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624Y1 - 음식물 포장대 - Google Patents

음식물 포장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624Y1
KR200407624Y1 KR2020050031047U KR20050031047U KR200407624Y1 KR 200407624 Y1 KR200407624 Y1 KR 200407624Y1 KR 2020050031047 U KR2020050031047 U KR 2020050031047U KR 20050031047 U KR20050031047 U KR 20050031047U KR 200407624 Y1 KR200407624 Y1 KR 2004076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board
fold lines
food
sides
side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10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관
Original Assignee
조병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병관 filed Critical 조병관
Priority to KR20200500310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6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6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6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1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a single blank to U-shape to form the base of the container and opposite sides of the body portion, the remaining sides being formed primarily by extensions of one or more of these opposite sides, e.g. flaps hing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 B65D5/5405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blank in tubular form
    • B65D5/542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blank in tubular form the lines of weakness being provided in the container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패스트푸드(fast food)와 같이 손으로 들고 먹을 수 있는 음식물 포장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대의 상부와 전면이 개방되어 막대형으로 길게 형성된 음식물의 수납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음식물을 포장대의 전방으로 인출하면서 먹을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은, 판지(10)의 양측에는 측면 접힘선(13a)들이 각각 형성되고, 판지(10)의 후방에는 후면 접힘선(13b)이 형성되며, 양 측면 접힘선(13a)들과 후면 접힘선(13b)들 사이에는 대각선 접힘선(13c)들이 각각 형성되어 판지(10)의 양 측면판(11)과 후면판(12)을 접힘선(13a)(13b)들을 중심으로 상부로 접으면 후면판(12)과 양 측면판(11)들 사이는 대각선 접힘선(13c)에 의하여 서로 합쳐지면서 코너를 이루어 판지(10)의 양측과 후면은 막혀지고, 판지(10)의 상부와 전면은 개방되어 막대형 음식물(20)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포장대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음식물 포장대{a packing paper for solid food}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전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포장대에 음식물이 수납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포장대가 절취선을 따라 절취되어 분리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판지
11 : 측면판
11a : 곡면
12 : 후면판
13a, 13b, 13c : 접힘선
14 : 절취선
20 : 음식물
본 고안은 패스트푸드(fast food)와 같이 손으로 들고 먹을 수 있는 음식물 포장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대의 상부와 전면이 개방되어 막대형으로 길게 형성된 음식물의 수납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음식물을 포장대의 전방으로 인출하면서 먹을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스트푸드와 같은 음식은 소비자들이 음식을 주문하면 가게에서 간단한 조리를 거쳐 즉석에서 제공되는 음식으로 현대에는 젊은 층의 양식화 경향에 따라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고, 주로 종이로 이루어진 용기에 음식을 담아서 제공하면 소비자들은 음식을 먹은 후 사용된 용기를 버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용기는 주로 종이 박스나 봉지 내부에 음식물을 담아서 소비자들에게 제공하는 것이므로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막대 형상의 음식물을 박스나 봉지의 내부에 담는 경우에는 결국 손으로 봉지에 담겨진 음식물을 집어서 먹어야 하는 것이므로 상당히 비위생적이었다.
따라서, 봉지에 담겨진 막대 형상의 음식물을 먹기 위해서는 별도의 냅킨이나 휴지와 같은 종이를 사용하거나 포크 등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집어 먹어야 하는 것이므로 상당히 번거로웠을 뿐 아니라 냅킨이나 포크 등을 준비해야 함에 따라 매우 불편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포장대의 상부와 전면이 개방되어 막대형으로 길게 형성된 음식물의 수납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음식물을 포장대의 전방으로 인출하면서 먹을 수 있는 음식물 포장대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판지(10)의 양측에는 측면 접힘선(13a)들이 각각 형성되고, 판지(10)의 후방에는 후면 접힘선(13b)이 형성되며, 양 측면 접힘선(13a)들과 후면 접힘선(13b)들 사이에는 대각선 접힘선(13c)들이 각각 형성되어 판지(10)의 양 측면판(11)과 후면판(12)을 접힘선(13a)(13b)들을 중심으로 상부로 접으면 후면판(12)과 양 측면판(11)들 사이는 대각선 접힘선(13c)에 의하여 서로 합쳐지면서 코너를 이루어 판지(10)의 양측과 후면은 막혀지고, 판지(10)의 상부와 전면은 개방되어 막대형 음식물(20)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포장대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의 전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지(10)의 양측에는 측면 접힘선(13a)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판지(10)의 후방에는 후면 접힘선(13b)이 형성되어 있으 며, 양 측면 접힘선(13a)들과 후면 접힘선(13b)들 사이에는 대각선 접힘선(13c)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판지(10)의 양 측면판(11)과 후면판(12)을 접힘선(13a)(13b)들을 중심으로 상부로 접으면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후면판(12)과 양 측면판(11)들 사이는 대각선 접힘선(13c)에 의하여 서로 합쳐지면서 코너를 이루어 접혀진다.
따라서, 판지(10)의 양측과 후면은 막혀지고, 판지(10)의 상부와 전면은 개방되어 막대형 음식물(20)을 간편하게 수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양 측면판(11)들의 전면과 후면은 부드러운 곡면(11a)을 이루어 신체와 접촉되었을 때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판지(10)에는 구멍들이 연속 천공된 절취선(14)들이 형성되어 막대형 음식물(20)을 먹을 때 음식물(20)의 길이가 짧아지면 절취선(14)을 따라 판지(10)들을 단계적으로 절취하여 음식물(20)을 간편하게 먹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판지(10)의 양 측면판(11)과 후면판(12)을 상부로 접기만 하면 후면판(12)과 양 측면판(11)들 사이는 대각선으로 접혀지면서 코너를 이루어 판지(10)의 양측과 후면은 막혀지고, 판지(10)의 상부와 전면은 개방되는 것이므로 가게에서 간단한 조리를 거쳐 즉석에서 제공되는 막대형 음식물(20)을 판지(1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간편하게 수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판지(10)의 양 측면판(11)을 가볍게 잡고 개방된 전면을 통해 막대형 음식물(20)을 인출하면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것이므로 포장대의 사용이 매우 편리할 뿐 아니라 별도의 냅킨이나 포크와 같은 용품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음식물(20)과 손이 직접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간편하게 음식물(20)을 들고 먹을 수 있는 것이므로 매우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막대형 음식물(20)을 먹을 때 절취선(14)을 따라 판지(10)들을 단계적으로 절취하면 음식물(20)의 길이가 짧아지더라도 음식물(20)을 계속하여 인출하지 않으면서도 매우 간편하게 음식물(20)을 먹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판지(10)의 양 측면판(11)과 후면판(12)을 상부로 접기만 하면 후면판(12)과 양 측면판(11)들 사이는 대각선으로 접혀지면서 코너를 이루어 판지(10)의 양측과 후면은 막혀지고, 판지(10)의 상부와 전면은 개방되는 것이므로 막대형 음식물(20)을 판지(1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간편하게 수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소비자가 판지(10)의 양 측면판(11)을 가볍게 잡고 개방된 전면을 통해 막대형 음식물(20)을 인출하면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것이므로 포장대의 사용이 매우 편리할 뿐 아니라 별도의 냅킨이나 포크와 같은 용품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음식물(20)과 손이 직접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간편하게 음식물(20)을 들고 먹을 수 있는 것으로서 포장대를 매우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판지(10)의 양측에는 측면 접힘선(13a)들이 각각 형성되고, 판지(10)의 후방에는 후면 접힘선(13b)이 형성되며, 양 측면 접힘선(13a)들과 후면 접힘선(13b)들 사이에는 대각선 접힘선(13c)들이 각각 형성되어 판지(10)의 양 측면판(11)과 후면판(12)을 접힘선(13a)(13b)들을 중심으로 상부로 접으면 후면판(12)과 양 측면판(11)들 사이는 대각선 접힘선(13c)에 의하여 서로 합쳐지면서 코너를 이루어 판지(10)의 양측과 후면은 막혀지고, 판지(10)의 상부와 전면은 개방되어 막대형 음식물(20)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포장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지(10)에는 구멍들이 연속 천공된 절취선(14)들이 형성되어 막대형 음식물(20)을 먹을 때 절취선(14)을 따라 판지(10)들을 단계적으로 절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포장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양 측면판(11)들의 전면과 후면은 부드러운 곡면(11a)을 이루어 신체와 접촉되었을 때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포장대.
KR2020050031047U 2005-11-02 2005-11-02 음식물 포장대 KR2004076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047U KR200407624Y1 (ko) 2005-11-02 2005-11-02 음식물 포장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047U KR200407624Y1 (ko) 2005-11-02 2005-11-02 음식물 포장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624Y1 true KR200407624Y1 (ko) 2006-02-02

Family

ID=44480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047U KR200407624Y1 (ko) 2005-11-02 2005-11-02 음식물 포장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6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347B1 (ko) * 2008-12-18 2009-09-03 방봉오 음식물 포장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347B1 (ko) * 2008-12-18 2009-09-03 방봉오 음식물 포장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5911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ckaging
US20090108010A1 (en) Hinged-lid feminine hygiene product dispenser
KR200450117Y1 (ko) 포장용 박스
KR200407624Y1 (ko) 음식물 포장대
WO2015023207A1 (ru) Упаковка
KR20140060838A (ko) 소스 수용부 형성을 위한 절취면을 구비한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
JP2005500221A (ja) サンドイッチ包装
WO2011151648A1 (en) Item of food packaging
JP4887723B2 (ja) ランチボックス
KR101661812B1 (ko) 다용도 식도구 포장대
SK287196B6 (sk) Dávkovač papierových výrobkov
JP3238691U (ja) 包装箱、ブランクシート、および食品セット
JP2006224993A (ja) 衛生用紙収納箱
US2574927A (en) Container
EP1366997A2 (en) Combined package and holder for paper towels
KR20120006399U (ko) 일회용 식기 패키지
JP4362192B2 (ja) 引き出し内蔵の紙包装容器
KR102131210B1 (ko) 포장박스
CN216416308U (zh) 带消毒纸巾的一次性餐盒
JP2562641Y2 (ja) 持帰り用の紙箱
WO2009020411A1 (en) Container for carrying a take-away meal
JP3215843U (ja) フィンガーフード容器切出デザインシート
KR20090010685U (ko) 소스 수납부가 내부에 형성된 종이 용기
RU136028U1 (ru) Упаковка
RU142227U1 (ru) Упаковка для ланч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