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103A - 묵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묵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103A
KR20120008103A KR1020100068748A KR20100068748A KR20120008103A KR 20120008103 A KR20120008103 A KR 20120008103A KR 1020100068748 A KR1020100068748 A KR 1020100068748A KR 20100068748 A KR20100068748 A KR 20100068748A KR 20120008103 A KR20120008103 A KR 20120008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lly
container body
container
groove
f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8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1502B1 (ko
Inventor
소영진
Original Assignee
소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영진 filed Critical 소영진
Priority to KR1020100068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1502B1/ko
Publication of KR20120008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1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1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45Utensils for removing the contents from the package, e.g. spoons, forks, spatul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6Thin-walled containers, e.g. formed by deep-draw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묵 포장용기에 있어서, 묵 포장용기에 있어서, 묵이 수용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내측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개의 수직 가이드홈;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면에서 격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 가이드홈과 각각 유통가능하게 연결되는 수평 가이드홈;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에서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뻗어 형성된 테두리부에 형성된 수납홈; 상기 수납홈에 삽입되는 포크부; 상기 용기본체(10)의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보조 수납홈 및 상기 보조 수납홈에 수납되며, 양념액이 담겨져 있는 포장된 상태의 양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묵 포장용기{JELLY MUK PACKING CASE}
본 발명은 묵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포장용기에 저장되어 있는 묵을 포장용기 내에서 일정한 크기로 절단할 수 있도록 한 묵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묵은 누구나 자가 생산하여 요리재료로 사용할 수 있는 우리의 오랜 전통식품이나 오늘날 분업화된 사회에서는 시장에서 구입하여 요리재료로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묵은 두부와는 달리 소비자가 포장용기에서 바로 꺼내어 별도의 조리과정 없이 간장과 같은 양념장에 찍어서 바로 먹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묵은 판매자의 편의로 인한 관습으로 모 단위의 한모로 절단되어 1회용 포장용기나 비닐봉지에 포장되어 판매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먹기 전에 칼과 도마를 이용하여 먹기 편한 크기로 자르는 작업은 두부와 마찬가지로 실시해야 한다.
즉, 포장용기 포장된 묵을 먹기 위해서는, 묵을 소정 크기로 자르기 위한 칼과 도마와 같은 주방도구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소비자들이 등산이나 소풍과 같은 여행을 떠나 야외에서 묵을 먹기 위해서는, 집에서 미리 묵을 절단하고 난 뒤, 별도의 용기에 절단된 묵을 담아와야 하거나, 칼과 도마 같은 별도의 주방도구를 구비하여 여행을 떠나야 한다.
하지만, 소비자들은 이러한 일련의 준비과정이 번거로워 여행 중에는 묵을 아예 사먹지 않거나, 식당에서 먹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묵 포장용기에 있어서, 묵 포장용기에 있어서, 묵이 수용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내측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개의 수직 가이드홈;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면에서 격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 가이드홈과 각각 유통가능하게 연결되는 수평 가이드홈;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에서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뻗어 형성된 테두리부에 형성된 수납홈; 상기 수납홈에 삽입되는 포크부; 상기 용기본체(10)의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보조 수납홈 및 상기 보조 수납홈에 수납되며, 양념액이 담겨져 있는 포장된 상태의 양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묵 포장용기에 의하면, 도마나 칼이 없어도 묵을 일정한 크기로 잘라 먹을 수 있으므로, 묵의 시식이 간편해져 소비자의 묵 구매욕구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묵을 포장용기에서 꺼내지 않고도 먹기 편한 크기로 잘라 그 자리에서 바로 먹을 수 있으므로, 등산과 같은 여행시에도 묵을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포장용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묵 포장용기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묵 포장용기(100)는, 묵이 수용되는 용기본체(10); 상기 용기본체(10)의 내측면(11)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개의 수직 가이드홈(20); 상기 용기본체(10)의 바닥면(12)에서 격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 가이드홈(20)과 각각 유통가능하게 연결되는 수평 가이드홈(30);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단에서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뻗어 형성된 테두리부(12)에 형성된 수납홈(40); 상기 수납홈(40)에 삽입되는 포크부(50); 상기 용기본체(10)의 테두리부(12)에 형성되는 보조 수납홈(45) 및 상기 보조 수납홈(45)에 수납되며, 양념액이 담겨져 있는 포장된 상태의 양념부(80)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본체(10)는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4개의 측벽과 상기 4개의 측벽 하단을 연결하는 바닥벽으로 구성되어 묵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본체(10)의 하단, 즉, 상기 내측면(11)의 하단과 상기 바닥면(12)의 측부가 만나는 지점에는 굴곡진 라운드부(60)가 형성된다.
그리고, 서로 마주보는 상태의 상기 용기본체(10)의 측벽 내측면(11) 간의 거리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올라갈수록 점점 멀어지게 형성되는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후술할 상기 포크부(50)의 절단칼(51)이 상기 수직 가이드홈(20)을 따라서 이동될 때, 상기 포크부(50)를 손으로 파지한 사용자가 손목을 과도하게 꺽지 않고도 상기 절단칼(51)을 상기 수직 가이드홈(20)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상기 수직 가이드홈(20)은 상기 용기본체(10)의 4개의 내측면(11)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내측면(11)의 높이방향 전장에 결쳐 형성된다.
상기 수직 가이드홈(20)의 상단에는 상기 수직 가이드홈(20)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확경부(21)가 상기 수직 가이드홈(20)과 유통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확경부(21)는 상기 절단칼(51)이 상기 수직 가이드홈(2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역할을 한다.
상기 수평 가이드홈(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가로홈(31)과 복수개의 세로홈(32)이 상기 용기본체(10)의 바닥면(12)에서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격자형상을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가로홈 및 세로홈(31, 32)도 상기 바닥면(12)의 폭방향 및 길이방향 전장에 걸쳐 상기 바닥면(12)에 형성되며, 그 양단은 상기 용기본체(10)의 내측면(11)에 형성된 수직 가이드홈(20)의 하단과 각각 유통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 및 수직 가이드홈(20, 30)이 반원형상의 단면을 가진 채로 상기 용기본체(10)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의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포크부(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잡이 부분이 되는 판상의 몸체(53)와, 상기 몸체(53)의 일단에 형성된 포크날(52), 그리고, 상기 몸체(53)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용기본체(10)에 형성된 수직 및 수평 가이드홈(20, 30)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용기본체(10)에 수용된 묵을 절단하는 절단칼(51)을 포함한다.
상기 포크부(50)는 플라스틱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제작되며, 일반적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포크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포크부(50)의 전체길이는 상기 용기본체(10)의 깊이, 즉 상기 용기본체(10)의 측벽 높이보다 길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절단칼(51)의 날면은 상기 수직 및 수평 가이드홈(20, 30)의 단면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절단칼(51)이 상기 수직 및 수평 가이드홈(20, 30)을 따라 이동될 때, 상기 수직 및 수평 가이드홈(20, 3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그리고, 상기 수납홈(40)을 구획형성하는 상기 수납홈(40)의 길이방향 내측면에는 상기 포크부(50)의 몸체(53)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수납홈(40)에 안착된 포크부(50)의 흔들림을 방지해주는 돌출부(4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포크부(50)는 상기 돌출부(41)에 의해 상기 수납홈(40)에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보조 수납홈(45)의 상기 양념부(80)를 수납할 뿐만 아니라, 상기 양념부(80)를 개봉했을 때, 그 내부의 양념액이 담겨지는 그릇 역할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보조 수납홈(45)의 바닥면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양념부(80)의 양념액을 상기 보조 수납홈(45)의 일측으로 모이게 하여, 사용자가 묵을 상기 양념액에 용이하게 찍어 먹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묵 포장용기는 다음과 같은 예로 사용될 수 있다.
먼저, 사용자는 용기본체(10)의 테두리부(13)에 열 압착되어 부착된 포장지(미도시)를 제거한다.
그 다음, 상기 테두리부(13)에 형성된 수납홈(40)에서 포크부(50)를 꺼낸다.
그 다음, 상기 포크부(50)의 타단에 형성된 절단칼(51)가 사용자의 전방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포크부(50)의 몸체(53)를 파지한 뒤, 상기 절단칼(51)의 선단을 상기 용기본체(10)의 수직 가이드홈(20)에 삽입시킨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확경부(21)에 의해 상기 절단칼(51)의 선단을 상기 수직 가이드홈(20)에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그 다음, 사용자는 상기 수직 가이드홈(20)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상기 절단칼(51)을 이동시킨다.
그 다음, 상기 절단칼(51)이 상기 수직 가이드홈(20)의 하단에 머무르면, 상기 수직 가이드홈(20)의 하단과 유통가능하게 연결된 수평 가이드홈(30)을 따라 상기 절단칼(51)을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수직 가이드홈(20)의 하단과 상기 수평 가이드홈(30)이 만나는 지점에는 라운드부(6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용기본체(10)의 수용된 묵의 하단 모서리 부분을 완전하게 자르기 위하여 상기 포크부(50)를 수직으로 세운 불편한 자세(손목을 꺽어야 되는 자세)로 상기 수직 가이드홈(20)을 따라 상기 절단칼(51)을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그 다음, 상기 절단칼(51)이 상기 수평 가이드홈(30)을 따라 이동되어 타측 내측면(11)에 형성된 수직 가이드홈(20)의 하단에 머무르면, 다시 상기 수직 가이드홈(20)을 따라 상향으로 상기 절단칼(51)을 이동시키면 된다.
이와 같은 방법을 반복하면, 상기 용기본체(10)에 수용된 묵은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부공간에서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 상태가 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포크부(50)의 일단에 형성된 포크부(51)를 이용하여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 묵을 찍어 먹으면 된다.
그리고, 보조 수납홈(45)에 수납된 양념부(80)를 개봉한 뒤, 상기 용기본체(10)에 수용된 묵에 상기 양념부(80)의 양념액을 뿌려서 묵과 함께 먹을 수 있다.
또한,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수납홈(45)에 양념부(80)의 양녁액을 담은 상태에서 상기 절단된 상태의 묵을 상기 양념액에 찍어먹을 수도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에는 묵만 수용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두부 및 젤리와 같은 연질의 가공식품이 수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 : 용기본체 11 : 내측면
12 : 바닥면 13 : 테두리부
20 : 수직 가이드홈 30 : 수평 가이드홈
40 : 수납홈 45 : 보조 수납홈
50 : 포크부 60 : 라운드부
80 : 양념장

Claims (7)

  1. 묵 포장용기에 있어서,
    묵이 수용되는 용기본체(10);
    상기 용기본체(10)의 내측면(11)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개의 수직 가이드홈(20);
    상기 용기본체(10)의 바닥면(12)에서 격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 가이드홈(20)과 각각 유통가능하게 연결되는 수평 가이드홈(30);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단에서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뻗어 형성된 테두리부(12)에 형성된 수납홈(40);
    상기 수납홈(40)에 삽입되는 포크부(50);
    상기 용기본체(10)의 테두리부(12)에 형성되는 보조 수납홈(45) 및
    상기 보조 수납홈(45)에 수납되며, 양념액이 담겨져 있는 포장된 상태의 양념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묵 포장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부(50)는, 사용자가 손잡이 부분이 되는 판상의 몸체(53), 상기 몸체(53)의 일단에 형성된 포크날(52), 그리고, 상기 몸체(53)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용기본체(10)에 형성된 수직 및 수평 가이드홈(20, 30)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용기본체(10)에 수용된 묵을 절단하는 절단칼(5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묵 포장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의 상기 내측면(11) 하단과 상기 바닥면(12)의 측부가 만나는 지점에는 굴곡진 라운드부(6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묵 포장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는,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11) 간의 거리가 상기 바닥면(12)에서 상부로 올라갈수록 점점 멀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묵 포장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가이드홈(20)의 상단에는 상기 수직 가이드홈(20)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확경부(21)가 상기 수직 가이드홈(20)과 유통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묵 포장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홈(40)을 구획형성하는 상기 수납홈(40)의 길이방향 내측면에는 상기 포크부(50)의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수납홈(40)에 안착된 포크부(50)의 흔들림을 방지해주는 돌출부(4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묵 포장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수납홈(45)의 바닥면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묵 포장용기.
KR1020100068748A 2010-07-16 2010-07-16 묵 포장용기 KR101201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748A KR101201502B1 (ko) 2010-07-16 2010-07-16 묵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748A KR101201502B1 (ko) 2010-07-16 2010-07-16 묵 포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103A true KR20120008103A (ko) 2012-01-30
KR101201502B1 KR101201502B1 (ko) 2012-11-14

Family

ID=45613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8748A KR101201502B1 (ko) 2010-07-16 2010-07-16 묵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15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1918B1 (ko) * 2016-05-24 2018-05-28 황창언 식품 포장용기
GB2565060A (en) * 2017-07-28 2019-02-06 Leeways Packaging Services Ltd Packag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9517B1 (ko) * 2014-01-27 2015-11-17 손진현 포장용기 내부에 포크보관부를 구성한 플라스틱시트 성형 포장용기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1180U (ko) * 1975-08-01 1977-02-15
JP2001063786A (ja) * 1999-08-30 2001-03-13 Yoshino Kogyosho Co Ltd 食品収納容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1918B1 (ko) * 2016-05-24 2018-05-28 황창언 식품 포장용기
GB2565060A (en) * 2017-07-28 2019-02-06 Leeways Packaging Services Ltd Packaging
GB2565060B (en) * 2017-07-28 2019-09-18 Leeways Packaging Services Ltd Packag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1502B1 (ko) 201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202262A (ja) 食品包装用トレー及び食品包装体
KR101201502B1 (ko) 묵 포장용기
JP6625888B2 (ja) 食品用容器の蓋体、食品用容器
KR101302159B1 (ko) 라이스콘 포장용기
US8413840B2 (en) Handle for cookware
KR200475771Y1 (ko) 물 주입구를 갖는 겹침 구조의 즉석식품 용기
KR101483671B1 (ko) 기능성 도마
CN216710303U (zh) 食物容器
US20150118370A1 (en) Microwave macaroni cooking bowl
KR200442516Y1 (ko) 치킨 포장용 상자
KR20140060838A (ko) 소스 수용부 형성을 위한 절취면을 구비한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
JP2014118180A (ja) 包装容器
JP4594903B2 (ja) 容器に収容されたペースト状の調味済の食肉または魚肉からなる調理材
US9346599B2 (en) Food packaging
JP2011240943A (ja) 弁当用惣菜容器及び弁当用容器
KR101715068B1 (ko) 꼬치용 포장상자
KR20170077565A (ko) 비빔밥용 도시락 용기 및 이의 사용방법
KR100718599B1 (ko) 소스수용구조를 갖는 위생적인 튀김수용용기
KR101660175B1 (ko) 쌈숟가락조립체
KR101926653B1 (ko) 숟젓가락
KR101631112B1 (ko) 접이식 용기
JP5841920B2 (ja) 飲食用具
CN217695909U (zh) 饺子餐盘
RU128464U1 (ru) Складной столовый прибор
KR102071798B1 (ko) 포장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