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6269B1 - 걸림턱이 형성된 종이재질의 용기뚜껑 - Google Patents

걸림턱이 형성된 종이재질의 용기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6269B1
KR102246269B1 KR1020190063658A KR20190063658A KR102246269B1 KR 102246269 B1 KR102246269 B1 KR 102246269B1 KR 1020190063658 A KR1020190063658 A KR 1020190063658A KR 20190063658 A KR20190063658 A KR 20190063658A KR 102246269 B1 KR102246269 B1 KR 102246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locking
container lid
locking jaw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7380A (ko
Inventor
박상연
Original Assignee
박상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연 filed Critical 박상연
Priority to KR1020190063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6269B1/ko
Priority to PCT/KR2020/004826 priority patent/WO2020209630A1/ko
Priority to TW109112215A priority patent/TWI732520B/zh
Publication of KR20200137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06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inside a peripheral U-shaped channel in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6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 B65D2543/0007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 B65D2543/00092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circ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259Materials used
    • B65D2543/00268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걸림턱이 형성된 종이재질의 용기뚜껑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전체가 종이재질로 형성되고, 용기의 컬링부에 걸림 되는 걸림턱이 용기뚜겅의 옆지 내측면에 형성된 용기뚜껑에 관한 것으로써, 종이재질을 이용하여 용기뚜껑을 형성하고, 용기의 상부에 형성된 컬링부에 걸림 될 수 있는 걸림턱이 용기뚜껑의 옆지 하부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턱이 형성된 종이재질의 용기뚜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걸림턱이 형성된 종이재질의 용기뚜껑{Container lid with paper jaw with hanging jaw}
본 발명은 걸림턱이 형성된 종이재질의 용기뚜껑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전체가 종이재질로 형성되고, 개방된 용기의 상부에 형성된 컬링부에 걸림 되는 걸림턱이 용기뚜겅의 옆지 내측면에 형성된 용기뚜껑에 관한 것이다.
우선,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산업 발전과 함께 인간 생활속의 편리성을 추구하면서 일회용 제품 들이 많이 생산되고 있다.
예를 들면, 종이 재료를 이용하여 컵, 용기, 접시 등 다양한 종이 제품을 생산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이 재료의 재질이 갖는 특성상 제품의 제조에 여러 어려움을 갖을 뿐만아니라 제품의 다양성에도 한계를 갖는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종이컵이나 종이용기는 다양한 형태로 제조 사용되고 있었으나 종이 뚜껑의 제조, 사용은 거의 없었기에 종이컵, 음료용기, 식품용기 등에 음식물을 담아 보관시 별도 뚜껑을 사용할 수 없었다.
또한, 일회용 종이컵은 판지를 말아 본체를 이루고 본체의 상단 개구부 외주연에는 보강기능, 음용수가 퍼지지 않고 한곳으로 모여지는 기능 및 날카로움을 방지하기 위한 컬링부가 형성되며, 하단에 별도의 밑지를 합지시켜 폐쇄부를 형성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이컵은 야외에서의 사용이나 자판기용으로의 사용에 매우 간편하고 적합하여 일상생활에서 긴요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비교적 제조단가가 낮고 사용 후 재활용이나 폐기 처리시키는 것이 어렵지 않으며 폐기되더라도 환경오염의 염려가 없는 등의 잇점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이컵은 상단 개구부가 상시 개방된 구조인 까닭에 내용물을 받아 이동시킬 경우 출렁거리거나 넘쳐흐르게 되어 주위를 오염시키게 되고 뜨거운 내용물일 경우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내용물을 남겨 보관할 경우에는 이물질이 혼입되어 비위생적이게 되고 내용물의 성질에 따라 쉽게 식거나 더워지게 되어 본래의 음료 특성을 지속시킬 수 없으며 장기간 보관이 요구될 경우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남긴 내용물이 담긴 상태로 폐기될 경우 주변으로 내용물이 쏟아지게 되어 주변을 쉽게 오염시키게 되는 폐단이 있다.
종래에는 공개번호 실 제1999-0015893호의 '종이 재질의 용기 뚜껑'과, 공개번호 특 제2003-0064199호의 '뚜껑이 구비된 종이컵'과, 공개번호 제10-20004-0000285호의 '컵뚜껑 겸용 일회용 종이용기와 제조방법'과, 공개번호 제10-2011-0030175호의 '종이 뚜껑 제조방법 및 장치' 및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 제2006-248530호의 '종이 용기용 종이 뚜껑'이 개시되어 있지만, 상기한 문제점에 대해서는 여전히 개선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해낸 것으로써, 종이재질을 이용하여 용기뚜껑을 형성하고, 용기의 상부에 형성된 컬링부에 걸림 될 수 있는 걸림턱이 용기뚜껑의 옆지 하부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턱이 형성된 종이재질의 용기뚜껑을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종이재질로 형성되되 일정크기의 원호를 그리며 양끝부가 상호 접착된 옆지와, 상기 옆지의 내부로 인입되되 숨구멍이 형성된 밑지로 구성되어 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용기뚜껑에 있어서, 상기 밑지의 하부에 위치된 옆지의 내측면에는 상부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의 하부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을 이루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종이재질의 용기뚜껑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걸림턱이 형성된 종이재질의 용기뚜껑에 따르면, 종이재질을 이용하여 용기의 용기뚜껑을 제작할 수 있어 종이재질에 대한 재활용이 가능하고, 상기 용기뚜껑의 하부 내측면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용기의 상부에 형성된 컬링부에 걸림 되도록 하여 용기뚜껑이 용기에서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걸림턱의 다양한 구조 및 형상 변형으로 인해 밀폐력을 상승시킬 수 있는 등 효과가 큰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1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4는 도 3의 A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1을 나타내는 평단면도와 A-A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6은 도 5에 대한 걸림턱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와 정단면도
도 7은 도 5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8은 도 5와 도 7에 대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도 5에 대한 또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와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인 걸림턱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연장부의 형상을 나타내는 측면도와 정면도
도 13은 도 12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인 걸림턱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세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상세 단면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15를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인 걸림턱이 형성된 종이재질의 용기뚜껑은 종이재질로 형성되되 일정크기의 원호를 그리며 양끝부가 상호 접착된 옆지(100)와, 상기 옆지(100)의 내부로 인입되되 숨구멍이 형성된 밑지(200)로 구성되어 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용기뚜껑에 있어서, 상기 밑지(200)의 하부에 위치된 옆지(100)의 내측면에는 상부에 걸림홈(310)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310)의 하부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을 이루는 걸림턱(3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용기뚜껑은 종이재질로 형성되되 일정크기의 원호를 그리며 양끝부가 상호 접착된 옆지(100)와, 상기 옆지(100)의 내부로 인입되되 숨구멍이 형성된 밑지(200)로 구성되어 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용기뚜껑에 대해 종이재질을 유지하면서 활용력과 밀폐력 및 종이에 대한 재활용까지 고려하여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종이재질로 형성되며 옆지(100)와 밑지(200)의 연결로 구성된다.
상기 밑지(200)의 하부에 위치되는 옆지(100)의 내측면에는 상부에 걸림홈(310)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310)의 하부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을 이루는 걸림턱(3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홈(310)에는 용기의 컬링부(30)가 인입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320)은 상기 걸림홈(310)의 하부에 형성되되 내측방향으로 돌출을 이루며 형성되되 상기 용기의 컬링부(30)가 걸림홈(310)에 걸림 후, 상기 걸림턱(320)으로 인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걸림턱(320)은 용기뚜껑(10)에 구성되는 옆지(100)의 하부 내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320)은 내측면에 원호를 그리며 형성되되 상기 내측면의 전체에 형성되거나(도면 5 참조) 또는 일정 간격 이격을 이루며(도면 6 참조) 다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걸림턱(320)은 옆지(100)의 내측면에 형성 시, 원호를 그리되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일 측이 일정 각도를 이루며(도 2 참조)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걸림턱(320)의 형상은 옆지(100)의 내측면 기준으로 라운드형상 또는 다각의 형상 또는 일정 각도를 이루며 돌출을 이루는 형상 형성된다.
상기항 걸림턱(320)의 형상은 용기의 컬링부(30)에 대해 이탈을 방지하기 위함이다.(도면 4 참조)
또한, 상기 돌출을 이루는 형상에 대해서는 상기한 라운드형상과 다각의 형상이 부가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걸림턱(320)은 옆지(100)의 내측면에 형성 시, 상기 옆지(100)의 내측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이격을 이루며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도면 7 참조)
상기 걸림턱(320)을 상, 하부로 다수개 형성 시에는, 각각의 걸림턱(320a)과 걸림턱(320b) 사이에 걸림홈(310a)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310)과 걸림홈(310a)에는 용기의 컬링부가 인입되며 상기 각각의 걸림홈(310, 310a)으로 인해 용기가 용기뚜껑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하였다.
상기 용기뚜껑(10)에는 사용자의 입과 접촉되는 부분에 돌출을 이루는 연장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장부(11)는 종이재질이 다겹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며 2중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장부(11)는 사용자가 내용물의 섭취 시, 뜨거운 내용물에 대한 예방적인 구성으로 뜨거운 내용물이 용기의 내부에서 사용자의 입으로 오는 동안 상기 연장부(11)를 거치면서 내용물의 온도가 조금이나마 내려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종이재질을 이용하여 용기의 용기뚜껑을 제작할 수 있어 종이재질에 대한 재활용이 가능하고, 상기 용기뚜껑의 하부 내측면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용기의 상부에 형성된 컬링부에 걸림 되도록 하여 용기뚜껑이 용기에서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걸림턱의 다양한 구조 및 형상 변형으로 인해 밀폐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10 : 용기뚜껑 11 : 연장부 30 : 컬링부
100 : 옆지 200 : 밑지
310 : 걸림홈 320 : 걸림턱

Claims (8)

  1. 종이재질로 형성되되 일정크기의 원호를 그리며 끝부가 상호 내측으로 꺾임 되어 홈부를 형성하며 상기 꺾임된 부분의 내측 상부에는 걸림홈(310)과, 상기 걸림홈(310)의 하부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을 이루는 걸림턱(320)이 형성된 옆지(100)가 구성되고, 외주 일부분이 상기 옆지(100)의 홈부로 인입되되 숨구멍이 형성된 밑지(200)로 구성되어 개방된 용기의 상부를 덮는 용기뚜껑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하방향, 내측방향 및 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꺾임되어 형성되고,
    상기 밑지(200)의 외주는 하방향으로 꺾임되며,
    상기 밑지(200)의 꺾임된 부분은 상기 옆지(100)의 홈부에 빈공간없이 끼움 결합되고,
    상기 걸림턱(320)은 내측면에 원호를 그리며 옆지(100)의 내측면 전체에 형성되며,
    상기 용기뚜껑(10)에는 사용자의 입과 접촉되는 부분에 돌출을 이루는 연장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11)는 종이재질이 다겹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며 2중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종이재질의 용기뚜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320)은 내측면에 원호를 그리며 형성되되 일정 간격 이격을 이루며 개별적으로 하나 이상 다수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종이재질의 용기뚜껑.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320)은 수평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일정 각도를 이루며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종이재질의 용기뚜껑.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320)은 상, 하부 이격을 이루며 하나 이상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종이재질의 용기뚜껑.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320)이 다수개 형성 시, 각각의 걸림턱(320) 사이에는 일정 간격의 걸림홈(31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종이재질의 용기뚜껑.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320)의 돌출된 끝부는 라운드형상 또는 다각의 형상 또는 일정각도를 이루며 돌출을 이루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종이재질의 용기뚜껑.
  7. 삭제
  8. 삭제
KR1020190063658A 2019-04-12 2019-05-30 걸림턱이 형성된 종이재질의 용기뚜껑 KR102246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658A KR102246269B1 (ko) 2019-05-30 2019-05-30 걸림턱이 형성된 종이재질의 용기뚜껑
PCT/KR2020/004826 WO2020209630A1 (ko) 2019-04-12 2020-04-09 용기뚜껑과 그 제조방법
TW109112215A TWI732520B (zh) 2019-04-12 2020-04-10 容器蓋以及其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658A KR102246269B1 (ko) 2019-05-30 2019-05-30 걸림턱이 형성된 종이재질의 용기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380A KR20200137380A (ko) 2020-12-09
KR102246269B1 true KR102246269B1 (ko) 2021-04-28

Family

ID=73787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658A KR102246269B1 (ko) 2019-04-12 2019-05-30 걸림턱이 형성된 종이재질의 용기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62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489B1 (ko) * 2022-08-25 2023-03-17 (주)그린어스 종이 뚜껑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7837A (ja) * 2009-04-10 2010-11-04 Ueda Insatsu Shiko Kk 紙蓋及び紙蓋の製造方法
JP2015529602A (ja) * 2012-08-22 2015-10-08 ミードウエストベコ・コーポレーション 紙ベースの容器蓋
KR101751042B1 (ko) * 2017-02-15 2017-06-27 상진기업 주식회사 컵 뚜껑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8513U (ko) * 1988-09-30 1990-04-04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7837A (ja) * 2009-04-10 2010-11-04 Ueda Insatsu Shiko Kk 紙蓋及び紙蓋の製造方法
JP2015529602A (ja) * 2012-08-22 2015-10-08 ミードウエストベコ・コーポレーション 紙ベースの容器蓋
KR101751042B1 (ko) * 2017-02-15 2017-06-27 상진기업 주식회사 컵 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380A (ko) 202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29329C (en) Device for producing a stacking projection and container with same
EP2230184A1 (en) Pizza packaging
WO2014087867A1 (ja) 樹脂製容器
KR20140027194A (ko) 식별 수단을 구비한 마개 뚜껑
JP5693847B2 (ja) 高強度を示す成形された軽量化プラスチックの蓋
KR102246269B1 (ko) 걸림턱이 형성된 종이재질의 용기뚜껑
JP6537770B2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
US20110108553A1 (en) Container/lid assembly
KR101219147B1 (ko) 덮개를 가지는 용기
JP5431822B2 (ja) 減容可能な樹脂成型品
EP2635497A1 (en) Three piece thermoplastic container
CH657339A5 (fr) Procede pour fabriquer un recipient tel que fut en matiere thermoplastique et recipient ainsi fabrique.
JP7416442B2 (ja) 二重容器
JP4613868B2 (ja) 金属製深底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40109B1 (ko) 걸림턱이 형성된 종이재질의 용기뚜껑 제조방법
EA025750B1 (ru) Корпус емкости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1312615B1 (ko) 화장품 용기
JP5362271B2 (ja) 合成樹脂製ボトル
JP5462347B2 (ja) 包装用容器
KR101808728B1 (ko) 포장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뚜껑 제조방법
US20140319009A1 (en) Reinforced nestable container
US20180118457A1 (en) Garbage Basket with Garbage Bag Penetrator Members
JP2021080004A (ja) 打栓式合成樹脂キャップ
KR20220001969U (ko) 분리수거용 화장품용기
JP4622540B2 (ja) 易減容化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