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0118Y1 - 음식물 보관과 섭취용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보관과 섭취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0118Y1
KR200320118Y1 KR20-2003-0012259U KR20030012259U KR200320118Y1 KR 200320118 Y1 KR200320118 Y1 KR 200320118Y1 KR 20030012259 U KR20030012259 U KR 20030012259U KR 200320118 Y1 KR200320118 Y1 KR 2003201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ood
container body
intake
ri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22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택
Original Assignee
김주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택 filed Critical 김주택
Priority to KR20-2003-00122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01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01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01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77/048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the inner container being coaxially disposed within the outer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sweets or like confectionery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스킷과 같은 과자류나 김밥을 보관하고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보관과 섭취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내부가 비어 있는 길다란 용기 본체(1)와 이 용기 본체(1) 내로 삽입되는 상승 및 하강부재(2)와 용기 본체(1)의 상단을 덮는 용기 뚜껑(3)으로 구성한 음식물 보관과 섭취용기이다. 그 사용방법은 상기 용기 본체(1) 내로 삽입되는 상승 및 하강부재(2)에 비스킷(6)이나 김밥(7) 같은 고형화된 음식물을 세워서 넣어 두고, 음식물을 먹고자 하는 경우 상기 상승 및 하강부재(2)에 연결된 길다란 띠 모양의 손잡이(4)이나 또는 보조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상승 및 하강부재(2)와 함께 음식물을 용기 본체(1)의 상부로 단계별로 밀어 올려 음식물을 섭취하고, 상기 보조도구나 손잡이(4)를 놓아버리면 상기 상승 및 하강부재(2)와 함께 남은 음식물이 하강하여 다시 용기 본체(1) 내로 삽입되어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음식물 보관과 섭취용기{A Keeping and eating vessel of food}
본 고안은 비스킷과 같은 과자류나 김밥을 보관하고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보관과 섭취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내부가 비어 있는 길다란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 내로 삽입되는 상승 및 하강부재와 용기 뚜껑으로 구성한 음식물 보관과 섭취용기에 관한 것이고, 사용방법은 용기 본체 내로 삽입되는 상승 및 하강부재에 비스킷이나 김밥 같은 고형화된 음식물을 넣어 두고, 필요할 경우 보조도구나 또는 상기 상승 및 하강부재에 연결된 손잡이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용기 본체의 상부로 단계별로 밀어 올려 음식물을 섭취하고 남은 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무수히 많은 음식물의 종류 중에서 특히 고형화된 음식물인 비스킷과 같은 과자류나 김밥은 실내외를 막론하고 어느 장소에서나 신속하고 간편하게 먹을 수 있어, 왕성한 식욕을 짧은 시간에 어느 정도는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누구나 즐겨먹는 음식 중의 하나로 오래 전부터 각광을 받아오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비스킷과 같은 과자류나 김밥은 고형화된 내용물이 보통 은박지와 같은 포장지로 쌓여 있어서, 이를 먹기 위해서는 포장지를 뜯어내고 여러 개로 분리되어 있는 고형화된 내용물(비스킷 또는 김밥) 하나 하나를 손이나 도구로 집어서 먹게 되는데, 이러한 섭취과정에서 비스킷과 같은 과자류의 경우에는 부스러기가 많이 발생하여 주변환경이 지저분해지는 문제가 있고, 김밥과 같은 경우에는 청결을 위해 반드시 도구를 사용하여 집어먹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한꺼번에 먹지 않고 어느 정도 남기게 되는 경우에 둘 다 모두 남은 량을 적절하게 보관할 용기가 마땅치 않을 뿐만 아니라, 더욱이 실외에서 이동을 할 때에는 마음놓고 먹을 수 없다는 제한 때문에 항상 시간에 쫓기는 바쁜 현대인의 먹거리 습성에 맞추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고형화된 음식물의 섭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길다란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 내로 삽입되게 하되 일측에 길다란 손잡이가 달려 있는 상승 및 하강부재와 용기 본체를 덮는 용기 뚜껑으로 구성한 음식물 보관과 섭취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으며, 그 사용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음식물 보관과 섭취용기를 사용하여, 용기 본체 내에 삽입되는 상승 및 하강부재에 고형화된 내용물의 일측 일부분을 세워 담아 놓은 상태에서, 상기 상승 및 하강부재를 밑에서 밀어 올리거나 또는 그 일측에 달려 있는 손잡이를 잡아당겨 위로 올림으로써, 동시에 따라 올라오는 음식물 타측의 일부분부터 차례로 섭취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과 섭취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과 섭취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3의 종단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과 섭취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보관과 섭취용기의 사용상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보관과 섭취용기의 또 다른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용기 본체, 2...상승 및 하강부재,
3...용기 뚜껑, 4...손잡이,
5...포장지, 6...비스킷,
7...김밥.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고형화된 음식물의 보관과 섭취용기에 있어서,
내부가 비어 있는 길다란 용기 본체와, 하단부의 일부는 폐쇄되어 있고 상단부는 개방되어 고형화된 음식물의 일부를 담아놓은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 내로 삽입되는 상승 및 하강부재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부를 덮어 밀폐하는 용기 뚜껑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상승 및 하강부재에 길다란 손잡이의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의 타측이 용기 본체의 외부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손잡이의 타측이 용기 뚜껑 내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용기 본체와 상승 및 하강부재와 용기 뚜껑의 횡단면 형상은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 중의 하나인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음식물 보관과 섭취용기의 사용방법에 있어서,
상승 및 하강부재 내에 음식물의 일측 일부분을 넣어서 용기 본체 내로 삽입한 후, 음식물을 섭취하고자 할 경우 용기 뚜껑을 열고 보조도구를 용기 본체 외부의 저면에서 내부로 삽입시켜 상승 및 하강부재를 상부로 단계별로 밀어 올리면, 상기 상승 및 하강부재와 함께 음식물이 상기 용기 본체 상부의 바깥으로 단계별로 돌출되어 이를 섭취하고, 보조도구를 놓으면 상승 및 하강부재와 함께 남은 음식물이 용기 본체 내로 하강하여 다시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승 및 하강부재 내에 음식물의 일측 일부분을 넣어서 용기 본체 내로삽입한 후, 음식물을 섭취하고자 할 경우 용기 뚜껑을 열고 용기 본체의 외부로 연장된 손잡이를 단계별로 잡아당기면, 상기 손잡이와 연결된 상승 및 하강부재와 함께 음식물이 상기 용기 본체 상부의 바깥으로 단계별로 돌출되어 이를 섭취하고, 손잡이나 용기 뚜껑을 놓아버리면 상승 및 하강부재와 함께 남은 음식물이 용기 본체 내로 하강하여 다시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용기 뚜껑에 연결된 손잡이에 의해 상기 용기 뚜껑을 용기 본체에서 여는 동작과 손잡이를 잡아당기는 동작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보관 및 섭취용기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도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과 섭취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부의 저면 둘레는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 중심부가 개방되고 내부는 비어 있는 길다란 원통형으로 용기 본체(1)를 구성하고 있고, 이 용기 본체(1)보다 지름은 약간 작고 길이는 훨씬 짧게 구성하되 하단부는 폐쇄되고 상단부는 개방되어 있는 원통형으로 상승 및 하강부재(2)를 구성하여 상기 용기 본체(1) 내로 삽입되도록 하며, 상기 상승 및 하강부재(2)와 유사하게 용기 뚜껑(3)을 구성하되 지름은 용기 본체(1)보다 약간 더 크게 구성하여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부를 덮어서 밀폐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과 섭취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3의 종단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인 구성은 상기한 실시예의 음식물 보관과 섭취용기와 동일하나 단지 상승 및 하강부재(2)의 일측에 길다란 띠 모양의 손잡이(4)가 달려 있는 것에 차이가 있으며, 이 손잡이(4)는 상승 및 하강부재(2)가 용기 본체(1) 내로 삽입된 상태에서도 그 일부는 상기 용기 본체(1)의 바깥으로 연장된 상태로 놓여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부호를 사용하였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과 섭취용기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인 구성은 상기한 다른 실시예의 음식물 보관과 섭취용기와 완전히 동일하나, 단지 일측이 상승 및 하강부재에 고정된 손잡이(4)의 타측을 용기 뚜껑(3) 내의 일측에 고정하여 서로 연결한 것에 차이가 있으며, 이는 용기 뚜껑(3)을 여는 동작과 손잡이(4)를 잡아당기는 동작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그 동작을 한꺼번에 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여기서도,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부호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음식물 보관과 섭취용기의 재질로는 플라스틱, 나무, 종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제작단가와 사용의 편리성, 친환경적인 요소 등을 고려해 볼 때 종이가 가장 바람직할 것이며, 그 두께는 대략 1㎜ 내외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음식물 보관과 섭취용기의 각 구성요소들을 상기한 실시예들에서는 주로 원통의 형태로 구성하였으나, 고형화된 음식물의 형태에 따라 그 모양이 자유롭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보관과 섭취용기의 사용상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보관과 섭취용기의 또 다른 사용상태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6은 비스킷과 같은 과자류를 섭취하는 경우, 도 7은 김밥을 섭취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승 및 하강부재(3)는 은박지와 같은 포장지(5)로 쌓여 있는 고형화된 비스킷(6) 일측의 일부분이 담겨져 세워진 상태로 음식물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상승 및 하강부재(3)에 담겨진 비스킷(6)이 용기 본체(1) 내로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용기 뚜껑(3)을 열고 용기 본체(1)의 하단부로 손가락이나 젓가락과 같은 보조도구(미도시)를 삽입하여 상승 및 하강부재(2)의 저면을 계속해서 밀어 올리면, 상기 상승 및 하강부재(2)가 상승함과 동시에 용기 본체(1)의 외부로 비스킷(6)의 일부가 계속해서 돌출되게 되고, 포장지(5)의 일부를 뜯어내고 돌출된 비스킷(6)의 일부를 섭취하게 된다. 이때, 용기 본체(1)와 분리된 용기 뚜껑(3)은 바람직하게는 물컵으로 사용하면 좋을 것이다.
그런데, 비스킷(6)의 일부를 남기게 되는 경우, 보조도구를 빼버리면 남아 있는 상기 비스킷(6)의 자체 중량으로 인해 상승 및 하강부재(2)는 용기 본체(1) 내로 하강하여 다시 삽입된 상태에서, 용기 뚜껑(3)을 상기 용기 본체(1)에 덮어놓아 남은 비스킷(6)을 안전하게 보관하게 된다.
또,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은박지와 같은 포장지(5)로 쌓여 있는 고형화된 김밥(7)이 담겨 있는 상승 및 하강부재(2)가 용기 본체(1) 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용기 뚜껑(3)을 열고 외부로 연장된 손잡이(4)를 계속해서 잡아당기거나 또는 손잡이(4)가 연결되어 있는 용기 뚜껑(3)을 여는 것과 동시에 상기 용기 뚜껑(3)을 계속해서 잡아당기면, 상기 상승 및 하강부재(2)가 상승함과 동시에 용기 본체(1)의 외부로 김밥(7)의 일부가 계속해서 돌출되게 되고, 포장지(5)의 일부를 뜯어내고 돌출된 김밥(7)의 일부를 섭취하게 된다. 이때도 역시 용기 본체(1)와 분리된 용기 뚜껑(3)은 상기한 바와 같이 물컵으로 사용하면 좋을 것이다.
그런데, 김밥(7)의 일부를 남기게 되는 경우, 손잡이(4)나 용기 뚜껑(3)을 놓아 버리면, 남아 있는 상기 김밥(7)의 자체 중량으로 인해 상승 및 하강부재(2)는 용기 본체(1) 내로 하강하여 다시 삽입된 상태에서, 용기 뚜껑(3)을 상기 용기 본체(1)에 덮어놓아 남은 김밥(7)을 안전하게 보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과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음식물 보관과 섭취용기및 그 사용방법에 의하면, 비스킷과 같은 과자류나 김밥을 청결하고도 위생적으로 그 뿐만 아니라 매우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게 되고, 이동을 하면서도 섭취할 수 있어 바쁜 현대인의 시간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남은 음식물을 편리하고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아주 매력적인 장점이 있게 된다.

Claims (5)

  1. 고형화된 음식물의 보관과 섭취용기에 있어서,
    내부가 비어 있는 길다란 용기 본체(1)와;
    하단부의 일부는 폐쇄되어 있고 상단부는 개방되어 고형화된 음식물의 일부를 담아놓은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1) 내로 삽입되는 상승 및 하강부재(2)와;
    상기 용기 본체(1)의 상단부를 덮어 밀폐하는 용기 뚜껑(3);
    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관과 섭취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 및 하강부재(2)에 길다란 손잡이(4)의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4)의 타측이 용기 본체(1)의 외부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관과 섭취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4)의 타측이 용기 뚜껑(3) 내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관과 섭취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1)와 상승 및 하강부재(2)와 용기 뚜껑(3)의 횡단면 형상은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관과 섭취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1)와 상승 및 하강부재(2)와 용기 뚜껑(3)의 재질은 플라스틱, 나무, 종이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관과 섭취용기.
KR20-2003-0012259U 2003-04-21 2003-04-21 음식물 보관과 섭취용기 KR2003201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259U KR200320118Y1 (ko) 2003-04-21 2003-04-21 음식물 보관과 섭취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259U KR200320118Y1 (ko) 2003-04-21 2003-04-21 음식물 보관과 섭취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5220A Division KR20040091398A (ko) 2003-04-21 2003-04-21 음식물 보관과 섭취용기 및 그 사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0118Y1 true KR200320118Y1 (ko) 2003-07-12

Family

ID=49410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259U KR200320118Y1 (ko) 2003-04-21 2003-04-21 음식물 보관과 섭취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011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115274A3 (en) Food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e
EP2516289A1 (en) Packages for consumable product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20150344178A1 (en) Container system
CN202287998U (zh) 一种瓶体结构
KR200320118Y1 (ko) 음식물 보관과 섭취용기
KR101144439B1 (ko) 복수 개폐구조를 갖는 방수 방습 껌통
KR20040091398A (ko) 음식물 보관과 섭취용기 및 그 사용방법
US3165252A (en) Confectionary novelty and container therefor
CN206750524U (zh) 一种便携式蜂蜜包装勺
CN2900402Y (zh) 一种食品药品密封容器
CN2682007Y (zh) 可收纳剥离物的食品包装盒
JP3060292U (ja) 食品容器
KR101446647B1 (ko) 내용물의 배출이 용이한 과자 용기
KR200378661Y1 (ko) 휴대용 음식 용기
JPH0320244Y2 (ko)
KR101306002B1 (ko) 아이스크림 포장용 용기
KR101167284B1 (ko) 휴대용 분식류 포장기구
US20230286730A1 (en) Pickle container
CN2448773Y (zh) 推筒式冷冻饮品包装盒
JPS6131963Y2 (ko)
JP3808271B2 (ja) 摺動式底板付き容器
KR870002163Y1 (ko) 아이스크림 용기의 구조
KR950006723Y1 (ko) 음료수용 스트로
JPH0326154Y2 (ko)
KR200194280Y1 (ko) 인스턴트식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