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200Y1 - 식품 포장 케이스 - Google Patents

식품 포장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200Y1
KR200479200Y1 KR2020150003804U KR20150003804U KR200479200Y1 KR 200479200 Y1 KR200479200 Y1 KR 200479200Y1 KR 2020150003804 U KR2020150003804 U KR 2020150003804U KR 20150003804 U KR20150003804 U KR 20150003804U KR 200479200 Y1 KR200479200 Y1 KR 2004792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pace
housing
auxiliary
receiv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38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좋은상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좋은상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좋은상자
Priority to KR20201500038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2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2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2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측으로 접혀 보조수납체(200)를 지지하는 받침부(130)가 형성 됨으로써, 받침부(130)의 상,하부의 공간을 분리하여 다양한 식품을 함께 수납할 수 있으며, 음식물이 섞이지 않아 위생적이고, 절취부(140)가 형성되어 섭취를 편리하게 할 수 있식품 포장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식품 포장 케이스는, 내부에 수납부(110)가 구비되며, 상부에 상기 수납부(110)를 개폐하는 덮개부(120)가 형성된 본체(100); 상기 수납부(110)에 수용되는 보조수납체(200); 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100)의 외측에는 상기 수납부(110) 방향으로 접혀 상기 보조수납체(200)를 지지하는 받침부(130)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식품 포장 케이스 {Food packing case}
본 고안은 식품 포장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료 및 소스 등을 함께 포장할 수 있고 일부를 분리하여 음식찌거기나 뼈 등을 담을 수 있는 식품 포장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현재 치킨, 햄버거, 도넛 등의 각종 즉석식품은 그 휴대가 간편 용이하고 선호도가 높아 일반대중들 사이에 널리 애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즉석식품류는 해당식품의 부피나 넓이 등 그 형태에 알맞은 적정 형태로서 포장박스를 별도 제작하여 해당식품류를 수납포장한 후 소비자에게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식품용 포장박스는 일회 용기가 대중화되고, 식품을 휴대하는 문화가 전차적으로 대중화되면서, 치킨, 도넛 등과 같이 구매하여 테이크아웃 하거나 또는 음식점 등에서 일회용으로 판매 및 배달하기 위하여 종이 판지를 접어서 사용하는 종이박스이다.
상기한 식품용 포장박스는 덮개부(120), 바닥면부 등을 접이선을 기준으로 접어주어서 박스형상으로 만들어주고, 그 내부에 치킨, 도넛 등과 같은 식품을 안치한 상태에서 포장 및 배달을 하였다.
그리고, 식품용 포장박스는 일반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종이 판지를 사용하여 보관되는 식품이 효과적으로 보관되도록 하는 구조를 지닌 것으로서, 보관되는 식품이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고 독성이 없는 재질의 종이 판지를 사용한다.
한편, 치킨, 햄버거, 도넛 등 같이 배달되는 주요 음식물들은 무, 피클, 소스 및 음료수, 케첩 등의 다양한 보조 음식물 등과 판매 및 배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포장박스에 담긴 음식을 먹을 때 같이 포장된 무, 피클, 소스 등을 먹기위해 포장껍질을 제거한 쓰레기
및 치킨을 먹고 나오는 뼈 등을 버리기 위해 별도의 그릇이나 접시 쓰레기통을 준비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상기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 등을 접시 등에 버릴 경우에는 이를 다시 쓰레기 봉투에 버리는 것은 물론 기름 및 소스 등이 묻은 접시를 깨끗하게 설거지를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포장된 음식을 먹을 때 접시에 버려 설거지하는 게 귀찮은 경우에는 신문지등의 종이를 준비한 후 종이에 싸서 버려야하기 때문에 이 또한 별도의 종이를 준비를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75394호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측으로 접혀 보조수납체(200)를 지지하는 받침부(130)가 형성됨으로써, 받침부(130)의 상,하부의 공간을 분리하여 다양한 식품을 함께 수납할 수 있으며, 음식물이 섞이지 않아 위생적이고, 절취부(140)가 형성되어 섭취를 편리하게 할 수 있식품 포장 케이스를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식품 포장 케이스는, 내부에 수납부(110)가 구비되며, 상부에 상기 수납부(110)를 개폐하는 덮개부(120)가 형성된 본체(100); 상기 수납부(110)에 수용되는 보조수납체(200); 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100)의 외측에는 상기 수납부(110) 방향으로 접혀 상기 보조수납체(200)를 지지하는 받침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130)는 상기 본체(100)의 일측 모서리에 배치되며, 상하단이 절개되어 상기 수납부(110) 방향으로 접히는 제1받침부(131); 상기 본체(100)의 타측 모서리에 배치되며, 상하단이 절개되되, 가로세로 길이가 상기 제1받침부(131) 보다 길며, 상기 수납부(110) 방향으로 접히는 제2받침부(132); 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받침부(130)의 하부에 둘레를 따라 절취부(140)가 형성되어 상기 절취부(140)의 제거시 상하로 분리되고, 상기 수납부(110)는 상기 절취부(140)의 하부에 배치된 제1공간(111)과 상기 절취부(140)의 상부에 배치된 제2공간(112)으로 분리되며, 상기 보조수납체(200)는 상기 제2공간(112)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보조수납체(200)는, 일측 및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제1보조수납공간(211)이 형성된 제1몸체(210); 상기 제1몸체(210)의 일측에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 및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상기 제1보조수납공간(211)과 연결되는 제2보조수납공간(221)이 형성된 제2몸체(220); 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식품 포장 케이스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내측으로 접혀 상기 보조수납체(200)를 지지하는 상기 받침부(13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납부(110)를 제1공간(111)과 제2공간(112)으로 분리하여 다양한 식품을 함께 수납할 수 있으며, 음식물이 섞이지 않아 위생적이고, 절취부(140)가 형성되어 섭취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보조수납체(200)를 제1몸체(210)와 제2몸체(220)로 분리함으로써, 섭취시 공간을 확장하여 여러 사람이 편리하게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으며, 앞접시로 사용하여 좀더 깔끔하고 위생적으로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음식물 등이 수용되는 제2공간(112)이 바닥면보다 높은 위치에 이격되게 위치되므로 식품 포장 케이스의 바닥부위가 눅눅해지지 않고, 제2공간(112) 또는 보조수납체(200)에 수용된 식품에도 습기가 차지 않아 음식물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도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 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 케이스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 케이스의 본체의 전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 케이스의 보조수납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 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 케이스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 케이스의 본체의 전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 케이스의 보조수납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 케이스는 본체(100)와 보조수납체(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0)는 가로로 긴 직육면체 형상이며, 내부에 치킨, 음료 등의 다양한 식품을 담을 수 있는 수납부(110)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수납부(110)를 개폐하는 덮개부(120)가 구비된다.
상기 덮개부(120)는 상기 수납부(110)의 상부 양측에 배치되는 고정부(121)와, 상기 고정부(121)의 사이에 배치되며,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절첩부(122)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121)에는 상기 절첩부(122)가 결합되는 고정홈(121a)이 형성되며, 상기 절첩부(122)의 양측에는 상기 고정홈(121a)에 삽입되는 돌기부(122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첩부(122)에는 상기 수납부(110)와 외부의 공기 순환을 위해 다수개의 환기공(123)이 형성되며, 끝단에는 손잡이홈(124)이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120)의 절첩시 손으로 쉽게 들고 다닐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외측에는 상기 수납부(110) 방향으로 접혀 후술할 상기 보조수납체(200)를 지지하는 받침부(130)가 형성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받침부(130)는 제1받침부(131)와 제2받침부(1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받침부(131)는 상기 본체(100)의 일측 모서리에 배치되며, 상하단이 절개되어 상기 수납부(110) 방향으로 절첩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받침부(131)는 상기 본체(100)의 우측 모서리를 기준으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절개되며, 상기 수납부(110) 방향으로 대략 'ㄱ'자를 좌우 반전시킨 형상으로 절첩된다.
상기 제2받침부(132)는 상기 본체(100)의 타측 모서리에 배치되며, 상,하단이 절개되되, 가로 및 세로 길이가 상기 제1받침부(131) 보다 길며, 상기 수납부(110) 방향으로 절첩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받침부(132)는 상기 본체(100)의 좌측 모서리를 기준으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절개되며, 상기 수납부(110) 방향으로 대략 'ㄱ'자 자 형상으로 절첩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2받침부(132)의 일면은 상기 제1받침부(131)와 동일한 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받침부(130)의 하부에 둘레를 따라 절취부(140)가 형성된다.
상기 절취부(140)는 둘레를 따라 점선 모양으로 절개한 부분으로, 띠 형태로 되어 잡아당기면 둘레를 따라 쉽게 뜯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절취부(140)를 뜯어내어 제거하면 상기 본체(100)는 상부와 하부로 분리되며, 이때 상기 수납부(110) 역시 상기 절취부(140)의 하부에 배치된 제1공간(111)과 상기 절취부(140)의 상부에 배치된 제2공간(112)으로 분리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외측에는 다수개의 환기공(150)이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110)에 습기가 차 음식물이 눅눅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보조수납체(200)는 상기 수납부(110)에 수용되는 것으로, 대략 상하 반전된 사다리꼴 형상이며,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식품 등을 보관하는 공간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6에 도 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수납체(200)는 제1몸체(210)와 제2몸체(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몸체(210)는 일측 및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제1보조수납공간(211)이 형성된다.
상기 제2몸체(220)는 타측 및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상기 제1보조수납공간(211)과 연결되는 제2보조수납공간(221)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2몸체(220)는 상기 제1몸체(210)의 일측에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상기 제2몸체(220)는 상기 제1몸체(210)의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상기 제2보조수납공간(221)이 넒어지게 되면서 상기 보조수납체(200)의 전체적인 공간을 확장하게 되고, 경우에 따라 상기 제1몸체(210)에서 분리되어 앞접시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도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보조수납체(200)가 제1몸체(210)와 제2몸체(220)로 이루어짐으로써, 취식시 식품의 수용 공간을 확장하여 여러명이 취식할 때 편리하게 하며, 앞접시로 사용하여 위생적이고 청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보조수납체(200)는 상기 받침부(130)의 상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제2공간(112)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수납체(200)에는 치킨 등의 음식물을 수용하고, 상기 제1공간(111)에는 음료나 소스 등의 부재료를 수납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 케이스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판지 시트를 절단한 후 절첩선을 따라 직육면체가 되도록 접어서 형성된다.
먼저 상기 본체(100)가 육면체 형상이 되도록 접은 후 상기 덮개부(120)를 전개하여 상기 수납부(11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공간(111)에 음료나, 소스 등의 부재료를 넣는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130)를 상기 수납부(110) 방향으로 접은 후 상기 보조수납체(200)에 치킨 등의 음식물을 담아 상기 제2공간(112)에 수용하고 상기 받침부(130) 위에 올린다.
여기에서 상기 보조수납체(200)는 상기 제2몸체(220)가 상기 제1몸체(210)의 완전히 겹친 상태로 배치된다.
이 후 상기 덮개부(120)를 조립하여 상기 수납부(110)의 상부를 덮는다.
취식할 시에는 상기 절취부(140)를 잡아당겨 뜯어내어 상기 본체(100)를 먼저 분리한다.
분리한 후에는 상기 덮개부(120)를 해제하여 상기 제2공간(112)에 수용된 음식물과 상기 제1공간(111)에 수용된 음식물을 함께 섭취한다.
경우에 따라 상기 보조수납체(200)를 꺼내어 음식물을 섭취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보조수납체(200)를 확장하여 넓게 사용할 수 도 있고, 상기 제1몸체(210)와 제2몸체(220)를 분리하여 앞접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 케이스는, 내측으로 접혀 상기 보조수납체(200)를 지지하는 상기 받침부(13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납부(110)를 제1공간(111)과 제2공간(112)으로 분리하여 다양한 식품을 함께 수납할 수 있으며, 음식물이 섞이지 않아 위생적이고, 절취부(140)가 형성되어 섭취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보조수납체(200)를 제1몸체(210)와 제2몸체(220)로 분리함으로써, 섭취시 공간을 확장하여 여러 사람이 편리하게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으며, 앞접시로 사용하여 좀더 깔끔하고 위생적으로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고안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 본체 110 : 수납부
111 : 제1공간 112 : 제2공간
120 : 덮개부 121 : 고정부
121a : 고정홈 122 : 절첩부
122a : 돌기부 123,150 : 환기공
124 : 손잡이홈 130 : 받침부
131 : 제1받침부 132 : 제2받침부
140 : 절취부 200 : 보조수납체
210 : 제1몸체 220 : 제2몸체

Claims (4)

  1. 내부에 수납부(110)가 구비되며, 상부에 상기 수납부(110)를 개폐하는 덮개부(120)가 형성된 본체(100)와, 상기 수납부(110)에 수용되는 보조수납체(200)와, 상기 본체(100)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수납부(110) 방향으로 접혀 상기 보조수납체(200)를 지지하는 받침부(130)를 갖는 식품 포장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30)는,
    상기 본체(100)의 일측 모서리에 배치되며, 상하단이 절개되어 상기 수납부(110) 방향으로 접히는 제1받침부(131);
    상기 본체(100)의 타측 모서리에 배치되며, 상하단이 절개되되, 가로세로 길이가 상기 제1받침부(131) 보다 길며, 상기 수납부(110) 방향으로 접히는 제2받침부(132); 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받침부(130)의 하부에 둘레를 따라 절취부(140)가 형성되어 상기 절취부(140)의 제거시 상하로 분리되고,
    상기 수납부(110)는 상기 절취부(140)의 하부에 배치된 제1공간(111)과 상기 절취부(140)의 상부에 배치된 제2공간(112)으로 분리되며,
    상기 보조수납체(200)는 상기 제2공간(112)에 삽입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 케이스.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수납체(200)는,
    일측 및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제1보조수납공간(211)이 형성된 제1몸체(210);
    상기 제1몸체(210)의 일측에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 및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상기 제1보조수납공간(211)과 연결되는 제2보조수납공간(221)이 형성된 제2몸체(2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 케이스.
KR2020150003804U 2015-06-11 2015-06-11 식품 포장 케이스 KR2004792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804U KR200479200Y1 (ko) 2015-06-11 2015-06-11 식품 포장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804U KR200479200Y1 (ko) 2015-06-11 2015-06-11 식품 포장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200Y1 true KR200479200Y1 (ko) 2015-12-31

Family

ID=55170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3804U KR200479200Y1 (ko) 2015-06-11 2015-06-11 식품 포장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2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4968A (ko) 2021-06-07 2022-12-14 신연희 포장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상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11430U (ko) * 1975-03-05 1976-09-09
JPS55173438U (ko) * 1979-05-29 1980-12-12
KR20070004502A (ko) * 2006-12-20 2007-01-09 (주)경북씨앤씨 음식물 포장용 박스
KR20120007840U (ko) * 2011-05-06 2012-11-14 태양당인쇄(주) 2단적재가 가능한 피자포장박스
KR101375394B1 (ko) 2012-07-06 2014-03-17 박진아 포장박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11430U (ko) * 1975-03-05 1976-09-09
JPS55173438U (ko) * 1979-05-29 1980-12-12
KR20070004502A (ko) * 2006-12-20 2007-01-09 (주)경북씨앤씨 음식물 포장용 박스
KR20120007840U (ko) * 2011-05-06 2012-11-14 태양당인쇄(주) 2단적재가 가능한 피자포장박스
KR101375394B1 (ko) 2012-07-06 2014-03-17 박진아 포장박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4968A (ko) 2021-06-07 2022-12-14 신연희 포장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94785A (en) Adjustable handheld round sandwich holder
US7219830B2 (en) Container for sliceable ice cream
US8584884B2 (en) Container having a foldable support and lid
US20130126593A1 (en) Convertible Food Transporting Box and Method
KR100934457B1 (ko) 부피가 절반으로 축소되는 케익 포장 상자
KR101302159B1 (ko) 라이스콘 포장용기
KR101375394B1 (ko) 포장박스
KR200479200Y1 (ko) 식품 포장 케이스
KR101871391B1 (ko) 부피 축소가 가능한 케익 포장상자
KR102131210B1 (ko) 포장박스
KR20180000716U (ko) 하나의 박스함체에 양쪽으로 덮개가 형성된 포장박스
US8875984B2 (en) Knock-down packaging apparatus
CA2849236C (en) Container having a foldable support and lid
KR200487643Y1 (ko) 자동 스탠딩형 포장재
US20130175197A1 (en) Outer package for securely supporting cup-shaped product once product is removed from the outer package
US20140272044A1 (en) Efficient food packaging
MXPA06014571A (es) Estuche laminar desplegable para el empaque, coccion y servicio de rosetas de maiz.
KR101631112B1 (ko) 접이식 용기
JP3238691U (ja) 包装箱、ブランクシート、および食品セット
CN214297062U (zh) 一种瓜果摆盘包装盒
KR200392822Y1 (ko) 포장용 상자
KR200407624Y1 (ko) 음식물 포장대
CN107200185B (zh) 可折叠变形成杯子的纸盒包装
US20110233265A1 (en) Food delivery box
JP2010018330A (ja) カップ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