취식 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1443B1
KR102361443B1 KR1020200031357A KR20200031357A KR102361443B1 KR 102361443 B1 KR102361443 B1 KR 102361443B1 KR 1020200031357 A KR1020200031357 A KR 1020200031357A KR 20200031357 A KR20200031357 A KR 20200031357A KR 102361443 B1 KR102361443 B1 KR 102361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mburger
support plate
support
support plates
enve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5492A (ko
Inventor
박찬길
Original Assignee
박찬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길 filed Critical 박찬길
Priority to KR1020200031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1443B1/ko
Publication of KR20210115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22Details
    • B65D65/24Tabs or other projections for locat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6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akery products, e.g. bis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투의 양 측면에 지지판을 부착하되,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절첩부를 형성하여 손으로 들기 용이하고,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바닥지지대를 형성하여 바닥에 거치가 용이하도록 한 햄버거 취식 용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햄버거 취식 용구 {Hamburger tableware}
본 발명은 햄버거 취식 용구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절첩부와 바닥지지대를 갖는 지지판을 통해 손으로 들기 용이하고 바닥에 거치가 용이하도록 한 햄버거 취식 용구에 관한 것이다.
햄버거는 독일로부터 유래되어, 독일의 이민자들이 미국에 소개하면서 대중화되었다. 햄버거의 초기형태는 번이라고 부르는 빵에 햄버그 스테이크를 끼워 만든 것이었다. 상기 햄버거는 미국에서 변형되어 현재와 같은 모습의 햄버거로 변하게 되었는데, 현대에 일컫는 햄버거는 달걀, 베이컨, 양상추, 치즈, 양파, 토마토. 스테이크 등을 둥근 빵 속에 끼워 만든 것을 지칭한다. 햄버거는 20세기 초까지만 하여도 열량만 높고 기타 영양가는 낮은 정크푸드 또는 패스트 푸드로만 인식되었으나, 최근 들어 웰빙 햄버거들이 등장하여 다시금 인기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햄버거는 한 쌍의 둥근 빵의 가운데에 여려가지 재료를 층층이 쌓아올려 만들어지기 때문에, 빵의 양측을 제대로 파지하지 않으면, 빵 사이에 끼워지는 달걀, 베이컨, 양상추, 치즈, 양파, 토마토. 스테이크 등의 재료가 쏟아질 수 있다.
햄버거는 종이 포장지에 의해 보관 및 운송된다. 햄버거의 포장지는 사각형의 형태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두 장의 종이를 이용하여, 인접하는 두 변은 폐쇄되고 나머지 인접하는 두 변은 개방되도록 하여, 두 종이 사이에 햄버거를 집어넣고 남은 포장지를 접어서 포장하도록 한다. 이에 사람들은, 햄버거를 먹을 때 포장지를 개봉한 후, 취식할 햄버거의 부위가 노출되도록 하여 대충 포장지의 모양을 잡아가면서 먹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햄버거 포장지는 크고 넓어 먹을 때 쉽게 사용하시 어려우며, 소스 또는 야채 등이 흘러내려 손에 묻거나 바닥에 흘리는 등 내부에 포장되는 햄버거를 먹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햄버거 포장지는 크기가 클수록 햄버거를 손으로 파지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햄버거를 먹다가 잠깐 내려놓고자 할 경우 바닥에 거치하기 어렵다는 문제점 역시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4534호(2013.07.23.공개), "편리한 햄버거 포장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7-0003193호(2017.09.13.공개), "햄버거 포장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봉투의 양 측면에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지지판을 부착하되,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절첩부를 형성하여 손으로 들기 용이하고,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바닥지지대를 형성하여 바닥에 거치가 용이하도록 한 햄버거 취식 용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을 연결하여 틀을 형성하는 연결판 및, 상기 지지판과 연결판으로 형성된 틀의 내측에 삽입되고 햄버거를 수용하는 마름모봉투를 포함하여, 상기 마름모봉투를 양측으로 당기면 햄버거가 인출되도록 하는 햄버거 취식 용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측에 수용공간을 갖는 봉투 및, 상기 봉투의 양 측면에 부착되며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햄버거 취식 용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는 절첩부가 절첩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절첩부는 봉투에 접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는 하단으로부터 일정 높이 파여져 형성되는 아치면에 의해 바닥지지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의 외측이 절개되어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을 연결하여 틀을 형성하는 연결판 및 상기 지지판과 연결판으로 형성된 틀의 내측에 삽입되고 햄버거를 수용하는 마름모봉투를 포함하여, 상기 마름모봉투를 양측으로 당기면 햄버거가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햄버거 취식 용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햄버거 취식 용구는 지지판을 통해 양측에서 햄버거의 모양이 흐트러지지 않게끔 파지할 수 있으며, 지지판에 형성되는 절첩부를 통해 손으로 집어들기 용이하고, 지지판에 형성되는 바닥지지부를 통해 바닥에 거치가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햄버거 취식 용구는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을 연결하여 틀을 형성하는 연결판 및, 상기 지지판과 연결판으로 형성된 틀의 내측에 삽입되고 햄버거를 수용하는 마름모봉투를 포함하여, 상기 마름모봉투를 양측으로 당기면 햄버거가 인출되도록 하여 취식이 용이하다.
한편, 포장용의 경우 별도의 봉투가 필요없이 하나로 이용 가능하여 자원을 절약할 수 있으며, 원하는 만큼씩 먹을 수 있도록 조절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햄버거 취식 용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햄버거 취식 용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햄버거 취식 용구의 사용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햄버거 취식 용구의 사용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햄버거 취식 용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햄버거 취식 용구의 사용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판과 연결판으로 형성되는 틀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판과 연결판으로 형성되는 틀의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판에 두께조절장치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름모봉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햄버거 취식 용구의 사용예시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햄버거 취식 용구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햄버거 취식 용구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수용공간을 갖는 봉투(10) 및, 상기 봉투(10)의 양 측면에 부착되며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지지판(20, 2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햄버거 취식 용구는 상기 지지판(20, 20')의 상부에 절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절첩부(22, 22') 및 상기 지지판의 하단에 형성되는 바닥지지대(24, 24')를 포함한다.
상기 봉투(10)는 종이 또는 비닐 등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봉투(10)의 재질을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햄버거에서 유출되는 소스 등의 액체가 투과되지 않는 연질의 재질이면 모두 사용 가능할 것이다.
상기 봉투(10)는 내측에 햄버거(H)를 수용할 수 있는 햄버거 수용공간을 갖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또한, 상기 봉투(10)는 일측이 개방되어 햄버거(H)를 집어넣을 수 있는 입구를 갖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적절하게는 상기 봉투(10)의 형태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다만, 상기 봉투(10)의 형태를 직육면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내측에 햄버거(H)를 수용할 수 있는 햄버거 수용공간을 갖는 한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할 것이다.
상기 봉투(10)의 양 측면에는 지지판(20, 20')이 부착된다.
상기 지지판(20, 20')은 종이 또는 합성수지 등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판(20, 20')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을 아니나, 햄버거(H)의 양측에서 햄버거(H)를 손으로 눌러 고정할 수 있는 재질은 모두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지판(20, 20')은 서로 마주보면서 평행을 이루도록 봉투(10)의 양 측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판(20, 20')은 햄버거(H)의 한 쌍의 빵과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판(20, 20')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봉투(10)에 접착될 수 있다. 가장 적절하게 상기 지지판(20, 20')은 접착제에 의해 봉투(10)에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지지판(20, 20')은 햄버거(H)의 양측에서 햄버거(H)를 보호하여 햄버거(H)를 운반하는 도중에 외력 또는 충격으로 인해 햄버거(H)의 빵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지지판(20, 20')을 손으로 움켜쥐어 상기 지지판이 햄버거(H)의 양쪽 표면을 넓게 압박함에 따라 햄버거(H)에 포함되는 달걀, 베이컨, 양상추, 치즈, 양파, 토마토. 스테이크 등의 내부 재료들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인 봉투와 본 발명의 햄버거 취식 용구가 갖는 차이 중 하나로써, 다양한 재료가 층을 이루면서 쌓아져 제조되는 햄버거(H)의 특성상, 햄버거(H)의 양쪽을 눌러 강하게 고정할 필요성을 갖는 햄버거 취식 용구 만이 가질 수 있는 특성이다.
상기 지지판(20, 20')은 봉투(10)의 양 측면에 부착되되, 상기 봉투(10)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구간 이격되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햄버거(H)를 취식할 때, 사용자가 봉투(10)의 바닥을 밀어올리면서 햄버거(H)를 상부로 인출시켜 취식하는 방법에 기인한다. 일반적으로 햄버거(H)를 취식하면서 봉투(10)의 바닥을 밀어올리게 되는데, 지지판(20, 20')이 봉투(10)의 측면 전체를 덮어버리면 봉투(10)의 바닥을 밀어올리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지지판(20, 20')은 봉투(10)의 바닥을 밀어올리면서 햄버거(H)를 인출시켜 취식하기 용이하게끔, 봉투(10)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판(20, 20')에는 다양한 로고가 인쇄될 수 있으며, 지지판(20, 20')의 단단한 재질에 의해, 종래의 종이 봉투형 햄버거 포장지와는 상이한 심미적 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지판(20, 20')의 상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절첩부(22, 22')가 형성된다.
상기 절첩부(22, 22')는 절첩이 용이하도록, 안내선(22a, 22a')에 의해 외측으로 접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첩부(22, 22')는 외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봉투(10)에 접착되지 않는 것이 적절하다. 다시 말해, 절첩부(22, 22')의 영역을 제외한 지지판(20, 20')의 나머지 영역만 봉투(10)에 접착되도록 하여 절첩부(22, 22')가 용이하게 절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판(20, 20')은 접착제에 의해 봉투(10)에 접착되되, 상기 절첩부(22, 22')는 봉투(10)에 접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첩부(22, 22')는 외측으로 절첩되어 엄지와 검지로 절첩부를 잡고 나머지 손가락으로 봉투 하단부를 밀어 올리는데 지지대의 역할을 하며, 또한, 절첩부(22, 22')의 하부에 손가락을 걸도록 함으로써, 햄버거 취식 용구를 사용자가 쉽게 잡을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위해, 상기 절첩부(22, 22')는 절첩된 상태에서 어느 정도 고정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절첩부(22, 22')가 너무 흐물흐물하게 절첩되는 것은 사용자가 절첩부(22, 22')를 이용하여 햄버거 취식 용구를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필요에 따라서는 절첩부(22, 22')에 형상유지합금 소재로 고정력을 부여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절첩부(22, 22')는 외측으로 절첩되어 사용자의 손을 가려주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절첩부(22, 22')를 통해 사용자는 햄버거(H)로부터 유출될 수 있는 소스 등이 떨어져 손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20, 20')의 하부에는 하단으로부터 일정 높이 파여져 아치면(242, 242')이 형성되며, 상기 아치면(242, 242')에 의해 상기 지지판(20, 20')의 하측 양단에는 바닥지지대(24, 24')가 형성된다.
상기 바닥지지대(24, 24')는 본 발명에 따른 햄버거 취식 용구를 바닥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햄버거 취식 용구를 통해 햄버거(H)를 취식하는 도중에 햄버거 취식 용구의 봉투(10) 하단을 위로 밀어올려, 바닥지지대(24, 24')가 햄버거 취식 용구의 하부로 돌출되게 하고, 돌출된 바닥지지대(24, 24')를 통해 햄버거 취식 용구를 바닥에 거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판(20, 20')의 하단 중앙부가 아치면(242, 242')에 의해 파여지고, 상기 지지판(20, 20')의 하측 양단에는 바닥지지대(24, 24')가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햄버거 취식 용구는 야외의 울퉁불퉁한 지형에서도 바닥에 용이하게 세울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바닥지지대(24, 24')에는 절개부(244, 244')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절개부(244, 244')는 바닥지지대(24, 24')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일정한 높이만큼 절개되어 상기 절개부(244, 244')에 의해 분할된 바닥지지대(24, 24')를 양측으로 벌릴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는 절개부(244, 244')에 의해 양측으로 벌려진 바닥지지대(24, 24')를 통해, 햄버거 취식 용구를 더욱 바닥에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햄버거 취식 용구의 지지판(20, 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어느 한 면 이상의 테두리가 절개되어 손잡이(26, 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26, 2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시켜 상측으로 들어올릴 수 있으며, 사용자는 햄버거 취식 용구의 상부로 회동된 손잡이(26, 26')를 손으로 잡고 햄버거 취식 용구를 운반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26, 26')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판(20, 20')의 양 측면으로는 회동축(262, 26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축(262, 262')으로부터 연결부(264, 264')가 연장되며, 상기 연결부(264, 264') 사이를 연결하는 파지부(266, 266')를 통해 손잡이를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연결부(264, 264')와 파지부(266, 266')가 수직, 수평인 것을 예로 들고 있으나, 연결부(264, 264')와 파지부(266, 266')가 수직, 수평인 형태뿐만 아니라, 곡면, 기울어진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할 것이다.
상기 파지부(266, 266')에는 지지판(20, 20')의 아치면(24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손바닥거치부(268, 26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바닥거치부(268, 268')는 파지부(266, 266')에 대해 절첩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사용자는 절첩된 손바닥거치부(268, 268')의 넓은 면을 통하여 더욱 편리하게 햄버거 취식 용구를 운반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햄버거(H)를 거치하여 손쉽게 인출한 후 취식할 수 있도록 한 햄버거 취식 용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햄버거 취식 용구는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판(20, 20')과, 상기 지지판(20, 20')을 연결하여 틀을 형성하는 연결판(30) 및, 상기 지지판(20, 20')과 연결판(30)으로 형성된 틀의 내측에 삽입되고 햄버거(H)를 수용하는 마름모봉투(40)를 포함하여, 상기 마름모봉투(40)를 양측으로 당기면 햄버거(H)가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판(20, 2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름모봉투(40)를 거치하고, 상기 마름모봉투(40)의 단부를 양측으로 당겨 햄버거를 인출시킬 수 있도록 받쳐주는 고정대의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판(20, 20')은 종이 또는 합성수지 등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판(20, 20')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을 아니나, 지지판(20, 20')의 양측으로 마름모봉투(40)를 거치하고 당기는 과정에서 찌그러지거나 훼손되지 않는 재질이면 모두 사용 가능하다.
상기 지지판(20, 20')은 서로 마주보면서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판(20, 20')은 햄버거(H)의 한 쌍의 빵과 인접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상기 지지판(20, 20')에는 절첩부(22, 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첩부(22, 22')는 절첩이 용이하도록, 안내선(22a, 22a')에 의해 외측으로 접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첩부(22, 22')는 마름모봉투(40)를 거치하고 당기는 과정에서 상기 마름모봉투(40)가 찢어지거나 훼손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또는, 상기 지지판(20, 20')에는 로울러(28, 2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울러(28, 28')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름모봉투(40)를 당길 때, 마찰을 줄이고 마름모봉투(40) 내의 햄버거(H)가 더 잘 올라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로울러(28, 28')는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지지판(20, 2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축결합되는 것이 적절하며, 지지판(20, 20')의 상단면에 다수의 갯수가 되도록 설치하여 전체적인 부분에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판(20, 20')의 하부에는 하단으로부터 일정 높이 파여져 아치면(242, 242')이 형성되며, 상기 아치면(242, 242')에 의해 상기 지지판(20, 20')의 하측 양단에는 바닥지지대(24, 24')가 형성된다.
상기 바닥지지대(24, 24')는 본 발명에 따른 햄버거 취식 용구를 바닥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지지판(20, 20')의 하단 중앙부가 아치면(242, 242')에 의해 파여지고, 상기 지지판(20, 20')의 하측 양단에는 바닥지지대(24, 24')가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햄버거 취식 용구는 야외의 울퉁불퉁한 지형에서도 바닥에 용이하게 세울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아치면(242, 242')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한 손가락지지대(29, 29')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손가락지지대(29, 29')는 엄지와 둘째 손가락으로 마름모봉투(40)를 잡고 상기 마름모봉투(40)를 끌어내릴 때, 중간 또는 네 번째 손가락을 상기 손가락지지대(29, 29')에 고정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손가락지지대(29, 29')의 절첩선에는 걸림턱(292, 29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292, 292')은 손가락지지대(29, 29')를 상측으로 접을 때, 상기 손가락지지대(29, 29')가 90°이상 위로 들어올려지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걸림턱(292, 292')은 단면이 직각삼각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나, 걸림턱(292, 292')의 단면형태를 딱히 직각삼각형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손가락지지대(29, 29')가 일정 각도 이상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형태는 모두 걸림턱(292, 292')의 형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지판(20, 20')은 연결판(30)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판(30)은, 도 7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지지판(20) 단부와 반대측의 지지판(20') 단부를 연결하여 직사각형의 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판(30)은 지지판(20, 20')의 재질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20, 20')이 경질의 종이로 형성된 경우, 상기 연결판(30)의 재질 역시 종이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지판(20, 20')이 합성수지로 형성된 경우, 연결판(30) 역시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지지판(20, 20')과 상기 연결판(30)은 지지축(32)에 의해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지축(32)에 의해 지지판(20, 20')과 연결판(30)으로 형성된 틀은 접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햄버거 취식 용구를 보관시 접은 채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측의 지지판(20, 20')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밀어 지지판(20, 20')과 연결판(30)으로 형성된 틀이 지지축(32)을 중심으로 비틀어지도록 하여 부피를 줄이고, 이와 같이 접혀진 햄버거 취식 용구를 선반 또는 서랍 등에 보관할 수 있다.
상기 연결판(30)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조절장치(3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두께조절장치(34)를 마련하기 위하여 연결판(30)은 둘로 분할될 수 있으며, 상기 두께조절장치(34)를 통하여 분할된 연결판(30)이 연결된다. 상기 두께조절장치(34)는 두께조절돌출부(342)와 두께조절홈부(344)로 구성되며, 상기 두께조절돌출부(342)에는 수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두께조절홈부(344)에는 암톱니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두께조절돌출부(342)와 두께조절홈부(344)는 서로 맞물려서 일정구간 이동 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두께조절돌출부(342)와 두께조절홈부(344)를 통해, 분할된 연결판(30)은 서로 거리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두께조절홈부(344)의 외측으로는 고정고리(346)가 형성되어 두께조절돌출부(34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두께조절장치(34)를 통해, 사용자는 햄버거(H)의 두께에 따라 분할된 연결판(30)의 거리를 조절 가능하다.
상기 지지판(20, 20')과 연결판(30)으로 형성된 틀의 내측에는 햄버거(H)를 수용하는 마름모봉투(40)가 삽입된다.
상기 마름모봉투(4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햄버거(H)를 수용하는 봉투로서 종이 또는 비닐 등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름모봉투(40)의 재질을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햄버거에서 유출되는 소스 등의 액체가 투과되지 않는 연질의 재질이면 모두 사용 가능할 것이다.
상기 마름모봉투(40)는 내측에 햄버거(H)를 수용할 수 있는 햄버거 수용공간을 갖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또한, 상기 마름모봉투(4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두 변은 폐쇄되어 폐쇄부(44)를 이루고, 나머지 인접한 두 변은 개방되어 개방부(42)를 이룬다. 따라서, 상기 햄버거(H)는 마름모봉투(40) 일측 모서리의 개방부(42)를 통해 삽입되어 반대쪽 모서리의 폐쇄부(44) 측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름모 봉투는 폐쇄부(44)가 지지판(20, 20')과 연결판(30)으로 형성되는 틀 내부로 삽입되며, 개방부(42)는 상부로 노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햄버거 취식 용구의 사용방법에 대해서 살펴보면,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햄버거(H)가 수용된 마름모봉투(40)를 햄버거 취식 용구에 삽입하고, 개방부(42)를 벌려 양 측면의 지지판(20, 20')에 거치시킨다.
그 다음, 지지판(20, 20')에 거치된 개방부(42)를 하단으로 잡아당기면 마름모봉투(40)가 위로 상승하게 되고, 상기 마름모봉투(40)의 폐쇄부(44)가 햄버거(H)를 밀면서 햄버거(H) 역시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한편, 하부로 당겨진 마름모봉투(40)는 지지판(20, 20') 하단의 아치면(242, 242') 안쪽으로 접어 넣어줘서 햄버거(H)의 취사시 마름모봉투(40)에 묻은 양념 등이 얼굴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사용자는 지지판(20, 20')과 개방부(42)를 함께 잡은 채로 햄버거(H)를 취식할 수 있어, 편리하게 햄버거(H)를 식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되는 것임을 명확히 한다.
10: 봉투 20, 20': 지지판
22, 22': 절첩부 24, 24': 바닥지지대
242, 242': 아치면 244, 244': 절개부
26, 26': 손잡이 262, 262': 회동축
264, 264': 연결부 266, 266': 파지부
268, 268': 손바닥거치부 28, 28': 로울러
29, 29': 손가락지지대 292, 292': 걸림턱
30: 연결판 32: 지지축
40: 마름모봉투

Claims (5)

  1. 내측에 수용공간을 갖는 봉투 및, 상기 봉투의 양 측면에 부착되며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는 하단으로부터 일정 높이 파여져 형성되는 아치면에 의해 바닥지지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의 테두리가 절개되어 손잡이가 형성되되, 상기 지지판의 양 측면으로 회동축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축으로부터 연결부가 연장되며, 상기 연결부 사이를 연결하는 파지부를 통해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햄버거 취식 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는 절첩부가 절첩 가능하게 형성되며,
    절첩부의 영역을 제외한 지지판의 나머지 영역만 봉투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햄버거 취식 용구.
  3. 삭제
  4. 삭제
  5.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을 연결하여 틀을 형성하는 연결판 및 상기 지지판 및 연결판으로 형성되는 틀의 내측에 삽입되고 햄버거를 수용하는 마름모봉투를 포함하여, 상기 마름모봉투의 단부를 양측으로 당기면 햄버거가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지지판의 하단 중앙부가 아치면에 의해 파여지고, 상기 지지판의 하측 양단에는 바닥지지대가 형성되며, 상기 아치면에는, 상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한 손가락지지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판에는, 두께조절돌출부와 두께조절홈부로 구성되는 두께조절장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햄버거 취식 용구.
KR1020200031357A 2020-03-13 2020-03-13 햄버거 취식 용구 KR102361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357A KR102361443B1 (ko) 2020-03-13 2020-03-13 햄버거 취식 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357A KR102361443B1 (ko) 2020-03-13 2020-03-13 햄버거 취식 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492A KR20210115492A (ko) 2021-09-27
KR102361443B1 true KR102361443B1 (ko) 2022-02-09

Family

ID=77926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357A KR102361443B1 (ko) 2020-03-13 2020-03-13 햄버거 취식 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144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5789A (ja) * 1998-09-09 2000-03-28 Hiranoya Bussan:Kk 補助板体付き合成樹脂製袋
KR100840840B1 (ko) * 2007-03-19 2008-06-23 이진환 햄버거 포장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4534U (ko) 2012-01-13 2013-07-23 배경홍 편리한 햄버거 포장지
KR20170003193U (ko) 2016-03-04 2017-09-13 정세영 햄버거 포장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5789A (ja) * 1998-09-09 2000-03-28 Hiranoya Bussan:Kk 補助板体付き合成樹脂製袋
KR100840840B1 (ko) * 2007-03-19 2008-06-23 이진환 햄버거 포장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492A (ko) 202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9186B2 (en) Multi-compartment resealable storage bag
US4603825A (en) Taco holder
US9592931B2 (en) Storage unit
KR102361443B1 (ko) 햄버거 취식 용구
US20050023234A1 (en) Clip-on taco holder
US20060118562A1 (en) Food containers with hinged handles
WO2001034003A1 (en) A food holder having a flexible strip
US20020109361A1 (en) Adjustable sandwich holder for sandwiches made with thin breads
KR101661812B1 (ko) 다용도 식도구 포장대
KR20180001412U (ko) 음료와 식품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캐리어
KR101660175B1 (ko) 쌈숟가락조립체
JP5017608B1 (ja) 串刺し用食品の容器
JP3237633U (ja) 包装容器付きイカ焼きおよびイカ焼き用包装容器
KR101175913B1 (ko) 소스수용구조를 갖는 튀김수용용기
KR200449533Y1 (ko) 치즈를 보관하고 절단할 수 있는 장치
JPH0411933Y2 (ko)
JP2005067632A (ja) 食品容器
KR200249966Y1 (ko) 피자 포장용 받침판
JP3059070U (ja) 食品容器
TWM596741U (zh) 烤鴨外帶盒
JP2013220843A (ja) 食品用の容器
TWM646756U (zh) 多功能披薩支架
JP5841283B1 (ja) ハンバーガー等の食品包装袋
JP3038719U (ja) 具材付き食品の包装体
CN203601792U (zh) 滑动饼干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