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1918B1 - 식품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식품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1918B1
KR101861918B1 KR1020160063289A KR20160063289A KR101861918B1 KR 101861918 B1 KR101861918 B1 KR 101861918B1 KR 1020160063289 A KR1020160063289 A KR 1020160063289A KR 20160063289 A KR20160063289 A KR 20160063289A KR 101861918 B1 KR101861918 B1 KR 101861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packaging
packaging container
shape
side wall
down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2447A (ko
Inventor
황창언
Original Assignee
황창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창언 filed Critical 황창언
Priority to KR1020160063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1918B1/ko
Publication of KR20170132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2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65D1/42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65D1/42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65D1/46Local reinforcements, e.g. adjacent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교적 중량이 무거운 식품을 보관할 수 있고, 운반 및 포장용기의 적층에도 내부 식품의 압력에 파손되지 않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바닥면(20)과, 상기 바닥면(20)의 테두리를 따라 측벽면(30)이 구비되고, 상기 측벽면(30) 상부에 받침면(40)이 일체 형성된 식품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20)은 평평(平平)한 플레이트에 하향 돌출된 보강부(50)를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엇갈리게 연속 배치하여 성형된다.
또, 상기 바닥면(20)의 보강부(50)는 직사각형의 평면모양과 초승달형상의 측면모양을 갖고 하향 돌출되어,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보강부(50) 사이에, 반원형상을 갖고 바닥면(20) 일측에서 하향 경사지게 성형된 보강돌출부(60)가 더 구비되어 달성한다.
또한, 상기 측벽면(30)의 각 모서리에는 상단 적층걸림턱(35)이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하단 적층받침턱(36)이 내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하고, 상기 받침면(40)은 측벽면(30)과 일체 형성된 내측 테두리에서 외측방향으로 따라 하향 경사지게 성형되면서, 상기 테두리의 모서리에는 수평한 걸림면(41)이 더 형성한다.

Description

식품 포장용기{Food Packing Container}
본 발명은 식품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교적 중량이 무거운 식품을 보관할 수 있고, 운반 및 포장용기의 적층에도 내부 식품의 압력에 파손되지 않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 포장용기는 반제품 또는 완제품 상태의 식품을 수용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변질을 방지하고 소정단위로 보관 및 이동을 간편하게 할 수 있게 포장하는 용기이다.
상기 포장용기는 제조원가와, 포장의 용이함과 운반 및 보관 시 용기 또는 식품이 훼손되지 않도록 제작되어야 하며, 상기와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 통상의 식품 제작용기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을 원료로 하는 합성수지로 정형화된 외형을 갖도록 만들어진다.
도 1은 종래 단무지 포장용기를 도시한 것으로, 단무지 및 단물이 인입 될 수 있는 소정공간이 형성된 포장용기는, 저면부(11)와, 이 저면부(11)의 테두리에 결합된 측면부(13)와, 밀봉용 커버가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측면부(13)의 상단에 소정 폭으로 마련된 프랜지부(19)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저면부(11), 측면부(13), 및 플랜지부(19)는 합성수지를 그 재질로 하며, 금형 등에 의해 일체로 만들어지며, 내부공간에 인입된 단물이 유출되고, 단무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측면부(13)와 저면부(11) 및 상기 측면부(13)와 플랜지부(19)는 그 연결부위가 라운드형으로 되어 있다.
또한, 내부에 단무지가 인입된 다수의 단무지 포장용기를 보관 적층 및 운반 시 상기 포장용기의 저면부(11) 및 측면부(13)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상기 저면부(11)와 측면부(13)에는 다수의 요철(15)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포장용기는 합성수지재의 단면두께를 비교적 얇게 성형되어, 저면부와 측면부에 요철을 형성하여도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의 하중에 굽힘 또는 비틀림 변형이 발생되는 폐단이 있었다.
즉, 측면부에 형성된 요철은 주로 종방향에 대한 하중이 집중되므로 수직방향의 요철을 연속 배치하는 것으로 보강이 가능하지만, 저면부는 횡방향 및 종방향에 대한 하중이 복합적으로 집중되어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연속 성형하거나 교차 성형한 요철을 형성하여 벤딩(bending)강도를 증대시켰으나, 바닥판에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요철이 방향을 따라 저면부가 쉽게 변형되어 포장용기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포장용기의 바닥판에 대한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요철에 관하여 다양한 선행 기술이 제시되고 있지만, 상기 요철 형성방향에 따라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점은 여전하며, 강도 증대를 위해 포장용기의 단면두께를 더 두껍게 하는데는 재료비가 증가하여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33905호. 단무지 포장용기 (공고일자 1999년 03월 30일)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바닥면에 초승달 형상의 보강부를 서로 엇갈리게 연속 형성해 강성을 증대시켜 굽힘이나 비틀림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닥면의 보강부는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을 따라 서로 엇갈리게 각각 배치되면서 상기 보강부 사이에 반원형상의 경사진 보조보강부를 더 성형시켜 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포장용기의 측면 모서리에 적층돌기를 형성해 강성을 증대시키면서 적층 시 타 포장용기와 일정 간격을 두고 적층되게 함으로써, 적층 작업 및 인출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바닥면(20)과, 상기 바닥면(20)의 테두리를 따라 측벽면(30)이 구비되고, 상기 측벽면(30) 상부에 받침면(40)이 일체 형성된 식품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20)은 평평(平平)한 플레이트에 하향 돌출된 보강부(50)를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엇갈리게 연속 배치하여 성형된다.
또, 상기 바닥면(20)의 보강부(50)는 직사각형의 평면모양과 초승달형상의 측면모양을 갖고 하향 돌출되어,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보강부(50) 사이에, 반원형상을 갖고 바닥면(20) 일측에서 하향 경사지게 성형된 보강돌출부(60)가 더 구비되어 달성한다.
또한, 상기 측벽면(30)의 각 모서리에는 상단 적층걸림턱(35)이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하단 적층받침턱(36)이 내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하고, 상기 받침면(40)은 측벽면(30)과 일체 형성된 내측 테두리에서 외측방향으로 따라 하향 경사지게 성형되면서, 상기 테두리의 모서리에는 수평한 걸림면(41)이 더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바닥면(20)의 보강부(50)는 직사각형의 평면모양과 초승달형상의 측면모양을 갖고 하향 돌출되어,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보강부(50) 사이에서, 원형형상을 갖고 하향 돌출되면서 보강부(50)보다 더 연장된 길이의 지지돌출부(70)가 형성된다.
또, 상기 지지돌출부(70)와 지지돌출부(70)사이의 공간에 직사각형의 평면모양과 초승달형상의 측면모양을 갖고 하향 돌출된 보조지지부(71)가 더 형성되며, 상기 지지돌출부(70)를 중심으로 직사각형의 평면모양과 초승달형상의 측면모양을 갖고 하향 돌출된 보조지지부(71)가 교차되며 일체 형성시켜 달성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식품포장용기의 합성수지재 단면두께가 일정하면서, 횡방향 및 종방향에 대한 하중에 대향해 굽힘 또는 비틀림 변형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내부에 수용된 식품의 변질 및 파손을 방지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바닥면에 간격을 두고 요철을 다양한 형상으로 더 성형하여 심미감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엇갈린 요철 방향에 의해 바닥면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식품포장용기의 적층 시 다른 식품포장용기와 일정간격을 두고 적층되도록 함으로써, 적층 작업 및 인출 작업이 용이하고 이동이 편리해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 등도 있다.
도 1은 종래 식품포장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식품포장용기의 전체 형상을 나타낸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닥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닥면 형상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식품포장용기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식품포장용기의 사용 예를 도시한 확대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전체 형상을 나타낸 입체도.
도 8은 다른 실시 예인 식품포장용기의 바닥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다른 실시 예인 바닥면의 형상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
본 발명인 식품 포장용기는, 비교적 중량이 무거운 식품을 보관할 수 있고, 운반 및 포장용기의 적층에도 내부 식품의 압력에 파손되지 않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식품포장용기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인 식품포장용기는, 바닥면(20)과, 상기 바닥면(20)의 테두리를 따라 측벽면(30)이 구비되고, 상기 측벽면(30) 상부에 받침면(40)이 일체 형성되어 내부에 식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성형된 것으로서, 상기 바닥면(20)은 평평(平平)한 플레이트에 하향 돌출된 보강부(50)를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엇갈리게 연속 배치해 성형한다.
상기 바닥면(20)의 보강부(50)는 직사각형의 평면모양과 초승달형상의 측면모양을 갖고 하향 돌출되게 하면서, 합성수지재인 재료를 진공성형 금형하는데 따라서 상부 폭은 넓고 하부 폭은 좁은 모양으로 돌출되게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보강부(50)는 바닥면(20)에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바닥면(20)에 상기 보강부(50)의 형성을 위한 홈이 종래 세로 또는 가로방향을 따라 바닥 전체면에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바닥면(20)에 횡방향 및 종방향에 대한 하중이 복합적으로 집중됨에 있어서, 보강부(50)가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어, 상기 횡방향에 대한 하중은 가로방향의 보강부(50)가 대향하지 못하지만, 상기 가로방향 보강부(50)에 엇갈리게 배치된 세로방향 보강부(50)가 횡방향에 대한 하중에 대향함으로써, 벤딩강도를 증대시켜 바닥면(2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방향에 대한 하중도 상기 횡방향 하중에 대해 설명한 바와 같이 가로 방향 보강부(50)가 종방향에 대한 하중에 대향함으로써, 바닥면(20)에 횡방향 및 종방향에 대한 하중이 복합적으로 집중되어도 바닥면(20)의 변형을 방지해 수용된 식품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발명은 상기 보강부(50) 사이의 간격, 즉 바닥면(20)에서 성형되지 않은 면에,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반원형상을 갖고 바닥면(20) 일측에서 하향 경사지게 성형된 보강돌출부(60)가 더 구비되게 한다.
상기 보강돌출부(60)는 합성수지재인 재료를 진공성형작업에 용이하도록 하향 경사진 단부에서 바닥면방향으로 경사지게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진공성형 가공 시 보강돌출부(60)가 절곡된 형상을 갖도록 성형하여 하중에 견고하게 대향할 수 있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인 식품포장용기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측벽면(30)에 종방향에 대한 하중에 대향하는 요철(31)이 각 측벽에 연속 배치되고, 상기 측벽과 연결되는 각각의 모서리에는 상부에 상단 적층걸림턱(35)이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단 적층받침턱(36)이 내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한다.
여기에, 상기 측벽면(30)에 형성된 요철(31)에는 식품 수용공간방향으로 리브돌기(미부호)를 더 돌출 성형해 종방향에 대한 하중에 더 견고히 대향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측벽면(30) 상부에 일체 형성된 받침면(40)은, 식품포장용기의 내부 수용공간을 기밀되게 하도록 박막의 연질재로 성형된 커버(미 도시)가 부착되는데, 수용공간이 형성된 내측 테두리에서 외측방향으로 따라 하향 경사지게 성형되면서, 상기 테두리의 각 모서리에는 수평한 걸림면(41)이 더 형성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받침면(40)의 각 모서리에 수평하게 형성된 걸림면(41)과 경사면에 커버가 위치하여 열 융착되는데, 상기 수평 걸림면(41)을 통해 커버 모서리의 접착면에 들뜨거나 오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식품포장용기는 6에서와 같이 적층 보관이 가능한데, 우선 하나의 식품포장용기 상단에 다른 식품포장용기를 적층하게 되면, 측벽면(30)의 모서리 상부에 형성된 상단 적층걸림턱(35)이 하부에 위치한 다른 식품포장용기의 받침면(40) 상부에서 수평하게 형성된 걸림면(41)에 걸려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적층된 상부의 식품포장용기는 하부에 위치한 다른 식품저장용기와 상기 적층걸림턱(35)의 높이 만큼 간격을 두고 적층되면서, 상기 받침면과 받침면 사이도 간격을 두게 되어, 적층 보관된 식품포장용기를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어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 상기 측벽면(30)의 각 모서리 하부에 내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하단 적층받침턱(36)은, 상기 식품포장용기의 적층 시 하부에 위치한 하단적층받침턱(36)에 적층되는 다른 식품포장용기의 하단 적층받침턱(36)이 놓여져 지지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내부 수용공간에 식품이 수용된 상태에서 중량 및 하중에 의해 외측으로 팽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식품포장용기의 강성을 증대시켜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7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식품포장용기의 바닥면(20)에 보강부(50)와 더불어 다른 실시예로 지지돌출부(70) 및 보조지지부(71)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지지돌출부(70)는 원형형상을 갖고 성형되어, 직사각형의 평면모양과 초승달형상의 측면모양을 갖고 하향 돌출되어,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보강부(50) 사이의 간격에서 성형되면서 상기 보강부(50)보다 더 연장된 길이로 하향 돌출되게 형성한다.
이때, 상기 지지돌출부(70)는 원기둥모양으로 성형되지만, 합성수지재인 재료를 진공성형작업하는데 용이하도록 하단부의 직경이 작게 경사진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지지돌출부(70)와 지지돌출부(70)사이의 공간에 직사각형의 평면모양과 초승달형상의 측면모양을 갖고 하향 돌출된 보조지지부(71)가 더 형성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되며, 상기 지지돌출부(70)를 중심으로 직사각형의 평면모양과 초승달형상의 측면모양을 갖고 하향 돌출된 보조지지부(71)가 교차되며 일체 형성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성형된 식품포장용기는 바닥면(20)에 보강부(50)와 지지돌출부(70) 및 보조지지부(71)의 형상이 조합되어 횡방향 및 종방향에 대한 하중이 복합적으로 집중되어도 증대된 벤딩강도에 의해 바닥면(20)의 변형을 방지해 수용된 식품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20. 바닥면 30. 측벽면
31. 요철 35. 상단 적층걸림턱
36. 하단 적층받침턱 40. 받침면
41. 걸림면 50. 보강부
60. 보강돌출부 70. 지지돌출부
71. 보조지지부

Claims (7)

  1. 바닥면(20)과, 상기 바닥면(20)의 테두리를 따라 측벽면(30)이 구비되고, 상기 측벽면(30) 상부에 받침면(40)이 일체 형성된 식품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20)은 평평(平平)한 플레이트에 하향 돌출된 보강부(50)를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엇갈리게 연속 배치하여 성형되되;
    상기 바닥면(20)의 보강부(50)는 직사각형의 평면모양과 초승달형상의 측면모양을 갖고 하향 돌출되어,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보강부(50) 사이에, 반원형상을 갖고 바닥면(20) 일측에서 하향 경사지게 성형된 보강돌출부(6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 식품포장용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측벽면(30)의 각 모서리에는 상단 적층걸림턱(35)이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하단 적층받침턱(36)이 내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식품포장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받침면(40)은 측벽면(30)과 일체 형성된 내측 테두리에서 외측방향으로 따라 하향 경사지게 성형되면서, 상기 테두리의 모서리에는 수평한 걸림면(41)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 식품포장용기.
  5. 바닥면(20)과, 상기 바닥면(20)의 테두리를 따라 측벽면(30)이 구비되고, 상기 측벽면(30) 상부에 받침면(40)이 일체 형성된 식품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20)은 평평(平平)한 플레이트에 하향 돌출된 보강부(50)를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엇갈리게 연속 배치하여 성형되되;
    상기 바닥면(20)의 보강부(50)는 직사각형의 평면모양과 초승달형상의 측면모양을 갖고 하향 돌출되어,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보강부(50) 사이에서, 원형형상을 갖고 하향 돌출되면서 보강부(50)보다 더 연장된 길이의 지지돌출부(7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 식품포장용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출부(70)와 지지돌출부(70)사이의 공간에 직사각형의 평면모양과 초승달형상의 측면모양을 갖고 하향 돌출된 보조지지부(71)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 식품포장용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출부(70)를 중심으로 직사각형의 평면모양과 초승달형상의 측면모양을 갖고 하향 돌출된 보조지지부(71)가 교차되며 일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 식품포장용기.

KR1020160063289A 2016-05-24 2016-05-24 식품 포장용기 KR101861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289A KR101861918B1 (ko) 2016-05-24 2016-05-24 식품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289A KR101861918B1 (ko) 2016-05-24 2016-05-24 식품 포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447A KR20170132447A (ko) 2017-12-04
KR101861918B1 true KR101861918B1 (ko) 2018-05-28

Family

ID=60921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289A KR101861918B1 (ko) 2016-05-24 2016-05-24 식품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19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1306A (ko) 2018-12-11 2020-06-19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회전형 접이식 날개가 구비된 드론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6947A (en) * 1977-01-21 1978-06-27 Milton Morse Synthetic resinous nesting cup construction
KR20100070589A (ko) * 2008-12-18 2010-06-28 이생테크노팩 주식회사 육가공 식품 포장용기
JP2010184742A (ja) * 2009-02-13 2010-08-26 Fp Corp 蓋付容器
KR20120008103A (ko) * 2010-07-16 2012-01-30 소영진 묵 포장용기
KR20130024240A (ko) * 2011-08-31 2013-03-08 (주)동국프라텍 우수한 강도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 식품용 트레이
JP2014184983A (ja) * 2013-03-25 2014-10-02 Sekisui Giken:Kk カット豆腐用容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6947A (en) * 1977-01-21 1978-06-27 Milton Morse Synthetic resinous nesting cup construction
KR20100070589A (ko) * 2008-12-18 2010-06-28 이생테크노팩 주식회사 육가공 식품 포장용기
JP2010184742A (ja) * 2009-02-13 2010-08-26 Fp Corp 蓋付容器
KR20120008103A (ko) * 2010-07-16 2012-01-30 소영진 묵 포장용기
KR20130024240A (ko) * 2011-08-31 2013-03-08 (주)동국프라텍 우수한 강도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 식품용 트레이
JP2014184983A (ja) * 2013-03-25 2014-10-02 Sekisui Giken:Kk カット豆腐用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1306A (ko) 2018-12-11 2020-06-19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회전형 접이식 날개가 구비된 드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447A (ko) 2017-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67081B2 (ja) 包装用容器の蓋体、及び、これを備えた包装用容器
US8794440B2 (en) Tray with ribs configured for redirecting compressive loads
JP5328862B2 (ja) 包装用容器の蓋体、及び、これを用いた包装用容器
US20090301926A1 (en) Slip sheet
US10421601B2 (en) Processor tray and method of packing
US20130081971A1 (en) Transport Container
US7637373B2 (en) Stackable container
US20190375534A1 (en) Meat patty tray and method of packaging and display
JP5698275B2 (ja) 蓋体と該蓋体を備えた包装用容器
US8505722B1 (en) Stackable pallet container
ES2538855T3 (es) Placa de transporte para artículos en sacos
KR101861918B1 (ko) 식품 포장용기
JP6713625B2 (ja) 包装用容器
US20120261303A1 (en) Pallet-like Underframe For Transport And Storage Containers For Liquids
JP5425580B2 (ja) 物流容器
JP2018167904A (ja) 包装用容器の蓋体
JP5461919B2 (ja) シート成形容器
JP6758123B2 (ja) 集合包装容器
JP2015067340A (ja) 物流容器
JP3180024U (ja) 積み重ね収納用のトレー
JP7481093B2 (ja) 蓋付き包装用容器、蓋付き包装用容器の蓋及び包装用容器
JP6258106B2 (ja) 容器
JP2017132488A (ja) 包装用容器及ぶ蓋付き包装用容器
JP6290052B2 (ja) パレット
JP2024031287A (ja) 包装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