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3079B1 - 즉석조리식품용 포장지 - Google Patents

즉석조리식품용 포장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3079B1
KR101313079B1 KR1020100087786A KR20100087786A KR101313079B1 KR 101313079 B1 KR101313079 B1 KR 101313079B1 KR 1020100087786 A KR1020100087786 A KR 1020100087786A KR 20100087786 A KR20100087786 A KR 20100087786A KR 101313079 B1 KR101313079 B1 KR 101313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apping paper
packaging
cutting
ready
zippe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7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5720A (ko
Inventor
이근하
방종관
Original Assignee
방종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종관 filed Critical 방종관
Priority to KR1020100087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3079B1/ko
Publication of KR20120025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5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65D33/2508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 B65D33/2516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comprising tamper-indicating means, e.g. located within the fastener
    • B65D33/2533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comprising tamper-indicating means, e.g. located within the fastener the slide fastener being located between the product compartment and the tamper indic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8Standing pouches, i.e. "Standbeut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05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45Utensils for removing the contents from the package, e.g. spoons, forks, spatul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즉석조리식품용 포장지에 관한 것으로, 합성수지층의 일측면에 알루미늄층이 라미네이팅 된 포장지본체 두 겹을 알루미늄층이 내부에 위치되도록 맞댄 상태에서 양측단을 열접합하고, 하단은 포장지바닥을 덧대 펴질 수 있도록 열접합하여 밀봉하며, 내부에는 즉석조리식품이 장입되고, 상단부 내면에는 개봉 또는 밀봉이 가능하도록 지퍼락을 구비한 즉석조리식품용 포장지에 있어서; 상기 지퍼락을 기준으로 상기 포장지본체를 일정폭 연장하여 수납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부에는 숟가락, 젓가락을 포함하는 취식부재가 장입되며, 상기 취식부재가 장입된 포장지본체의 상단은 롤본딩 형태로 열접합되고, 상기 포장지본체의 양단에는 상기 지퍼락을 사이에 두고 제1,2절취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조리식품용 포장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즉석조리식품을 포장하는 포장지 자체가 취식할 수 있는 용기가 되므로 원가절감은 물론 사용하기 편리하고, 또한 취식 도구인 숟가락, 젓가락이 함께 포장되어 있으므로 언제 어디서나 용이하게 취식할 수 있으며, 절취선이 구비되어 있어 정확하고 일정한 절취를 가능하게 하여 절취 불량이나 절취 중 부어 놓은 뜨거운 물이 넘치거나 흘리지 않고, 바닥을 최대로 확장할 수 있어 안정감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즉석조리식품용 포장지{INSTANT FOOD CASE}
본 발명은 즉석조리식품용 포장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고 특히, 숟가락 젓가락을 포함하고 있어 사용상 편의성이 증진된 즉석조리식품용 포장지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과 핵가족화, 맞벌이 및 독신가구 등의 증가로 인해 식생활의 간편화를 추구하는 경향이 날로 증대되고 있다.
이처럼 편의지향적인 소비자들의 필요 요구에 의해 식품업계에서는 간단히 조리하여 즉석에서 섭취할 수 있는 다양한 즉석조리식품들을 출시하고 있다.
이러한 즉석조리식품들은 많은 시간과 식품재료들이 필요한 음식을 직접 조리해 내기보다는 언제 어디서든 즉석에서 간편하게 조리하여 섭취할 수 있어 그 종류와 생산량이 점점 더 증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즉석조리식품들 중 대표적인 예로, 컵라면을 들 수 있고, 밥 종류, 죽 종류, 국 종류, 짜장면류, 냉면류, 누룽지 등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그런데, 이들 대부분은 뜨거운 물을 부은 후 일정시간이 경과한 다음에 취식할 수 있도록 조리되어 있기 때문에 뜨거운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어느 정도 강도를 가진 용기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합성수지물로 성형된 용기들이 대부분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의 경우 용기 제조에 필요한 공정증대, 원가상승은 물론 부피가 커 유통상 불리한 점이 많았다.
최근에는 지퍼락을 이용하고 하면을 넓게 유지하며 지지면에 안정적으로 받쳐 세울 수 있는 구조의 봉지형 용기가 개시된 바 있으며, 이를 통해 별도의 합성수지물 용기를 만들지 않고도 필름형 봉지 자체로 포장겸 용기로 활용함으로써 사용 후 폐기하기도 쉽고 부피도 작으며 제조원가도 낮출 수 있도록 한 예들이 있다.
하지만, 상술한 지퍼락 용기를 비롯한 대부분의 즉석조리식품용 포장지에는 숟가락, 젓가락 등 즉석조리식품을 간편하게 취식할 수 있는 수단들이 일체로 갖추어져 있지 않고 별개로 판매되거나 혹은 별개로 취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였다.
물론, 실용공고 제19996-0004447호 '숟가락이 내장된 빙과용기', 등록특허 제0700789호 '저장용기 뚜껑 및 기구물', 등록특허 제0847645호 '즉석라면 용기' 등에는 숟가락 혹은 젓가락이 용기의 상면 혹은 하면에 별체로 함께 구비되고 포장된 예가 개시된 경우가 있기도 하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앞서 설명한 합성수지로 성형된 용기(어느 정도 강성을 갖는 용기)의 상면에 안착된 후 포장되거나 혹은 하면에 별도의 하우징을 더 두어 포장되는 형태로 구비되고 있기 때문에 제조공정상, 비용상 개선이 요구되었고, 봉지형 즉석조리식품 포장용기 자체에 숟가락이나 젓가락 등이 일체로 구비된 예는 확인된 바 없다.
뿐만 아니라, 합성수지로 성형된 용기는 개방된 상부를 접착방식으로 밀봉하고 있기 때문에 취식하기 위해 뜯어내기 불편하였고, 봉지형 포장지의 경우 측면에 커팅용 홈을 두어 쉽게 절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는 하지만 절취홈만 일부 가공되어 있는 형태이므로 절취시 일직선상으로 깔끔하게 잘리지 않아 잘못 절취된 경우 열접합된 접합부를 양쪽에서 힘을 가해 당겨 개봉해야 하므로 이또한 매우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즉석조리식품을 포장함과 동시에 취식에 적당한 용기 형상을 가지면서 상단부에는 숟가락, 젓가락 등이 내장되어 있어 취식하기 쉽고, 지퍼락 형태의 밀봉수단이 구비되어 즉석조리식품 조리에 적당하며, 조리 후 깔끔하고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는 절취선 구조를 갖추고 있어 사용상 편리성이 극대화된 새로운 형태의 즉석조리식품용 포장지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합성수지층의 일측면에 알루미늄층이 라미네이팅 된 포장지본체 두 겹을 알루미늄층이 내부에 위치되도록 맞댄 상태에서 양측단을 열접합하고, 하단은 포장지바닥을 덧대 펴질 수 있도록 열접합하여 밀봉하며, 내부에는 즉석조리식품이 장입되고, 상단부 내면에는 개봉 또는 밀봉이 가능하도록 지퍼락을 구비한 즉석조리식품용 포장지에 있어서; 상기 지퍼락을 기준으로 상기 포장지본체를 일정폭 연장하여 수납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부에는 숟가락, 젓가락을 포함하는 취식부재가 장입되며, 상기 취식부재가 장입된 포장지본체의 상단은 롤본딩 형태로 열접합되고, 상기 포장지본체의 양단에는 상기 지퍼락을 사이에 두고 제1,2절취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조리식품용 포장지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2절취홈 각각과 일직선을 유지하도록 상기 포장지본체의 알루미늄층에는 '∨' 형상의 절취선이 더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포장지바닥이 접합된 상기 포장지본체의 하단 양측에는 일정폭의 벌림부가 더 형성되어 상기 포장지바닥을 넓게 벌릴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벌림부는 하향 경사지게 사선방향으로 절단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즉석조리식품을 포장하는 포장지 자체가 취식할 수 있는 용기가 되므로 원가절감은 물론 사용하기 편리하고, 또한 취식 도구인 숟가락, 젓가락이 함께 포장되어 있으므로 언제 어디서나 용이하게 취식할 수 있으며, 절취선이 구비되어 있어 정확하고 일정한 절취를 가능하게 하여 절취 불량이나 절취 중 부어 놓은 뜨거운 물이 넘치거나 흘리지 않고, 바닥을 최대로 확장할 수 있어 안정감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즉석조리식품용 포장지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즉석조리식품용 포장지의 상부 개방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즉석조리식품용 포장지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즉석조리식품용 포장지의 변형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즉석조리식품용 포장지의 다른 변형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즉석조리식품용 포장지는 적어도 두 겹의 포장지본체(100)가 열접합되어 봉지 혹은 봉투 형상을 갖도록 제조된다.
이때, 상기 포장지본체(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층(110), 특히 폴리에틸렌 수지를 주재료로 하고, 여기에 알루미늄이 라미네이팅되어 형성된 알루미늄층(120)을 갖는 구조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합성수지층(110)은 반드시 폴리에틸렌 수지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 여러가지로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장지본체(100)의 상단부에는 상단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퍼락(200)이 형성된다.
상기 지퍼락(200)은 잘 알려져 있는 공지된 구조로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상기 포장지본체(100)의 양측면은 롤본딩 형태로 열접합되어 측부접합선(300)을 이루면서 밀봉된다.
또한, 상기 포장지본체(100)의 양측 상단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취홈, 예컨대 제1절취홈(400)과 제2절취홈(410)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1,2절취홈(400,410)은 이들 사이에 상기 지퍼락(200)이 배치되도록 간격을 두고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절취홈(400)은 후술될 취식부재(510)를 꺼내기 위한 절취용으로 활용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절취홈(410)은 뜨거운 물을 붓고 정해진 시간이 지난 후 지퍼백(200)을 열고 먹을 수도 있지만 지퍼백(200)을 포함한 채 완전히 절취되도록 하여 취식상 편의성을 더 높일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2절취홈(400,410)과 동일선상의 포장지본체(100) 내면, 즉 알루미늄층(12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 형상의 절취선(42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2절취홈(400,410)을 중심으로 포장지본체(100)를 절취하게 되면 상기 포장지본체(100)는 상기 절취선(420)을 따라 쉽게 절취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절취되는 형태도 랜덤하지 않고 일직선을 유지한 채 깔끔한 절단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절취하는 과정에서 절취 불량으로 유발되는 내부 장입물이 튄다던가 흘린다던가 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필요 부위만을 정확하게 절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퍼락(200)의 상측에는 일정한 크기의 공간인 수납부(500)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500)에는 숟가락, 젓가락 등의 취식부재(510)가 수납된다.
이때, 상기 취식부재(510)는 반드시 숟가락 또는 젓가락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장입된 내용물에 따라 포크 등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취식부재(510)가 장입된 후에는 상기 포장지본체(100)의 양측면에 형성된 측부접합선(300) 가공 공정과 동일하게 롤본딩 형태로 포장지본체(100)의 상단을 열접합하여 상기 취식부재(510)가 이탈되지 않도록 완전히 밀봉하게 된다.
다른 한편, 상기 포장지본체(100)의 하단에는 폭이 넓혀진 형태로 벌어질 수 있게 포장지본체(100)의 하단 양측이 일정 길이를 갖고 벌어지도록 벌림부(600)가 형성되고, 이 벌림부(600)의 폭만큼 롤본딩되어 하부접합선(620)을 이루면서 포장지바닥(610)이 포장지본체(100)의 하단 내측면에 견고히 열접합된다.
따라서, 상기 포장지본체(100)의 하단을 벌림부(600)의 크기 만큼 벌리게 되면 포장지본체(100)의 하부가 타원형태로 벌어지면서 펼쳐지게 되고 포장지바닥(610)은 바닥면에 견고히 안착되게 되므로 취식하기에 적당하도록 안정감을 제공하게 된다.
다른 예로,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벌림부(600)를 사선형태로 경사지게 절단하여 절단면(600')을 형성함으로써 포장지바닥(610)이 벌어지는 폭을 더 넓게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포장지본체(100)를 세웠을 때 더욱 더 안정성이 증진되므로 이 상태에서 취식하게 되면 넘어짐이나 흔들림이 극소화되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더욱 더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절단면(600')은 당연히 포장지본체(100)의 양측 하단에 형성된 벌림부(600) 모두에 그대로 적용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활용될 수 있다.
먼저,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지를 파지한 상태에서 포장지본체(100) 상단부 양측에 형성된 제1절취홈(400) 중 어느 한 쪽을 기준으로 그 윗부분의 포장지본체(100)를 잡고 비틀어 당기게 되면 비틀림에 의해 제1절취홈(400) 부분이 찢어지면서 포장지본체(100)의 측부가 절취되게 된다.
이 경우, 제1절취홈(400)과 일직선상에 절취선(420)이 더 형성된 경우라면 이와 같은 절취 작업은 아주 쉽고 정확하게 일직선상으로 절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과정을 거쳐 포장지본체(100)의 상단 일부가 절취되면 그 내부에 장입되어 있던 숟가락, 젓가락, 포크 등의 취식부재(510)를 꺼낸다.
이어, 사용자는 지퍼락(200)의 락을 해제하여 포장지본체(100)의 상부를 개방한다.
그러면, 포장지본체(100) 내부에는 사용자가 취식하고자 하는 즉석조리식품이 내장되어 있으므로 원하는 만큼 뜨거운 물을 붓는다.
이후, 조리의 신속성과 맛, 풍미 등을 위해 해제되었던 지퍼락(200)을 눌러 다시 락(Lock) 시킨다.
이에 따라, 물이 들어가면서 포장지본체(100)의 바닥면인 포장지바닥(610)은 펼쳐지게 되고, 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 놓게 되면 바닥면이 타원형상으로 넓게 펴지면서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된다.
이때, 상기 포장지본체(100)의 하단은 하부접합선(620)을 따라 일정폭이 열접합되어 있으므로 그 부분은 일정한 강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포장지본체(100)가 흐물거리거나 좌굴되거나 하지 않고 똑바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경우, 도 5의 예시와 같이, 벌림부(600)가 사선방향으로 절단되어 경사면(600')을 갖는 구조라면 더욱 더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할 것이다.
이렇게 하여,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조리가 완료되고, 사용자는 지퍼락(200)을 다시 해제한 다음 조리된 즉석식품을 취식하거나 혹은 제2절취홈(410)을 따라 절취하여 지퍼락(200)을 포함한 포장지본체(100)의 상단 일부를 완전히 절단한 다음 취식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가능하면 후자 형태로 취식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전자의 경우 지퍼락(200)을 해제시킬 때 힘을 가해 벌려야 하므로 그 과정 중 충격이나 심한 유동이 발생하여 지퍼락(200)이 해제되면서 내용물이 쏟아지거나 튀거나 흘리면서 뜨거운 물에 의해 취식자 또는 그 주변 사람들이 화상을 입을 수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것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후, 취식자는 미리 절취하여 파지하고 있던 숟가락, 젓가락 등의 취식부재(510)를 이용하여 즉시에 즉석조리식품을 먹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즉석조리식품용 포장지는 개봉과 밀봉이 매우 편리하고, 숟가락 젓가락 등의 취식부재(510)가 함께 구비되어 있어 더욱 더 편리하며, 벌림부(600)에 의해 취식시 지지력과 안정성을 더욱 더 극대화시키는 장점을 가진다.
100 : 포장지본체 110 : 합성수지층
120 : 알루미늄층 200 : 지퍼락
300 : 측부접합선 400 : 제1절취홈
410 : 제2절취홈 420 : 절취선
500 : 수납부 510 : 취식부재
600 : 벌림부 600' : 경사면
610 : 포장지바닥 620 : 하부접합선

Claims (4)

  1. 합성수지층(110)의 일측면에 알루미늄층(120)이 라미네이팅 된 포장지본체(100) 두 겹을 알루미늄층(120)이 내부에 위치되도록 맞댄 상태에서 양측단을 열접합하고, 하단은 포장지바닥(610)을 덧대 펴질 수 있도록 열접합하여 밀봉하며, 내부에는 즉석조리식품이 장입되고, 상단부 내면에는 개봉 또는 밀봉이 가능하도록 지퍼락(200)을 구비한 즉석조리식품용 포장지에 있어서;
    상기 지퍼락(200)을 기준으로 상기 포장지본체(100)를 일정폭 연장하여 수납부(500)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부(500)에는 숟가락, 젓가락을 포함하는 취식부재(510)가 장입되며,
    상기 취식부재(510)가 장입된 포장지본체(100)의 상단은 롤본딩 형태로 열접합되고,
    상기 포장지본체(100)의 양단에는 상기 지퍼락(200)을 사이에 두고 제1,2절취홈(400,410)이 형성되되, 상기 제1,2절취홈(400,410) 각각과 일직선을 유지하도록 상기 포장지본체(100)의 내측면을 이루는 알루미늄층(120)에는 '∨' 형상의 절취선(420)이 더 형성되며,
    상기 포장지바닥(610)이 접합된 상기 포장지본체(100)의 하단 양측에는 일정폭의 벌림부(600)가 더 형성되어 상기 포장지바닥(610)을 넓게 벌릴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벌림부(600)는 하향 경사지게 사선방향으로 절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조리식품용 포장지.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00087786A 2010-09-08 2010-09-08 즉석조리식품용 포장지 KR101313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786A KR101313079B1 (ko) 2010-09-08 2010-09-08 즉석조리식품용 포장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786A KR101313079B1 (ko) 2010-09-08 2010-09-08 즉석조리식품용 포장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720A KR20120025720A (ko) 2012-03-16
KR101313079B1 true KR101313079B1 (ko) 2013-10-01

Family

ID=46131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7786A KR101313079B1 (ko) 2010-09-08 2010-09-08 즉석조리식품용 포장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30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112B1 (ko) * 2014-11-17 2016-06-16 이재훈 접이식 용기
KR102114725B1 (ko) 2019-02-11 2020-06-05 이흥수 다중 시트를 구비하는 연결형 포켓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3037A (ja) * 1997-12-26 1999-07-21 Satake Eng Co Ltd スタンディング包装袋
KR20000010874U (ko) * 1998-11-27 2000-06-26 서경배 포장용 비닐 봉지의 결합부 개폐구조
JP2001240074A (ja) * 2000-02-29 2001-09-04 Teikoku Seiyaku Co Ltd 外用貼付剤用の包装袋
KR101009099B1 (ko) 2008-10-31 2011-01-18 주식회사 수정실업 과채류 포장용 비닐팩의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3037A (ja) * 1997-12-26 1999-07-21 Satake Eng Co Ltd スタンディング包装袋
KR20000010874U (ko) * 1998-11-27 2000-06-26 서경배 포장용 비닐 봉지의 결합부 개폐구조
JP2001240074A (ja) * 2000-02-29 2001-09-04 Teikoku Seiyaku Co Ltd 外用貼付剤用の包装袋
KR101009099B1 (ko) 2008-10-31 2011-01-18 주식회사 수정실업 과채류 포장용 비닐팩의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720A (ko) 201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48936B1 (en) Disposable brewing device
JP5443310B2 (ja) 包装用袋
CN103359398B (zh) 容器装方便食品、该食品的烹饪方法及方便食品用容器
KR101313079B1 (ko) 즉석조리식품용 포장지
KR200475771Y1 (ko) 물 주입구를 갖는 겹침 구조의 즉석식품 용기
KR101513851B1 (ko) 스틱이 구비된 커피믹스
KR101543513B1 (ko) 식품용 다용도 포장박스
US20190291939A1 (en) Single-serve condiment container and associated method
JP4515898B2 (ja) 容器入り食品及び食品用容器
CN207275411U (zh) 可折叠变形成杯子的纸盒包装
EP0263211A1 (en) Double-unit beverage package container
JP2017512161A (ja) 折り畳み式コップ
CN203359177U (zh) 具有多层密封室的一次性热塑包装容器
TWI342290B (ko)
JP2006096388A (ja) 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CN110436011A (zh) 包装
KR101631112B1 (ko) 접이식 용기
KR200328312Y1 (ko) 종이컵 뚜껑 기능을 포함한 티백 포장체
KR200210193Y1 (ko) 중첩된 일회용 인스턴트 식품용기
CN216003641U (zh) 一种饮料包装袋
KR20170126419A (ko) 봉지 라면
JP5596324B2 (ja) 電子レンジ加熱用包装袋
KR200385834Y1 (ko) 라면 포장용기
KR102114725B1 (ko) 다중 시트를 구비하는 연결형 포켓 시스템
KR200299006Y1 (ko) 식품포장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