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840U - 2단적재가 가능한 피자포장박스 - Google Patents

2단적재가 가능한 피자포장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840U
KR20120007840U KR2020110003918U KR20110003918U KR20120007840U KR 20120007840 U KR20120007840 U KR 20120007840U KR 2020110003918 U KR2020110003918 U KR 2020110003918U KR 20110003918 U KR20110003918 U KR 20110003918U KR 20120007840 U KR20120007840 U KR 201200078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ide wall
pizza
bottom plate
packag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9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5505Y1 (ko
Inventor
이종혁
김은영
Original Assignee
태양당인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양당인쇄(주) filed Critical 태양당인쇄(주)
Priority to KR20201100039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505Y1/ko
Publication of KR201200078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8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5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5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akery products, e.g. bis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held erect by extensions of one or more sides being doubled-over to enclose extensions of adjacent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8Partitions
    • B65D5/48002Partitions integral
    • B65D5/4802Partitions integral formed by folding inwardly portions cut in th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26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of a side panel of a container body formed by erecting a "cross-like" bl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2단적재가 가능한 피자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각형 형태로 이루어진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테두리 상면에 직립되도록 설치되고,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복수개의 안치턱이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측벽과; 상기 측벽의 안치턱 상단에 거치되는 중간지지판과; 상기 바닥판과 측벽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덮개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피자를 훼손시키지 않으면서 2단으로 적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2단적재가 가능한 피자포장박스{Pizza Box}
본 고안은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납공간을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각각의 공간에 피자를 배치함으로써 피자를 훼손시키지 않으면서도 2단적재가 가능한 피자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피자포장박스는 판매점에서 피자를 구입해서 일정거리를 이동할 때 피자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피자는 높이는 낮은 대신 그 폭이 크기 때문에 이러한 피자를 포장하기 위한 포장박스 역시 그 폭이 넓게 형성되어 상당한 부피를 차지하게 된다. 이렇게 큰 부피를 차지하는 피자박스는 하나의 피자만을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다수개의 피자를 운반하기 위해서는 포장박스 역시 다수개를 준비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안치턱과 안치턱 상단에 중간지지판을 거치하여 수납공간을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고, 구획된 각각의 공간에 피자를 배치함으로써 2단적재가 가능한 피자포장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2단적재가 가능한 피자포장박스는 다각형 형태로 이루어진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테두리 상면에 직립되도록 설치되고,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복수개의 안치턱이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측벽과; 상기 측벽의 안치턱 상단에 거치되는 중간지지판과; 상기 바닥판과 측벽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덮개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치턱은 상기 측벽의 각진 부분 중앙을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 절개한 후, 절개된 부분의 측벽 하측부분을 내측을 향하여 'V'자 형태로 절곡시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2단적재가 가능한 피자포장박스는 안치턱의 상단에 중간지지판을 거치시키면 바닥판과 중간지지판의 상면에 각각 피자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피자를 훼손시키지 않으면서 2단으로 적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2단적재가 가능한 피자포장박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2단적재가 가능한 피자포장박스를 해체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2단적재가 가능한 피자포장박스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2단적재가 가능한 피자포장박스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2단적재가 가능한 피자포장박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2단적재가 가능한 피자포장박스를 해체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2단적재가 가능한 피자포장박스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2단적재가 가능한 피자포장박스는 하드보드(Hard-Board)지와 같이 일정한 강도를 갖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내부의 수납공간을 상하 2개로 구획하여 피자와 같은 음식물을 2단으로 적재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2단적재가 가능한 포장박스는 바닥판(100)과, 상기 바닥판(100)의 테두리에 설치되는 측벽(200)과, 상기 바닥판(100)과 측벽(200)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납공간(R)에 삽입되는 중간지지판(300)과, 상기 수납공간(R)을 개폐하는 덮개판(4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바닥판(100)은 그 형태가 다각형, 좀 더 자세히는 8각형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바닥판(100)이 8각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바닥판(100)의 상면에 설치되는 측벽(200)도 8각 형태를 갖게 된다. 물론 바닥판(100)의 형태를 다각형으로만 한정하지 않고 원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원형으로 바닥판(100)을 형성시키면 측벽(200)의 형태도 원형으로 설치되는데, 측벽(200)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하더라도 후술할 안치턱(290)을 형성시키는 데는 문제가 전혀 없다.
상기 측벽(200)은 상기 바닥판(100)의 테두리 상면에 직립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면판(210)과, 전면좌측 경사판(220)과, 좌측면판(230)과, 후면좌측 경사판(240)과, 후면판(250)과, 후면우측 경사판(260)과, 우측면판(270)과, 전면우측 경사판(28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판(210)은 상기 바닥판(100)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바닥판(100)의 전단에서 상측을 향하여 90도 각도로 절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전면좌측 경사판(220)은 일단이 상기 전면판(210)의 좌단에서 일정각도(약 135도) 절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좌측면판(230)은 제1좌측날개판(231)과 제2좌측날개판(232)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좌측날개판(231)은 상기 전면좌측 경사판(220)의 끝단에서 일정각도(약 135도) 절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측에서 시작하여 하측으로 일정길이 절단된 제1좌측끼움홈(231a)이 형성된다.
상기 제2좌측날개판(232)은 상기 제1좌측날개판(231)에 형성된 제1좌측끼움홈(231a)이 끼움될 수 있도록 하측에서 시작하여 상측으로 일정길이 절단된 제2좌측끼움홈(232a)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좌측끼움홈(231a)과 제2좌측끼움홈(232a)이 서로 교차끼움됨으로써 상기 제1좌측날개판(231)과 제2좌측날개판(232)을 서로 결속시킨다.
여기서, 상기 좌측면판(230)은 좌측외부 중첩판(110)과 좌측내부 중첩판(120)에 의하여 외측면과 내측면이 감싸지는데, 상기 좌측외부 중첩판(110)은 상기 바닥판(100)의 좌단에서 절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좌측내부 중첩판(120)은 상기 좌측외부 중첩판(110)의 끝단에서 절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내부 중첩판(120)의 끝단에는 좌측끼움편(121)이 돌출 형성되며, 이 좌측끼움편(121)은 바닥판(100)의 좌단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좌측끼움홀(130)에 끼움된다.
상기 후면좌측 경사판(240)은 일단이 상기 제2좌측날개판(232)의 끝단에서 일정각도(약 135도) 절첩되어 형성된다.
상기 후면판(250)은 상기 바닥판(100)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바닥판(100)의 후단에서 상측을 향하여 90도 각도로 절첩됨과 아울러 좌단이 상기 후면좌측 경사판(240)의 타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일정각도(약 135도) 절첩되어 형성된다.
상기 후면우측 경사판(260)은 일단이 상기 후면판(250)의 우단에서 일정각도(약 135도) 절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우측면판(270)은 제1우측날개판(271)과 제2우측날개판(272)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우측날개판(271)은 상기 후면우측 경사판(260)의 끝단에서 일정각도(약 135도) 절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하측에서 시작하여 상측으로 일정길이 절단된 제1우측끼움홈(271a)이 형성된다.
상기 제2우측날개판(272)은 상기 제1우측날개판(271)에 형성된 제1우측끼움홈(271a)이 끼움될 수 있도록 상측에서 시작하여 하측으로 일정길이 절단된 제2우측끼움홈(272a)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우측끼움홈(271a)과 제2우측끼움홈(272a)이 서로 교차끼움됨으로써 상기 제1우측날개판(271)과 제2우측날개판(272)을 서로 결속시킨다.
여기서, 상기 우측면판(270)은 우측외부 중첩판(140)과 우측내부 중첩판(150)에 의하여 외측면과 내측면이 감싸지는데, 상기 우측외부 중첩판(140)은 상기 바닥판(100)의 우단에서 절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우측내부 중첩판(150)은 상기 우측외부 중첩판(140)의 끝단에서 절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우측내부 중첩판(150)의 끝단에는 우측끼움편(151)이 돌출 형성되며, 이 우측끼움편(151)은 바닥판(100)의 우단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우측끼움홀(160)에 끼움된다.
상기 전면우측 경사판(280)은 일단이 상기 제2우측날개판(272)의 끝단에서 일정각도(약 135도) 절첩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전면우측 경사판(280)은 일단이 상기 제2우측날개판(272)에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전면판(210)에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측벽(200)에는 복수개의 안치턱(290)이 일정간격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안치턱(290)은 내측을 향하여 'V'자 형태로 절곡시켜 형성된다. 즉, 상기 안치턱(290)은 상기 측벽(200)의 각진 부분 중앙을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 절개한 후, 그 절개된 부분의 측벽(200) 하측부분을 'V'자 형태로 절곡시켜 형성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안치턱(290)은 상기 전면판(210)과 전면좌측 경사판(220) 사이와, 상기 전면판(210)과 전면우측 경사판(280) 사이와, 상기 후면판(250)과 후면좌측 경사판(240) 사이 및 상기 후면판(250)과 후면우측 경사판(260)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나열된 측벽(200) 부분을 안쪽으로 절곡시켜 수납공간(R) 내부에 돌출된 안치턱(290)을 형성시키는데, 안치턱(290)의 높이는 상기 측벽(200) 높이의 1/2에 해당하여 상기 중간지지판(300)을 안치턱(290)의 상단에 거치하였을 때 수납공간(R)이 상하방향으로 절반씩 구획된다.
상기 중간지지판(300)은 상기 측벽(200)의 안치턱(290) 상단에 거치되는 것으로서, 피자를 바닥판(100)에 하나 배치하고, 상기 중간지지판(300)의 상면에 다른 하나를 배치함으로써 하나의 피자포장박스로 2개의 피자를 포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덮개판(400)은 상기 바닥판(100)과 측벽(200)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것으로서, 상기 측벽(200)의 후면판(250)과 일체로 형성되고 후면판(250)의 상단에서 절첩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덮개판(400)은 끝단에 끼움연장편(410)이 구비되는데, 상기 끼움연장편(410)은 덮개판(400)을 닫았을 때 상기 전면판(210)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끼움연장편(410)과 덮개판(400) 사이에 삽입홀(411)이 형성되는데, 상기 삽입홀(411)에는 상기 전면판(210)에 구비되는 끼움고리(211)가 끼워진다.
100: 바닥판 110: 좌측외부 중첩판
120: 좌측내부 중첩판 121: 좌측끼움편
130: 좌측끼움홀 140: 우측외부 중첩판
150: 우측내부 중첩판 151: 우측끼움편
160: 우측끼움홀 200: 측벽
210: 전면판 211: 끼움고리
220: 전면좌측 경사판 230: 좌측면판
231: 제1좌측날개판 231a: 제1좌측끼움홈
232: 제2좌측날개판 232a: 제2좌측끼움홈
240: 후면좌측 경사판 250: 후면판
260: 후면우측 경사판 270: 우측면판
271: 제1우측날개판 271a: 제1우측끼움홈
272: 제2우측날개판 272a: 제2우측끼움홈
280: 전면우측 경사판 290: 안치턱
300: 중간지지판 400: 덮개판
410: 끼움연장편 411: 삽입홀
R: 수납공간

Claims (2)

  1. 다각형 형태로 이루어진 바닥판(100)과;
    상기 바닥판(100)의 테두리 상면에 직립되도록 설치되고,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복수개의 안치턱(290)이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측벽(200)과;
    상기 측벽(200)의 안치턱(290) 상단에 거치되는 중간지지판(300)과;
    상기 바닥판(100)과 측벽(200)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공간(R)을 개폐하는 덮개판(4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적재가 가능한 피자포장박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치턱(290)은 상기 측벽(200)의 각진 부분 중앙을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 절개한 후, 절개된 부분의 측벽(200) 하측부분을 내측을 향하여 'V'자 형태로 절곡시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적재가 가능한 피자포장박스.
KR2020110003918U 2011-05-06 2011-05-06 2단적재가 가능한 피자포장박스 KR2004655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918U KR200465505Y1 (ko) 2011-05-06 2011-05-06 2단적재가 가능한 피자포장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918U KR200465505Y1 (ko) 2011-05-06 2011-05-06 2단적재가 가능한 피자포장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840U true KR20120007840U (ko) 2012-11-14
KR200465505Y1 KR200465505Y1 (ko) 2013-02-26

Family

ID=47511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918U KR200465505Y1 (ko) 2011-05-06 2011-05-06 2단적재가 가능한 피자포장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50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200Y1 (ko) * 2015-06-11 2015-12-31 주식회사 좋은상자 식품 포장 케이스
KR20180053058A (ko) * 2016-11-11 2018-05-21 고문당인쇄(주) 포장용 박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61U (ko) 1986-06-21 1988-01-07
KR200351523Y1 (ko) * 2004-03-12 2004-05-22 정병희 화분 포장용 박스
KR200402879Y1 (ko) * 2005-07-14 2005-12-08 현철호 음식물 포장박스
KR200419658Y1 (ko) 2006-03-28 2006-06-23 임범순 화분 포장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200Y1 (ko) * 2015-06-11 2015-12-31 주식회사 좋은상자 식품 포장 케이스
KR20180053058A (ko) * 2016-11-11 2018-05-21 고문당인쇄(주) 포장용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505Y1 (ko) 201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53471A1 (en) Partitioned container
US9463895B2 (en) Box having convex centring elements, and blank for manufacturing such a box
JP5648582B2 (ja) 包装箱
US8783551B2 (en) Hammer-lock container
KR20140054351A (ko) 접이식 상자
US10472121B2 (en) Packaging box, blank,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the same
CN105775303A (zh) 包装盒
CN104528112B (zh) 可堆叠的包装箱及包装箱组
US9718580B2 (en) Tray having raised edges and rounded centering devices, and blank for producing such a tray
KR200465505Y1 (ko) 2단적재가 가능한 피자포장박스
US20190308788A1 (en) Stand-up tray, package and method
JP5824975B2 (ja) 簡易仕切付き紙箱
JP6523310B2 (ja) 手動による組立てのためのボール紙シート材料製トレイ及びそのようなトレイを製作するためのブランク
JP6440442B2 (ja) 青果物パック収納用トレー
KR200480624Y1 (ko) 휴대용 디바이스 패키징 박스
RU2015102045A (ru) Упаковка
EP2607253B1 (en) Packaging for confectionery products
JP2020158170A (ja) 包装箱
KR200440198Y1 (ko) 제과포장 케이스
MX2013013317A (es) Configuracion de paquete para contenedores vacios de forma de hoja.
JP4658240B2 (ja) 厚紙製仕切材
CN220032496U (zh) 一种可独立收纳的包装盒
KR200356682Y1 (ko) 절곡형 상자
KR20110000034U (ko) 포장박스
CA2857440C (en) Divider boxes and thei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