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151Y1 - 껌 수납용기 - Google Patents
껌 수납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1151Y1 KR200481151Y1 KR2020150000035U KR20150000035U KR200481151Y1 KR 200481151 Y1 KR200481151 Y1 KR 200481151Y1 KR 2020150000035 U KR2020150000035 U KR 2020150000035U KR 20150000035 U KR20150000035 U KR 20150000035U KR 200481151 Y1 KR200481151 Y1 KR 20048115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contents
- case cap
- storage space
- ca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09—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dispensing means being adapted for delivering one article, or a single dose, upon each actuation
- B65D83/0427—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dispensing means being adapted for delivering one article, or a single dose, upon each actuation the articles being dispensed by inverting the container each time, by which action movable parts may be displaced by their own weigh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2583/04—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or tab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껌 등과 같이 일정 크기를 갖는 다수의 내용물을 수납한 케이스를 회전시킴에 의해 내용물을 소량씩 배출시켜 케이스 상부에 수납되게 한 뒤, 캡 버튼을 눌러 케이스 캡을 오픈하고 내용물을 손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한 껌 수납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하 일측에 제1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는 저장공간을 갖는 케이스; 상기 제1입구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1입구를 개폐하는 제1케이스 캡; 상기 저장공간과 제1케이스 캡 사이에 형성되어 제1케이스 캡의 하부공간을 저장공간으로부터 구획하고, 저장공간의 내용물을 상기 하부공간으로 배출할 수 있는 제1토출구를 갖는 제1안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껌 수납용기를 제공한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하 일측에 제1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는 저장공간을 갖는 케이스; 상기 제1입구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1입구를 개폐하는 제1케이스 캡; 상기 저장공간과 제1케이스 캡 사이에 형성되어 제1케이스 캡의 하부공간을 저장공간으로부터 구획하고, 저장공간의 내용물을 상기 하부공간으로 배출할 수 있는 제1토출구를 갖는 제1안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껌 수납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껌이나 사탕 등과 같은 내용물의 인출이 간편한 수납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껌과 같은 간식류의 음식물은 가벼운 플라스틱 용기에 담아 밀폐된 상태로 보관하도록 제조되며, 이후 용기를 개봉하고 껌을 꺼내어 취식할 수 있게 된다.
첨부한 도 6 및 도 7은 종래의 일반적인 껌 수납용기의 사시도 및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껌 수납용기는 상단에 개구부(3)를 가지며 내부에 내용물인 껌을 수납가능한 공간을 갖는 몸통(1)과, 상기 몸통(1)의 상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구부(3)를 개폐하는 뚜껑(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용기의 재질(보통 플라스틱)과 제작공정의 특성상 직경이 좁은 부분일수록 우수한 강도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개구부(3)는 몸통(1)의 직경에 비해 좁은 직경을 갖게 형성된다.
소비자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껌 수납용기를 이용한 껌 제품을 구입하여 취식하는 경우 뚜껑(2) 아래 면에 부착되는 절취방지형 찢음부(pilfer proof tear)를 제거한 후 뚜껑(2)을 잡고 위로 올려 뚜껑(2)을 개봉하며, 뚜껑(2)을 개봉한 후 개구부(3)를 통해 내용물을 꺼내어 취식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껌 수납용기의 경우 개봉 후 내부에 수납된 껌을 꺼내어 취식하기 위해서는, 보통 손가락을 개봉된 개구부(3) 안에 직접 넣고 껌을 꺼내거나 또는 개봉된 개구부(3)를 손바닥에 대고 기울여서 껌을 꺼내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껌 수납용기는 내용물을 꺼낼 때, 손가락을 개봉된 개구부(3) 안에 직접 넣고 꺼내는 경우 다른 껌(꺼내고자 하는 껌 주변에 있는 껌)에도 손가락이 닿게 되어 비위생적이며, 또한 개봉된 개구부(3)를 손바닥에 대고 기울여서 껌을 꺼내는 경우 여러 개의 껌이 동시에 쏟아져 나오기 때문에 다량의 내용물이 노출된 상태에서 손으로 하나씩 집어 먹어야 하므로 비위생적이고 1 ~ 2알씩 소량으로 꺼내먹기에 불편한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껌 등과 같이 일정 크기를 갖는 다수의 내용물을 수납한 케이스를 회전시킴에 의해 내용물을 소량씩 배출시켜 케이스 상부에 수납되게 한 뒤, 캡 버튼을 눌러 케이스 캡을 오픈하고 내용물을 손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한 껌 수납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하 일측에 제1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는 저장공간을 갖는 케이스; 상기 제1입구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1입구를 개폐하는 제1케이스 캡; 상기 저장공간과 제1케이스 캡 사이에 형성되어 제1케이스 캡의 하부공간을 저장공간으로부터 구획하고, 저장공간의 내용물을 상기 하부공간으로 배출할 수 있는 제1토출구를 갖는 제1안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껌 수납용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안착부는 제1토출구로 배출된 내용물이 저장공간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토출구의 가장자리에 융기된 형태로 마련된 제1지지대를 가지며, 상기 제1케이스 캡은 그 저면에 제1토출구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1토출구에서 배출되는 내용물을 양갈래로 분리 배출되게 하는 제1분리가이드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케이스는 제1입구의 맞은편에 제2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입구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2입구를 개폐하는 제2케이스 캡이 구비되고, 상기 제2케이스 캡과 저장공간 사이에 제2케이스 캡의 하부공간을 저장공간으로부터 구획하는 제2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안착부는 저장공간의 내용물을 상기 하부공간으로 배출할 수 있는 제2토출구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안착부는 제2토출구로 배출된 내용물이 저장공간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토출구의 가장자리에 융기된 형태로 마련된 제2지지대를 가지며, 상기 제2케이스 캡은 그 저면에 제2토출구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2토출구에서 배출되는 내용물을 양갈래로 분리 배출되게 하는 제2분리가이드를 갖는다.
본 고안에 의한 껌 수납용기는 종래의 플라스틱 용기보다 간편하게 개봉할 수 있고 내용물이 한 번에 먹을 양만 소량으로 배출되므로 남은 내용물에 손이 닿지 않아 위생적으로 간편하게 취식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껌 수납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껌 수납용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껌 수납용기의 내용물 인출 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껌 수납용기의 케이스 캡 개폐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종래의 일반적인 껌 수납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껌 수납용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껌 수납용기의 내용물 인출 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껌 수납용기의 케이스 캡 개폐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종래의 일반적인 껌 수납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껌 수납용기는 원통형의 케이스(110) 내부에 껌이나 사탕 등과 같은 알 모양의 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는 저장공간(111)을 갖는다.
상기 케이스(110)는 상하 양측에 각각 제1입구(113)와 제2입구(115)가 형성되고, 상기 각 입구(113,115)를 개폐하기 위한 제1케이스 캡(117)과 제2케이스 캡(119)이 케이스(110)의 양단 일측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저장공간(111)과 제1케이스 캡(117) 사이에는 제1케이스 캡(117)의 하부공간(121)을 저장공간으로부터 구분하여 구획하는 제1안착부(123)가 형성되고, 제1안착부(123)에는 그 중앙부에 저장공간(111)의 내용물을 상기 하부공간(121)으로 배출할 수 있는 제1토출구(125)가 형성된다.
상기 제1안착부(123)는 제1토출구(125)에서 배출된 내용물이 저장공간(111)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토출구(125)의 가장자리에 융기된 형태로 마련되는 제1지지대(127)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1케이스 캡(117)은 그 저면에 제1토출구(125)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1토출구(125)에서 배출되는 내용물을 양갈래로 분리 배출되게 유도하는 제1분리가이드(129)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저장공간(111)과 제2케이스 캡(119) 사이에는 제2케이스 캡(119)의 하부공간(131)을 저장공간(111)으로부터 구분하여 구획하는 제2안착부(133)가 형성되고, 제2안착부(133)에는 그 중앙부에 저장공간(111)의 내용물을 상기 하부공간(131)으로 배출할 수 있는 제2토출구(135)가 형성된다.
상기 제2안착부(133)는 제2토출구(135)에서 배출된 내용물이 저장공간(111)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토출구(135)의 가장자리에 융기된 형태로 마련되는 제2지지대(137)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2케이스 캡(119)은 그 저면에 제2토출구(135)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2토출구(135)에서 배출되는 내용물을 양갈래로 분리 배출되게 유도하는 제2분리가이드(139)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는 상하 양측에 각각 제1케이스 캡(117)과 제2케이스 캡(119)의 닫힘시 잠금을 위한 제1록킹부(142)와 제2록킹부(144)가 구비되고, 또한 제1케이스 캡(117)과 제2케이스 캡(119)의 닫힘시 잠금해제를 위한 제1캡 버튼(141)과 제2캡 버튼(143)이 힌지구조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1록킹부(142)와 제2록킹부(144)는 제1케이스 캡(117)과 제2케이스 캡(119)의 닫힘시, 케이스 캡(117,119)의 일측에 구비된 걸림턱(117a,119a)과 맞물려 케이스 캡(117,119)을 열리지 않게 고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캡 버튼(141)과 제2캡 버튼(143)은 각각 사용자에 의해 일측으로 회동시, 닫힌 상태의 제1케이스 캡(117)과 제2케이스 캡(119)의 일측단을 밀어올려 록킹부(142,144)에 의한 케이스 캡(117,119)의 잠금을 해제한다.
또한, 제1캡 버튼(141)과 제2캡 버튼(143)의 맞은편에는 제1케이스 캡(117)과 제2케이스 캡(119)의 잠금해제시 제1케이스 캡(117)과 제2케이스 캡(119)을 각각 자동으로 오픈되게 하는 유연한 판상의 제1탄성부재(145)와 제2탄성부재(147)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탄성부재(145)와 제2탄성부재(147)는 케이스(110)와 케이스 캡(117,119) 사이에 조립되어 케이스 캡(117,119)이 입구(113,115)를 닫을 때 각각 압축되고, 이때 생성된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케이스 캡(117)과 제2케이스 캡(119)의 잠금해제시 각 케이스 캡(117,119)을 자동으로 오픈되게 한다(도 5 참조).
아울러, 상기 케이스 캡(117,119)은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어서 안착부(123,133)에 거치된 내용물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껌 수납용기에서 내용물을 인출하는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일례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케이스(110)를 제1케이스 캡(117)(혹은 제2케이스 캡)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세우면 저장공간(111)의 내용물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혹은 케이스의 아래쪽)으로 내려가면서 제1토출구(125)(혹은 제2토출구)를 통해 소량(2 ~ 3알 정도)의 내용물이 배출되고, 이때 배출되는 내용물은 제1분리가이드(129)(혹은 제2분리가이드)의 양갈래로 나뉘면서 제1케이스 캡(117)(혹은 제2케이스 캡)의 하부공간(121)에 거치하게 된다.
다음, 제1케이스 캡(117)(혹은 제2케이스 캡)이 케이스(110)의 위쪽을 향하도록 케이스(110)를 뒤집으면, 제1케이스 캡(117)(혹은 제2케이스 캡)의 저면에 놓여있던 내용물이 제1안착부(123)(혹은 제2안착부) 위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제1지지대(127)(혹은 제2지지대)는 내용물이 제1토출구(125)(혹은 제2토출구)를 통해 저장공간(111)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 다음, 도 4에 보이듯, 제1캡 버튼(141)(혹은 제2캡 버튼)을 누르면 제1케이스 캡(117)(혹은 제2케이스 캡)이 회동하여 제1입구(113)(혹은 제2입구)가 자동으로 오픈되고, 이때 제1안착부(123)(혹은 제2안착부) 위에 놓여진 내용물을 꺼내 먹으면 된다.
상기 제1안착부(123)(혹은 제2안착부) 위에 놓여진 내용물을 모두 취식한 후에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제2안착부(133)(혹은 제1안착부)로 내용물을 배출시켜 다시 간편하게 취식할 수 있다.
위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으나 이에 의해 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는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청구범위 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110 : 케이스 111 : 저장공간
113 : 제1입구 115 : 제2입구
117 : 제1케이스 캡 119 : 제2케이스 캡
121 : 제1케이스 캡의 하부공간
123 : 제1안착부 125 : 제1토출구
127 : 제1지지대 129 : 제1분리가이드
131 : 제2케이스 캡의 하부공간
133 : 제2안착부 135 : 제2토출구
137 : 제2지지대 139 : 제2분리가이드
141 : 제1캡 버튼 142 : 제1록킹부
143 : 제2캡 버튼 144 : 제2록킹부
145 : 제1탄성부재 147 : 제2탄성부재
113 : 제1입구 115 : 제2입구
117 : 제1케이스 캡 119 : 제2케이스 캡
121 : 제1케이스 캡의 하부공간
123 : 제1안착부 125 : 제1토출구
127 : 제1지지대 129 : 제1분리가이드
131 : 제2케이스 캡의 하부공간
133 : 제2안착부 135 : 제2토출구
137 : 제2지지대 139 : 제2분리가이드
141 : 제1캡 버튼 142 : 제1록킹부
143 : 제2캡 버튼 144 : 제2록킹부
145 : 제1탄성부재 147 : 제2탄성부재
Claims (6)
- 상하 일측에 제1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는 저장공간을 갖는 케이스;
상기 제1입구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1입구를 개폐하는 제1케이스 캡;
상기 저장공간과 제1케이스 캡 사이에 형성되어 제1케이스 캡의 하부공간을 저장공간으로부터 구획하고, 저장공간의 내용물을 상기 하부공간으로 배출할 수 있는 제1토출구를 갖는 제1안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제1입구의 맞은편에 제2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입구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2입구를 개폐하는 제2케이스 캡이 구비되고, 상기 제2케이스 캡과 저장공간 사이에 제2케이스 캡의 하부공간을 저장공간으로부터 구획하는 제2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안착부는 저장공간의 내용물을 상기 하부공간으로 배출할 수 있는 제2토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껌 수납용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부는 제1토출구로 배출된 내용물이 저장공간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토출구의 가장자리에 융기된 형태로 마련된 제1지지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껌 수납용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 캡은 그 저면에 제1토출구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1토출구에서 배출되는 내용물을 양갈래로 분리 배출되게 하는 제1분리가이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껌 수납용기.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안착부는 제2토출구로 배출된 내용물이 저장공간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토출구의 가장자리에 융기된 형태로 마련된 제2지지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껌 수납용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 캡은 그 저면에 제2토출구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2토출구에서 배출되는 내용물을 양갈래로 분리 배출되게 하는 제2분리가이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껌 수납용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0035U KR200481151Y1 (ko) | 2015-01-05 | 2015-01-05 | 껌 수납용기 |
JP2016000026U JP3203211U (ja) | 2015-01-05 | 2016-01-05 | ガム収納容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0035U KR200481151Y1 (ko) | 2015-01-05 | 2015-01-05 | 껌 수납용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2453U KR20160002453U (ko) | 2016-07-13 |
KR200481151Y1 true KR200481151Y1 (ko) | 2016-08-22 |
Family
ID=55523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50000035U KR200481151Y1 (ko) | 2015-01-05 | 2015-01-05 | 껌 수납용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3203211U (ko) |
KR (1) | KR200481151Y1 (ko)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2317Y1 (ko) * | 2012-03-07 | 2014-04-23 | (주)바라 | 내용물의 추출이 용이한 껌 수납장치 |
-
2015
- 2015-01-05 KR KR2020150000035U patent/KR200481151Y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
- 2016-01-05 JP JP2016000026U patent/JP3203211U/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3203211U (ja) | 2016-03-17 |
KR20160002453U (ko) | 2016-07-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914564B2 (en) | Dispenser | |
KR200481151Y1 (ko) | 껌 수납용기 | |
KR101556424B1 (ko) | 포장 용기 | |
KR101920743B1 (ko) | 펠릿형 내용물을 일정량씩 배출하는 상품용기 | |
JP2005306452A (ja) | 食品用容器 | |
JP2003292069A (ja) | 錠剤状固形物振出し容器 | |
KR200480321Y1 (ko) | 혼합용 용기 | |
KR20150066871A (ko) | 보관 용기 | |
KR101440916B1 (ko) | 알약 정량배출 용기 | |
JP6473006B2 (ja) | 錠剤取出用具 | |
KR100578035B1 (ko) | 식품 또는 약품용 디스펜서 | |
KR101621756B1 (ko) | 내용물 정량 통과용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통과 장치 | |
JP6423335B2 (ja) | 包装用枠及び開蓋規制機能付き振出容器 | |
KR101333999B1 (ko) | 경구 섭취용 고형물의 수납 캔 | |
KR200371088Y1 (ko) | 누름 배출 방식 수납 용기 | |
JP3202018U (ja) | 食品収容容器 | |
KR200473561Y1 (ko) | 수납용기 | |
JP6229976B2 (ja) | 錠剤容器 | |
JP3202771U (ja) | スティック型容器 | |
JP2005334112A (ja) | 薬玉用タブレットケース | |
KR200481323Y1 (ko) | 보관 용기 | |
KR20170008188A (ko) | 일정량의 알약을 꺼내는 구조를 갖는 병마개 | |
JP4748378B2 (ja) | 振出し容器 | |
JP2001240158A (ja) | 振出し容器 | |
JP2006280687A (ja) | 湿潤材収納用容器及びウエ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