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1042B1 - 컵 뚜껑 - Google Patents

컵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1042B1
KR101751042B1 KR1020170020625A KR20170020625A KR101751042B1 KR 101751042 B1 KR101751042 B1 KR 101751042B1 KR 1020170020625 A KR1020170020625 A KR 1020170020625A KR 20170020625 A KR20170020625 A KR 20170020625A KR 101751042 B1 KR101751042 B1 KR 101751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guide
main body
discharge hole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0834A (ko
Inventor
송승민
Original Assignee
상진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진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상진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0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1042B1/ko
Publication of KR20170020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0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1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1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96Producing closure members for containers, e.g. closure caps or st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46Drinking-through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55Lids serving as, or incorporating, drinking or measuring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컵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를 미리 정한 각도 이상 둘러싸고 있는 제1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이드와 상기 본체부의 연결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배출공;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배출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배출공으로부터 배출된 음료와 상기 제2 배출공으로부터 배출된 음료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미리 정한 높이로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상기 음료 수용부를 공간적으로 분할하는 공간 분리부가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배출공으로 배출된 음료를 식혀서 마시는 동안 상기 음료가 상기 제1 가이드의 반대 쪽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구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컵 뚜껑 {A Cup Lid}
본 발명은 컵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1 배출공으로 배출된 음료를 식혀서 마시는 동안 음료가 제1 가이드의 반대 쪽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구속할 수 있는 컵 뚜껑에 관한 것이다.
커피 전문점 등에서 판매되는 커피 등의 음료를 담기 위한 음료용 컵에는 컵의 상측을 커버하는 컵 뚜껑(cup lid)이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데, 상기와 같은 컵 뚜껑은, 합성수지 재질로 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며, 출렁이는 음료가 넘치거나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컵을 들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해주며, 배출공을 통해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컵 뚜껑은, 작은 배출공을 입에 대거나, 별도의 빨대를 배출공에 꽂아서 음료를 마시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뜨거운 음료를 마시기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특히 음료가 눈에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어느 정도의 양이 언제 입에 닿을지 몰라 매우 조심해야하고, 입을 데일 수 있다는 두려움 때문에 대부분의 사용자가 컵 뚜껑을 컵으로부터 제거하고 음용하고 있어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컵 뚜껑을 사용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제1 배출공으로 배출된 음료를 식혀서 마시는 동안 음료가 제1 가이드의 반대 쪽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구속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컵 뚜껑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컵 뚜껑은, 음료가 수용될 수 있는 컵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컵 뚜껑으로서, 상기 컵의 개구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컵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결합부; 미리 정한 높이로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결합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음료를 사용자의 입으로 안내하는 음료 안내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컵의 내부에 수용된 음료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음료 배출부; 상기 음료 배출부를 통하여 배출된 음료를 수용할 수 있는 음료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료 안내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를 미리 정한 각도 이상 둘러싸고 있는 제1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음료 배출부는, 상기 제1 가이드와 상기 본체부의 연결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배출공;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배출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배출공으로부터 배출된 음료와 상기 제2 배출공으로부터 배출된 음료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미리 정한 높이로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상기 음료 수용부를 공간적으로 분할하는 공간 분리부가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가이드의 대향 부위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를 미리 정한 각도 이상 둘러싸고 있는 제2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배출공은, 상기 제2 가이드와 상기 본체부의 연결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사용자의 입술이 상기 제2 배출공을 자연스럽게 커버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제2 가이드의 최고 돌출 높이는 상기 제1 가이드의 최고 돌출 높이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사용자의 입술이 상기 제2 배출공을 자연스럽게 커버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제2 배출공은 상기 제2 가이드 측으로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음료 수용부는, 상기 제1 가이드와 상기 본체부 및 상기 공간 분리부가 서로 협력하여 형성하는 제1 수용 공간; 상기 제2 가이드와 상기 본체부 및 상기 공간 분리부가 서로 협력하여 형성하는 제2 수용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수용 공간 측에 배치된 제1 바닥; 상기 제2 수용 공간 측에 배치된 제2 바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바닥은 상기 제2 바닥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바닥과 상기 공간 분리부 사이에 비스듬한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바닥의 평면적은 상기 제2 바닥의 평면적의 3배 내지 1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시트형 부재를 진공 성형법에 의하여 가공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를 미리 정한 각도 이상 둘러싸고 있는 제1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이드와 상기 본체부의 연결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배출공;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배출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배출공으로부터 배출된 음료와 상기 제2 배출공으로부터 배출된 음료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미리 정한 높이로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상기 음료 수용부를 공간적으로 분할하는 공간 분리부가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배출공으로 배출된 음료를 식혀서 마시는 동안 상기 음료가 상기 제1 가이드의 반대 쪽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구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컵 뚜껑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컵 뚜껑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컵 뚜껑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컵 뚜껑의 제1 배출공을 통하여 음료가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컵 뚜껑의 제2 배출공을 통하여 음료가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컵 뚜껑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컵 뚜껑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컵 뚜껑(100)은, 음료가 수용될 수 있는 컵(1)의 개구부(2)를 폐쇄하는 컵 뚜껑(Cup Lid)으로서, 본체부(10)와, 결합부(20)와, 음료 안내부(30)와, 음료 배출부(40)와, 음료 수용부(50)와, 공간 분리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는, 상기 컵(1)의 원형 개구부(2)와 대응되는 형상의 부분으로서, 대략적인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지며, 바닥부(11)와 경사부(12)를 구비한다.
상기 바닥부(11)는, 상기 개구부(2)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부분으로서, 제1 바닥(11a)과 제2 바닥(11b)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바닥(11a)은, 후술할 제1 수용 공간(51) 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 바닥(11b)은, 후술할 제2 수용 공간(52) 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 바닥(11b)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한 가로 길이(W)와 세로 길이(L2)를 구비한 타원 형상의 평면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바닥(11b)의 세로 길이(L2)에 대한 상기 제1 바닥(11a)의 세로 길이(L1)의 비율은, 3배 내지 7배이다.
상기 제1 바닥(11a)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한 세로 길이(L1)를 구비한 종(bell) 형상의 평면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바닥(11a)의 평면적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바닥(11b)의 평면적의 5배 내지 15배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바닥(11a)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테두리 안내부(22)로부터 상기 제2 바닥(11b)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경사부(12)는, 비스듬하게 경사진 부분으로서, 상기 제1 바닥(11a)과 상기 제2 바닥(11b) 사이에 배치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바닥(11a)으로부터 상기 제2 바닥(11b)으로 갈수록 점점 높아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결합부(20)는, 상기 컵 뚜껑(100)을 상기 컵(1)의 개구부(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테두리(3)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부분으로서, 테두리 수용부(21)와, 테두리 안내부(22)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컵(1)의 테두리(3)는, 사용자의 입술을 보호하고 상기 컵(1)의 형상유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컵(1)의 상단을 외부로 말아 감아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테두리 수용부(2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두리(3)를 탈착 가능하게 수용하는 원형 고리 형상의 부분으로서, 탄성 변형이 가능하며, 상기 테두리(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테두리 안내부(22)는, 상기 컵(1)의 테두리(3)가 상기 테두리 수용부(21)에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해주는 원형 고리 형상의 부분으로서, 상기 테두리 수용부(21)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테두리 안내부(22)는,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커져서 최대 직경(D)으로 벌어지는 형상을 구비하고 있으며,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음료 안내부(30)는, 컵(1)의 내부에 수용된 음료를 사용자의 입으로 안내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상기 본체부(10)와 상기 결합부(20)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가이드(31)와 제2 가이드(3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가이드(31)는, 미리 정한 최고 높이(H1)로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벽체 부분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의 우단부를 약 270도 둘러싸고 있다.
상기 제1 가이드(31)의 양단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돌출된 높이가 완만하게 낮아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제2 가이드(32)는, 미리 정한 최고 높이(H2)로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벽체 부분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의 좌단부를 약 30도 둘러싸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가이드(32)는, 상기 제1 가이드(31)의 대향 부위에 배치되어 가상의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가이드(32)의 최고 돌출 높이(H2)는, 사용자의 입술이 후술할 제2 배출공(42)을 자연스럽게 커버할 수 있을 정도로 낮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가이드(31)의 최고 돌출 높이(H1)보다 낮다.
상기 음료 배출부(40)는, 컵(1)의 내부에 수용된 음료가 컵(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부분으로서, 제1 배출공(41)과 제2 배출공(42)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배출공(41)은, 상기 제1 바닥(11a)에 형성되어 있는 타원형 구멍으로서, 상기 제1 가이드(31)와 상기 제1 바닥(11a)의 연결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배출공(42)은, 상기 제2 바닥(11b)에 형성되어 있는 타원형 구멍으로서, 상기 제2 가이드(32)와 상기 제2 바닥(11b)의 연결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배출공(42)은, 사용자의 입술이 상기 제2 배출공(42)을 자연스럽게 커버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제2 가이드(32) 측으로 최대한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기 음료 수용부(50)는, 상기 음료 배출부(40)를 통하여 배출된 음료를 수용할 수 있는 부분으로서, 제1 수용 공간(51)와 제2 수용 공간(5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수용 공간(5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배출공(41)으로부터 배출된 음료가 수용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제1 가이드(31)와 상기 제1 바닥(11a) 및 후술할 공간 분리부(60)가 서로 협력하여 형성되는 공간이다.
상기 제2 수용 공간(5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배출공(42)으로부터 배출된 음료가 수용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제2 가이드(32)와 상기 제2 바닥(11b) 및 후술할 공간 분리부(60)가 서로 협력하여 형성되는 공간이다.
상기 공간 분리부(60)는, 상기 제1 수용 공간(51)과 제2 수용 공간(52)을 공간적으로 분할하여 서로 격리시키는 벽체로서 상기 본체부(1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배출공(41)으로부터 배출된 음료와 상기 제2 배출공(42)으로부터 배출된 음료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미리 정한 높이(H3)로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간 분리부(60)의 상단부 높이(H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가이드(32)의 상단 최고 높이와 일치하는 값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공간 분리부(60)의 상단부 높이(H3)의 측정 기준은 상기 제2 바닥(11b)이며, 상기 제2 가이드(32)의 상단 최고 높이(H2)의 측정 기준은 테두리 수용부(21)이므로, 상기 높이(H3)의 값이 상기 높이(H2)의 값보다 측정 기준 간의 높이 차이만큼 큰 것은 자명하다.
상기 공간 분리부(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 상으로 휘어진 곡선 형상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컵 뚜껑(100)은, 합성수지 재질의 얇은 시트형 부재를 진공 성형법(Vaccum Infusion)에 의하여 가공함으로써 제조되며, 복수 개가 상하로 적층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의 컵 뚜껑(100)을 사용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컵(1)을 상기 제1 가이드(31) 쪽으로 기울이게 되면, 컵(1)의 내부에 수용된 음료가 상기 제1 배출공(4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제1 수용 공간(51)에 수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1 수용 공간(51)에 수용된 음료를 입김으로 불어서 강제 냉각시키거나 외부의 찬 공기에 의하여 수초 내지 수십초 동안 자연 냉각시킨 후, 적당히 식혀진 음료를 마실 수 있다. 특히 뜨거운 커피의 경우에 상기 제1 수용 공간(51)을 이용하여 음료를 섭취가 편리하다.
한편, 상기 제1 배출공(41)을 이용하여 음료를 마실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가 상기 제1 가이드(31)의 내측 공간(S)에 갇혀서 상기 제1 배출공(41)을 통하여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는데, 컵(1)의 내부에 수용된 음료가 얼마 남아 있지 않을 때가 특히 문제이다. 왜냐하면 컵(1)의 내부에 수용된 음료 대부분이 상기 제1 가이드(31)의 내측 공간(S)에 갇힐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컵(1)의 내부에 수용된 음료가 얼마 남아 있지 않을 때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컵(1)을 상기 제2 가이드(32) 쪽으로 기울이게 되면, 컵(1)의 내부에 수용된 음료가 상기 제2 배출공(4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제2 수용 공간(52)에 수용되며, 사용자는 상기 제2 수용 공간(52)에 수용된 음료를 마시면 된다. 이때 음료가 뜨거운 커피였다면 이미 충분히 식은 상태일 것이므로 상기 제2 수용 공간(52)에서 음료를 추가 냉각시킬 필요는 없을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의 컵 뚜껑(100)은, 음료가 수용될 수 있는 컵(1)의 개구부(2)를 폐쇄하는 컵 뚜껑으로서, 상기 컵(1)의 개구부(2)와 대응되는 형상의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컵(1)의 개구부(2)에 결합되는 결합부(20)와, 미리 정한 높이로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상기 본체부(10)와 상기 결합부(2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음료를 사용자의 입으로 안내하는 음료 안내부(30)와, 상기 본체부(10)에 형성되어 있으며 컵(1)의 내부에 수용된 음료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음료 배출부(40)와, 상기 음료 배출부(40)를 통하여 배출된 음료를 수용할 수 있는 음료 수용부(50)를 포함하며, 상기 음료 안내부(30)는, 상기 본체부(10)의 일단부를 미리 정한 각도 이상 둘러싸고 있는 제1 가이드(31)를 포함하며, 상기 음료 배출부(40)는, 상기 제1 가이드(31)와 상기 본체부(10)의 연결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배출공(41); 상기 본체부(10)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배출공(42)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배출공(41)으로부터 배출된 음료와 상기 제2 배출공(42)으로부터 배출된 음료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미리 정한 높이로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상기 음료 수용부(50)를 공간적으로 분할하는 공간 분리부(60)가 상기 본체부(1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상기 제1 가이드(31)를 이용하여 음료를 마실 때, 컵(1)의 내부에 수용된 음료가 최대한 다량으로 상기 제1 배출공(4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수용 공간(51)에 수용된 음료가 상기 제1 가이드(31)의 반대 쪽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구속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컵 뚜껑(100)은, 상기 제1 가이드(31)의 대향 부위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부(10)의 타단부를 미리 정한 각도 이상 둘러싸고 있는 제2 가이드(32);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배출공(42)은, 상기 제2 가이드(32)와 상기 본체부(10)의 연결 부위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컵(1)의 내부에 수용된 음료가 최대한 다량으로 상기 제2 배출공(4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배출공(4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 음료가 상기 제2 가이드(32)에 의하여 구속되어 컵 뚜껑(100) 밖으로 유실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컵 뚜껑(100)은, 사용자의 입술이 상기 제2 배출공(42)을 자연스럽게 커버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제2 가이드(32)의 최고 돌출 높이(H2)는 상기 제1 가이드(31)의 최고 돌출 높이(H1)보다 낮으므로, 상기 제2 배출공(42)로부터 배출되는 음료가 흘러서 유실되지 않고 사용자의 입속으로 흡입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컵 뚜껑(100)은, 사용자의 입술이 상기 제2 배출공(42)을 자연스럽게 커버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제2 배출공(42)이 상기 제2 가이드(32) 측으로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컵(1)의 내부에 수용된 음료가 최대한 다량으로 상기 제2 배출공(4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배출공(42)로부터 배출되는 음료가 흘러서 유실되지 않고 사용자의 입속으로 흡입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컵 뚜껑(100)은, 상기 음료 수용부(50)는, 상기 제1 가이드(31)와 상기 본체부(10) 및 상기 공간 분리부(60)가 서로 협력하여 형성하는 제1 수용 공간(51); 상기 제2 가이드(32)와 상기 본체부(10) 및 상기 공간 분리부(60)가 서로 협력하여 형성하는 제2 수용 공간(52);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10)는 상기 제1 수용 공간(51) 측에 배치된 제1 바닥(11a); 상기 제2 수용 공간(52) 측에 배치된 제2 바닥(11b)을 포함하므로, 상기 제1 수용 공간(51) 및 제2 수용 공간(52)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컵 뚜껑(100)은, 상기 제1 바닥(11a)은 상기 제2 바닥(11b)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바닥(11a)과 상기 공간 분리부(60) 사이에 비스듬한 경사부(1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수용 공간(51)에 수용된 음료가 상기 제2 수용 공간(52)으로 침입할 가능성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컵 뚜껑(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바닥(11a)의 평면적이 상기 제2 바닥(11b)의 평면적의 5배 내지 15배이므로, 상기 제2 수용 공간(52)에 비하여 상기 제1 수용 공간(51)의 냉각 기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컵 뚜껑(100)은, 시트형 부재를 진공 성형법에 의하여 가공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므로, 합성수지 재질의 얇은 시트형 부재를 원자재로 사용하여 저가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컵 뚜껑 10 : 본체부
11 : 바닥부 11a : 제1 바닥
11b : 제2 바닥 12 : 경사부
20 : 결합부 21 : 테두리 수용부
22 : 테두리 안내부 30 : 음료 안내부
31 : 제1 가이드 32 : 제2 가이드
40 : 음료 배출부 41 : 제1 배출공
42 : 제2 배출공 50 : 음료 수용부
51 : 제1 수용 공간 52 : 제2 수용 공간
60 : 공간 분리부 1 : 컵
2 : 개구부 3 : 테두리

Claims (1)

  1. 음료가 수용될 수 있는 컵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컵 뚜껑으로서,
    상기 컵의 개구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컵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결합부;
    미리 정한 높이로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결합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음료를 사용자의 입으로 안내하는 음료 안내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컵의 내부에 수용된 음료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음료 배출부;
    상기 음료 배출부를 통하여 배출된 음료를 수용할 수 있는 음료 수용부;
    를 포함하며,
    상기 음료 안내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를 미리 정한 각도 이상 둘러싸고 있는 제1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음료 배출부는,
    상기 제1 가이드와 상기 본체부의 연결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배출공;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배출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배출공으로부터 배출된 음료와 상기 제2 배출공으로부터 배출된 음료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미리 정한 높이로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상기 음료 수용부를 공간적으로 분할하는 공간 분리부가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가이드의 대향 부위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를 미리 정한 각도 이상 둘러싸고 있는 제2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배출공은, 상기 제2 가이드와 상기 본체부의 연결 부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입술이 상기 제2 배출공을 자연스럽게 커버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제2 가이드의 최고 돌출 높이는 상기 제1 가이드의 최고 돌출 높이보다 낮으며,
    사용자의 입술이 상기 제2 배출공을 자연스럽게 커버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제2 배출공은 상기 제2 가이드 측으로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음료 수용부는,
    상기 제1 가이드와 상기 본체부 및 상기 공간 분리부가 서로 협력하여 형성하는 제1 수용 공간; 상기 제2 가이드와 상기 본체부 및 상기 공간 분리부가 서로 협력하여 형성하는 제2 수용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수용 공간 측에 배치된 제1 바닥; 상기 제2 수용 공간 측에 배치된 제2 바닥;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바닥의 평면적은 상기 제2 바닥의 평면적의 5배 내지 15배이며,
    상기 제1 바닥은 상기 제2 바닥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바닥과 상기 공간 분리부 사이에 비스듬한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시트형 부재를 진공 성형법에 의하여 가공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KR1020170020625A 2017-02-15 2017-02-15 컵 뚜껑 KR101751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625A KR101751042B1 (ko) 2017-02-15 2017-02-15 컵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625A KR101751042B1 (ko) 2017-02-15 2017-02-15 컵 뚜껑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8859 Division 2015-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834A KR20170020834A (ko) 2017-02-24
KR101751042B1 true KR101751042B1 (ko) 2017-06-27

Family

ID=58313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625A KR101751042B1 (ko) 2017-02-15 2017-02-15 컵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10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722U (ko)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커피렉코리아 향배출부가 구성된 컵 뚜껑
KR20200137380A (ko) * 2019-05-30 2020-12-09 박상연 걸림턱이 형성된 종이재질의 용기뚜껑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6437A (en) 1985-03-18 1991-01-22 Farmer Herbert B Spill resistant li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722U (ko)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커피렉코리아 향배출부가 구성된 컵 뚜껑
KR20200137380A (ko) * 2019-05-30 2020-12-09 박상연 걸림턱이 형성된 종이재질의 용기뚜껑
KR102246269B1 (ko) * 2019-05-30 2021-04-28 박상연 걸림턱이 형성된 종이재질의 용기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834A (ko) 2017-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22139B2 (ja) 飲料容器用の蓋および煎じ出しユニット
US6176390B1 (en) Container lid with cooling reservoir
US20150014322A1 (en) Cup lid and portable protection case therefor
US20150201777A1 (en) Cup lid and portable protection case therefor
US20130224343A1 (en) Beverage container for brewing apparatus
US11292635B2 (en) Plate attachment assembly
KR101751042B1 (ko) 컵 뚜껑
KR101450181B1 (ko) 캡슐의 장착이 가능한 컵 뚜껑
JP6328371B2 (ja) 飲み物用カップ蓋および飲み物用カップ
JP2005224261A (ja) 飲用具
US20160145011A1 (en) Container Lid Construction and Associated Methods
KR101349435B1 (ko) 다중 컵
KR20180065315A (ko) 차량용 용기 수납 홀더
JP5841829B2 (ja) 蓋付きのコーヒーカップ
KR200489129Y1 (ko) 빨대를 갖는 일회용 음료컵
US20120024163A1 (en) Ring-shaped adapter having a net for brewing tea in disposable cups
EP3016877B1 (en) Container lid construction and associated methods
JP2007253948A (ja) プラスチック容器
KR200487413Y1 (ko) 나선형 결합부가 형성된 테이크아웃 용 일회용 컵
AU2019204796B2 (en) Beverage cup lid
WO2015190681A1 (ko) 테이크 아웃용 음료용기
KR20220003942A (ko) 차단홈을 구비하는 음료 용기
KR102305471B1 (ko)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KR200489712Y1 (ko) 일회용 컵 뚜껑
KR20140026213A (ko) 음료용 컵 뚜껑 및 음료용 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