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9006Y1 - 식품포장지 - Google Patents

식품포장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9006Y1
KR200299006Y1 KR2020020029370U KR20020029370U KR200299006Y1 KR 200299006 Y1 KR200299006 Y1 KR 200299006Y1 KR 2020020029370 U KR2020020029370 U KR 2020020029370U KR 20020029370 U KR20020029370 U KR 20020029370U KR 200299006 Y1 KR200299006 Y1 KR 2002990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ntents
food packaging
food
wrapping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93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근
Original Assignee
김선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근 filed Critical 김선근
Priority to KR20200200293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90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90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9006Y1/ko

Links

Landscapes

  • Package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김치, 고추장, 된장 등의 발효식품 및 과자 등의 스낵류를 포장하는데 이용되는 식품포장지에 관한 것으로, 개봉을 보다 용이하게 하여, 식품포장지의 개봉시 부주의로 인하여 포장지가 과다하게 찢어져 내용물이 외부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며, 개봉 후에도 어떤 별도의 동작이나 수단없이 보다 편하게 내용물을 취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Description

식품포장지{WRAPPING PAPER OF FOOD}
본 고안은 포장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김치, 고추장, 된장 등의 발효식품 및 과자류를 포장하는데 이용되는 포장지의 개봉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간편하게 그 내용물을 먹을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식품포장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치, 고추장, 된장 등의 발효식품 및 과자 등의 스낵류를 포장하는 식품포장지는 폴리에틸렌재질을 이용한 필름이 사용되며, 또한 그 상, 하측의 개방부를 열융착에 의하여 밀봉시킴으로써 포장지가 형성된다.
그리고, 부스러지기 쉬운 과자 등의 스낵류의 경우에는 포장지 내부에 과자 등의 내용물과 함께 질소를 충진시킴으로써 운반이나 보관시 외부의 충격 및 압력에 의한 내용물의 손상을 최소화한다. 한편, 습기에 취약하고, 공기와 접촉할 경우 변질이 우려되는 발효식품의 경우에는 그 내용물을 폴리에틸렌 및 폴리염화재질의 포장지를 이용하여 포장한다.
이러한 종래의 식품포장지의 개봉을 위해서는 열융착된 상, 하단의 접합부를 뜯어 개봉한 뒤에 그 내부의 내용물을 취하게 되어 있으나, 사용자가 포장지를 개봉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크기의 악력(握力)이 요구되며, 또한 과다한 악력으로 인하여 포장지가 찢어지거나, 너무 많이 절개되어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거나 쏟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어린이 및 노약자 등은 포장지를 개봉하기 위한 악력이 부족하여 가위 및 칼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절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또한 가위 및 칼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식품포장지를 개봉하다가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하여 부상 및 사고를 당할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식품포장지는 일반적으로 세로의 폭에 비하여 가로의 폭이 좁은 직사각형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식품포장지의 상, 하단의 접합부를 절개하여 개봉한 후 내용물을 취할때 식품포장지가 수직으로 세워지지 않기 때문에 손에 들고있지 않는 한은 항상 쓰러지거나 기울어져 그 내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개봉이 용이하여 식품 포장지의 개봉시 부주의로 인하여 포장지가 과다하게 찢어지거나, 이로 인하여 내용물이 외부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며, 개봉 후에도 어떤 별도의 동작이나 수단없이 보다 편하게 내용물을 취할 수 있는 식품 포장지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식품포장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식품포장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식품포장지, 11...봉지부,
12...접합부, 14...개봉손잡이,
15...덮개, 16...개봉구,
19...내용물.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내용물이 구비되는 봉지부와, 상기 봉지부의 상, 하단부를 열융착하여 밀봉된 접합부로 구성되는 식품포장지에 있어서, 상기 봉지부의 일측 소정위치에 상향 돌출되는 개봉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식품포장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식품포장지(10)는 김치, 고추장, 된장 등의 발효식품 및 과자 등의 스낵류로 형성되는 내용물(19)을 내부에 구비하는 봉지부(11)와, 상기봉지부(11)의 상, 하단부에 열융착으로 접착 및 밀봉되는 접합부(12)로 구성되며, 본 고안에서는 상기 봉지부(11)의 일측 외주면 소정위치에 열융착되어 형성되는 개봉손잡이(14)가 구비되며, 상기 개봉손잡이(14)는 상기 봉지부(11)에서 연장되어 상향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상기 식품포장지(10)는 봉지부(11) 하단을 열융착하여 접착 및 밀봉시킨 상태에서 그 내부에 내용물(19)을 충진한 후 내용물(19)의 파손 및 유통상의 변질을 막기 위하여 질소 등을 가스를 주입시킨 다음 상기 봉지부(11)의 상단부를 열융착하여 밀봉된다. 그리고, 상기 봉지부(11)의 일측 외주면 소정위치에는 상기 봉지부(11)에서 연장되어 상향 돌출되는 개봉손잡이(14)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봉지부(11)의 외부면에는 상기 개봉손잡이(14)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안내선이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식품포장지(10) 내부의 내용물(19)을 취하기 위해서는 상기 봉지부(11)의 일측 외부면에 구비되는 개봉손잡이(14)에 힘을 부가하여 상기 봉지부(11)의 외측으로 당겨 절개 및 개봉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 및 형태의 개봉구(16)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봉지부(11)의 외부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개봉손잡이(14)를 당겨 절개하여 그 내부의 내용물을 취하기 용이한 형상의 개봉구(16)를 얻기 위한 안내선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개봉손잡이(14)를 당겨 안내선을 따라 절개함으로써 보다 간편하게 개봉구(16)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봉지부(11)의 개봉구(16)를 상방향으로 향하도록함으로써, 상기 식품포장지(10)가 넘어져 내용물(19)이 쏟아질 위험이 없게 된다.
즉, 식탁 등의 바닥면에 상기 식품포장지(10)를 봉지부(11)의 개봉손잡이(14)가 상방향을 향하게 하여 놓아둔 다음 상기 봉지부(11)의 개봉손잡이(14)를 잡고 힘을 부가하여 상기 봉지부(11)의 외측으로 당겨 절개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 및 형태의 개봉구(16)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봉손잡이를 잡고 안내선을 따라 절개함으로서 보다 용이하게 개봉구(16)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 개봉구(16)를 통하여 상기 봉지부(11) 내부의 내용물(19)을 취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 의하여 상기 식품포장지(10) 내부의 내용물(19)이 외부로 쏟아지거나 유출되지 않으므로 과자 등의 스낵류는 물론이고 김치, 고추장, 된장 등의 발효식품을 보다 간편한게 취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식품포장지(1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상기 식품포장지(10) 봉지부(11)의 일측 외부면의 구성을 달리한 것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식품포장지(10) 봉지부(11)의 어느 일측 소정위치에 원형상의 개봉구(16)가 형성되고, 상기 개봉구(16)의 외주면에는 상기 개봉구(16)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 개봉손잡이(14)를 구비한 덮개(15)가 구비되며, 상기 덮개(15)와 개봉구(16)는 열융착되어 접합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식품포장지(10) 봉지부(11)의 어느 일측면 소정위치에는 그 내부의 내용물(19)을 취하기 위한 원형의 개봉구(16)가 형성되고, 상기 개봉구(16)의 외주면에는 상기 개봉구(16)의 형상과 대응되고, 그 지름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는덮개(15)가 구비된다. 상기 덮개(15)는 일측에는 외향 돌출되는 개봉손잡이(14)가 구비되고, 상기 개봉손잡이(14)는 상기 덮개(15)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개봉구(16)와 덮개(15)는 열융착되어 상호 접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식품포장지(10)는 상기 봉지부(11)의 일측면 소정위치에 형성되는 개방구의 외주면에 그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는 덮개(15)를 열융착으로 접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봉지부(11)의 하단을 열융착하여 밀봉 및 접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봉지부(11) 내부에 내용물(19)을 충진한 후 내용물(19)의 파손 및 유통상의 변질을 막기 위하여 질소 등의 가스를 주입시킨 다음 상기 봉지부(11)의 상단부를 열융착하여 접합시킴으로써 밀봉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식품포장지(10) 내부의 내용물(19)을 취하기 위해서는 상기 봉지부(11)의 덮개(15) 일측에 상향 돌출되는 개봉손잡이(14)를 잡고 힘을 부가하여 상기 봉지부(11)의 외부측으로 당겨서 상기 덮개(15)와 상기 개봉구(16)의 접합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식품포장지(10)가 보다 용이하게 개방된다.
즉, 식탁 및 바닥면에 상기 식품포장지(10)의 덮개(15)를 상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놓은 후 상기 덮개(15)의 일측에 형성되는 개봉손잡이(14)를 잡고 힘을 부가하여 상기 봉지부(11)의 외부측으로 당겨 상기 덮개(15)와 상기 개봉구(16)의 접합을 해제한 후 상기 덮개(15)의 내측에 형성되는 상기 개봉구(16)를 통하여 내용물(19)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봉구(16)가 상기 봉지부(11)의 일측 소정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불필요하게 식품포장지(10)를 세울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넘어짐으로 인하여 그 내부에 있는 내용물(19)이 외부로 쏟아지거나 유출되는 일이없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봉구(16)와 덮개(15)가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삼각형상 및 사각형상 등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고, 또한 상기 개봉구(16)의 외주면에 덮개(15)가 열융착에 의하여 접합되기 위하여 상기 덮개(15)의 크기는 상기 개봉구(16)의 크기보다 약간 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개봉이 용이하여 식품 포장지의 개봉시 부주의로 인하여 포장지가 과다하게 찢어지거나, 이로 인하여 내용물이 외부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며, 개봉 후에도 어떤 별도의 동작이나 수단없이 보다 편하게 내용물을 취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Claims (3)

  1. 내부에 내용물이 구비되는 봉지부와, 상기 봉지부의 상, 하단부를 열융착하여 밀봉된 접합부로 구성되는 식품포장지에 있어서,
    상기 봉지부의 일측 소정위치에 상향 돌출되는 개봉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손잡이는 열융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지.
  3. 내부에 내용물이 구비되는 봉지부와, 상기 봉지부의 상, 하단부를 열융착하여 밀봉된 접합부로 구성되는 식품포장지에 있어서,
    상기 봉지부의 일측 소정위치에 원형상의 개봉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봉구의 외주면에 상기 개봉구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 개봉손잡이를 구비한 덮개가 열융착되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지.
KR2020020029370U 2002-10-01 2002-10-01 식품포장지 KR2002990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370U KR200299006Y1 (ko) 2002-10-01 2002-10-01 식품포장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370U KR200299006Y1 (ko) 2002-10-01 2002-10-01 식품포장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9006Y1 true KR200299006Y1 (ko) 2002-12-31

Family

ID=73084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9370U KR200299006Y1 (ko) 2002-10-01 2002-10-01 식품포장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900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42411A1 (en) * 2006-06-02 2007-12-13 Hee Dong Yoo Vinyl for packing food
KR101351343B1 (ko) * 2013-05-15 2014-01-14 박춘병 스낵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42411A1 (en) * 2006-06-02 2007-12-13 Hee Dong Yoo Vinyl for packing food
KR101351343B1 (ko) * 2013-05-15 2014-01-14 박춘병 스낵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8065A (en) Container
CA2907307C (en) Food packaging having an integrated spout
CA2766949A1 (en) Bag in box packaging having a tap articulating assembly
KR100969662B1 (ko) 내용물 배출구 일체형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팩 및 포장팩용손잡이
KR200299006Y1 (ko) 식품포장지
EP1538105B1 (en) Bag-like container with sealed spout
JP2004256170A (ja) スリーブ型カートンとこれを用いた包装体
JP3745021B2 (ja) 詰め替え容易な液体注出容器
JPH0577827A (ja) 包装容器
JP2004136951A (ja) 複合容器
KR101313079B1 (ko) 즉석조리식품용 포장지
KR20090007513U (ko) 커피믹스용 분할포장구조
JP3034765U (ja) 包装袋
KR200331739Y1 (ko) 음용을 위한 컵을 겸하는 차류 포장대
EP0797531B1 (en) Disposable container for liquids, in particular drinks
KR200326446Y1 (ko) 개폐 용이한 구조의 종이팩
JP4182591B2 (ja) 内容物取出し容易な容器
JP6314269B1 (ja) パウチ容器
KR200267949Y1 (ko) 개방이 용이한 유출구가 구비된 포장용기
KR200168434Y1 (ko) 식품 포장대
KR20040107070A (ko) 개폐 용이한 구조의 종이팩
JP3038038U (ja) 流動物用包装袋
KR200364942Y1 (ko) 과자류 포장대
KR200211469Y1 (ko) 포장용기의 밀봉캡
KR200376589Y1 (ko) 절취구조를 개선한 포장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