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0175B1 - 쌈숟가락조립체 - Google Patents

쌈숟가락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0175B1
KR101660175B1 KR1020150091241A KR20150091241A KR101660175B1 KR 101660175 B1 KR101660175 B1 KR 101660175B1 KR 1020150091241 A KR1020150091241 A KR 1020150091241A KR 20150091241 A KR20150091241 A KR 20150091241A KR 101660175 B1 KR101660175 B1 KR 101660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arm
jigring
wrapping
ji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1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오
Original Assignee
이상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오 filed Critical 이상오
Priority to KR1020150091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01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쌈숟가락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힌지축을 중심으로 서로 교차되게 배치되는 제1지지암 및 제2지지암과; 상기 제1지지암의 선단에 결합되며 서로 일정 높이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쌈지지링 및 제2쌈지지링과; 상기 제2지지암의 선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1쌈지지링과 상기 제2쌈지지링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3쌈지지링과; 상기 제1지지암과 상기 제2지지암의 후단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제1지지암과 상기 제2지지암의 후단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고 상기 제1쌈지지링과 제2쌈지지링 및 제3쌈지지링이 서로 동축상에 위치되는 쌈적재위치와 상기 제1지지암과 상기 제2지지암의 후단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고 상기 제2쌈지지링이 상기 제1쌈지지링과 상기 제3쌈지지링으로부터 어긋나게 위치되는 쌈형성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1지지암과 상기 제2지지암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쌈숟가락조립체{SSAM SPOON ASSEMBLY}
본 발명은 쌈숟가락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손을 사용하지 않고 쌈을 싸서 먹을 수 있는 쌈숟가락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웰빙식단이 유행하면서 다양한 쌈을 먹는 가구가 늘고 있다. 쌈에 고기나 해물을 곁들여 쌈을 싸서 먹게 되면 영양은 물론이고 음식의 풍미가 높아지게 된다. 쌈은 다양한 채소 뿐만 아니라 해조류 등이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 쌈을 먹기 위해서는 손 위에 쌈을 올려 놓고 먹고자 하는 음식을 쌈에 올린 후 손으로 쌈을 싸서 먹게 된다. 이에 쌈을 먹는 경우 맛은 있으나 비위생적이고 불편하다는 인식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2333호 "쌈을 싸먹는 플라스틱통"이 개발된 바 있다. 개시된 플라스틱통은 아래에 여닫을 수 있는 뚜껑이 있는 플라스틱통을 이용해 쌈을 싸고, 뚜껑을 열어 쌈을 먹는 방식이다.
그러나, 개시된 플라스틱통은 사용하기가 불편하고 뚜껑을 여닫기가 쉽지 않아 사용을 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 손을 사용하지 않고 쌈을 싸서 먹을 수 있는 쌈숟가락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손을 이용하지 않고 쌈을 쌀 때 쌈의 무게에 의해 쌈이 흘러내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쌈의 형태가 유지될 수 있는 쌈숟가락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방법이 간편하고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한 쌈숟가락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쌈숟가락조립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쌈숟가락조립체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서로 교차되게 배치되는 제1지지암 및 제2지지암과; 상기 제1지지암의 선단에 결합되며 서로 일정 높이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쌈지지링 및 제2쌈지지링과; 상기 제2지지암의 선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1쌈지지링과 상기 제2쌈지지링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3쌈지지링과; 상기 제1지지암과 상기 제2지지암의 후단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제1지지암과 상기 제2지지암의 후단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고 상기 제1쌈지지링과 제2쌈지지링 및 제3쌈지지링이 서로 동축상에 위치되는 쌈적재위치와 상기 제1지지암과 상기 제2지지암의 후단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고 상기 제2쌈지지링이 상기 제1쌈지지링과 상기 제3쌈지지링으로부터 어긋나게 위치되는 쌈형성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1지지암과 상기 제2지지암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지지암과 상기 제2지지암의 후단 및 상기 제2지지암에 상기 힌지축이 결합된 결합영역에는 지면을 향해 수직하게 연장형성되는 지지레그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쌈적재위치에서 상기 제1쌈지지링, 상기 제2쌈지지링 및 상기 제3쌈지지링에는 쌈적재공간이 상기 제1쌈지지링의 직경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쌈형성위치에서 상기 제2쌈지지링이 상기 제1쌈지지링 및 상기 제3쌈지지링으로부터 어긋나게 이동되며 상기 제2쌈지지링과 상기 제1쌈지지링 및 상기 제3쌈지지링과 중첩되는 영역에 쌈형성공간이 점점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쌈형성공간을 형성하는 제1쌈지지링 및 제3쌈지지링과, 상기 제2쌈지지링은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쌈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쌈지지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지지암과 상기 제2지지암의 후단에는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삽입고리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쌈숟가락조립체는 복수개의 쌈지지링 위에 쌈을 적재하고, 서로 교차되게 위치된 한 쌍의 지지암을 서로 벌리거나 오무려 쌈을 싸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젓가락을 이용해 쌈지지링 위에 쌈과 쌈내용물을 적재하고, 쌈이 형성되며 쌈숟가락조립체를 들어 쌈을 먹을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사용자는 손을 전혀 사용하지 않게 되므로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쌈을 먹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쌈숟가락조립체는 가위와 같이 손가락을 오무리고 벌리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사용할 수 있어 사용과정이 간단하다. 또한, 금속소재로 형성되므로 세척이 용이해 반복적으로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쌈숟가락조립체의 쌈적재위치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쌈숟가락조립체의 쌈형성위치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쌈숟가락조립체의 쌈적재위치에서 쌈을 적재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쌈숟가락조립체의 쌈형성위치에서 쌈을 형성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쌈숟가락조립체를 이용해 쌈을 먹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쌈숟가락조립체(100)의 쌈적재위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쌈숟가락조립체(100)의 쌈형성위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쌈숟가락조립체(100)는 회전축(128)을 중심으로 서로 교차되게 배치된 제1지지암(110) 및 제2지지암(120)과, 제1지지암(110)의 선단에 결합된 제1쌈지지링(130) 및 제2쌈지지링(140)과, 제2지지암(120)의 선단에 결합되어 제1쌈지지링(130)과 제2쌈지지링(140) 사이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제3쌈지지링(150)과, 제1지지암(110)과 제2지지암(120)의 후단이 벌려지거나 모아져 쌈적재위치와 쌈형성위치로 이동되도록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1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쌈숟가락조립체(100)는 도 1에 도시된 쌈적재위치에서 동축상에 일렬로 배치된 제1쌈지지링(130), 제2쌈지지링(140), 제3쌈지지링(150) 위에 쌈을 얹고 먹고자 하는 쌈내용물을 적재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쌈형성위치로 이동되며 제2쌈지지링(140)이 제1쌈지지링(130)과 제3쌈지지링(150)과 어긋나면서 쌈을 가운데로 모아 쌈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손을 쓰지 않고 쌈을 싸게 되고, 본 발명의 쌈숟가락조립체(100)를 손으로 잡고 쌈을 입에 넣어 손으로 쌈을 잡지 않고 먹을 수 있다.
제1지지암(110)은 일정 길이를 갖는 막대 형태로 형성된다. 제1지지암(110)은 제2지지암(120)과 X자 형태로 교차되게 결합되어 사용자로부터 힘이 인가되는 방향에 따라 벌어지거나 모아지며 복수개의 쌈지지링(130,140,150)이 서로 쌈적재위치와 쌈형성위치 간을 이동하도록 한다.
제1지지암(110)은 일정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의 제1지지암본체(111)와, 제1지지암본체(111)의 후단에 구비되는 제1손가락삽입고리(113)와, 제1손가락삽입고리(113)의 하부로 수직하게 연장된 제1레그(115)를 포함한다. 제1지지암본체(111)는 장시간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암본체(111)는 8~12cm 범위로 형성될 수 잇다.
제1손가락삽입고리(11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을 삽입하여 제1지지암(110)으로 용이하게 힘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한다. 제1레그(115)는 제1지지암(110)의 하부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지면에 접촉된다. 제1레그(115)의 하단에는 절곡된 지면접촉단(115a)이 형성된다. 지면접촉단(115a)은 지면과 수평하게 형성되어 지면과 일정 면적 접촉된다. 제1레그(115)는 쌈지지링(130,140,150)에 쌈이 형성될 때 쌈의 하부가 지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이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1레그(115)의 높이(h)는 2~4cm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지지암(110)의 선단에는 제1쌈지지링(130) 및 제2쌈지지링(140)과 결합되는 제1링결합단(117)이 구비된다. 제1링결합단(117)은 제1쌈지지링(130) 및 제2쌈지지링(140)과 고정결합되어 제1지지암(110)의 위치이동이 제1쌈지지링(130)과 제2쌈지지링(140)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제2지지암(120)은 제1지지암(110)과 동일한 구성으로 제1지지암(110)에 교차되게 배치된다. 제2지지암(120)은 제2지지암본체(121)와, 제2지지암본체(121)의 후단에 형성되는 제2손가락삽입고리(123)와, 제2손가락삽입고리(123)의 하부로 연장되는 제2레그(125)와, 제2지지암본체(121)의 선단에 구비되어 제3쌈지지링(150)과 결합되는 제2링결합단(127)을 포함한다.
또한, 제2지지암(120)에는 제1지지암(110)과 교차되는 지점에 결합되는 회전축(128)과, 회전축(128)의 결합영역에 하부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3레그(129)를 포함한다. 회전축(128)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암(110)과 제2지지암(120)이 서로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힘을 줄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손가락삽입고리(113)와 제2손가락삽입고리(123) 사이의 간격이 넓게 벌어지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손가락삽입고리(113)와 제2손가락삽입고리(123) 사이의 간격이 좁게 모아질 수 있다(d1>d2).
제3레그(129)는 회전축(128)의 하부로 연장되어 제1레그(115), 제2레그(125) 및 제3레그(129)와 함께 제1지지암(110) 및 제2지지암(120)이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게 지지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레그(115), 제2레그(125) 및 제3레그(129)는 삼각형 형상으로 제1지지암(110)과 제2지지암(120)에 결합된다. 이에 의해 제1레그(115), 제2레그(125) 및 제3레그(129)가 지면과 접촉되며 제1지지암(110)과 제2지지암(120) 및 이들의 단부에 결합된 복수개의 쌈지지링(130,140,150)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한다. 이에 의해 손가락삽입고리(113,123)로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거리가 생기며, 쌈이 형성될 때 쌈의 하부가 지면과 접촉되지 않게 된다.
제1쌈지지링(130)은 제2쌈지지링(140)과 함께 제1지지암(110)의 제1링결합단(117)에 고정된다. 제1링결합단(117)은 제1쌈지지링(130)과 제2쌈지지링(140)에 접선 방향으로 고정 결합된다.
제1쌈지지링(130)과 제2쌈지지링(140)은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제1쌈지지링(130)과 제2쌈지지링(140)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고, 복수개의 링연결리브(133)에 의해 연결된다. 링연결리브(13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쌈지지링(130)과 제2쌈지지링(140)의 일영역, 즉 제3쌈지지링(150)이 삽입되는 반대영역에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제3쌈지지링(150)이 제1쌈지지링(130)과 제2쌈지지링(140)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삽입 및 이동될 수 있다.
제3쌈지지링(150)은 제2지지암(120)의 제2링결합단(127)의 단부에 결합된다.
제1쌈지지링(130)과 제2쌈지지링(140) 및 제3쌈지지링(150)은 일정 직경을 갖는 링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복수개의 쌈지지링(130,140,150)의 직경은 사용자의 입에 들어갈 쌈이 적재될 수 있는 크기로 3cm~6cm 범위로 형성된다.
쌈지지링(130,140,150)은 상추나 깻잎과 같은 쌈채소가 적재될 수 있도록 일정폭과 두께를 갖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쌈숟가락조립체(100)는 청결을 위해 자주 씻을 수 있고, 물에 닿더라도 부식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개의 쌈지지링(130,140,15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손가락삽입고리(113)와 제2손가락삽입고리(123)가 벌어진 쌈적재위치에서 동축상에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쌈지지링(130)의 상부에 형성된 쌈적재공간(M)으로 쌈(A)이 적재된다.
여기서, 쌈적재공간(M)의 크기는 쌈지지링(130,140,150)의 직경과 동일하다. 쌈(A)은 제1쌈지지링(130)의 직경보다 크므로 쌈(A)의 테두리가 제1쌈지지링(13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적재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쌈(A)의 상면에 밥(B)과 고리(C), 마늘, 쌈장 등 쌈을 싸기 위해 필요한 음식들을 적재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손가락삽입고리(113)와 제2손가락삽입고리(123)를 중심방향으로 모으면, 상대적으로 제2쌈지지링(140)이 제1쌈지지링(130)과 제3쌈지지링(150) 사이로부터 이탈되며 이동된다.
제2쌈지지링(140)이 제1쌈지지링(130)과 제3쌈지지링(150)으로부터 벗어나면서 쌈적재공간(M) 보다 작은 쌈형성공간(M')이 형성된다. 쌈형성공간(M')은 원과 원이 교차되며 형성되는 교집합 부분으로 제1손가락삽입고리(113)와 제2손가락삽입고리(123) 사이의 간격이 가까워질수록 점차 좁차진다.
이에 의해 쌈적재공간(M)에 적재되었던 쌈(A)이 쌈형성공간(M')이 좁아짐에 따라 점점 가운데 부분으로 모이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머니형태의 쌈으로 형성된다.
이 때, 복수개의 쌈지지링(130,140,150)의 테두리에는 쌈(A)이 형성될 때 쌈형성공간(M')의 하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쌈지지돌기(131,141,151)가 돌출 형성된다. 쌈지지돌기(131,141,151)는 쌈형성공간(M')을 형성하는 외주연을 따라 반원형태로 돌출 형성된다.
제1쌈지지링(130)과 제2쌈지지링(140)은 동일방향, 동일위치에 제1쌈지지돌기(131) 및 제2쌈지지돌기(141)가 위치된다. 제3쌈지지링(150)은 제1쌈지지돌기(131)와 대향되는 위치에 제3쌈지지돌기(151)가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쌈형성공간(M')이 점차 좁아지면 쌈(A)의 테두리영역(a)이 쌈형성공간(M') 측으로 이동된다. 이 때, 복수개의 쌈지지돌기(131,141,151)가 수평방향으로 일정 면적 연장되어 쌈(A)의 표면과 접촉하며 쌈(A)이 내측으로 이동되는 것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쌈의 표면은 쌈지지돌기(131,141,151)와 접촉되며 마찰력을 받아 내부로 유입되어 쌈의 테두리영역(a)이 지면으로 낙하되지 않고 쌈지지링(130,140,150)의 테두리에 걸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삽입하여 제1손가락삽입고리(113)와 제2손가락삽입고리(123)를 최대한 중심 방향으로 모았을 때 제1쌈지지링(130) 및 제2쌈지지링(140)으로부터 어긋나게 배치된 제2쌈지지링(140)이 형성하는 쌈형성공간(M')의 폭은 쌈지지링(130,140,150)의 직경의 1/3~1/4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주머니 형태의 쌈의 상단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쌈이 하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160)는 제1지지암(110)과 제2지지암(120) 사이에 결합되어 제1지지암(110)과 제2지지암(120)이 쌈적재위치와 쌈형성위치 간을 이동하도록 지지한다.
탄성부재(160)는 판스프링으로 구비되어 제1지지암(110)과 제2지지암(120) 후단의 가운데에 구비된다. 즉, 회전축(128)과 제1손가락삽입고리(113) 및 제2손가락삽입고리(123) 사이의 공간에 탄성부재(160)가 결합된다.
탄성부재(160)가 신장된 초기 위치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암(110)과 제2지지암(120)이 제1거리(d1)로 벌어져 쌈적재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반면, 사용자가 제1손가락삽입고리(113)와 제2손가락삽입고리(123)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회전축(128) 방향으로 힘을 인가하면 제1손가락삽입고리(113)와 제2손가락삽입고리(123) 사이의 거리가 제2거리(d2)로 좁혀지며 쌈형성위치로 이동된다.
탄성부재(160)는 사용자가 쌈을 먹고 난 후 손가락을 제1손가락삽입고리(113)와 제2손가락삽입고리(123)로부터 빼면 제1지지암(110)과 제2지지암(120)이 쌈적재위치로 다시 벌어지도록 탄성력을 작용한다.
탄성부재(160)는 판스프링 외에 코일 스프링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쌈숟가락조립체(100)를 이용하여 쌈을 싸고 쌈을 먹는 과정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본인 앞의 식탁에 본 발명의 쌈숟가락조립체(100)를 놓는다. 쌈숟가락조립체(100)를 식탁에 적재하면 제1레그(115), 제2레그(125) 및 제3레그(129)가 삼각형 형태로 식탁의 상면에 접촉 지지되어 쌈숟가락조립체(100)가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쌈지지링(130,140,150)이 식탁으로부터 레그(115,125,129)들의 높이(h)만큼 이격되게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복수개의 쌈지지링(130,140,150)이 동축상에 위치되어 형성된 쌈적재공간(M)에 쌈을 적재한다. 이 때, 쌈적재공간(M)의 폭(W1)은 쌈지지링(130,140,150)의 직경과 동일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쌈(A)을 제1쌈지지링(130)의 상면에 적재한다. 쌈(A)이 제1쌈지지링(130)의 상부를 커버하며 배치되고, 쌈(A)의 테두리영역(a)은 제1쌈지지링(130)의 외부로 벗어나게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본인의 취향에 따라 쌈내용물을 쌈(A)의 상면에 적재한다. 일례로, 밥(B)과 고기(C)를 쌈(A) 위에 얹을 수 있다.
쌈내용물의 적재를 완료하면, 사용자는 손가락을 제1손가락삽입고리(113)와 제2손가락삽입고리(123)에 넣고 회전축(128)을 향해 손가락을 오무린다. 손가락을 오무리는 힘에 의해 탄성부재(160)가 압축되고 제1손가락삽입고리(113)와 제2손가락삽입고리(123) 사이의 간격(d2)이 좁아지며 쌈형성위치로 이동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쌈지지링(130) 및 제3쌈지지링(150)과 제2쌈지지링(140)이 서로 어긋나면서 쌈형성공간(M')의 폭(W2)이 점차 좁아진다. 이에 따라 쌈(A)에 적재된 쌈내용물의 무게때문에 쌈이 쌈형성공간(M')의 하부로 이동되고, 쌈내용물의 무게에 의해 쌈(A)의 테두리영역(a)도 점차 쌈형성공간(M')의 중심으로 당겨지며 이동된다. 쌈내용물의 무께때문에 쌈이 하부로 낙하되더라도 레그(1115,125,129)의 높이(h) 보다 쌈의 높이(h1)가 낮기 때문에 쌈의 하부는 지면(G)과 닿지 않고 이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쌈(A)이 주머니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쌈(A)의 테두리영역은 중심영역으로 끌어당겨질 때, 쌈형성공간(M')의 양옆에 위치된 쌈지지돌기(131,141,151)가 쌈(A)의 테두리영역과 접촉되며 쌈(A)이 중심으로 빠르게 이동되며 하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쌈지지링(130) 및 제3쌈지지링(150)과 제2쌈지지링(140)의 위치 이동 압력에 의해 쌈(A)의 테두리가 점차 가운데로 모여지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머니 형상의 쌈(A)이 완성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쌈숟가락조립체(100)를 쌈형성위치를 유지한 채 본인의 입으로 들어올리고, 쌈지지링(130,140,150)의 하부에 위치된 쌈(A)을 본인의 입으로 넣어 쌈(A)을 먹게 된다. 이에 따라 손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쌈을 싸고 쌈을 먹을 수 있게 된다.
쌈을 먹고 난 후, 쌈숟가락조립체(100)를 다시 식탁 위에 놓고 손을 쌈숟가락조립체(100)로부터 분리하면, 탄성부재(160)의 탄성력에 의해 쌈숟가락조립체(100)는 도 1에 도시된 쌈적재위치로 복귀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쌈숟가락조립체는 복수개의 쌈지지링 위에 쌈을 적재하고, 서로 교차되게 위치된 한 쌍의 지지암을 서로 벌리거나 오무려 쌈을 싸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젓가락을 이용해 쌈지지링 위에 쌈과 쌈내용물을 적재하고, 쌈이 형성되며 쌈숟가락조립체를 들어 쌈을 먹을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사용자는 손을 전혀 사용하지 않게 되므로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쌈을 먹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쌈숟가락조립체는 가위와 같이 손가락을 오무리고 벌리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사용할 수 있어 사용과정이 간단하다. 또한, 금속소재로 형성되므로 세척이 용이해 반복적으로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쌈숟가락조립체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쌈숟가락조립체 110 : 제1지지암
111 : 제1지지암본체 113 : 제1손가락삽입고리
115 : 제1레그 115a : 지면접촉단
117 : 제1링결합단 120 : 제2지지암
121 : 제2지지암본체 123 : 제2손가락삽입고리
125 : 제2레그 127 : 제2링결합단
128 : 힌지축 129 : 제3레그
130 : 제1쌈지지링 131 : 제1쌈지지돌기
133 : 링연결리브 140 : 제2쌈지지링
141 : 제2쌈지지돌기 150 : 제3쌈지지링
151 : 제3이동돌기 160 : 탄성부재

Claims (5)

  1. 힌지축을 중심으로 서로 교차되게 배치되는 제1지지암 및 제2지지암과;
    상기 제1지지암의 선단에 결합되며 서로 일정 높이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쌈지지링 및 제2쌈지지링과;
    상기 제2지지암의 선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1쌈지지링과 상기 제2쌈지지링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3쌈지지링과;
    상기 제1지지암과 상기 제2지지암의 후단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제1지지암과 상기 제2지지암의 후단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고 상기 제1쌈지지링과 제2쌈지지링 및 제3쌈지지링이 서로 동축상에 위치되는 쌈적재위치와 상기 제1지지암과 상기 제2지지암의 후단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고 상기 제2쌈지지링이 상기 제1쌈지지링과 상기 제3쌈지지링으로부터 어긋나게 위치되는 쌈형성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1지지암과 상기 제2지지암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쌈숟가락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암과 상기 제2지지암의 후단 및 상기 제2지지암에 상기 힌지축이 결합된 결합영역에는 지면을 향해 수직하게 연장형성되는 지지레그가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쌈숟가락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쌈적재위치에서 상기 제1쌈지지링, 상기 제2쌈지지링 및 상기 제3쌈지지링에는 쌈적재공간이 상기 제1쌈지지링의 직경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쌈형성위치에서 상기 제2쌈지지링이 상기 제1쌈지지링 및 상기 제3쌈지지링으로부터 어긋나게 이동되며 상기 제2쌈지지링과 상기 제1쌈지지링 및 상기 제3쌈지지링과 중첩되는 영역에 쌈형성공간이 점점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쌈숟가락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쌈형성공간을 형성하는 제1쌈지지링 및 제3쌈지지링과, 상기 제2쌈지지링은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쌈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쌈지지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쌈숟가락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암과 상기 제2지지암의 후단에는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삽입고리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쌈숟가락조립체.
KR1020150091241A 2015-06-26 2015-06-26 쌈숟가락조립체 KR101660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241A KR101660175B1 (ko) 2015-06-26 2015-06-26 쌈숟가락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241A KR101660175B1 (ko) 2015-06-26 2015-06-26 쌈숟가락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0175B1 true KR101660175B1 (ko) 2016-09-26

Family

ID=57068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1241A KR101660175B1 (ko) 2015-06-26 2015-06-26 쌈숟가락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01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1754A1 (en) * 2021-08-28 2023-03-09 Farzizadeh Saeid Clamp-finger fork spo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7876A (ja) * 2003-10-14 2005-06-02 Pigeon Corp 補助具付き箸
KR200386821Y1 (ko) * 2005-03-17 2005-06-16 진정락 주방용집게
KR20130030157A (ko) * 2011-09-16 2013-03-26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성게 껍질 분할기
KR20140001773U (ko) * 2012-09-18 2014-03-26 구본춘 쌈싸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7876A (ja) * 2003-10-14 2005-06-02 Pigeon Corp 補助具付き箸
KR200386821Y1 (ko) * 2005-03-17 2005-06-16 진정락 주방용집게
KR20130030157A (ko) * 2011-09-16 2013-03-26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성게 껍질 분할기
KR20140001773U (ko) * 2012-09-18 2014-03-26 구본춘 쌈싸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1754A1 (en) * 2021-08-28 2023-03-09 Farzizadeh Saeid Clamp-finger fork spo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23620B1 (ja) 調理器具
KR101660175B1 (ko) 쌈숟가락조립체
KR101966174B1 (ko) 신축형 일회용 숟가락
WO2001034003A1 (en) A food holder having a flexible strip
JP2017226448A (ja) 容器
JP2010030640A (ja) エビ材用トレーおよび冷凍エビ材の製造方法
KR101715068B1 (ko) 꼬치용 포장상자
KR20120008103A (ko) 묵 포장용기
KR101386746B1 (ko) 컵라면 뚜껑 고정용 스틱
KR101389708B1 (ko) 햄버거 홀더
KR101854759B1 (ko) 조립식 일회용 숟가락
KR102361443B1 (ko) 햄버거 취식 용구
JP3237633U (ja) 包装容器付きイカ焼きおよびイカ焼き用包装容器
JP3217855U (ja) 固形状の食品入りの袋
KR200447230Y1 (ko) 조리빵 받침판
JP6396720B2 (ja) 食品可搬用パッケージ
KR101175913B1 (ko) 소스수용구조를 갖는 튀김수용용기
US20040182256A1 (en) Taco frying clip
KR101167284B1 (ko) 휴대용 분식류 포장기구
KR101661812B1 (ko) 다용도 식도구 포장대
KR101388256B1 (ko) 컵라면 뚜껑의 고정장치
JP5017608B1 (ja) 串刺し用食品の容器
JP5841283B1 (ja) ハンバーガー等の食品包装袋
JP3208386U (ja) 買い弁当の箸付き包装体
JP3769630B2 (ja) 袋状油揚及びそれを用いた組合せ食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