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1112B1 - 접이식 용기 - Google Patents

접이식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1112B1
KR101631112B1 KR1020140159811A KR20140159811A KR101631112B1 KR 101631112 B1 KR101631112 B1 KR 101631112B1 KR 1020140159811 A KR1020140159811 A KR 1020140159811A KR 20140159811 A KR20140159811 A KR 20140159811A KR 101631112 B1 KR101631112 B1 KR 101631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oldable container
upper wall
forming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9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8413A (ko
Inventor
이재훈
기사라
이민채
전민숙
Original Assignee
이재훈
기사라
이민채
전민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훈, 기사라, 이민채, 전민숙 filed Critical 이재훈
Priority to KR1020140159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112B1/ko
Publication of KR20160058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8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부피를 감소시켜 물류 및 보관비용이 절감되고 젓가락을 구비하여 사용이 용이한 즉석식품용 접이식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내부에 음식물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뜨거운 물을 부어 조리할 수 있는 접이식 용기는, 바닥면으로 제공되는 제1,2바닥형성면; 상기 제1,2바닥형성면에서 각각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전후방 및 양측방 하부벽면으로 제공되는 제1,2하부벽형성면; 상기 제1,2하부벽형성면에서 각각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전후방 상부벽면으로 제공되는 제1,2상부벽면; 및 상기 제1,2상부벽면에서 각각 상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상하단이 각각 서로 맞닿아 내부에 식사도구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제1,2수납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1,2바닥형성면, 상기 제1,2하부벽형성면, 상기 제1,2상부벽면 및 상기 제1,2수납면은 각각 좌우 대칭의 동일한 형상으로 제공되어 서로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이식 용기{FOLDING TYPE CONTAINER}
본 발명은 접이식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부피를 감소시켜 물류 및 보관비용이 절감되고 젓가락을 구비하여 사용이 용이한 즉석식품용 접이식 용기에 관한 것이다.
컵라면 등의 즉석식품은 사람들이 가장 자주 그리고 손쉽게 접하는 먹거리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컵라면 용기는 용기본체 내부에 면과 분말 수프가 내장되며 상부에는 용기뚜껑으로 밀봉된 상태로써, 사용시 용기뚜껑을 개방하여 뜨거운 물을 붓고 일정시간이 지나면 조리가 완료된다. 즉 뜨거운 물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든 먹을 수 있는 인스턴트 식품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컵라면 용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컵라면 용기는 스티로폼 또는 종이 재질로 성형된 용기본체(1)와, 용기본체(1)의 개방된 상부를 마감하는 용기뚜껑(2)으로 구성된다. 또한, 용기뚜껑(2)에는 용기본체(1)로부터 용기뚜껑(2)이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뜨거운 물을 붓고난 후 다시 용기본체(1)를 덮을 수 있도록 돌출된 구조의 손잡이부(2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컵라면 용기는 용기뚜껑(2)을 일부 개봉한 상태에서 뜨거운 물을 붓고 다시 용기뚜껑(2)의 손잡이부(2a)를 이용하여 용기본체(1)에 밀착되게 고정시킨다 하더라도, 용기본체(1) 내부의 뜨거운 열기에 의해 용기뚜껑(2)이 쉽게 개방된다. 따라서, 소바자들은 용기뚜껑(2)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손을 이용하여 용기뚜껑(2)과 용기본체(1)를 동시에 잡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일정 시간동안 용기뚜껑(2)을 누르고 있는 것을 대신할 수 있도록 용기본체(1)의 개구부 직경보다 넓은 평편한 물체를 용기뚜껑(2) 위에 올려놓기도 한다. 그러나, 야외에서는 이러한 평편한 물체를 찾는 것이 쉽지않다.
더불어, 대부분의 컵라면 용기의 본체와 뚜껑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서, 다수개를 보관할 때 불필요한 공간이 많이 생겨서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된다. 즉, 컵라면은 그 내용물 대비 패키지가 차지하는 부피가 매우 큰 편으로, 이와 같은 비효율적인 부피로 인해 운송이나 여행시 휴대가 불편하고 비효율적인 면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본체와 뚜껑이 별도로 구비되므로, 이를 일체로 포장지를 이용하여 포장을 해야함에 따른 생산공정이 추가되며, 사용자는 포장지를 뜯어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로우며 쓰레기가 많이 생기는 문제가 있다. 특히, 편의점에서 발생하는 쓰레기의 대부분은 컵라면 용기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컵라면 용기는 스티로폼과 각종 자원의 혼용으로 폐기물 처리가 어렵고 환경호르몬도 배출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57823호(등록일자: 2011.08.11.)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부피를 감소시켜 적재시에 불필요한 공간을 줄임으로써 물류 및 보관비용을 절감시킴과 동시에 젓가락 등의 식사도구를 자체적으로 구비하여 사용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접이식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제적이면서 재생가능한 소재를 이용하고 폐기시에는 접이식의 구조를 펼쳐 그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친환경 및 자원재활용의 인식을 제고시킬 수 있는 접이식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뜨거운 물을 넣기 위해서 별도의 제품 포장지를 뜯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뜨거운 물의 열기로부터 용기의 상부가 쉽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이 간편한 접이식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접이식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내부에 음식물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뜨거운 물을 부어 조리할 수 있는 접이식 용기는, 바닥면으로 제공되는 제1,2바닥형성면; 상기 제1,2바닥형성면에서 각각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전후방 및 양측방 하부벽면으로 제공되는 제1,2하부벽형성면; 상기 제1,2하부벽형성면에서 각각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전후방 상부벽면으로 제공되는 제1,2상부벽면; 및 상기 제1,2상부벽면에서 각각 상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상하단이 각각 서로 맞닿아 내부에 식사도구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제1,2수납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1,2바닥형성면, 상기 제1,2하부벽형성면, 상기 제1,2상부벽면 및 상기 제1,2수납면은 각각 좌우 대칭의 동일한 형상으로 제공되어 서로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용기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부피를 감소시켜 적재시에 불필요한 공간을 줄임으로써 물류 및 보관비용을 절감시킴과 동시에 젓가락 등의 식사도구를 자체적으로 구비하여 사용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용기는 경제적이면서 재생가능한 소재를 이용하고 폐기시에는 접이식의 구조를 펼쳐 그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친환경 및 자원재활용의 인식을 제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용기는 뜨거운 물을 넣기 위해서 별도의 제품 포장지를 뜯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뜨거운 물의 열기로부터 용기의 상부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컵라면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용기의 전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용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도 3의 접이식 용기의 사용 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3의 접이식 용기의 포장시 배열 상태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일부가 간략하거나 과장되게 표현되었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도시되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더불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용기의 전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용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3의 접이식 용기의 포장시 배열 상태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용기(100)는 내부에 스프나 조미 재료 등이 포함된 라면, 국수, 어묵 등의 즉석 음식물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뜨거운 물을 부어 수 분의 짧은 시간 내에 조리를 완성할 수 있는 일체형으로 제공되는 용기(container)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접이식 용기(100)는 제1,2바닥형성면(1100,1200), 제1,2하부벽형성면(2100,2200), 제1,2상부벽면(3100,3200), 제1,2수납면(4100,4200), 제1접합면(5100), 제2접합면(5200), 제3접합면(5300), 그리고 제4접합면(5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2바닥형성면(1100,1200), 제1,2하부벽형성면(2100,2200), 제1,2상부벽면(3100,3200) 및 상기 제1,2수납면(4100,4200)은 각각 좌우 대칭의 동일한 형상으로 제공되어 서로 절첩될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닥형성면(1100), 제1하부벽형성면(2100), 제1상부벽면(3100) 및 제1수납면(4100)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점차 폭이 증가하는 역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을 참조하면, 완성된 접이식 용기(100)의 전체적인 형태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내부 공간의 크기는 줄어들면서 길이방향의 폭은 증가하는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는 바닥면을 넓게하여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면서도 상부로 갈수록 부피는 줄어들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적 형태는, 도 9와 같이, 다수의 접이식 용기(100)를 박스 등에 포장하거나 판매 등을 위해 배치 혹은 진열시 정상적인 형태와 거꾸로 뒤집힌 형태를 반복적으로 배열함으로써 동일한 공간에 더 많은 개수의 제품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는 접이식 용기(100) 내의 음식물이 바닥면에 직접 닿지 않고 중간에 걸쳐 있는 상태로 제공되어 그 음식물을 익히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컵라면에 뜨거운 물을 붓게 되면 면이 물위로 뜨게 된다. 이것은 물과 면발 두 물질간의 밀도차이 때문인데 여기에 물의 온도에 따른 대류현상이 더해져 면발이 익게 된다. 물의 밀도를 1로 잡았을 때, 라면 면발은 그보다 낮은 0.6정도이기 때문에 면발은 물위에 뜨게 되고, 표면에서 비교적 식은 물은 밀도가 커져 아래로 가라앉고 바닥에 있던 뜨거운 물은 위로 밀려올라가는 대류현상에 의해 표면에 떠있는 면발은 지속적으로 익기에 적정한 온도의 물을 공급받게 되면서 면이 익게 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접이식 용기(100)의 세부구성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2바닥형성면(1100,1200)은 접이식 용기(100)의 바닥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1,2바닥형성면(1100,1200)은 제1,2바닥면(1110,1210)과 제1,2보조바닥면(1120,1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2바닥면(1110,1210)은 상하의 길이가 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1,2보조바닥면(1120,1220)은 제1,2바닥면(1110,1210)의 양측단에서 각각 연장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보조바닥면(1120)은 제1바닥면(1110)의 일측과 타측에 제공되는 보조바닥면(1120a,1120b)을 가질 수 있고, 제2보조바닥면(1220)은 제2바닥면(1210)의 일측과 타측에 제공되는 보조바닥면(1220a,1220b)을 가질 수 있다.
제1,2보조바닥면(1120,1220)은 사각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1,2바닥면(1110,1210)과 각각의 제1,2보조바닥면(1120,1220)의 경계에는 제1,2바닥측부접힘선(1111,121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바닥측부접힘선(1111)은 제1바닥면(1110)의 일측과 타측에 제공되는 바닥측부접힘선(1111a,1111b)을 가질 수 있고, 제2바닥측부접힘선(1211)은 제2바닥면(1210)의 일측과 타측에 제공되는 바닥측부접힘선(1211a,1211b)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2바닥형성면(1100,1200)과 제1,2하부벽형성면(2100,2200)의 경계에는 제1,2바닥경계접힘선(1130,1230)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제1,2보조바닥면(1120,1220) 내에는 각각의 제1,2바닥측부접힘선(1111,1211)의 상단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한 쌍의 제1,2보조바닥접힘선(1121a,1121b,1221a,1221b)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바닥형성면(1100)과 제2바닥형성면(1200)의 사이에는 인접하는 두 제1,2보조바닥면(1120b,1220a)간의 절첩을 쉽게 하기 위한 접힘선(114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2하부벽형성면(2100,2200)은 제1,2바닥형성면(1100,1200)에서 각각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전후방 및 양측방 하부벽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1,2하부벽형성면(2100,2200)은 제1,2하부벽면(2110,2210), 제1,2하부측벽면(2120,2220) 및 제1,2하부측벽접힘선(2130,2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2하부벽면(2110,2210)은 제1,2바닥면(1110,1210)에서 각각 연장형성될 수 있다. 제1,2하부벽면(2110,2210)의 중앙에는 상하 방향의 제1,2하부중앙접힘선(2140,224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2하부벽면(2110,2210)은 제1,2하부중앙접힘선(2140,2240)에 의해 4개의 제1,2,3,4하부벽구획면(2110a,2110b,2210a,2210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2하부측벽면(2120,2220)은 제1,2보조바닥면(1120,1220)에서 각각 연장형성될 수 있다.
제1,2하부측벽접힘선(2130,2230)은 제1,2하부벽면(2110,2210)의 양끝 상단에서 제1,2바닥면(1110,1210)으로부터 각각의 제1,2보조바닥면(1120,1220)이 연장되는 상단을 향해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1,2하부측벽접힘선(2130,2230)은 제1,2하부벽면(2110,2210)과 제1,2하부측벽면(2120,2220)을 구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2하부측벽면(2120,2220)은 제1,2하부측벽접힘선(2130,2230)에 의해 4개의 제1,2,3,4하부측벽구획면(2120a,2120b,2220a,2220b)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2하부벽면(2110,2210)과 제1,2하부측벽면(2120,2220)의 각각의 경계에는 제1,2하부측벽접힘선(2130,22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제1하부측벽접힘선(2130)은 제1하부벽구획면(2110a)과 제1하부측벽구획면(2120a)의 사이에 제공되는 하부측벽접힘선(2130a) 및 제2하부벽구획면(2110b)과 제2하부측벽구획면(2120b)의 사이에 제공되는 하부측벽접힘선(2130b)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하부측벽접힘선(2230)은 제3하부벽구획면(2210a)과 제3하부측벽구획면(2220a)의 사이에 제공되는 하부측벽접힘선(2230a) 및 제4하부벽구획면(2210b)과 제4하부측벽구획면(2220b)의 사이에 제공되는 하부측벽접힘선(2230b)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2하부벽면(2110,2210) 내에는 제1,2하부중앙접힘선(2140,2240)의 일정 위치에서 각각 한 쌍을 갖는 제1,2하부측벽접힘선(2130,2230)의 하단을 향해 양측으로 경사지게 제공되는 제1,2하부벽경사접힘선(2150,2250)이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2하부벽경사접힘선(2150,2250)은 각각 한 쌍이 대칭되게 제공될 수 있다(2150a,2150b,2250a,2250b).
제1하부벽형성면(2100)과 제2하부벽형성면(2200)의 사이에는 인접하는 두 제1,2하부측벽면(2120b,2220a)간의 절첩을 용이이하게 하면서 접이식 용기(10) 측면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접힘선(216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2상부벽면(3100,3200)은 제1,2하부벽형성면(2100,2200)에서 각각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전후방 상부벽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1,2수납면(4100,4200)은 제1,2상부벽면(3100,3200)에서 각각 상방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제1,2수납면(4100,4200)은 상하단이 각각 서로 맞닿아 내부에 식사도구(4001)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4002)을 형성할 수 있다. 식사도구(4001)는 일회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젓가락, 숟가락, 포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접이식 용기(100)의 형성 후 제1,2상부벽면(3100,3200)과 제1,2수납면(4100,4200)의 경계는 절취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접이식 용기(100)의 형성 후, 제1,2상부벽면(3100,3200)과 제1,2수납면(4100,4200)의 경계에는 점선 등을 이용하여 절취선이 표시될 수 있다. 내부에 젓가락 등의 식사도구(4001)가 수납되는 수납공간(4002)이 형성되는 제1,2수납면(4100,4200)은 사람 손에 의한 외력 등으로 용이하게 절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2수납면(4100,4200)은 접이식 용기(100)로부터 분리가능할 수 있다. 접이식 용기(100)에서 제1,2수납면(4100,4200)이 분리이탈되면 사용자는 접이식 용기(100)의 상부를 일부 또는 전부 개봉할 수 있다.
접이식 용기(100)의 상부가 개봉되면 제1,2상부벽면(3100,3200)은 접이식 용기(10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제1,2상부벽면(3100,320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2상부벽면(3100,3200)의 중앙에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제1,2상부중앙접힘선(3110,32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상부벽면(3100)의 양측단에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제1,2상부측면접힘선(3120,32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2상부중앙접힘선(3110,3210) 및 제1,2상부측면접힘선(3120,3220)은 제1,2상부벽면(3100,3200)을 제1,2,3,4상부벽구획면(3130,3140,3230,3240)으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인접하는 두 제2,3상부벽구획면(3140,3230)간에는 제2상부중앙접힘선(3210)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제1,2,3,4상부벽구획면(3130,3140,3230,3240)에는 그 상단 중앙에서 하부의 양측 끝단을 향해 경사지게 제1,2,3,4상부구획면접힘선(3131,3141,3231,3241)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2,3,4상부구획면접힘선(3131,3141,3231,3241)은 각각 2개씩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상부벽구획면접힘선(3131)은 제1상부벽구획면(3130)내의 하부 일측 끝단을 향하는 상부벽구획면접힘선(3131a)과, 타측 끝단을 향하는 상부벽구획면접힘선(3131b)을 가질 수 있다. 제2상부벽구획면접힘선(3141)은 제2상부벽구획면(3140)내의 하부 일측 끝단을 향하는 상부벽구획면접힘선(3141a)과, 타측 끝단을 향하는 상부벽구획면접힘선(3141b)을 가질 수 있다. 제3상부벽구획면접힘선(3230)은 제3상부벽구획면(3230)내의 하부 일측 끝단을 향하는 상부벽구획면접힘선(3231a)과, 타측 끝단을 향하는 상부벽구획면접힘선(3231b)을 가질 수 있다. 제4상부벽구획면접힘선(3240)은 제4상부벽구획면(3240)내의 하부 일측 끝단을 향하는 상부벽구획면접힘선(3241a)과, 타측 끝단을 향하는 상부벽구획면접힘선(3241b)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제1,2,3,4상부벽구획면(3130,3140,3230,3240)은 상기와 같이 각각 2개씩 제공되는 제1,2,3,4상부벽구획면접힘선(3131,3141,3231,3241)에 따라 제1내지 제12상부구획세부면(3132a,3133,3132b,3142a,3143,3142b,3232a,3233,3232b,3242a,3243,3242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2하부벽형성면(2100,2200)과 제1,2,3,4상부벽구획면(3130,3140,3230,3240)의 각각의 경계에는 제1,2,3,4상하부경계접힘선(2140a,2140b,2240a,2240b)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제1,2,3,4상부벽구획면(3130,3140,3230,3240)은 각각의 제1,2상부중앙접힘선(3110,3210), 제1,2상부측면접힘선(3120,3220), 제1,2,3,4상부구획면접힘선(3131,3141,3231,3241) 및 제1,2,3,4상하부경계접힘선(2140a,2140b,2240a,2240b)을 따라 접이식 용기(100)의 내측을 향해 절첩될 수 있다. 이렇게 절첩된 각각의 제1,2,3,4상부벽구획면(3130,3140,3230,3240)은 접이식 용기(100)의 개방된 상부를 닫을 수 있다.
제1,2상부중앙접힘선(3110,3210) 및 제1,2상부측면접힘선(3120,3220)은 각각 절취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2상부중앙접힘선(3110,3210) 및 제1,2상부측면접힘선(3120,3220)의 절취 후, 각각의 제1,2,3,4상부벽구획면(3130,3140,3230,3240)은 각각의 제1,2,3,4상하부경계접힘선(2140a,2140b,2240a,2240b)을 따라 접이식 용기(100)의 외측 하방을 향해 절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제1,2,3,4상부벽구획면(3130,3140,3230,3240)이 절첩되면 접이식 용기(100)는 그 상부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제1접합면(5100)은 제1바닥형성면(1100)의 하방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제1바닥형성면(1100)과 제1접합면(5100)의 사이에는 접힘선(5100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접합면(5200)은 제1바닥형성면(1100), 제1하부벽형성면(2100) 및 제1상부벽면(3100)에서 각각의 일측방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제2접합면(5200)은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제2접합면(5200)은 제1바닥형성면(1100), 제1하부벽형성면(2100) 및 제1상부벽면(3100)의 각각 경계에서 절개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제1바닥형성면(1100), 제1하부벽형성면(2100) 및 제1상부벽면(3100)에서 각각 제2접합면(5200)이 연장되는 부위에는 각각 접힘선(5210a,5220a,312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접힘선(5210a,5220a,3120)은 제2접합면(5200)과 제1보조바닥면(1120a), 제1하부측벽면(2120a) 및 제1상부구획세부면(3132a) 각각의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제3접합면(5300)은 제1수납면(4100)의 일측방에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제1수납면(4100)과 제3접합면(5300)의 사이에도 역시 접힘선(5300a)이 형성될 수 있다.
제4접합면(5400)은 제1수납면(4100)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제1수납면(4100)과 제4접합면(5400)의 사이에도 역시 접힘선(5300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2수납면(4100,4200)의 상하단이 각각 서로 맞닿아 내부에 수납공간(4002)을 제공할 때 상단의 접합은 제4접합면(5400)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접합면(5100), 제2접합면(5200), 제3접합면(5300) 및 제4접합면(5400)의 각각의 양단에는 접합의 용이함을 위해 모따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제1접합면(5100), 제2접합면(5200), 제3접합면(5300) 및 제4접합면(5400)이 제1바닥형성면(1100), 제1하부벽형성면(2100), 제1상부벽면(3100) 및 제1수납면(4100)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제1접합면(5100), 제2접합면(5200), 제3접합면(5300) 및 제4접합면(5400)은 대칭되는 위치인 제2바닥형성면(1200), 제2하부벽형성면(2200), 제2상부벽면(3200) 및 제2수납면(4200)에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제1접합면(5100), 제2접합면(5200), 제3접합면(5300) 및 제4접합면(5400)은 강한 접합을 이루기 위해 제1,2바닥형성면(1100,1200), 제1,2하부벽형성면(2100,2200), 제1,2상부벽면(3100,3200) 및 제1,2수납면(4100,4200)의 양쪽 모두에 즉 대응되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각각의 제1접합면(5100), 제2접합면(5200), 제3접합면(5300) 및 제4접합면(5400)과 각각의 대응되는 접합부위의 접합은 범용적인 접착제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각각의 접합은 접착제 등이 아닌 프레스 등의 압축가공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제1수납면(4100)과 제2수납면(4200)의 사이에도 접힘선(430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2바닥형성면(1100,1200), 제1,2하부벽형성면(2100,2200), 제1,2상부벽면(3100,3200) 및 상기 제1,2수납면(4100,4200)은 각각 좌우 대칭의 동일한 형상으로 제공되어 각각의 접힘선을 따라 서로 절첩됨으로써 접이식 용기(10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좌우 대칭을 이루게 하는 그 중심선은 모두 접힘선으로 구성되며 이는 모두 상하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각각의 접힘선(1140,2160,3220,4300)은 모두 일직선상에 있으며 이 접힘선을 모두 합친 선이 본 발명인 접이식 용기(100)의 전개도상의 좌우 대칭선이다(도 1 참조).
접이식 용기(100)의 재질로는 테트라팩(Tetra Pak)이 이용될 수 있다. 테트라팩은 폴리에틸렌 내부와 종이 등 여러겹의 레이어(layer)로 되어 있는 패키지이다. 이는 친환경적이며, 가격이 저렴하고, 내부에 저장된 식품을 오랜기간 보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폴리에틸렌은 연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접힘구조에 강하다.
또한, 접이식 용기(100)는 폴리에틸렌과 종이로 이루어진 2겹의 레이어(layer)를 갖는 테트라팩 유사의 소재가 동원될 수도 있다. 외부는 보온성이 뛰어난 종이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 표면의 경우 엠보싱 코팅(또는 버블 코팅) 혹은 엠보싱 패턴을 제공하여 뜨거운 물에 대한 단열 처리 효율을 높이고, 심미적으로도 독창적인 디자인 감성을 부여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은 도 3의 접이식 용기의 사용 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접이식 용기의 사용과정을 단계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내부에 즉석식품을 포함하는 접이식 용기(100) 제품을 구입한다(도 4(a)). 접이식 용기(100) 상단에 젓가락 등의 식사도구(4001)가 수납되는 수납공간(4002)이 형성되는 제1,2수납면(4100,4200)을 절취하여 식사도구 준비 및 접이식 용기(100)의 상부를 개봉할 준비를 한다(도 4(b)).
이후, 접이식 용기(100) 상단의 일부를 개봉하여 접이식 용기(100) 내부에 들어있는 스프(10)와 같은 조미 재료를 꺼내고(도 5(a), 접이식 용기(100) 내로 스프(10)와 뜨거운 물(20)을 넣는다(도 5(b)).
다음에, 제1,2상부벽면(3100,3200)을 각각의 접힘선들을 따라 접어 접이식 용기(100)의 개봉된 상부를 닫아 고정시켜 내부의 음식물을 익힌다(도 6(a)(b)).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뜨거운 물을 넣기 위해서 별도의 제품 포장지를 뜯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뜨거운 물의 열기로부터 용기의 상부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이후, 제1,2상부벽면(3100,3200)의 각 모서리를 잡아당겨 접이식 용기(100)의 상부를 모두 개방하고(도 7(a), 제1,2상부중앙접힘선(3110,3210) 및 제1,2상부측면접힘선(3120,3220)을 각각 뜯어 절취하고(도 7(b)), 접이식 용기(100)의 외측 하방을 향해 접은 후 식사도구(4001)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먹는다(도 7(c).
음식물을 모두 섭취한 후, 제1,2바닥형성면(1100,1200)을 펼치고(도 8(a)), 나머지 다른 모든 면들을 원래의 전개도 상태로 펼쳐서 버리게 된다(도 8(b)).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접이식 용기(100)는 폐기시 부피를 최소화하면서 분리 수거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접이식 용기(100)를 이용한 즉석식품(5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즉석식품(500)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여 전개된 상태로 제작되는 접이식 용기(100)와, 접이식 용기(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건조된 음식물 및 조미재료(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접이식으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부피를 감소시켜 적재시에 불필요한 공간을 줄임으로써 물류 및 보관비용을 절감시킴과 동시에 젓가락 등의 식사도구를 자체적으로 구비하여 사용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유통, 운반, 처리시 낭비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제적이면서 재생가능한 소재를 이용하고 폐기시에는 접이식의 구조를 펼쳐 그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친환경 및 자원재활용의 인식을 제고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종래의 용기가 스티로폼과 같은 각종 자원의 혼용으로 폐기물 처리가 어려우면서 환경호르몬도 배출하는 환경적인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접이식 용기
1100: 제1바닥형성면 1110: 제1바닥면
1111: 제1바닥측부접힘선 1120: 제1보조바닥면
1121a,1121b: 제1보조바닥접힘선 1130 : 제1바닥경계접힘선
1200: 제2바닥형성면 1210: 제2바닥면
1211: 제2바닥측부접힘선 1220: 제2보조바닥면
1221a,1221b: 제2보조바닥접힘선 1230: 제2바닥경계접힘선
2100: 제1하부벽형성면 2110: 제1하부벽면
2110a: 제1하부벽구획면 2110b: 제2하부벽구획면
2120: 제1하부측벽면 2130: 제1하부측벽접힘선
2140a: 제1상하부경계접힘선 2140b: 제2상하부경계접힘선
2200: 제2하부벽형성면 2210: 제2하부벽면
2210a: 제3하부벽구획면 2210b: 제4하부벽구획면
2220: 제2하부측벽면 2230: 제2하부측벽접힘선
2240a: 제3상하부경계접힘선 2240b: 제4상하부경계접힘선
3100: 제1상부벽면 3110: 제1상부중앙접힘선
3120: 제1상부측면접힘선 3130: 제1상부벽구획면
3131: 제1상부구획면접힘선 3140 : 제2상부벽구획면
3141: 제2상부구획면접힘선 3200: 제2상부벽면
3210: 제2상부중앙접힘선 3220: 제2상부측면접힘선
3230: 제3상부벽구획면 3231: 제3상부구획면접힘선
3240: 제4상부벽구획면 3241: 제4상부구획면접힘선
4001: 식사도구 4002: 수납공간
4100: 제1수납면 4200: 제2수납면
5100: 제1접합면 5200: 제2접합면
5300: 제3접합면 5400: 제4접합면

Claims (13)

  1. 내부에 음식물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뜨거운 물을 부어 조리할 수 있는 접이식 용기에 있어서,
    바닥면으로 제공되는 제1,2바닥형성면;
    상기 제1,2바닥형성면에서 각각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전후방 및 양측방 하부벽면으로 제공되는 제1,2하부벽형성면;
    상기 제1,2하부벽형성면에서 각각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전후방 상부벽면으로 제공되는 제1,2상부벽면; 및
    상기 제1,2상부벽면에서 각각 상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상하단이 각각 서로 맞닿아 내부에 식사도구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제1,2수납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1,2바닥형성면, 상기 제1,2하부벽형성면, 상기 제1,2상부벽면 및 상기 제1,2수납면은 각각 좌우 대칭의 동일한 형상으로 제공되어 서로 절첩되고,
    상기 제1,2바닥형성면은,
    제1,2바닥면과,
    상기 제1,2바닥면의 양측단에서 각각 연장형성되는 제1,2보조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2하부벽형성면은,
    상기 제1,2바닥면에서 각각 연장형성되는 제1,2하부벽면과,
    상기 제1,2보조바닥면에서 각각 연장형성되는 제1,2하부측벽면과,
    상기 제1,2하부벽면의 양끝 상단에서 상기 제1,2바닥면으로부터 각각의 상기 제1,2보조바닥면이 연장되는 상단을 향해 경사지게 제공되어 상기 제1,2하부벽면과 상기 제1,2하부측벽면을 구획하는 제1,2측벽접힘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용기의 형성 후 상기 제1,2상부벽면과 상기 제1,2수납면의 경계는 절취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제1,2수납면은 상기 접이식 용기로부터 분리가능하고,
    상기 접이식 용기에서 상기 제1,2수납면이 분리이탈되면 상기 접이식 용기의 상부를 개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용기의 상부가 개봉되면 상기 제1,2상부벽면은 상기 접이식 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상부벽면의 중앙에는 각각 상하 방향의 제1,2상부중앙접힘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1상부벽면의 양측단에는 각각 상하 방향의 제1,2상부측면접힘선이 형성되어 상기 제1,2상부벽면을 제1,2,3,4상부벽구획면으로 나누고,
    각각의 상기 제1,2,3,4상부벽구획면 내에는 그 상단 중앙에서 하부의 양측 끝단을 향해 제1,2,3,4상부구획면접힘선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2하부벽형성면과 상기 제1,2,3,4상부벽구획면의 각각의 경계에는 제1,2,3,4상하부경계접힘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용기.
  5. 제 4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2,3,4상부벽구획면은 각각의 상기 제1,2상부중앙접힘선, 상기 제1,2상부측면접힘선, 상기 제1,2,3,4상부구획면접힘선 및 상기 제1,2,3,4상하부경계접힘선을 따라 상기 접이식 용기의 내측을 향해 절첩되어 상기 접이식 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용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상부중앙접힘선 및 상기 제1,2상부측면접힘선은 각각 절취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제1,2상부중앙접힘선 및 상기 제1,2상부측면접힘선의 절취 후, 각각의 상기 제1,2,3,4상부벽구획면은 각각의 상기 제1,2,3,4상하부경계접힘선을 따라 상기 접이식 용기의 외측 하방을 향해 절첩되어 상기 접이식 용기 상부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용기.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닥형성면의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접합면과,
    상기 제1바닥형성면, 상기 제1하부벽형성면 및 제1상부벽면에서 각각의 일측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접합면과,
    상기 제1수납면의 일측방에서 연장형성되는 제3접합면과,
    상기 제1수납면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제4접합면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접합면, 상기 제2접합면, 상기 제3접합면 및 상기 제4접합면의 각각의 양단에는 모따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용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닥형성면, 상기 제1하부벽형성면, 상기 제1상부벽면 및 상기 제1수납면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점차 폭이 증가하는 역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용기.
  10. 내부에 음식물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뜨거운 물을 부어 조리할 수 있는 접이식 용기에 있어서,
    바닥면으로 제공되는 제1,2바닥형성면;
    상기 제1,2바닥형성면에서 각각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전후방 및 양측방 하부벽면으로 제공되는 제1,2하부벽형성면;
    상기 제1,2하부벽형성면에서 각각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전후방 상부벽면으로 제공되는 제1,2상부벽면; 및
    상기 제1,2상부벽면에서 각각 상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상하단이 각각 서로 맞닿아 내부에 식사도구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제1,2수납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1,2바닥형성면, 상기 제1,2하부벽형성면, 상기 제1,2상부벽면 및 상기 제1,2수납면은 각각 좌우 대칭의 동일한 형상으로 제공되어 서로 절첩되고,
    상기 제1바닥형성면의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접합면과,
    상기 제1바닥형성면, 상기 제1하부벽형성면 및 제1상부벽면에서 각각의 일측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접합면과,
    상기 제1수납면의 일측방에서 연장형성되는 제3접합면과,
    상기 제1수납면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제4접합면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접합면, 상기 제2접합면, 상기 제3접합면 및 상기 제4접합면의 각각의 양단에는 모따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용기.
  11. 내부에 음식물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뜨거운 물을 부어 조리할 수 있는 접이식 용기에 있어서,
    바닥면으로 제공되는 제1,2바닥형성면;
    상기 제1,2바닥형성면에서 각각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전후방 및 양측방 하부벽면으로 제공되는 제1,2하부벽형성면;
    상기 제1,2하부벽형성면에서 각각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전후방 상부벽면으로 제공되는 제1,2상부벽면; 및
    상기 제1,2상부벽면에서 각각 상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상하단이 각각 서로 맞닿아 내부에 식사도구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제1,2수납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1,2바닥형성면, 상기 제1,2하부벽형성면, 상기 제1,2상부벽면 및 상기 제1,2수납면은 각각 좌우 대칭의 동일한 형상으로 제공되어 서로 절첩되고,
    상기 접이식 용기의 형성 후 상기 제1,2상부벽면과 상기 제1,2수납면의 경계는 절취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제1,2수납면은 상기 접이식 용기로부터 분리가능하고,
    상기 접이식 용기에서 상기 제1,2수납면이 분리이탈되면 상기 접이식 용기의 상부를 개봉할 수 있으며,
    상기 접이식 용기의 상부가 개봉되면 상기 제1,2상부벽면은 상기 접이식 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로서 제공되고,
    상기 제1,2상부벽면의 중앙에는 각각 상하 방향의 제1,2상부중앙접힘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1상부벽면의 양측단에는 각각 상하 방향의 제1,2상부측면접힘선이 형성되어 상기 제1,2상부벽면을 제1,2,3,4상부벽구획면으로 나누고,
    각각의 상기 제1,2,3,4상부벽구획면 내에는 그 상단 중앙에서 하부의 양측 끝단을 향해 제1,2,3,4상부구획면접힘선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2하부벽형성면과 상기 제1,2,3,4상부벽구획면의 각각의 경계에는 제1,2,3,4상하부경계접힘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용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2,3,4상부벽구획면은 각각의 상기 제1,2상부중앙접힘선, 상기 제1,2상부측면접힘선, 상기 제1,2,3,4상부구획면접힘선 및 상기 제1,2,3,4상하부경계접힘선을 따라 상기 접이식 용기의 내측을 향해 절첩되어 상기 접이식 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용기.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상부중앙접힘선 및 상기 제1,2상부측면접힘선은 각각 절취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제1,2상부중앙접힘선 및 상기 제1,2상부측면접힘선의 절취 후, 각각의 상기 제1,2,3,4상부벽구획면은 각각의 상기 제1,2,3,4상하부경계접힘선을 따라 상기 접이식 용기의 외측 하방을 향해 절첩되어 상기 접이식 용기 상부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용기.
KR1020140159811A 2014-11-17 2014-11-17 접이식 용기 KR101631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9811A KR101631112B1 (ko) 2014-11-17 2014-11-17 접이식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9811A KR101631112B1 (ko) 2014-11-17 2014-11-17 접이식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413A KR20160058413A (ko) 2016-05-25
KR101631112B1 true KR101631112B1 (ko) 2016-06-16

Family

ID=56114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9811A KR101631112B1 (ko) 2014-11-17 2014-11-17 접이식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11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73805B2 (en) 2016-07-14 2019-01-08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Reclosable cart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079B1 (ko) * 2010-09-08 2013-10-01 방종관 즉석조리식품용 포장지
KR20120003986U (ko) * 2010-11-29 2012-06-07 정웅호 뚜껑 일체형 컵라면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413A (ko) 2016-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8020B1 (ko) 압축식 라면 용기 및 그 제작방법
CA2985333C (en) Square bowl with cracker compartment
US20050079251A1 (en) Flexible pouch-bowl arrangement and methods
KR101631112B1 (ko) 접이식 용기
KR200475771Y1 (ko) 물 주입구를 갖는 겹침 구조의 즉석식품 용기
KR100989088B1 (ko) 식품 포장용기를 형성하는 포장지
KR101971896B1 (ko) 즉석 식품의 보관 용기
KR200475085Y1 (ko) 레토르트 파우치 홀더
KR101871391B1 (ko) 부피 축소가 가능한 케익 포장상자
KR101313079B1 (ko) 즉석조리식품용 포장지
KR20060132754A (ko) 접이식 사발
JP5337507B2 (ja) パウチ収容箱体
KR200231837Y1 (ko) 보온용 도시락통
KR20130000820U (ko) 식품포장용 용기
KR200479200Y1 (ko) 식품 포장 케이스
JP2014105013A (ja) 食品用複合容器及び食品用複合容器の使用方法
KR101175913B1 (ko) 소스수용구조를 갖는 튀김수용용기
JPH08113273A (ja) インスタント食品用容器
JP2009137596A (ja) 食品入り密封袋を収容するための紙製の外装箱
JP5643071B2 (ja) ガロンボトルの収納用コンテナ
CN208119818U (zh) 一种硒鼓包装盒
JP5188733B2 (ja) ツインタイプの包装容器
KR200364685Y1 (ko)
JP5527367B2 (ja) ツインタイプの包装容器
KR20130051258A (ko) 젓가락을 가지는 일회용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