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317Y1 - 내용물의 추출이 용이한 껌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내용물의 추출이 용이한 껌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317Y1
KR200472317Y1 KR2020120001766U KR20120001766U KR200472317Y1 KR 200472317 Y1 KR200472317 Y1 KR 200472317Y1 KR 2020120001766 U KR2020120001766 U KR 2020120001766U KR 20120001766 U KR20120001766 U KR 20120001766U KR 200472317 Y1 KR200472317 Y1 KR 2004723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m
case
closed
seat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17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420U (ko
Inventor
송승혁
Original Assignee
(주)바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라 filed Critical (주)바라
Priority to KR20201200017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317Y1/ko
Publication of KR201300054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4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3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3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09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dispensing means being adapted for delivering one article, or a single dose, upon each actuation
    • B65D83/0427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dispensing means being adapted for delivering one article, or a single dose, upon each actuation the articles being dispensed by inverting the container each time, by which action movable parts may be displaced by their own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sweets or like confectionery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fectionery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껌 수납통을 뒤집은후 다시 정위치로 변환하면 일정수량의 껌이 집기에 용이한 위치로 도달되도록 함으로서 껌 수납통의 이용 효율성을 높이고 아울러 위생적인 껌 섭취가 가능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추출이 용이한 껌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개의 껌을 내측에 수납하기 위한 껌 수납 용기부와; 상기 껌 수납 용기부에 나사 결합 또는 원터치 결합에 의해서 결합되는 막구조로서, 껌 수납 용기부의 껌을 안착시키는 도넛형 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와; 상기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의 정중앙에 형성되며, 껌 수납 용기부에 존재하는 껌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기 위한 껌 인출용 홀와; 상기 껌 인출용 홀을 임시로 폐쇄하고 껌 인출이 시작되면 제거하여 껌 인출용 홀을 개방시키는 임시폐쇄부재와; 상기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의 상부를 개폐하되 껌 인출동작이 진행될 때에는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를 커버링하여 껌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하고, 껌 인출 동작이 완료되면 오픈시켜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에 안착된 껌을 손으로 꺼낼 수 있도록 하는 이중 보호 케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내용물의 추출이 용이한 껌 수납장치{Chewing Gum Container Easing Extracting Contents}
본 고안은 내용물의 추출이 용이한 껌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껌 수납통을 뒤집은후 다시 정위치로 변환하면 일정수량의 껌이 집기에 용이한 위치로 도달되도록 함으로서 껌 수납통의 이용 효율성을 높이고 아울러 위생적인 껌 섭취가 가능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추출이 용이한 껌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껌은 많은 사람들이 애용하는 기호품의 하나로서 치아의 위생과 건강 및 입냄새 예방 등에 효능이 있고 뇌의 활발한 활동에 도움이 되며 다이어트에 유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껌은 종래에는 종이에 싸여진 직사각형 형태의 판 껌이 주종으로 5~7개 단위로 은박지 또는 비닐 등과 같은 포장지에 의해 포장된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런데, 최근 들어서 각종 기능성 껌이 출현함에 따라 포장지도 점차 고급화되어 오늘날에는 이러한 껌을 담을 수 있도록 소정 공간이 구비된 플라스틱 소재의 껌 용기(容器)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바둑알 모양의 자일리톨(Xilytole) 껌의 경우 원통 형상의 용기에 포장되어 시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껌 용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껌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껌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종래의 껌 용기(100)는 내용물인 껌을 수납하는 몸통(110), 및 상기 몸통(110)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120)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덮개(120)는 몸통(110)의 상단과 결합하는 결합부(122), 및 상기 결합부(122)와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며 몸통(110)의 개구부에 결합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마개부(124)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마개부(124)의 저면에는 삽입부(204)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껌 용기(100)는 마개부(124)가 몸통(110)의 개구부(202)를 폐쇄시킬시 삽입부(204)가 몸통(110)의 내부로 삽입되어 내측에서 지지함으로써 마개부(124)가 몸통(110)의 개구부(202)에 단단히 결합되는 것이 가능
하게 된다. 또한, 결합부(122)에 형성된 제1 돌출부(210)는 몸통(110)에 형성된 제1 오목홈부(206)에 끼움 형태로 결합되며, 마개부(124)의 일단에 형성된 제2 돌출부(212)도 몸통(110)의 제2 오목홈부(208)에 끼워지도록 하여 기밀성(氣密性)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껌 용기(100)는 그 재질과 제작공정의 특성상 직경이 좁은 부분일수록 우수한 강도를 가지기 때문에 덮개(120)와 결합하는 부분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몸통(110)의 상단에 병목부(200)를 구비하여 몸통(110)의 직경에 비하여 개구부(202)의 직경이 좁게 형성된다. 또한, 종래의 껌 용기(100)는 잘 세워질 수 있도록 몸통(110)의 바닥면에 요입부(214)가 형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껌 용기(100)는 하나의 케이스(Case)에 다량을 포장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리필(Refill)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할 때 매우 유용하다.
그러나, 종래의 껌 용기(100)는 몸통(110)에 비하여 개구부(202)가 협소하여 상기 개구부(202)를 통하여 껌을 추출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예컨대, 손가락을 이용하여 껌을 추출하는 경우 개구부(202) 내부로 손가락을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또한, 소량의 껌이 껌 용기(100)에 잔존(殘存)하는 경우 손가락을 껌 용기(100)에 삽입하여 껌을 추출할시 요입부(214)에 의해 껌이 바닥면의 외주연(外周緣)을 따라 이리저리 이동하여 껌을 추출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또한, 종래의 껌 용기(100)는 상기 용기(100)를 한쪽으로 기울여서 내부에 삽입된 껌이 배출(排出)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한꺼번에 다량의 껌이 배출되어 자칫 껌을 사용하지 못하고 소모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의 껌 용기(100)는 운전 등과 같은 이유로 신속하게 껌을 추출해야 하는 경우 구조상 이러한 것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다량의 껌이 배출되었을 경우 껌의 표면에 손이 접촉되고 이 상태에서 섭취하지 않은 남은 껌이 다시 껌 용기로 재수납되므로 비위생적인 상황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이중 보호막을 갖는 구조로 껌 수납장치를 제작하고, 용기를 180도 뒤집은후 다시 180도 뒤집는 동작에 의해서 소량의 껌이 배출되도록하며, 상기 소량의 껌이 케이스로부터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소량의 껌이 인출되면 이중 보호막을 개방하여 껌을 꺼내어 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보다 편리하게 껌을 인출할 수 있고, 아울러 위생적인 껌 섭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다수개의 껌을 내측에 수납하기 위한 껌 수납 용기부(100)와; 상기 껌 수납 용기부(100)에 나사 결합 또는 원터치 결합에 의해서 결합되는 막구조로서, 껌 수납 용기부(100)의 껌을 안착시키는 도넛형 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200)와; 상기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의 정중앙에 형성되며, 껌 수납 용기부(100)에 존재하는 껌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기 위한 껌 인출용 홀(300)와; 상기 껌 인출용 홀(300)을 임시로 폐쇄하고 껌 인출이 시작되면 제거하여 껌 인출용 홀을 개방시키는 임시폐쇄부재(400)와; 상기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의 상부를 개폐하되 껌 인출동작이 진행될 때에는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를 커버링하여 껌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하고, 껌 인출 동작이 완료되면 오픈시켜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에 안착된 껌을 손으로 꺼낼 수 있도록 하는 이중 보호 케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껌 수납 용기부(100)는, 내부에 껌이 수납되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외부는 일정두께의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은 삼각형통이나 사각형통의 다각형통 형태 또는 원통형이나 타원통형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200)의 도넛형 홈(220)에는 다수개의 돌기(222)를 더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임시폐쇄 부재(400)는, 껌 인출용 홀(300)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의 폐쇄부(410)를 형성하고, 상기 폐쇄부(410)의 상부에는 손으로 잡아당겨 폐쇄부를 뜯어내기 위한 손잡이(420)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이중 보호 케이스부(500)는, 껌이 껌 인출용 홀(300)로부터 출력되어 이동시에 미끄러지면서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에 안착되도록, 중앙에 돌출 라운드면(550)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이중 보호 케이스부(500)는, 내측에 다수개의 보강 겸용 가이드 날개편(540)을 다수개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이중 보호막을 갖는 구조로 껌 수납장치를 제작하고, 용기를 180도 뒤집은후 다시 180도 뒤집는 동작에 의해서 소량의 껌이 배출되도록하며, 상기 소량의 껌이 케이스로부터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량의 껌이 인출되면 이중 보호막을 개방하여 껌을 꺼내어 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보다 편리하게 껌을 인출할 수 있고, 아울러 위생적인 껌 섭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껌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껌 용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껌 인출장치 전체 사시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동작 개념도.
도 6은 본 고안의 껌 인출장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1 동작 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 2 동작 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 3 동작 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껌 인출장치 전체 사시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동작 개념도.
도 6은 본 고안의 껌 인출장치 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구성요소는 크게 껌 수납 용기부(100)와,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200)와, 껌 인출용 홀(300)와, 임시 폐쇄부재(400)와, 이중 보호 케이스부(500)로 이루어진다.
상기 껌 수납 용기부(100)는 다수개의 껌(10)을 내측에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껌이 수납되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외부는 일정두께의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은 삼각형통이나 사각형통 등과 같은 다각형통 형태 또는 원통형이나 타원통형 형태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껌 수납 용기부(100)의 상부는 결합부재(110)가 더 형성되어 있어서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와 나사결합 또는 원터치 결합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 도면에서는 원통형 형태의 용기를 예시하고 있으나, 다각형통 또는 기타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200)는 껌 수납 용기부(100)의 상부를 폐쇄하여 껌 수납 용기부 내부에 존재하는 껌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껌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막는 폐쇄역할을 수행하고, 동시에 껌이 껌 수납 용기부로부터 인출될때 상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200)는 측면에 띠 형태의 잠금부(210)가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도넛형 홈(220)이 중앙과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도넛형 홈(220)에 인출된 껌(10)이 안착된다. 상기 잠금부(210)는 나사산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고 원터치형 후크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갈고리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200)는 껌 수납 용기부(100)에 결합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호간에 나사산에 의한 결합을 할 수 도 있고, 후크 또는 갈고리 형태로 구성하여 원터치에 의해서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와 껌 수납 용기부가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아울러, 정중앙에는 껌 수납 용기부(100)에 존재하는 껌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기 위한 껌 인출용 홀(30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껌 인출용 홀(300)은 원형이나 타원형 형태 또는 기타 삼각형태나 사각형태와 같은 다각형 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며, 홀의 크기는 껌 한개가 자유롭게 외부로 출력될 수 있는 정도이면 적합하다.
또한, 상기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200)는 도넛형 홈(220)이 형성되기 때문에 껌 수납 용기부를 뒤집었을 경우 껌 수납 용기부에 존재하는 껌이 라운드면(221)을 따라서 미끄러지면서 쉽게 껌 인출용 홀(300)로 이동한후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200)의 안착부로 쉽게 인출될 수 있다.
또한, 도 10과 같이 상기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200)의 도넛형 홈(220)에는 다수개의 돌기(222)를 더 형성하여 껍 수납 용기부(100)에 탑재된 껌이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200)에 위치될 때 돌기와 점접촉 되도록 함으로서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200)에 장시간 남아 있게 되더라도 바닥면에 달라붙지 않토록 한다. 즉, 껌 인출용 홀로부터 껌이 다수개 인출된 상태에서 한개의 껌만 섭취하고 나머지 껌을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200)에 그대로 남겨둔 경우 다수개의 돌기(222)가 존재하게 됨으로서 껌이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200)와 면접촉되지 않고 돌기와 점접촉되기 때문에 공중에 붕 떠있는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보다 위생적으로 껌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임시폐쇄부재(400)는 껌 인출용 홀(300)을 임시로 폐쇄하는 것으로, 껌 인출용 홀(300)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의 폐쇄부(410)를 형성하고, 상기 폐쇄부(410)의 상부에는 손으로 잡아당겨 폐쇄부를 뜯어내기 위한 손잡이(420)를 형성한다.
즉, 임시폐쇄부재(400)는 껌 수납장치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껌 인출용 홀(300)에 일체형으로 제작하되 나중에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200)로부터 쉽게 뜯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두께가 얇은 막으로 연결하며, 이에 따라 껌을 본격적으로 섭취하기 위해 손잡이(420)를 잡아당겨 폐쇄부(410)를 뜯어내면 용이하게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200)로부터 뜯겨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임시폐쇄부재(400)는 껌 수납장치에 껌이 담겨있는 상태에서 유통될때 외부 공기가 껌 수납 용기부 내부에 담기는 껌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껌이 변색되거나 맛이 변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중 보호 케이스부(500)는 반구형 형태로 이루어지며,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의 상부를 폐쇄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 끝단은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에 플렉시블한 연성부재(510)로 연결되는 구조이고, 타측은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에 원터치 결합돌기(520)로서 결합된다. 물론, 이중 보호 케이스부(500)는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200)를 폐쇄시켜야 하므로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200)의 외관 형태와 동일한 것이어야 하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200)의 외관 형태가 원형 이므로 이중 보호 케이스부의 형태를 반구형으로 제작하여 그 테두리면이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200) 측면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원터치 결합돌기(520)는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200)의 결합부재(211)와 원터치에 의해서 결합된다. 상기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200)의 결합부재(211)는 돌기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중 보호 케이스부(500)의 원터치 결합돌기(520)가 상기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200)의 결합부재를 타고 내려가 원터치로 결합됨으로서 이중 보호 케이스부(500)와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200)가 임시 결합이 완료된다.
또한, 상기 이중 보호 케이스부(500)는 열림 보조용 돌기(530)를 더 형성하여 구성하며, 상기 열림 보조용 돌기(530)를 엄지손가락으로 튕겨서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200)로부터 쉽게 열릴 수 있도록 함으로서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200)에 인출된 껌을 손으로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이중 보호 케이스부(500)는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200)의 상부를 폐쇄하고,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200)의 안착부에 껌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오픈시켜서 껌을 인출하는 것으로서, 열림 보조용 돌기(530)를 이용하여 이중 보호 케이스부(500)를 열어서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200)의 안착부에 존재하는 껌을 집어 섭취하고, 껌을 꺼낸 후에는 다시 닫도록 함으로서 껌 수납용 용기 내부에 존재하는 껌이 공기중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 한다.
아울러, 상기 이중 보호 케이스부(500)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보강 겸용 가이드 날개편(540)이 다수개 설치되는바, 상기 보강 겸용 가이드 날개편은 이중 보호 케이스부의 전체 모양이 유지되도록 지지하고 동시에 껌이 폐쇄 겸용 안착 케이부(200)로 안착후 쉽게 흔들리지 않게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이중 보호 케이스부(500)의 중앙은 돌출 라운드면(550)을 형성하여 껌이 껌 인출용 홀(300)로부터 출력되어 이동시에 상기 돌출 라운드면(550)을 따라 이동하도록하여 인출된 껌이 껌 인출용 홀(300)로 다시 재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과 같이 본 고안은 동작전에 껌 수납 용기부(100)에 껌(10)이 담긴 상태이며, 이때, 껌 수납 용기부(100)의 상부는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200)에 의해서 폐쇄된 상태이고, 동시에 껌 인출용 홀(300) 역시 폐쇄된 상태이며, 이중 보호 케이스부(500)는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200)를 커버링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때에는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200)가 껌 수납 용기부(100)를 완전하게 밀폐하고 있으므로 외부 공기가 껌 수납 용기부(100)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껌의 변색이나 변질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이중 보호 케이스부(500)를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200)로부터 일측을 오픈시켜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200)의 껌 인출용 홀(300)을 막고 있는 임시폐쇄부재(400)를 손으로 뜯어서 제거한다. 이에 따라 껌 인출용 홀(300)이 개방되어 껌 수납 용기부(100)에 담긴 껌(10)이 껌 인출용 홀(300)을 통해 1개 또는 2개가 외부로 출력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즉, 사용자는 본 고안의 껌 수납장치를 구입하게 되면 이중 보호 케이스부(500)를 열어서 임시폐쇄 부재(400)를 제거한후 다시 이중 보호 케이스부(500)를 닫아서 껌을 곧바로 인출할 수 있는 준비과정을 마치게 되는 것이다.
이후, 도 8과 같이 사용자가 껌의 섭취를 목적으로 껌 수납장치를 180도 뒤집는다. 그러면 껌 수납 용기부(100)에 담겨있던 껌(10)이 외부로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200)의 라운드면(221)을 따라 쉽게 이동하여 껌 인출용 홀(300)를 통해 외부로 1개 내지 2개가 출력되며, 출력된 껌(10)은 이중 보호 케이스부(500)의 중앙 돌출 라운드면(221)에 접촉하면서 가장자리로 움직인다.
이후, 도 9와 같이 사용자가 다시 껌 수납장치를 180도 뒤집어 원래 상태로 유동시키면 출력된 껌이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200)의 도넛형 홈(220)에 안착되며, 이때 보강 겸용 가이드 날개편(540)에 유도되어 다시 껌 인출용 홀(300)로 재삽입되지 않고 도넛형 홈에 안정적으로 안착되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이중 보호 케이스부(500)의 열림 보조용 돌기(530)를 엄지손가락으로 튕겨서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200)로부터 분리하여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200)가 외부로 드러나도록 하고, 상기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200)의 도넛형 홈(220)에 안착된 껌을 꺼내어 섭취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고안을 이용하면 껌 수납장치를 180도 뒤집은 후에 다시한번 180도로 뒤집는 과정을 진행하여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200)로 인출된 껌(10)을 손쉽게 꺼내어 섭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껌
100: 껌 수납 용기부
110: 결합부재
200: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
210: 잠금부
211: 결합부재
220: 도넛형 홈
221: 라운드면
222: 돌기
300: 껌 인출용 홀
400: 임시 폐쇄부재
410: 폐쇄부
420: 손잡이
500: 이중 보호 케이스부
510: 연성부재
520: 원터치 결합돌기
530: 열림 보조용 돌기
540: 보강 겸용 가이드 날개편

Claims (6)

  1. 다수개의 껌을 내측에 수납하기 위한 껌 수납 용기부(100)와;
    상기 껌 수납 용기부(100)에 나사 결합 또는 원터치 결합에 의해서 결합되는 막구조로서, 껌 수납 용기부(100)의 껌을 안착시키는 도넛형 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200)와;
    상기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의 정중앙에 형성되며, 껌 수납 용기부(100)에 존재하는 껌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기 위한 껌 인출용 홀(300)와;
    상기 껌 인출용 홀(300)을 임시로 폐쇄하고 껌 인출이 시작되면 제거하여 껌 인출용 홀을 개방시키는 임시폐쇄부재(400)와;
    상기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의 상부를 개폐하되 껌 인출동작이 진행될 때에는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를 커버링하여 껌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하고, 껌 인출 동작이 완료되면 오픈시켜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에 안착된 껌을 손으로 꺼낼 수 있도록 하는 이중 보호 케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추출이 용이한 껌 수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껌 수납 용기부(100)는,
    내부에 껌이 수납되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외부는 일정두께의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은 삼각형통이나 사각형통의 다각형통 형태 또는 원통형이나 타원통형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추출이 용이한 껌 수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200)의 도넛형 홈(220)에는 다수개의 돌기(222)를 더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추출이 용이한 껌 수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폐쇄 부재(400)는,
    껌 인출용 홀(300)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의 폐쇄부(410)를 형성하고,
    상기 폐쇄부(410)의 상부에는 손으로 잡아당겨 폐쇄부를 뜯어내기 위한 손잡이(420)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추출이 용이한 껌 수납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보호 케이스부(500)는,
    껌이 껌 인출용 홀(300)로부터 출력되어 이동시에 미끄러지면서 폐쇄 겸용 안착 케이스부에 안착되도록, 중앙에 돌출 라운드면(550)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추출이 용이한 껌 수납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보호 케이스부(500)는,
    내측에 다수개의 보강 겸용 가이드 날개편(540)을 다수개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추출이 용이한 껌 수납장치.
KR2020120001766U 2012-03-07 2012-03-07 내용물의 추출이 용이한 껌 수납장치 KR2004723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766U KR200472317Y1 (ko) 2012-03-07 2012-03-07 내용물의 추출이 용이한 껌 수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766U KR200472317Y1 (ko) 2012-03-07 2012-03-07 내용물의 추출이 용이한 껌 수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420U KR20130005420U (ko) 2013-09-17
KR200472317Y1 true KR200472317Y1 (ko) 2014-04-23

Family

ID=51489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766U KR200472317Y1 (ko) 2012-03-07 2012-03-07 내용물의 추출이 용이한 껌 수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31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151Y1 (ko) * 2015-01-05 2016-08-22 롯데제과주식회사 껌 수납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6846A (ja) 2003-09-02 2005-04-14 Ishida Co Ltd 食品容器
KR200439893Y1 (ko) 2007-06-14 2008-05-13 주식회사 대륙제관 액체용기의 용기 마개
KR20100120514A (ko) * 2009-05-06 2010-11-16 (주)아이디플라텍 복수 개폐구조를 갖는 방수 방습 껌통
KR20110102645A (ko) * 2010-03-11 2011-09-19 고경만 경구용 내용물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6846A (ja) 2003-09-02 2005-04-14 Ishida Co Ltd 食品容器
KR200439893Y1 (ko) 2007-06-14 2008-05-13 주식회사 대륙제관 액체용기의 용기 마개
KR20100120514A (ko) * 2009-05-06 2010-11-16 (주)아이디플라텍 복수 개폐구조를 갖는 방수 방습 껌통
KR20110102645A (ko) * 2010-03-11 2011-09-19 고경만 경구용 내용물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420U (ko) 2013-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7137861A (ru) Упаковка для продуктов, приготавливаемых для немедленн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особенно лекарственных,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х, косметических и подобных продуктов
BRPI0918799B1 (pt) recipiente com duas tampas opostas
KR200424929Y1 (ko) 내용물의 추출이 용이한 포장용기
JP6514297B2 (ja) カプセル型内容物の排出速度が向上した包装容器
KR200472317Y1 (ko) 내용물의 추출이 용이한 껌 수납장치
KR101144439B1 (ko) 복수 개폐구조를 갖는 방수 방습 껌통
KR102093774B1 (ko) 보조 수용 기구 및 이를 장착한 용기
KR100940527B1 (ko) 외압에 의해 파단되는 탄성개폐구를 갖는 마개
ES2441168T3 (es) Dispositivo para racionar alimentos o estimulantes a granel
TWM580942U (zh) Paper towel packaging box capable of adsorbing liquid and finished product thereof
US20170121076A1 (en) Medicinal storage-incorporating cover for cups
KR20110007691U (ko) 탈착이 용이한 밀폐용기뚜껑
CN206511361U (zh) 一种密封防潮容器
KR200420867Y1 (ko)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기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KR101287850B1 (ko) 빨대 삽입용 커버
CA2603168A1 (en) Contact lens package and applicator with method for its use
KR102130773B1 (ko) 용기
CN106697556A (zh) 一种密封防潮容器
KR200452388Y1 (ko) 기름종이 컴팩트 케이스
KR200489331Y1 (ko) 고체 약정 보관용 앰플 캡
KR200481151Y1 (ko) 껌 수납용기
ES1071783U (es) Envase para productos pastosos o semifluidos.
KR20110009540U (ko) 착탈식 일체형 캡
JP2004230048A (ja) 洗眼容器
KR200455445Y1 (ko) 일회용 봉투 컵이 내장된 휴대용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