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209630A1 - 용기뚜껑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용기뚜껑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209630A1
WO2020209630A1 PCT/KR2020/004826 KR2020004826W WO2020209630A1 WO 2020209630 A1 WO2020209630 A1 WO 2020209630A1 KR 2020004826 W KR2020004826 W KR 2020004826W WO 2020209630 A1 WO2020209630 A1 WO 202020963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flat plate
side wall
adhesive portion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482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상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덕씨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4332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40109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6365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46269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덕씨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덕씨앤피
Publication of WO202020963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20963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31B50/20Cutting sheets o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62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lid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ainer lid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in which the opening of a paper cup is simply and firmly covered so that the contents can be stably maintained and stored.
  • paper products such as cups, containers, plates, etc. made of paper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past.
  • paper cups or paper containers are manufactured and used in various forms, but since a paper lid is not manufactured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block the opening of the outside air by blocking the opening when food is stored in a paper cup or paper container.
  • disposable paper cups form a main body by rolling cardboard, structurally reinforcing the main body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opening of the main body, allowing drinking water to gather in one place without spreading, and forming a curling part that prevents the user's mouth from being cut. It has a structure to form a closed part by laminating a separate base.
  • the paper cup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opening is always open, if the contents are moved while the contents are accommodated, the contents will fluctuate or overflow and contaminate the surroundings.
  •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ainer lid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allows the opening of a paper cup to be simply and firmly covered to stably maintain and store contents.
  •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ainer lid made of a paper material for covering a paper cup with a curling portion formed on the upper end thereof, comprising: a body having a cylindrical side wall formed with a hollow inside, and an adhesive portion formed by bending a lower end portion of the side wall inward; And a cover having a flat plate disposed to close the hollow of the side wall, and an overlapping portion bonded to the bonding portion while the edge of the flat plate is bent downward and inserted between the side wall and the bonding portion.
  •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nner periphery of the adhesive portion are compressed in an outward direction,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is reduced while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dy remains flat, and the thickness of the middle portion is maintained as it is, so that the middle portion is relatively
  • It provides a container li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cking jaw made to protrude in the inward direction.
  • the locking protrusions may b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adhesive part of the body, or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at regular intervals.
  • two or more locking projections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locking projection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flat plate or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lat plate.
  • the locking step portion may have any one cross-sectional structure selected from a semicircle, a polygon, and a horn.
  • a beverage discharge hole may be formed on the flat plate, and a beverage cooling part protruding upward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beverage discharge hole.
  • the beverage cooling unit may be formed by overlapping a plurality of papers or may have an empty space therein.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preparing a sidewall and a flat plate by cutting a paper original plate; (b) attaching both side ends by rolling the sidewalls to form a hollow inside; (c) forming an overlapping portion by folding the edge of the flat plate downward; (d) arranging the flat plate inside the sidewall; (e) folding a lower end of the sidewall inward to form an adhesive portion, and opposing the adhesive portion to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flat plate; And (f) a push plate having a concave groove on the waist portion is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y of the adhesive portion of the side wall and pressed outward to attach the adhesive portion of the side wall and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plate to each other, and at the same time, 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adhesive portion of the side wall. It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tainer lid comprising a; step of forming a locking jaw portion by protruding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groove relatively.
  •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ntainer lid may further include preheating a portion to be the adhesive portion before folding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inward in step (e).
  • a locking jaw protruding inward is formed at the bottom of a container lid made of paper, so that the locking jaw part is caught and fixed to the curling portion of the paper cup when combined with the paper cup, so that the container lid does not come off. You can get the effect of not overflowing or spilling the contents.
  • the beverage cooling unit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beverage discharging hole of the container lid, the hot beverage discharged through the beverage discharging hole is provided to the user in a cooled state while moving along the beverage cooling unit, thereby minimizing the risk of burn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li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 FIG 3 is a state of use of the container lid shown in Figure 2
  • FIGS. 4 to 9 are views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locking jaw portion of the container lid shown in Figure 2,
  • Figure 10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container lid shown in Figure 2.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li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A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
  • Figure 3 is a state of use of the container lid shown in Figure 2
  • Figures 4 to 9 shown in Figure 2
  • Figure 10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container lid shown in FIG.
  • the container lid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10 and a cover 120.
  • the body 110 is made of paper and includes a side wall 111 and an adhesive part 112.
  • the side wall 111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in which a hollow is formed, and more particularly, has a cylindrical shape whose diameter decreases downward.
  • the shape of the side wall 111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of course possible to have a cylindrical shape or a polygonal column shape having the same upper and lower diameters according to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paper cup 10.
  • the adhesive part 112 is formed by bending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111 inward.
  • a locking protrusion 130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adhesive part 112.
  • the locking projections 130 ar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downward from the flat plate 121, preferably spaced apart by the thickness of the curling portion 10a of the paper cup 10.
  •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inner periphery of the adhesive part 112 are formed in a manner that is pressed in the outer direction. That is, whe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nner periphery of the adhesive part 112 are compressed in an outward direction, the thickness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adhesive part 112 and the overlapping part 122 decreases by the compression force, and the thickness of the middle part is maintained as it is, As a result, the middle portion has a shape protruding in the in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so that the intermediate portion can act as the locking projection 130.
  • the cover 120 is made of paper in the same manner as the body 110, and includes a flat plate 121 and an overlapping portion 122.
  • the flat plate 121 is disposed inside the sidewall 111 to block the hollow portion.
  • a beverage discharge hole 121a and an air vent hole 121b are formed in the flat plate 121.
  • Beverage discharge hole (121a) is to allow the user to drink beverages while the container lid (100) is coupled to the paper cup (10), the air vent hole (121b) air flows into the container lid (100) So that the beverage can be easily discharged.
  • the overlapping portion 122 is formed by bending the edge of the flat plate 121 downward.
  • the overlapping portion 122 is inserted between the side wall 111 and the adhesive portion 112 of the body 110 and adheres to the adhesive portion 112.
  • the locking protrusion 130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 the locking protrusion 130 has a semicircular cross-sectional structure (see FIG. 2) so that it can easily slide with respect to the curling part 10a of the paper cup 10, but FIG. 4 As shown in Fig. 4,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n upwardly curved horn (see Fig. 4(a)) or a polygon such as a square (see Fig. 4(b)).
  • two or more locking projections 130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5.
  • the curling portion 10a of the paper cup 10 may be caught between the flat plate 121 and the locking jaw portion 131 or may be caught and fixed between the two locking jaw portions 130 and 131.
  • the locking protrusion 130 may b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adhesive part 112 of the body 110 (see FIG. 2 ), or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at regular intervals (see FIG. 6 ).
  • the locking projection 130 may b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flat plate 121 (see Fig. 2) or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lat plate 121 (see Fig. 8), even when the locking projection 130 is formed incline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may have a continuous or intermittent shape as shown in FIGS. 8 and 9.
  • a beverage cooling unit 140 may be formed on the flat plate 121 of the cover 120.
  • the beverage cooling unit 140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on one side of the beverage discharge hole 121a.
  • the beverage cooling unit 140 functions to cool the hot beverage discharged through the beverage discharge hole 121a.
  • the beverage cooling unit 140 is formed on the flat plate 121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t beverage discharged through the beverage discharging hole 121a moves along the beverage cooling unit 140 and the beverage cooling unit 140 and The risk of burns can be minimized because it is provided to the user in a state in which the temperature has fallen in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 the beverage cooling unit 140 preferably has a rounded shape as shown in FIG. 10 so that the hot beverage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everage cooling unit 140 and the outside air for as long as possible, and in addition to this, in order to maximize the cooling effect It is also possible that a plurality of papers are overlapped or an empty space (S) is formed inside.
  • an original plate made of paper is cut into a predetermined shape to prepare the sidewall 111 and the flat plate 121.
  • the sidewall 111 may have a trapezoidal shape in the unfolded state
  • the flat plate 121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 the side wall 111 is rolled into a cylindrical shape and a hollow is formed inside the side wall 111 by attaching both side ends.
  • the flat plate 121 is disposed inside the sidewall 111.
  • the lower end of the sidewall 111 is folded inward to form an adhesive portion 112, and the adhesive portion 112 is opposed to the overlapping portion 122 of the flat plate 121. That is, the overlapping portion 122 is inserted between the sidewall 111 and the adhesive portion 112.
  • the bonding surface or the sidewall 111 and the flat plate 121 including the bonding surface may be entirely coated with a 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film.
  • 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 the LDPE film is coated in this way, the LDPE film is melted by the pressing of the pressing plate on the adhesive surface, thereby providing a predetermined adhesive strength.
  • the material of the coating film is not limited to LDPE, and films of other known materials can be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뚜껑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단에 컬링부가 형성된 종이컵을 덮기 위한 종이 재질의 용기뚜껑으로서, 내측에 중공이 형성된 측벽과, 상기 측벽의 하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접착부를 갖는 몸통 및 상기 측벽의 중공부에 배치되는 평판과, 상기 평판의 테두리가 하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측벽과 상기 접착부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접착부와 접착되는 중첩부를 갖는 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몸통의 접착부의 내주연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외측방향으로 압착되어 상단부와 하단부의 두께는 감소하고, 중간부의 두께는 그대로 유지됨으로써 중간부가 상대적으로 상단부와 하단부에 대해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지는 걸림턱부를 포함하여 종이컵의 개구부를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덮을 수 있는 용기뚜껑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용기뚜껑과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용기뚜껑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이컵의 개구부를 간편하고 견고하게 덮어 내용물을 안정적으로 유지,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용기뚜껑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발전과 함께 생활 속의 편리성을 추구하면서 다수의 일회용 제품들이 생산되고 있다.
예를 들면, 종이로 이루어진 컵, 용기, 접시 등과 같은 종이 제품은 종래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이 제품의 경우 종이가 갖는 재질 특성상 제품의 제조에 어려움이 있을 뿐 아니라 제품을 다양화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다.
특히, 종이컵이나 종이용기는 다양한 형태로 제조, 사용되고 있으나 그에 맞는 종이뚜껑은 제조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종이컵, 종이용기 등에 음식물을 담아 보관할 경우 개구부를 막아 외기와 차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회용 종이컵은 판지를 말아 본체를 형성하고, 본체의 상단 개구부 외주연에 본체를 구조적으로 보강하고, 음용수가 퍼지지 않고 한 곳으로 모이게 하며, 사용자의 입이 베이지 않도록 하는 컬링부를 형성하며, 하단에 별도의 밑지를 합지시켜 폐쇄부를 형성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이컵은 일상 생활은 물론 야외 활동이나 자판기용으로도 긴요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비교적 제조단가가 낮고 사용 후 재활용이나 폐기 처리시키는 것이 어렵지 않을 뿐 아니라 폐기되더라도 환경오염의 염려가 없는 등의 잇점이 있다.
그런데 종이컵은 상단 개구부가 상시 개방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내용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이동할 경우 내용물이 출렁거리거나 넘쳐흐르게 되어 주위를 오염시키게 되고, 특히 내용물이 뜨거울 경우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내용물을 남겨 보관할 경우에는 내용물에 이물질이 혼입되어 비위생적이고, 내용물의 성질에 따라 쉽게 식거나 데워져 본래의 음료 특성을 지속시킬 수 없으며, 장기간 보관이 요구될 경우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도 있다.
종래에는 공개실용신안 제1999-0015893호의 '종이 재질의 용기 뚜껑'과, 공개특허 제2003-0064199호의 '뚜껑이 구비된 종이컵'과, 공개특허 제2004-0000285호의 '컵뚜껑 겸용 일회용 종이용기와 제조방법'과, 공개특허 제2011-0030175호의 '종이 뚜껑 제조방법 및 장치' 및 일본공개특허 제2006-248530호의 '종이 용기용 종이 뚜껑'이 개시되어 있지만 상술한 문제점에 대해서는 여전히 개선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종이컵의 개구부를 간편하고 견고하게 덮어 내용물을 안정적으로 유지,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용기뚜껑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상단에 컬링부가 형성된 종이컵을 덮기 위한 종이 재질의 용기뚜껑으로서,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내측에 중공이 형성된 측벽과, 상기 측벽의 하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접착부를 갖는 몸통; 및 상기 측벽의 중공을 폐쇄하도록 배치되는 평판과, 상기 평판의 테두리가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측벽과 상기 접착부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접착부와 접착되는 중첩부를 갖는 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몸통의 접착부의 내주연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외측방향으로 압착되어 상기 몸통의 외주연은 평면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단부와 하단부의 두께는 감소하고, 중간부의 두께는 그대로 유지됨으로써 중간부가 상대적으로 상단부와 하단부에 대해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지는 걸림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뚜껑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걸림턱부는 상기 몸통의 접착부의 내주연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거나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다수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걸림턱부는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걸림턱부는 상기 평판과 평행하게 형성되거나 상기 평판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걸림턱부는 반원, 다각형, 뿔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평판에 음료토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음료토출공의 일측에 상방으로 돌출된 음료냉각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음료냉각부는 다수의 종이가 중첩하여 형성되거나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종이 원판을 절단하여 측벽과 평판을 준비하는 단계; (b) 내측에 중공이 형성되도록 상기 측벽을 말아 양측단부를 서로 부착하는 단계; (c) 상기 평판의 테두리를 하방으로 접어 중첩부를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측벽의 내측에 상기 평판을 배치하는 단계; (e) 상기 측벽의 하단부를 내측으로 접어 접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접착부를 상기 평판의 중첩부와 대향시키는 단계; 및 (f) 허리부에 요홈이 형성된 밀판을 상기 측벽의 접착부의 내주연에 밀착하여 배치하고 외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측벽의 접착부와 상기 평판의 중첩부를 서로 부착하는 동시에 상기 측벽의 접착부의 내주연에 상기 요홈과 대응되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걸림턱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기뚜껑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용기뚜껑의 제조방법은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측벽의 하단부를 내측으로 접기 전 접착부가 될 부위를 예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이로 이루어진 용기뚜껑의 하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부가 형성됨으로써 종이컵과 결합시 걸림턱부가 종이컵의 컬링부에 걸려 고정되어 용기뚜껑이 이탈되지 않고, 이로 인해 종이컵의 사용 과정에서 내용물이 넘치거나 쏟아지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용기뚜껑의 음료토출공 일측에 음료냉각부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음료토출공을 통해 토출된 뜨거운 음료가 음료냉각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냉각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되기 때문에 화상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용기뚜껑의 사용 상태도,
도 4 내지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용기뚜껑의 걸림턱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용기뚜껑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용기뚜껑의 사용 상태도, 도 4 내지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용기뚜껑의 걸림턱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용기뚜껑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100)은 몸통(110)과 덮개(120)를 포함한다.
몸통(110)은 종이 재질로서 측벽(111)과 접착부(112)를 포함한다.
측벽(111)은 내측에 중공이 형성된 대략 원통 형상, 보다 상세하게는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통 형상을 가진다. 그러나 측벽(111)의 형상이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종이컵(10)의 단면 구조에 따라 상하 직경이 동일한 원통 형상이나 다각 기둥 형상을 갖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접착부(112)는 측벽(111)의 하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진다.
접착부(112)의 내주연에는 걸림턱부(130)가 돌출 형성된다. 걸림턱부(130)는 평판(121)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간격, 바람직하게는 종이컵(10)의 컬링부(10a)의 두께만큼 이격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종이컵(10)의 상단에 용기뚜껑(100)을 가결합한 후 하방으로 가압하면 걸림턱부(130)가 종이컵(10)의 컬링부(10a)에 대해 슬라이딩되면서 측벽(111)의 하단부가 확장되고, 계속하여 걸림턱부(130)가 더 슬라이딩되어 컬링부(10a)의 하부에 이르면 컬링부(10a)가 평판(121)과 걸림턱부(130) 사이에 걸려 고정되고, 확장된 측벽(111)의 하단부는 원 상태로 복원된다.
걸림턱부(130)의 경우 접착부(112)의 내주연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외측방향으로 압착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즉, 접착부(112)의 내주연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외측방향으로 압착되면 압착력에 의해 접착부(112)와 중첩부(122)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두께가 감소하고, 중간부의 두께는 그대로 유지되며, 그로 인해 중간부는 상대적으로 상단부와 하단부에 대해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게 되어 걸림턱부(130)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이다.
덮개(120)는 몸통(110)과 동일하게 종이로 이루어지며, 평판(121)과 중첩부(122)를 포함한다.
평판(121)은 측벽(111)의 내측에 배치되어 중공부를 차단한다. 평판(121)에는 음료토출공(121a)과 에어벤트홀(121b)이 형성된다. 음료토출공(121a)은 종이컵(10)에 용기뚜껑(1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에어벤트홀(121b)은 용기뚜껑(100) 안쪽으로 공기가 유입되게 하여 음료가 용이하게 토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중첩부(122)는 평판(121)의 테두리가 하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중첩부(122)는 몸통(110)의 측벽(111)과 접착부(112) 사이에 삽입되어 접착부(112)와 접착된다.
걸림턱부(130)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걸림턱부(130)는 종이컵(10)의 컬링부(10a)에 대해 용이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반원의 단면 구조(도 2 참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결합력을 보다 높이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만곡된 뿔(도 4의 (a) 참조)이나 사각형 등의 다각형(도 4의 (b) 참조)의 단면 구조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걸림턱부(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종이컵(10)의 컬링부(10a)는 평판(121)과 걸림턱부(131) 사이에 걸리거나 2개의 걸림턱부(130)(131) 사이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걸림턱부(130)는 몸통(110)의 접착부(112)의 내주연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도 2 참조)되거나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도 6 참조)될 수 있다.
아울러, 걸림턱부(130)는 평판(121)과 평행하게 형성(도 2 참조)되거나 평판(121)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도 8 참조)되는 것도 가능하며, 걸림턱부(130)가 경사지게 형성된 경우에도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이거나 단속적인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덮개(120)의 평판(121)에는 음료냉각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음료냉각부(140)는 음료토출공(121a)의 일측에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음료냉각부(140)는 음료토출공(121a)을 통해 토출된 뜨거운 음료를 냉각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사용자가 음료토출공(121a)에 직접 입을 대고 뜨거운 음료를 마시면 음료의 열이 사용자에게 그대로 전달되기 때문에 화상을 입기 쉽다. 반면, 본 발명과 같이 평판(121)에 음료냉각부(140)가 형성되면 음료토출공(121a)을 통해 토출된 뜨거운 음료가 음료냉각부(140)를 따라 이동하면서 음료냉각부(140) 및 외기와 접촉하여 온도가 떨어진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되기 때문에 화상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음료냉각부(140)는 뜨거운 음료를 최대한 오랜 시간 음료냉각부(140) 및 외기와 접촉시킬 수 있도록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진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더불어 냉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내부에 다수의 종이가 중첩되거나 빈 공간(S)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종이로 이루어진 원판을 소정의 형태로 절단하여 측벽(111)과 평판(121)을 준비한다. 이 경우, 측벽(111)은 전개된 상태에서 사다리꼴 형태를 가지고, 평판(121)은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측벽(111)을 원통형으로 말아 양측단부를 부착함으로써 측벽(111)의 내측에 중공을 형성한다.
이후, 평판(121)의 테두리를 하방으로 접어 중첩부(122)를 형성한다.
이후, 평판(121)을 측벽(111)의 내측에 배치한다.
계속하여, 측벽(111)의 하단부를 내측으로 접어 접착부(112)를 형성하고, 접착부(112)를 평판(121)의 중첩부(122)와 대향시킨다. 즉, 중첩부(122)가 측벽(111)과 접착부(112) 사이에 삽입되게 한다.
마지막으로, 허리부에 요홈이 형성된 밀판(도면 미도시)을 접착부(112)의 내주연에 밀착하여 배치한 다음 밀판을 외측방향으로 가압하면 접착부(112)와 중첩부(122)가 서로 접착되고, 이와 동시에 접착부(112)의 내주연에 밀판의 홈에 대응하는 걸림턱부(130)가 돌출 형성된다. 이 경우, 밀판을 접착부(112)의 내주연을 따라 회전시키면서 외측방향으로 가압하면 걸림턱부(130)가 연속적인 형태를 가지게 되고, 밀판을 접착부(112)의 내주연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동시키면서 외측방향으로 가압하면 걸림턱부(130)가 단속적인 형태를 가지게 된다.
한편, 접착부(112)와 중첩부(122)를 접착할 때에는 접착면, 또는 접착면을 포함하는 측벽(111)과 평판(121)을 전체적으로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필름으로 코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LDPE 필름을 코팅하면 접착면에서 밀판의 가압으로 LDPE 필름이 녹아 소정의 접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여기서는 코팅 필름으로 LDPE 필름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코팅 필름의 소재가 LDPE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다른 소재의 필름도 사용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상단에 컬링부가 형성된 종이컵을 덮기 위한 종이 재질의 용기뚜껑으로서,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내측에 중공이 형성된 측벽과, 상기 측벽의 하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접착부를 갖는 몸통; 및
    상기 측벽의 중공을 폐쇄하도록 배치되는 평판과, 상기 평판의 테두리가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측벽과 상기 접착부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접착부와 접착되는 중첩부를 갖는 덮개;
    를 포함하되,
    상기 몸통의 접착부의 내주연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외측방향으로 압착되어 상기 몸통의 외주연은 평면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단부와 하단부의 두께는 감소하고, 중간부의 두께는 그대로 유지됨으로써 중간부가 상대적으로 상단부와 하단부에 대해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지는 걸림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뚜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부는 상기 몸통의 접착부의 내주연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거나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다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뚜껑.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부는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뚜껑.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부는 상기 평판과 평행하게 형성되거나 상기 평판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뚜껑.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부는 반원, 다각형, 뿔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면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뚜껑.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에 음료토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음료토출공의 일측에 상방으로 돌출된 음료냉각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뚜껑.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냉각부는 다수의 종이가 중첩하여 형성되거나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뚜껑.
  8. (a) 종이 원판을 절단하여 측벽과 평판을 준비하는 단계;
    (b) 내측에 중공이 형성되도록 상기 측벽을 원통형으로 말아 양측단부를 서로 부착하는 단계;
    (c) 상기 평판의 테두리를 하방으로 접어 중첩부를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측벽의 내측에 상기 평판을 배치하는 단계;
    (e) 상기 측벽의 하단부를 내측으로 접어 접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접착부를 상기 평판의 중첩부와 대향시키는 단계; 및
    (f) 허리부에 요홈이 형성된 밀판을 상기 측벽의 접착부의 내주연에 밀착하여 배치하고 외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측벽의 접착부와 상기 평판의 중첩부를 서로 부착하는 동시에 상기 측벽의 접착부의 내주연에 상기 요홈과 대응되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걸림턱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용기뚜껑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측벽의 하단부를 내측으로 접기 전 접착부가 될 부위를 예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용기뚜껑의 제조방법.
PCT/KR2020/004826 2019-04-12 2020-04-09 용기뚜껑과 그 제조방법 WO202020963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322A KR102040109B1 (ko) 2019-04-12 2019-04-12 걸림턱이 형성된 종이재질의 용기뚜껑 제조방법
KR10-2019-0043322 2019-04-12
KR1020190063658A KR102246269B1 (ko) 2019-05-30 2019-05-30 걸림턱이 형성된 종이재질의 용기뚜껑
KR10-2019-0063658 2019-05-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09630A1 true WO2020209630A1 (ko) 2020-10-15

Family

ID=72751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4826 WO2020209630A1 (ko) 2019-04-12 2020-04-09 용기뚜껑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TW (1) TWI732520B (ko)
WO (1) WO2020209630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8513U (ko) * 1988-09-30 1990-04-04
JPH0826246A (ja) * 1994-07-08 1996-01-30 Sanyo Packs Kk 積層シートから成る蓋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247837A (ja) * 2009-04-10 2010-11-04 Ueda Insatsu Shiko Kk 紙蓋及び紙蓋の製造方法
KR20110030175A (ko) * 2009-09-17 2011-03-23 이정호 종이 뚜껑 제조 방법 및 장치
JP2015529602A (ja) * 2012-08-22 2015-10-08 ミードウエストベコ・コーポレーション 紙ベースの容器蓋
US20160083151A1 (en) * 2014-09-24 2016-03-24 Werner Stahlecker Lid for a beverage cup, cup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lid
KR102040109B1 (ko) * 2019-04-12 2019-11-05 (주)삼덕씨앤피 걸림턱이 형성된 종이재질의 용기뚜껑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8513U (ko) * 1988-09-30 1990-04-04
JPH0826246A (ja) * 1994-07-08 1996-01-30 Sanyo Packs Kk 積層シートから成る蓋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247837A (ja) * 2009-04-10 2010-11-04 Ueda Insatsu Shiko Kk 紙蓋及び紙蓋の製造方法
KR20110030175A (ko) * 2009-09-17 2011-03-23 이정호 종이 뚜껑 제조 방법 및 장치
JP2015529602A (ja) * 2012-08-22 2015-10-08 ミードウエストベコ・コーポレーション 紙ベースの容器蓋
US20160083151A1 (en) * 2014-09-24 2016-03-24 Werner Stahlecker Lid for a beverage cup, cup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lid
KR102040109B1 (ko) * 2019-04-12 2019-11-05 (주)삼덕씨앤피 걸림턱이 형성된 종이재질의 용기뚜껑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043108A (zh) 2020-12-01
TWI732520B (zh)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42705C (en) Paper cup, a blank for a paper cup, and use of a paper cup
EP2526024B1 (en) A cup with integral closure flaps
AU2008100900A4 (en) Package
US8336732B1 (en) Container with an integral lid retained onto the top of the sidewall of the container by a living hinge, the container used to retain hot liquids, the container having a thermal barrier incorporated into the exterior surface of the container
CN103895924B (zh) 带喷口的杯子及制造容器的方法
US5632401A (en) Garbage container and liner dispensing system
US20040031714A1 (en) Drinking cup and lid
CA2657872A1 (en) Hinged lid for a food container with plastic lower ring
KR20020073366A (ko) 안전컵 및 안전컵의 제조방법
WO2002047987A9 (en) Cup holder
WO2009137798A1 (en) Stackable drinking vessels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thereof
US8136694B1 (en) Cup with improved characteristics
US20220363433A1 (en) Cup with integrated folding lid
WO2019039651A1 (ko) 원두 커피 드립 백
WO2020209630A1 (ko) 용기뚜껑과 그 제조방법
US11247813B2 (en) Container assembly and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120024877A1 (en) Container with an integral lid retained onto the top of the sidewall of the container by a living hinge, the container used to retain liquids
US20120223079A1 (en) Coffee Mug Liner
JP4251413B2 (ja) 断熱性容器
US5960986A (en) Lid for a frozen dessert container
KR20220128804A (ko) 종이뚜껑의 제조방법
JP4100777B2 (ja) 断熱性容器
WO2019235715A1 (ko) 지함, 지함 제조 방법, 액상물 유출 방법, 제품 제조 방법, 전 제조 방법 및 전 제조 키트
JP2000168762A (ja) 紙製断熱容器
JP2022006627A (ja) 多重外筒付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78740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78740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2/04/2022)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78740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