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739Y1 - 음용을 위한 컵을 겸하는 차류 포장대 - Google Patents

음용을 위한 컵을 겸하는 차류 포장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739Y1
KR200331739Y1 KR20-2003-0019922U KR20030019922U KR200331739Y1 KR 200331739 Y1 KR200331739 Y1 KR 200331739Y1 KR 20030019922 U KR20030019922 U KR 20030019922U KR 200331739 Y1 KR200331739 Y1 KR 2003317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board
cup
center
forming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99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양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로마빌
전영민
유희연
김진곤
이양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로마빌, 전영민, 유희연, 김진곤, 이양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로마빌
Priority to KR20-2003-00199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7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7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7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05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16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into which liquid is added and the resulting preparation is retained, e.g. cups preloaded with powder or dehydrated f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믹스커피나 티백을 이용한 녹차등 각종 차류들을 즉석에서 간편히 음용할 수 있도록한 차류 포장대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포장대는 소정의 너비를 가지고 장방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앙부분에 배치되는 중심절곡선을 중앙에 두고 양측으로 나누어져 좌,우면체를 이루고 길이방향 양변과 양단으로는 소폭의 접합면을 제공케하는 종이제의 판지와, 상기 판지의 중앙부분에 배치되는 중심절곡선을 중앙에 두고 양측으로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판지의 길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병렬배치되는 한쌍의 저면성형을 위한 절곡선과, 상기 각 좌,우면체 내측으로는 상기 판지의 길이방향과 병행하고 상기 저면성형을 위한 절곡선으로부터 상기 판지의 양단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한쌍의 컵주벽 성형을 위한 절곡선과, 상기 저면성형을 위한 절곡선 사이와 상기 컵주벽 성형을 위한 절곡선 외향측으로 제공되는 상기 판지의 부분면적을 삼각모양으로 따내어 이룬 부분절취부 및 상기 판지의 내면에 이중적으로 설치되어 침습을 방지케하는 내장지를 포함하며, 여기서, 판지를 길이방향에서 중심절곡선을 중심으로해 절첩한 후 양 측변에서 제공되는 접합부를 이용해 접합하여 포대를 구성시키고, 이렇게 구성된 포대의 개구부를 통하여 차원료를 투입한 후 그 개구부를 밀봉시키는 것으로 차원료가 포장됨과 아울러, 밀봉 포장되어 공급된 차원료 포장대를 최종소비자들이 포장대의 밀봉된 상단부를 절취시키고 포장대를 손으로 잡아 내향측으로 악력을 가하면 포장대의 주벽들에 성형된 상기 다수의 절곡선들에 의해 포장대가 다각면체로 절곡되며컵형상을 이루어 차류를 간편히 음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음용을 위한 컵을 겸하는 차류 포장대{Both wrap akind of tea and cup for drinking purpose}
본 고안은 믹스 커피나 티백을 이용한 녹차등 각종 차류들을 즉석에서 간편히 음용할 수 있도록한 차류 포장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류의 포장과 음용을 위한 컵으로 겸용할 수 있도록한 차류 포장대에 관한 것이다.
믹스커피나 티백을 이용한 녹차등 각종 차류들을 즉석에서 간편히 음용할 수 있도록한 것은 현재까지 여러가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그 일례로 컵형 또는 포대형, 더 상세하게는 컵을 이용해 차원료의 포장과 컵을 겸하게 하거나 또는 장방형상의 포대를 이용해 차원료의 포장과 그 포대의 일단부를 절취한 후 컵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하고 있다. 여기서, 포대형을 보면 국내 특허공개번호 2002-36036호를 볼 수 있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소정의 너비를 가지는 장방형상의 판지를 길이방향에서 절반으로 절첩한 후 양 측변을 그 변을 따라 소폭으로 접합하여 포대를 구성시키고, 이렇게 구성된 포대의 개구부를 통하여 차원료를 투입한 후 그 개구부를 밀봉시키는 것으로 포장되어 공급된다.
그리고 이렇게 밀봉 포장되어 공급된 차원료 포장대를 최종소비자들이 포장대의 밀봉된 상단부를 절취시키고 포장대를 손으로 잡아 내향측으로 악력을 가하면 포장대의 주벽들에 성형된 다수의 절곡선들에 의해 포장대가 다각면체로 절곡되어 컵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 같이 포장대를 컵형상으로 이룬 후 음용수를 부어 목적하는 차류를 음용하게 하였다.
그런데 상기한 것에서 포장대는 종이제로서 방습 즉, 습기가 포장대내로 침투되어 장기보관시 차원료가 부폐되는등 변질되는 사례가 발생하여 보관성이 저조하고 따라서, 제품의 신뢰성을 떨어뜨리고 있다.
또한 적당한 두께 다시설명하면 포장은 물론 컵의 형상유지를위해 적당한 두께를 가지는 종이제를 이용한 포장대가 컵형상으로 변화를 가할시 되돌아가 포장대 본래의 모습으로 원상복귀되는 현상이 일어나는 즉, 포장대의 저면을 이루게하는 주벽은 다각적이고 중복적으로 절곡선들이 배치되어 특히 컵형상으로 변화시의 저면 양측 모서리측에서 중복적이고 다각적으로 가지는 절곡선들이 포장대 본래의 모습으로 복원하는 현상이 일어나 사용자가 부주위로 악력 조절이 유지되지 못하였을 경우 컵형상이 본래의 포대형상으로 되돌아가 고온의 음용수를 부는 과정에서 변화된 컵이 다시 포장대로 변화시 고온수에 의해 화상등의 안전사고 다발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컵형상으로 변화된 상태가 안정되지 못해 제품의 신뢰성은 물론이고 사용에 안정성을 떨어뜨리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포장대를 이루는 종이제의 판지 내면에 일체로 방습층을 제공케하는 내장지를 이중적으로 갖추므로서, 포장대 내로 습기의 침습을 방지하고 따라서, 내장물의 보관성이 우수한 음용을 위한 컵을 겸하는 차류 포장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포장대를 컵형상으로 변화시 컵의 바닥을 이루는 저면 양측 모서리측을 부분적으로 따내어 부분절취공간을 갖추므로서, 포장대에서 컵형상으로 원할히 변화되고 따라서, 컵형상 변화가 안정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한 컵을 겸하는 차류 포장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믹스커피나 티백을 이용한 녹차등 각종 차류들을 즉석에서 간편히 음용할 수 있도록한 차류 포장대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포장대는 소정의 너비를 가지고 장방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앙부분에 배치되는 중심절곡선을 중앙에 두고 양측으로 나누어져 좌,우면체를 이루고 길이방향 양변과 양단으로는 소폭의 접합면을 제공케하는 종이제의 판지와, 상기 판지의 중앙부분에 배치되는 중심절곡선을 중앙에 두고 양측으로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판지의 길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병렬배치되는 한쌍의 저면성형을 위한 절곡선과, 상기 각 좌,우면체 내측으로는 상기 판지의 길이방향과 병행하고 상기 저면성형을 위한 절곡선으로부터 상기 판지의 양단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한쌍의 컵주벽 성형을 위한 절곡선과, 상기 저면성형을 위한 절곡선 사이와 상기 컵주벽 성형을 위한 절곡선 외향측으로 제공되는 상기 판지의 부분면적을 삼각모양으로 따내어 이룬 부분절취공간 및 상기 판지의 내면에 이중적으로 설치되어 침습을 방지케하는 내장지를 포함하며, 여기서, 판지를 길이방향에서 중심절곡선을 중심으로해 절첩한 후 양 측변에서 제공되는 접합부를 이용해 접합하여 포대를 구성시키고, 이렇게 구성된 포대의 개구부를 통하여 차원료를 투입한 후 그 개구부를 밀봉시키는 것으로 차원료가 포장됨과 아울러, 밀봉 포장되어 공급된 차원료 포장대를 최종소비자들이 포장대의 밀봉된 상단부를 절취시키고 포장대를 손으로 잡아 내향측으로 악력을 가하면 포장대의 주벽들에 성형된 상기 다수의 절곡선들에 의해 포장대가 다각면체로 절곡되며 컵형상을 이루어 차류를 간편히 음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 음용을 위한 컵을 겸하는 차류 포장대를 보여 주는 사시도.도 2는 본 고안 음용을 위한 컵을 겸하는 차류 포장대를 저면에서 바라 본 사시도,도 3은 본 고안 음용을 위한 컵을 겸하는 차류 포장대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음용을 위한 컵을 겸하는 차류 포장대의 전개된 모습을 보여 주는 평면도.
도 5a 5b는 본 고안 음용을 위한 컵을 겸하는 차류 포장대의 내부 구성을 보여 주는 단면도로서,
도 5a는 포장대의 모습이고,
도 5b는 컵으로 사용되는 모습이다.
도 6은 본 고안 음용을 위한 컵을 겸하는 차류 포장대의 사용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판지 14 :중심절곡선
16a,16b,16c :접합면 18,20 :절곡선
22 :부분절취공간 24 :내장지
26 :파지부
다음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 에는 본 고안이 포장대로 사용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 포장대의 저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요부를 확대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포장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전개도이다.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 포장대를 설명하겠다. 포장대는 소정의 너비를 가지고 장방형상으로 제단된 판지(12)를 이용해 제조된다. 더 상세하게는 소정의 너비를 가지고 장방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앙부분에 배치되는 중심절곡선(14)을 중앙에 두고 양측으로 나누어져 좌,우면체(12a,12b)를 이루고 판지(12)의 길이방향 양변과, 양단으로는 소폭의 접합면(16a,16b,16c)을 제공한다. 여기서, 판지(12)는 적당한 두께를 가지는 종이제이다.
그리고 판지(12)의 중앙부분에 배치되는 중심절곡선(14)을 중앙에 두고 양측으로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여 판지(12)의 길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병렬배치되는 한쌍의 수평 절곡선들(18)을 배치하고 있으며, 이 수평 절곡선들(18)은 접었을 때 바닥면을 구성한다.
또 각 좌,우면체(12a,12b) 내측으로는 판지(12)의 길이방향과 병행하고 상기 바닥 즉 저면성형을 위한 절곡선들(18)으로부터 상기 판지의 양단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한쌍의 컵주벽 성형을 위한 수직 절곡선들(20)이 배치되어 있는데, 이 컵주벽 성형을 위하여 수직 절곡선들(20)은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되어 컵형성시 도 2 및 도 6과 같이 다각면체를 구성하게 될 것이다.
또한 저면성형을 위한 수평 절곡선들(18) 사이와 컵주벽 성형을 위한 수직 절곡선들(20) 외향측으로 제공되는 판지(12)의 부분면적을 삼각모양으로 따내어 이룬 부분절취공간들(22)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부분절취공간들(22)은 본 고안에서 핵심적인 기술부분으로서, 포장대에서 컵형상으로 변화시 종래 다각적이고 중복적으로 면을 가지므로서 포장대 본래의 모습으로 복원되려는 것을 배제시키고 포장대에서 컵으로 원할히 형상변화를 이루도록하고 컵형상 변화시 안정된 구조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한편, 판지(12)의 내면에는 이중적으로 설치되어 침습을 방지케하는 내장지(24)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내장지(24)는 박판의 알루미늄제를 이용하는데, 그 이외 방습을 위한 것들을 이용할 수 도 있을 것이다.
또, 판지(12)의 양변 적당한 위치에는 양변으로 일정길이 외향으로 돌출되어 포장대를 컵형상으로 변화시 안정된 파지 즉, 파지상태가 미끄러나가지 않고 안정되게 컵 파지를 위해 설치되는 파지부들(26)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포장대는 먼저 기계적인 장치 예를 들어 프레스로 판지(12)를 찍어 중심, 수평, 수직 절곡선(14)(18)(20) 및 접합면(16a, 16b, 16c)을 형성한 다음, 삼각의 부분 절취공간(22)을 따낸다.이러한 판지(12)의 내측면에 내장지(24)를 접착하면, 부분 절취공간(22)에는 내장지(24)만 위치함으로써 컵 성형시 용이하게 절곡선들일 벌이지는 것이다.첨부된 도 5a, b는 포장대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로써, 절곡선들을 따라 순차적으로 접어 포장대를 구성하게 되는데 먼저, 수평 절곡선들(18)을 접어 좌, 우면체(12a,12b)를 세우고, 중심 절곡선(14)은 내측으로 접은 다음 양단의 접합면들(16a, 16b)을 접합하여 포대를 구성한다.이렇게 구성된 포대는 중심 절곡선(14)과 수평 절곡선들(18)이 바닥을 형성하고 좌,우면체(12a, 12b)가 주벽체를 구성하게 되며, 접착되지 않은 상부의 개구부를 통해 원료를 투입 후 그 개구부 즉 판지(12) 상단의 접합부들(16c)을 봉합시키는 것으로 차원료가 밀봉 포장됨과 아울러, 밀봉 포장되어 공급된 차원료 포장대를 최종소비자에게 공급되도록 한다.음용시에는 포장대의 밀봉된 상단부를 절취선(28)을 이용해 접합면(16c) 절취시키고 포장대를 손으로 잡아 내향측으로 악력을 가하면 포장대의 주벽들에 성형된 상기 다수의 절곡선들(14,18,20)에 의해 포장대가 다각면체로 절곡되며 컵형상을 이루어 차류를 간편히 음용할 수 있게 된다.다시 말해, 포장대를 내향측으로 악력을 가하면 수직 절곡선들(20)은 외향으로 벌어지고, 내측 중심 절곡선(14)은 하방으로 밀려나면서 벌어져 도 6과 같이 다각면체의 컵을 이루게 되는데, 이때 삼각의 부분절취공간(22)에는 부드러운 내장지(24)만 있으므로, 바닥면이 하방으로 밀려나도 다시 복원되는 일이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음용수를 부어 차류를 간단히 음용하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 포장대를 컵으로 사용하고 절취된 접합면(16c)가 스푼대용으로 사용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본 고안 음용을 위한 컵을 겸하는 차류 포장대의 효과를 설명하면, 본 고안은 포장대로부터 컵형상으로 변화가 원할히 이루어지고 컵형상으로 변화된 모습이 안정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 본 고안은 판지에 이중적으로 내장지를 갖추어 침습을 방지하고 내용물의 변질을 완전히 예방하고 보존성은 물론 보관성을 높이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파지부를 부가적으로 갖추어 안정되게 컵을 파지할 수 있게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소정의 너비를 가지고 장방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앙부분에 배치되는 중심절곡선을 중앙에 두고 양측으로 나누어져 좌,우면체를 이루고 길이방향 양변과 양단으로는 소폭의 접합면을 제공케하는 종이제의 판지;
    상기 판지의 중앙부분에 배치되는 중심절곡선을 중앙에 두고 양측으로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판지의 길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병렬배치되는 한쌍의 저면성형을 위한 절곡선들;
    상기 각 좌,우면체 내측으로는 상기 판지의 길이방향과 병행하고 상기 저면성형을 위한 절곡선으로부터 상기 판지의 양단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한쌍의 컵주벽 성형을 위한 절곡선들;
    상기 저면성형을 위한 절곡선 사이와 상기 컵주벽 성형을 위한 절곡선 외향측으로 제공되는 상기 판지의 부분면적을 삼각모양으로 따내어 이룬 부분절취공간들; 및
    상기 판지의 내면에 이중적으로 설치되어 침습을 방지케하는 내장지를 포함하며,
    여기서, 판지를 길이방향에서 중심절곡선을 중심으로해 절첩한 후 양 측변에서 제공되는 접합부를 이용해 접합하여 포대를 구성시키고, 이렇게 구성된 포대의 개구부를 통하여 차원료를 투입한 후 그 개구부를 밀봉시키는 것으로 차원료가 포장됨과 아울러, 밀봉 포장되어 공급된 차원료 포장대를 최종소비자들이 포장대의 밀봉된 상단부를 절취시키고 포장대를 손으로 잡아 내향측으로 악력을 가하면 포장대의 주벽들에 성형된 상기 다수의 절곡선들에 의해 포장대가 다각면체로 절곡되며 컵형상을 이루어 차류를 간편히 음용할 수 있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을 겸하는 차류 포장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지의 양변 적당한 위치에 상기 포장대를 컵형상으로 변화시 안정된 파지를 위해 설치되는 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컵을 겸하는 차류 포장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지는 박판의 알루미늄인 컵을 겸하는 차류 포장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지 양단을 포장대의 개봉을 위해 절취후 그 절취된 것을 이용해 스푼으로 이용되게한 컵을 겸하는 차류 포장대.
KR20-2003-0019922U 2003-06-24 2003-06-24 음용을 위한 컵을 겸하는 차류 포장대 KR2003317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922U KR200331739Y1 (ko) 2003-06-24 2003-06-24 음용을 위한 컵을 겸하는 차류 포장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922U KR200331739Y1 (ko) 2003-06-24 2003-06-24 음용을 위한 컵을 겸하는 차류 포장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1739Y1 true KR200331739Y1 (ko) 2003-11-01

Family

ID=49418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9922U KR200331739Y1 (ko) 2003-06-24 2003-06-24 음용을 위한 컵을 겸하는 차류 포장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73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485A (ko) * 2020-11-10 2022-05-17 학교법인 호서학원 스푼일체형 우유팩
CN115886103A (zh) * 2022-11-21 2023-04-04 云南延寿堂制药有限公司 一种藏红曲袋泡茶及其制备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485A (ko) * 2020-11-10 2022-05-17 학교법인 호서학원 스푼일체형 우유팩
KR102536840B1 (ko) * 2020-11-10 2023-05-24 학교법인 호서학원 스푼일체형 우유팩
CN115886103A (zh) * 2022-11-21 2023-04-04 云南延寿堂制药有限公司 一种藏红曲袋泡茶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35112B2 (ja) 包装容器およびその容器を製造するための素材
AU2001284040B2 (en) Flexible container having flat walls
CN207791404U (zh) 包装套筒以及包装件
US5788121A (en) Bag for bag-in-box and bag-in-box
US4284205A (en) Foldable cup
CN207329047U (zh) 包装套筒以及包装件
EP2951102B1 (en) Container
TW201206780A (en) Sealed package for pourable food products and packaging material for producing sealed packages for pourable food products
JP2004520240A (ja) 容器
US20180086495A1 (en) Self Folding Polygonal Impermeable Food Box And A Tool For Its Forming
KR20130141582A (ko) 재밀봉 가능한 개방 장치 및 그와 같은 개방 장치를 포함하는 포장체
GB2257687A (en) Container
EP0771287B1 (en) Container comprising a base and an upstanding peripheral wall extending upwardly from said base to an apex
US20050199696A1 (en) Packaging container and blank for producing the same
JP2002211573A (ja) ストローが付着された飲料容器
KR200331739Y1 (ko) 음용을 위한 컵을 겸하는 차류 포장대
EP2474479A1 (en) Cardboard container for aseptic liquids
CN105600063A (zh) 用于可灌注食物产品的容器的包装
JP5140897B2 (ja) 飲み口付き容器
CA2356219C (en) Shipping carton with slotted flaps
CA1252761A (en) Compact package for spreadable products
US7581673B2 (en) Container with reclosable pour spout
WO2019211453A1 (en) A package
JPH0449075Y2 (ko)
WO1989009733A1 (en) Packing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