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6647B1 - 내용물의 배출이 용이한 과자 용기 - Google Patents

내용물의 배출이 용이한 과자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6647B1
KR101446647B1 KR1020130089446A KR20130089446A KR101446647B1 KR 101446647 B1 KR101446647 B1 KR 101446647B1 KR 1020130089446 A KR1020130089446 A KR 1020130089446A KR 20130089446 A KR20130089446 A KR 20130089446A KR 101446647 B1 KR101446647 B1 KR 101446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wire
sealing
holes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9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성
Original Assignee
박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성 filed Critical 박준성
Priority to KR1020130089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66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6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6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sweets or like confectionery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4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의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기존의 용기와 거의 동일하여 견고성에 문제가 없으며,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사용이 간편한 내용물의 배출이 용이한 과자 용기에 관한 것으로, 하측이 막히고 상측은 연부에 용기 환테(12)를 갖는 개방된 비교적 기다란 원기둥 혹은 각기둥 형태의 컨테이너(10); 상기 컨테이너(10)의 개방 단부를 밀봉하는 밀봉패드(30); 상기 원통형 컨테이너(10)의 개방 단부쪽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와이어 관통홀(11); 상기 와이어 관통홀(11)에 끼워지는 한 쌍의 인출용 와이어(20); 상기 인출용 와이어(20)의 내측 단부에 결합되면서 내용물을 상승시키는 파레트(50); 및 상기 와이어 관통홀(11)을 밀봉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용물의 배출이 용이한 과자 용기{A snack container}
본 발명은, 과자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교적 길이가 긴 원기둥형 혹은 각기둥형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내용물의 배출이 용이한 과자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통류 용기는 상단 부분에만 개봉을 할 수 있는 용기를 사용하고 있다. 상단부만 개봉할 수 있는 원통류 용기 스낵은 상단부의 개봉구에 손을 넣어 꺼내어 먹을 수 있게 되어 있다.
하지만 이런 상단부에만 개봉구가 있는 원통류 용기 스낵을 섭취할 때 아랫부분에 있는 스낵을 섭취하기가 어렵고 아랫부분의 스낵을 섭취하기 위하여 원통류 용기를 바닥에 눕혀 놓거나, 뒤집거나 흔드는 경우가 있다. 그럼으로써 아랫부분에 있는 스낵은 용기가 흔들림으로 용기 안의 스낵이 밖으로 나올 수 있게 되고 스낵을 섭취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원통류 용기 안의 스낵은 부서지거나 흐트러지고 깨져서 스낵을 구입한 고객이 정상 상태의 스낵을 섭취하지 못하는 불편한 점이 있으며, 과자 부스러기들로 인하여 실내를 오염시키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또 아랫부분의 스낵을 편하게 섭취하기 위하여 상단부분의 스낵을 섭취 후 원통류 스낵 용기를 커터 칼로 절단을 하는 방법으로 아랫부분의 스낵을 간편하게 섭취를 하는 방법이 있다. 상단의 방법은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진 원통류 스낵 용기를 커터 칼로 절단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위험이 따른다. 일반적으로 원통류 스낵 용기는 커터 칼로 쉽게 절단이 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커터 칼로 용기를 절단하는 것이 위험하다.
위의 방법에 따라 커터 칼로 용기를 절단하는 중에 생기는 진동이나 움직임으로 용기 내부의 스낵이 용기를 흔들거나 눕혀 스낵을 섭취하는 것과 같은 요인으로 스낵을 정상 상태로 섭취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한편 커터 칼로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진 원통류 용기를 절단하는 중에 커터 칼로 인한 상해를 입을 수 있어 스낵을 섭취하기 위해 상해를 입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제1 종래기술로서, 실용신안공개 제2011-0001370호 (편리한 스낵 용기)와 같은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즉, 상기 제1 종래기술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단부에만 개봉구가 위치하는 원통류 스낵용기가 아니라 벽체 부분에 설정한 길이, 폭 만큼의 공간이 뚫어져 있어 그 부분에 밀봉 포장(2)이 되어 있어 아랫부분의 스낵을 섭취할 때, 용기의 벽체 부분에 오목하게 구성되어 있는 손잡이(3) 부분을 잡고 밀봉된 포장(2)을 뜯어 아랫부분의 스낵을 섭취할 수 있고 스낵을 섭취하기 위해 용기를 눕히거나 흔들거나 함으로써 스낵이 부서지고 깨지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고 용기를 커터 칼로 절단하다가 입는 상해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스낵 용기에 관한 고안이다.
그러나, 이상의 제1 종래기술의 과자용기는, 측면에 비교적 큰 밀봉 포장(2)을 별도로 부착하여야 하므로, 용기의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용기의 견고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스낵의 크기가 용기의 내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의 디스크 형일 경우에는, 적용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제2 종래기술로서, 특허공개 제2009-0004722호 (과자류 보관용 분리형 원통 케이스)와 같은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즉, 상기 제2 종래기술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긴 원통형 케이스(10)를 복수개로 분리하고 분리된 케이스(11, 12, 13)는 서로 끼움 결합되는 구조로 하되, 결합되는 케이스를 일측 케이스에 구비된 결합턱(14)에 고정시킨 후 부패방지테이프(20)로 결합된 부위를 감아서 부착하여 밀폐된 원통 케이스 내부에 포장 보관된 과자류를 꺼내어 먹고자 할 때 상기 부패방지테이프를 제거하여 원통 케이스를 한개씩 분리시키면서 아랫쪽에 있는 과자류를 용이하게 꺼내어 먹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과자류 보관용 분리형 원통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상의 제2 종래기술의 과자용기 역시, 여러개의 케이스로 분리하여 제조하고 이들을 테이프로 접착하여야 하므로,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테이프의 결합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제3 종래기술로서, 실용신안공개 제1996-031377호 (과자용기)와 같은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즉, 상기 제3 종래기술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몸체의 중심부에 안내수단을 구비하고 이것을 통해 내용물 저장용기의 수납/인출이 이루어지게 하여서, 내용물 저장용기가 한 번 승하강 동작될 때마다 내용물이 상기 안내수단의 윗면에 놓여진 상태로 배출될 수 있게 함으로써, 용기 내의 내용물을 손쉽고 재미있게 꺼낼 수 있게 한 과자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과자용기의 특징은, 바닥면 중앙에서 직립 형성된 돌출부(14)를 가지는 몸체(10)와, 소용돌이 형상의 안내홈(22)과 그 중앙의 안내구멍(24)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바닥부를 가지면서 상기 몸체(10)의 내주연 및 돌출부(14)의 내주연과 긴밀하게 상, 하 슬라이드결합되며 외주연의 상부에는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는 손잡이부(28)가 형성된 활동체(20)와, 상기 몸체(10)의 돌출부(14) 상단에 체결되어 활동체(20)의 최대 슬라이드 높이를 단속하는 고정수단(30)과, 중심부에 내용물 배출용 안내구멍(24a)을 가지면서 상기 활동체(20)의 상방 개구부를 덮어씌우는 뚜껑(20a) 및 상기 몸체(10)의 상부를 덮는 뚜껑(10a)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상의 제3 종래기술의 과자용기 역시, 구조가 대단히 복잡하여 제조 공정에 문제가 있으며, 내부 공간이 협소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실용신안공개 제2011-0001370호 (편리한 스낵 용기) 특허공개 제2009-0004722호 (과자류 보관용 분리형 원통 케이스) 실용신안공개 제1996-031377호 (과자용기)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의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기존의 용기와 거의 동일하여 견고성에 문제가 없으며,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사용이 간편한 내용물의 배출이 용이한 과자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내용물의 배출이 용이한 과자 용기는, 하측이 막히고 상측은 연부에 용기 환테(12)를 갖는 개방된 기다란 원기둥 혹은 각기둥 형태의 통형 컨테이너(10); 상기 통형 컨테이너(10)의 개방 단부를 선택적으로 밀봉하는 수단; 상기 통형 컨테이너(10)의 개방 단부쪽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와이어 관통홀(11); 상기 적어도 2개의 와이어 관통홀(11)의 각각에 끼워지는 적어도 2개의 인출용 와이어(20); 상기 적어도 2개의 인출용 와이어(20)의 내측 단부에 결합되면서 내용물을 상승시키는 파레트(50);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와이어 관통홀(11)을 밀봉하는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와이어 관통홀(11)은 방사대칭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인출용 와이어(20)는 각각, 절곡 가능하되 인출된 후에 절곡되었을 경우 절곡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파레트나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떨어지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가지며, 상기 개방 단부를 선택적으로 밀봉하는 수단은 상기 개방 단부를 밀봉하는 밀봉패드(30)이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와이어 관통홀(11)을 밀봉하는 수단은, 상기 밀봉 패드(30)의 연부에 형성된 설편(3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측이 막히고 상측은 연부에 용기 환테(12)를 갖는 개방된 기다란 원기둥 혹은 각기둥 형태의 통형 컨테이너(10); 상기 통형 컨테이너(10)의 개방 단부를 선택적으로 밀봉하는 수단; 상기 통형 컨테이너(10)의 개방 단부쪽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와이어 관통홀(11); 상기 적어도 2개의 와이어 관통홀(11)의 각각에 끼워지는 적어도 2개의 인출용 와이어(20); 상기 적어도 2개의 인출용 와이어(20)의 내측 단부에 결합되면서 내용물을 상승시키는 파레트(50);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와이어 관통홀(11)을 밀봉하는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와이어 관통홀(11)은 방사대칭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인출용 와이어(20)는 각각, 절곡 가능하되 인출된 후에 절곡되었을 경우 절곡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파레트나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떨어지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와이어 관통홀(11)을 밀봉하는 수단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인출용 와이어의 각각의 단부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와이어 단부 패치(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배출이 용이한 과자 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내용물의 배출이 용이한 과자 용기에 따르면, 용기의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기존의 용기와 거의 동일하여 견고성에 문제가 없으며,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사용이 간편한 내용물의 배출이 용이한 과자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제1 종래기술의 과자 용기의 전개도.
도 2는 제2 종래기술의 과자 용기의 사시도.
도 3은 제2 종래기술의 과자 용기의 분리사시도.
도 4는 제3 종래기술의 과자 용기의 인출상태의 단면도.
도 5는 제3 종래기술의 과자 용기의 수납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과자 용기의 외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과자 용기의 분리상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과자 용기의 사용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과자 용기의 또다른 실시예의 분리상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의 배출이 용이한 과자 용기에 대한 실시예들을 해당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이제,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의 배출이 용이한 과자 용기 및 그에 사용되는 진동 퍼프에 대한 최적 실시예들을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과자 용기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과자 용기의 분리상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과자 용기의 사용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과자 용기의 또다른 실시예의 분리상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내용물의 배출이 용이한 과자 용기는 크게, 하측이 막히고 상측은 연부에 용기 환테(12)를 갖는 개방된 비교적 기다란 원기둥형태의 원통형 컨테이너(10)와 상기 원통형 컨테이너(10)의 개방 단부를 밀봉하는 밀봉패드(30) 및 상기 용기 환테(12)에 결합되는 밀봉캡(4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원통형 컨테이너(10)의 개방 단부쪽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와이어 관통홀(11); 상기 와이어 관통홀(11)에 끼워지는 한 쌍의 인출용 와이어(20); 상기 인출용 와이어(20)의 내측 단부에 결합되면서 내용물을 상승시키는 파레트(50)을 포함하며, 상기 밀봉 패드(30)는 연부에 상기 와이어 관통홀(11)을 밀봉하는 설편(3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처음에는 도 6에서와 같이, 밀봉캡(40)을 열고, 밀봉패드(30)를 벗긴 다음, 내용물을 꺼내게 되나, 어느 정도 내용물이 배출되어 손이 닿지 않게 되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와이어의 외측 단부를 잡아당겨 도 8에서와 같이 파레트를 상승시키게 된다. 따라서 인출용 와이어(20)의 외측 단부를 잡아당겨 파레트를 상승시키게 됨에 따라, 내용물도 같이 상승하게 되는바, 컨테이너를 뒤집거나 내용물을 파손하지 않고도 내용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는 자유롭게 휘어지는 것이 가능하되, 도 8의 사용 상태시 중간 위치까지 인출 후에 꺾였을 때에, 꺾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여, 파레트(50)가 자중에 의해 혹은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지 않을 수 있을 정도의, 최소한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으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원통형 컨테이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오각형이나 육각형의 각기둥 형태는 물론, 삼각형이나 사각형의 다양한 각기둥 형태의 컨테이너로 이루어지는 과자 용기에도, 상기 파레트의 형상을 적절히 개조하여, 적용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파레트도 반드시 디스크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형태가 가능하고, 특히 스낵의 내용물이 감자칩과 같은 디스크 형태의 내용물이라면, 반드시 디스크 형태일 필요는 없으며, 체 형태나 와이어를 가로 세로로 적절히 얽어서 만든 형태이어도, 와이어를 인출함에 따라 내용물을 상측으로 이송할 수만 있다면, 가능하다.
다른 한편, 밀봉패드(30)도 반드시 용기 환테(12)에 밀봉되면서 상기 와이어 관통홀(11)을 밀봉하기 위한 추가적인 설편(31)을 갖는 형태로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와이어 관통홀 보다 하측에서 컨테이너의 내부를 밀봉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도 9에는 인출용 와이어(20)의 외측 단부의 처리 및 관통홀의 밀봉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가 개시되어 있는바, 밀봉패드(30)에 설편(31)을 형성하는 대신, 인출용 와이어(20)의 외측 단부에 패치(21)를 형성하고, 패치를 직접 원통형 컨테이너(10)의 외측면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도 된다.
이처럼,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 원통형 컨테이너 11 : 와이어 관통홀
12 : 용기 환테
20 : 인출용 와이어 21 : 와이어 단부 패치
30 : 밀봉패드 31 : 밀봉패드 설편
40 : 밀봉캡
50 : 파레트

Claims (3)

  1. 하측이 막히고 상측은 연부에 용기 환테(12)를 갖는 개방된 기다란 원기둥 혹은 각기둥 형태의 통형 컨테이너(10);
    상기 통형 컨테이너(10)의 개방 단부를 선택적으로 밀봉하는 수단;
    상기 통형 컨테이너(10)의 개방 단부쪽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와이어 관통홀(11);
    상기 적어도 2개의 와이어 관통홀(11)의 각각에 끼워지는 적어도 2개의 인출용 와이어(20);
    상기 적어도 2개의 인출용 와이어(20)의 내측 단부에 결합되면서 내용물을 상승시키는 파레트(50);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와이어 관통홀(11)을 밀봉하는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와이어 관통홀(11)은 방사대칭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인출용 와이어(20)는 각각, 절곡 가능하되 인출된 후에 절곡되었을 경우 절곡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파레트나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떨어지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가지며,
    상기 개방 단부를 선택적으로 밀봉하는 수단은 상기 개방 단부를 밀봉하는 밀봉패드(30)이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와이어 관통홀(11)을 밀봉하는 수단은, 상기 밀봉 패드(30)의 연부에 형성된 설편(3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배출이 용이한 과자 용기.
  2. 삭제
  3. 하측이 막히고 상측은 연부에 용기 환테(12)를 갖는 개방된 기다란 원기둥 혹은 각기둥 형태의 통형 컨테이너(10);
    상기 통형 컨테이너(10)의 개방 단부를 선택적으로 밀봉하는 수단;
    상기 통형 컨테이너(10)의 개방 단부쪽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와이어 관통홀(11);
    상기 적어도 2개의 와이어 관통홀(11)의 각각에 끼워지는 적어도 2개의 인출용 와이어(20);
    상기 적어도 2개의 인출용 와이어(20)의 내측 단부에 결합되면서 내용물을 상승시키는 파레트(50);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와이어 관통홀(11)을 밀봉하는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와이어 관통홀(11)은 방사대칭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인출용 와이어(20)는 각각, 절곡 가능하되 인출된 후에 절곡되었을 경우 절곡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파레트나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떨어지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와이어 관통홀(11)을 밀봉하는 수단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인출용 와이어의 각각의 단부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와이어 단부 패치(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배출이 용이한 과자 용기.
KR1020130089446A 2013-07-29 2013-07-29 내용물의 배출이 용이한 과자 용기 KR101446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446A KR101446647B1 (ko) 2013-07-29 2013-07-29 내용물의 배출이 용이한 과자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446A KR101446647B1 (ko) 2013-07-29 2013-07-29 내용물의 배출이 용이한 과자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6647B1 true KR101446647B1 (ko) 2014-10-13

Family

ID=51996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9446A KR101446647B1 (ko) 2013-07-29 2013-07-29 내용물의 배출이 용이한 과자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66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784A (ko) 2017-08-19 2019-02-27 손대범 손쉽게 내용물을 꺼낼 수 있는 과자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6818A (ja) * 1991-09-30 1993-04-06 Fuji Oozx Kk ローラロツカアーム
KR200296059Y1 (ko) 2002-07-06 2002-11-22 하이콘테크주식회사 과자류 포장용기
KR20040091398A (ko) * 2003-04-21 2004-10-28 김주택 음식물 보관과 섭취용기 및 그 사용방법
KR200449734Y1 (ko) 2009-10-06 2010-08-05 (주)교홍 껌 수납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6818A (ja) * 1991-09-30 1993-04-06 Fuji Oozx Kk ローラロツカアーム
KR200296059Y1 (ko) 2002-07-06 2002-11-22 하이콘테크주식회사 과자류 포장용기
KR20040091398A (ko) * 2003-04-21 2004-10-28 김주택 음식물 보관과 섭취용기 및 그 사용방법
KR200449734Y1 (ko) 2009-10-06 2010-08-05 (주)교홍 껌 수납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784A (ko) 2017-08-19 2019-02-27 손대범 손쉽게 내용물을 꺼낼 수 있는 과자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56512S1 (en) Canister lid
USD889902S1 (en) Round lid for a storage container
USD655159S1 (en) Cover for food containers
JP6559941B2 (ja) 容器
KR20090039806A (ko) 커버로 덮인 가요성 덮개를 포함하는 특히 식품용 포장용기
KR101446647B1 (ko) 내용물의 배출이 용이한 과자 용기
CN101060788B (zh) 软糖
KR200421613Y1 (ko) 피자포장용 지지기구
JP5156411B2 (ja) 包装用容器
JP2012017136A (ja) 食材用容器及び食材が収容された食材用容器
KR200442946Y1 (ko) 케이크 또는 피자 용기
JP3175492U (ja) 容器
KR102013916B1 (ko) 국수 포장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380304B1 (ko) 다목적 컵
CN211224650U (zh) 一种防洒零食盒
KR200481323Y1 (ko) 보관 용기
KR200346995Y1 (ko) 일회용 김밥 포장시트
KR200249966Y1 (ko) 피자 포장용 받침판
USD882458S1 (en) Planter
KR20130004534U (ko) 편리한 햄버거 포장지
KR101351343B1 (ko) 스낵 용기
JP6430423B2 (ja) 押し寿司及びその包装容器
KR200449533Y1 (ko) 치즈를 보관하고 절단할 수 있는 장치
JP3103083U (ja) クレープ持ち帰り用包装材
JP3357644B2 (ja) ペーパートレ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