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3366A - 안전컵 및 안전컵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안전컵 및 안전컵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3366A
KR20020073366A KR1020010026788A KR20010026788A KR20020073366A KR 20020073366 A KR20020073366 A KR 20020073366A KR 1020010026788 A KR1020010026788 A KR 1020010026788A KR 20010026788 A KR20010026788 A KR 20010026788A KR 20020073366 A KR20020073366 A KR 20020073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mferential wall
shape
protrusion
cup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6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카시마세쓰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마루젠구루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마루젠구루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마루젠구루푸
Publication of KR20020073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336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8Other 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3/0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essentially conical or frusto-co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0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assembling separate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0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assembling separate sheets, blanks or webs
    • B31B2105/002Making box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nks from which they are formed
    • B31B2105/0022Making boxes from tubular webs or blanks, e.g. with separate bottoms, including tube or bottom form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10/00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31B2110/10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a cross section of varying size or shape, e.g. conical or pyrami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10/00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31B2110/20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a curved cross section, e.g. circ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20/0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31B2120/7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corrugated or pleated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44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plungers moving through folding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59Shaping sheet material under pressure
    • B31B50/592Shaping sheet material under pressure using punches or 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일반사람은 물론, 손힘이 약한 사용자라 하더라도, 확실하고 또한 안전하게 쥘 수 있는 안전컵을 제공한다.
안전컵(10)의 둘레벽(11)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걸어 둘 수 있는 치수 및 형상으로 바깥쪽으로 돌출한 돌기(15)를 형성한다. 사용자는 돌기(15)에 손가락을 걸어 둠으로써 안전컵(10)을 안정적으로 확실하게 쥘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컵 및 안전컵의 제조방법{CUP HAVING SAFETY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손힘이 약한 사람이라 하더라도 안전하게 쥘 수 있도록 한 안전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료용 1회용 컵, 소변컵(검뇨용 컵) 및 즉석면용기, 즉석수프용기 등의 음식물 수용용기에 적용이 가능하다.
종래의 각종 컵중, 종이컵은 패스트푸드점, 자동판매기 등에 있어서, 음료의 제공용으로 대량으로 사용된다. 또한 소변컵은 병원 등의 의료기관에서 진단(검뇨) 목적으로 대량으로 사용된다. 또한 대형의 컵이 즉석면, 즉석수프 등의 음식물의 수용용기로서 사용되는 경우도 많다. 이들 컵은 종이제 또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틸렌,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제이며, 통상적으로는 상단을 개구하고 하단을 밀폐한 바닥부가 붙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컵은 바깥둘레면이 평탄면 또는 평활면이기 때문에, 컵을 쥘 때에 손가락이 미끄러질 가능성이 있다. 컵에 음료 등의 내용물을 담으면, 전체적으로 어느 정도의 중량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부주의 등으로 인해 컵을 떨어뜨릴 가능성도 있다. 한편 컵의 사용자 중에는 예를 들면, 노인, 병자 등, 충분한 손 힘으로 컵을 쥘 수 없는 사람도 있다. 특히 소변컵의 경우, 사용자는 통원 및 치료 등을 필요로 하는 노인, 병자 등으로 건강한 사람에 비해서 손힘이 뒤떨어지는 경우도 있다. 또한, 즉석면용기 등의 대형용기인 경우, 내용물을 수용할 때의 전체 중량도 매우 커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그에 따른 손힘으로 컵을 쥐어야 한다. 즉, 종래의 컵은 일반사람은 물론, 특히 손힘이 약한 사용자가 확실하고 또한 안전하게 쥘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구에 있어서, 개선할 여지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사람은 물론, 손힘이 약한 사용자라 하더라도 확실하고 또한 안전하게 쥘 수 있는 안전컵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안전컵의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안전컵의 전체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실시형태 1에 관한 안전컵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실시형태 1에 관한 종이컵의 둘레벽을 형성하기 위한 부채형상의 블랭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안전컵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
도 6은 실시형태 2에 관한 안전컵의 제조방법의 둘레벽 형성공정에서 사용하는 프레스금형의 금형이 열렸을 때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실시형태 2에 관한 안전컵의 제조방법의 둘레벽 형성공정에서 사용하는 프레스금형의 결합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둘레벽 형성공정후의 종이컵의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관한 안전컵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관한 안전컵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관한 안전컵의 제조방법으로 사용하는 분할금형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2는 도 11의 분할금형을 연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안전컵(종이컵)11 : 둘레벽
11A : 블랭크12 : 바닥벽
15, 25, 35 : 돌기100 : 내측금형
101 : 프레스면105 : 돌기부
110, 120, 130 : 외측금형(외측금형피스)
111, 121, 131 : 프레스면
115, 125, 135 : 오목부150, 160 : 분할금형(분할금형편)
151, 161 : 프레스면
본 발명에 관한 안전컵은 통형상의 둘레벽과 상기 둘레벽의 하단을 밀폐하는 바닥벽을 구비하는 바닥이 있는 통형상을 이루며, 상기 둘레벽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걸어 둘 수 있는 치수 및 형상으로 바깥쪽으로 돌출한 돌기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사용자는 돌기에 손가락을 걸어 둠으로써 안전컵을 안정적으로 확실하게 쥘 수 있다.
본 발명의 안전컵은, 예를 들면 상기 돌기를 상기 둘레벽의 둘레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대략 직선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돌기를 상기 둘레벽의 둘레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파선형상 또는 쇄선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이들의 경우, 상기 대략 직선형상의 돌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돌기의 형성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컵은 예를 들면, 상기 돌기를 사용자의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 사이의 손바닥 바깥가장자리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이 되도록 상기 둘레벽의 둘레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곡선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 바깥가장자리와 돌기가 대응하는 형상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손가락의 바깥가장자리를 돌기의 둘레가장자리에 완전히 따르게 한 형태로 안전컵을 쥘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보다 안정적으로 안전컵을 쥘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컵은 예를 들면, 상기 돌기를 손가락의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상기 둘레벽의 상하방향으로 복수단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사용자는 돌기의 단수에 대응하는 수의 손가락을 각각 돌기에 자연스럽게 걸어 둘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안전컵을 보다 안정적으로 쥘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안전컵의 제조방법은, 원료지로 이루어지는 블랭크를 통형상으로 구부려 가공하여 통형상의 둘레벽을 형성한 후, 상기 둘레벽의 하단에 원료지로 이루어지는 원형의 바닥지를 접합하여, 상기 둘레벽의 하단을 밀폐하는 바닥벽을 형성한다. 이 제조방법은 사용자의 손가락을 걸어 둘 수 있는 치수 및 형상으로 바깥쪽으로 돌출한 돌기를 상기 블랭크에 프레스성형하는 돌기형성공정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안전컵의 제조방법은 예를 들면, 상기 둘레벽의 내면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프레스면을 바깥쪽에 가지는 내측금형과, 상기 둘레벽의 외면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프레스면을 안쪽에 가지는 외측금형과의 사이에서 상기 블랭크를 프레스하여, 상기 둘레벽을 형성하는 둘레벽형성공정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돌기형성공정은, 상기 둘레벽형성공정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내면형상에 대응하는 돌기부를 상기 내측금형의 프레스면에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돌기의 외면형상에 대응하는 오목부를 상기 외측금형의 프레스면에 형성하여, 그들 내측금형 및 외측금형 사이에서 상기 블랭크를 프레스성형함으로써 상기 둘레벽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돌기를 형성한다. 따라서 이 제조방법에 의하면, 안전컵의 둘레벽 형성과 동시에 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안전컵의 제조방법에서는 예를 들면, 상기 돌기형성공정은, 상기 돌기를 포함하는 상기 둘레벽의 내면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프레스면을 바깥쪽에 가지는 복수의 분할금형편과, 상기 돌기를 포함하는 상기 둘레벽의 외면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프레스면을 안쪽에 가지는 받침금형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둘레벽을 형성한 후, 상기 둘레벽을 상기 받침금형 내에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분할금형편을 상기 둘레벽의 내부에 배치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금형편을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분할금형편의 프레스면과 상기 받침금형의 프레스면 사이에서 상기 둘레벽을 프레스함으로써 상기 둘레벽에 상기 돌기를 형성한다. 따라서 이 제조방법에 의하면, 안전컵의 둘레벽 형성후에 돌기가 형성된다.
여기서, 본 명세서중에서 사용하는 용어 「컵」에는, 음료용 1회용 컵, 소변컵(검뇨용 컵), 즉석면용기, 즉석 수프용기 등의 음식물 수용용기에 더하여, 기타 유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용기전반을 포함한다. 또한, 컵의 재료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통상 종이제, 수지제로 이루어진다. 또한, 통상, 1회용 컵으로 구체화된다.
[실시형태 1]
{구성}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안전컵의 전체를 나타낸다. 도 3은 실시형태 1에 관한 안전컵의 주요부의 단면을 나타낸다.
실시형태 1의 안전컵은, 1회용의 종이컵(10)으로 구체화된다. 이 종이컵 (10)의 전체형상은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의 종이컵과 마찬가지로, 통형상의 둘레벽(11)과 상기 둘레벽(11)의 하단을 밀폐하는 바닥벽 (12)을 구비하는 바닥이 있는 통형상으로 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실시형태 1의 종이컵(10)은, 바닥이 있는 중공의 역원추사다리꼴형상을 이룬다. 또한, 종이컵 (10)의 상단 바깥둘레가장자리부는 바깥쪽으로 컬(curl)형상으로 되감겨져 단차부 (13)를 형성하고 있다. 종이컵(10)의 소재로서는 예를 들면, 통상의 종이컵과 마찬가지로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필름을 펄프원지에 라미네이트가공한 원료지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실시형태 1에 관한 종이컵(10)은 둘레벽(11)의 바깥둘레면에 형성한 돌기(15)에 특징이 있다. 돌기(15)는, 둘레벽(11)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걸어 둘 수 있는 치수 및 형상으로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돌기 (15)의 전체형상은 둘레벽(11)의 둘레방향을 따라 그 전체둘레에 걸쳐 직선형상으로 이어지는 링형상을 이룬다. 돌기(15)의 단면형상은,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반원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 돌기(15)의 내면에는, 대응하는 대략 반원형상의 프레스오목부(16)가 형성된다. 여기서 돌기(15)의 단면형상은, 볼록한 형상이면 되고, 반원형 이외에도, 타원형상으로 하거나, 사다리꼴형상, 사각형상 등의 다각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둘레벽(11)의 소재가 종이인 경우, 돌기(15)의 성형작업(프레스성형 등)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그 단면을 반원형상, 반타원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시형태 1에서는 상기 돌기(15)를 사용대상자로서 생각되는 사람의 손가락의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상기 둘레벽(11)의 상하방향으로 서로 대략 평행하도록 2단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돌기(15) 사이에 사람의 손가락을 수용하는 오목부 공간(16)이 형성된다. 한편 실시형태 1에서는 종이컵의 되감김부와의 사이에도 마찬가지로 오목부공간(16)이 형성된다. 또한, 돌기(15)는 사용대상자로서 생각되는 사람의 손가락의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둘레벽(11)의 상하방향으로 3단 이상 대략 평행하게 형성하여도 좋다.
{제조방법}
도 4는 실시형태 1에 관한 종이컵의 둘레벽을 형성하기 위한 부채형상의 블랭크를 나타낸다.
실시형태 1에 관한 종이컵(10)은, 둘레벽(11)을 형성하기 위해서, 도 4에 나타내는 부채형상의 블랭크(11A)를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일반적인 종이컵의 제조와 마찬가지로 펀칭금형을 사용하여 원료지를 부채형상으로 펀칭하고, 평판 부채형상의 블랭크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평판 부채형상의 블랭크에 돌기(15)를 프레스성형한다. 예를 들면, 블랭크의 곡선형상의 상단가장자리로부터 소정거리 아래쪽의 위치(2개소)에, 그 상단가장자리와 평행하도록 곡선형상의 돌기(15A)를 프레스성형한다. 이 경우, 도 4의 돌기(15A)의 배치형상(곡선형상)에 대응하는 곡선형상의 프레스면(프레스돌기부 및 프레스오목부)을 가진 프레스형을 사용하여, 돌기(15A) 전체를 동시에 성형할 수 있다. 혹은, 돌기(15A)의 내면형상에 대응하는 단면형상의 프레스면을 가진 회전체(원반형상 롤러)등을 사용하여, 그 프레스면을 블랭크의 돌기(15A) 형성위치를 따라 굴리면서 프레스함으로써 돌기(15A)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중, 블랭크(11A)의 상단가장자리에는 상기 단차부(13)가 되는 접는 끝부분(13a)이 형성된다. 또한, 블랭크(11A)의 하단가장자리에는 바닥벽(12)의 안쪽에 접는 끝부분(13b)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의 블랭크(11A)를 원통형으로 만곡하여, 그 폭방향(좌우방향)의 양 끝단가장자리부를 겹쳐 히트 시일 등으로 접착함으로써 둘레벽(11)을 형성할 수가 있다.
{작용 및 효과}
실시형태 1에 관한 종이컵(10)에 의하면, 사용자는 돌기(15)에 손가락을 걸어 두는 것에 의해 종이컵(10)을 안정적으로 확실하게 쥘 수 있다. 그 결과, 일반사람은 물론, 손힘이 약한 사용자라 하더라도 종이컵(10)을 확실하고 또한 안전하게 쥘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의 종이컵(10)을 소변컵으로서 사용한 경우, 사용자가 손가락을 미끄러뜨리거나, 소변컵을 떨어뜨리거나 하는 사태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변컵 내부의 소변이 외부로 누설되거나 비산하거나 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돌기(15)를 사용자 손가락의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둘레벽(11)의 상하방향으로 2단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돌기(15)의 단수에 대응하는 수(2개)의 손가락을 각각 돌기(15)에 자연스럽게 걸어 둘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종이컵(10)을 보다 안정적으로 쥘 수 있다.
[실시형태 2]
실시형태 2는, 실시형태 1에 관한 종이컵(10)의 구체적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안전컵의 제조방법의 각 공정을 나타낸다. 도 6은 실시형태 2에 관한 안전컵의 제조방법의 둘레벽 형성공정에서 사용하는 프레스금형의 금형이 열렸을 때를 나타낸다. 도 7은 그 프레스금형의 결합시를 나타낸다. 도 8은 둘레벽 형성공정후의 종이컵의 형상을 나타낸다.
종이컵(10)의 제조방법은, 돌기형성공정을 둘레벽형성공정 스텝 3과 동시에 행하는 점을 제외하고, 기본적으로는 통상의 종이컵의 제조방법과 같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스텝 1의 라미네이트공정에서 원료지의 한 측면에 폴리에틸렌필름 등의 합성수지필름을 점착한다. 다음에, 스텝 2의 펀칭공정에서 블랭크 펀칭기의 펀칭금형을 사용하여, 원료지로부터 둘레벽(11) 형성용의 부채형상의 블랭크(11A)를 펀칭한다. 한편, 바닥지 펀칭기의 펀칭금형을 사용하여, 원료지로부터 바닥벽(12) 형성용의 원형의 바닥지를 펀칭한다. 또한, 바닥지의 펀칭과 동시에, 바닥지의 바깥둘레부를 눌러 성형하여, 그 바깥둘레가장자리부를 아랫면쪽(상기 합성수지필름쪽)으로 대략 직각형상으로 세워 바닥벽(12)을 얻는다.
그 후, 스텝 3의 둘레벽형성공정에서 우선, 도 6에 나타내는 압착기를 사용하여 둘레벽(11)을 형성한다. 이 압착기는 내측금형(100) 및 외측금형(110,120, 130)을 포함하는 프레스금형을 구비한다. 한편, 내측금형(100)은 종이컵(10)의 안둘레면 형상과 동일한 원추사다리꼴형상의 프레스면(101)을 가진다. 또한 외측금형은 종이컵(10)의 둘레벽(11) 바깥둘레면형상과 동일한 원추사다리꼴형상을 둘레방향으로 3분할한 3개의 외측금형피스(110,120,13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외측금형피스(110,120,130)는 각각 둘레벽(11)의 바깥둘레면형상을 3분할한 형상의 프레스면(111,121,131)을 가지고 있다.
스텝 3에서는 먼저, 금형이 열린 상태에 있는 프레스금형의 내측금형(100)의 원형을 이루는 바닥면(102)에 바닥지의 윗면쪽을 진공흡착한다. 다음에, 블랭크 (11A)의 내면(합성수지필름면)의 폭방향 일끝단 가장자리부를, 버너 등으로 가열하여 합성수지필름을 용융한다. 다음에, 내측금형(100)의 프레스면(101)에 블랭크 (11A)를 접촉상태로 감아붙일 수 있다. 그 후,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스금형을 결합하여, 블랭크(11A)를 내측금형(100)의 프레스면(101)과 외측금형(110, 120,130)의 프레스면(111,121,131)의 사이에서 가압하여, 블랭크(11A)의 폭방향 양끝단가장자리부를 접착한다. 한편 이 때, 둘레벽(11)의 하단부가 프레스금형의 바깥쪽으로 약간 돌출하지만, 도 7에서는 결합 상태를 보다 명료하게 나타내기 위해서 이러한 돌출부분은 2점쇄선으로 나타낸다.
실시형태 2에서는, 상기 둘레벽형성공정과 돌기형성공정을 동일공정으로 하여, 둘레벽(11)의 형성과 동시에 돌기(15)의 형성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즉, 상기 내측금형(100)의 프레스면(101)에는, 돌기(15)의 내면형상이 되는 프레스오목부(16)에 대응하는 형상의 돌기부(105)가 2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측금형(110,120,130)의 프레스면(111,121,131)에는 돌기(15)의 외면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오목부(115,125,135)가 각각 2개씩 형성되어 있다. 프레스금형의 결합시에는 외측금형(110,120,130)의 오목부(115,125,135)는 링형상으로 연속하고, 상기 돌기(15)의 외면형상과 동일형상이 된다. 또한 프레스면(101)의 돌기부(105)는 프레스면(111,121,131)의 오목부(115,125,135)내에 수용되어, 돌기부(105) 및 오목부 (115,125,135) 사이에 상기 돌기(15)와 대략 동일한 형상의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내측금형(100) 및 외측금형(110,120,130) 사이에서 상기 블랭크(11A)를 프레스성형함으로써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둘레벽(11)을 형성함과 동시에 돌기(15)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둘레벽(11) 내면의 하단부에는 바닥벽(12)이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스텝 4의 바닥마무리공정에서 블랭크(11A)의 하단부 내면을 버너 등으로 가열하여 합성수지필름을 용융한다. 그 후, 블랭크(11A)의 하단부의 접는 끝부분(11b)(도 4참조)을 전용의 접어 넣는 기구로 안쪽으로 접어 넣고, 전용의 원형금형을 둘레벽의 하단을 따라 회전시키면서 바닥벽(12)의 기립부에 압착한다. 다음에, 스텝 5의 상단마무리공정에서 컬링(curling)장치의 전용의 감아넣는기구를 둘레벽(11)의 상단을 따라 회전시키면서 둘레벽(11) 상단의 접는 끝부분(13a)을 바깥쪽으로 감아넣는다. 또한 누름금형으로 둘레벽(11)의 상단을 눌러 상단의 감아 넣은 부분을 둥글게 한다. 이에 따라 도 1에 나타내는 종이컵(10)이 완성된다.
실시형태 2에 관한 종이컵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프레스성형이라는 일반적으로 간단한 성형방법을 사용하여, 안전컵의 돌기를 간단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종이컵(10)의 둘레벽(11)의 형성과 동시에 돌기(15)가 형성된다. 그 결과, 종이컵의 제조공정수를 삭감하는 동시에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어, 종이컵의 생산비용의 저감에 공헌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관한 안전컵을 나타낸다.
실시형태 3에 관한 안전컵(10)은, 돌기의 형상이 실시형태 1의 안전컵(10)과 다르다. 그 이외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같다. 구체적으로는, 실시형태 3에 관한 안전컵의 돌기(25)는, 둘레벽(11)의 둘레방향의 전체둘레를 따라 이어지는 파선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돌기(25)는 같은 간격의 파선형상으로 하는 것 이 외에, 비등간격의 파선이나, 일점쇄선, 2점쇄선 등의 쇄선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 3에 관한 안전컵(10)에 의하면, 실시형태 1 또는 2의 돌기(15)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돌기(25)의 형성이 용이해진다. 또한, 돌기(25)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손가락의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둘레벽(11)의 상하방향으로 2단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돌기(25)의 단수에 대응하는 수(2개)의 손가락을 각각 돌기(15)에 자연스럽게 걸어 둘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안전컵(10)을 보다 안정적으로 쥘 수 있다.
[실시형태 4]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관한 안전컵을 나타낸다.
실시형태 4에 관한 안전컵(10)은 돌기의 형상이 실시형태 1의 안전컵(10)과 다르다. 그 이외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같다. 구체적으로는, 실시형태 4에 관한 안전컵은, 하단에 실시형태 1의 돌기(15)를 배치함과 동시에, 상단에 일부곡선형상의 돌기(35)를 배치하고 있다. 이 돌기(35)는 둘레벽(11)의 둘레방향의 전체둘레에 따라 이어지는 동시에, 그 곡선부분(36)은 사용자의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 사이의 손바닥 바깥가장자리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이 되도록 둘레벽(11)의 둘레방향을 따라 이어지고 있다. 실시형태 4의 안전컵에 의하면, 사용자의 손가락 바깥가장자리와 돌기(35)의 곡선부분(36)이 대응하는 형상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손가락의 바깥가장자리를 돌기(35)의 곡선부분(36)의 둘레가장자리(아래가장자리)에 완전히 따르게 한 형태로 안전컵(10)을 쥘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보다 안정적으로 안전컵(10)을 쥘 수 있다.
[실시형태 5]
실시형태 5는, 실시형태 1에 관한 종이컵(10)의 돌기(15)의 구체적인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관한 안전컵의 제조방법에서 사용하는 분할금형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분할금형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실시형태 5에 있어서, 종이컵(10)의 돌기형성공정은 분할금형(150,160)과 받침금형(170)을 구비하는 프레스금형을 사용한다. 분할금형은, 돌기(15)를 포함하는 둘레벽(11)의 내면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프레스면(151,161)을 바깥쪽에 가지는 복수의 분할금형편(150,160)을 구비한다. 받침금형(170)은, 돌기(15)를 포함하는 둘레벽(11)의 외면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프레스면(171)을 안쪽에 가진다. 상세하게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분할금형편(150,160)이 닫힌 상태에서는, 분할금형(150,160)은 둘레벽(11)의 돌기(15)를 포함하는 상단부의 안둘레면형상을 반경방향으로 약간 축소한 원추사다리꼴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분할금형 (150,160)은 그 원추사다리꼴형상을 축선을 포함하는 수직평면에 의해 복수로 분할하여, 분할금형편(150,160)을 형성하고 있다. 분할금형편(150,160)의 수(분할금형의 분할수)는 2개 이상의 임의 수로 할 수 있다. 실시형태 5에서는 분할금형은 2개의 분할금형편(150,160)을 구비한다. 따라서, 각 분할금형편(150,160)은 반원추사다리꼴 형상을 이룬다. 한편, 받침금형(170)의 프레스면(171)은 둘레벽(11)의 바깥둘레면형상과 동일한 원추사다리꼴형상을 한다. 상기 분할금형편(150,160)의 프레스면(151,161)에는 각각 돌기(15)의 내면형상이 되는 프레스오목부(16)와 대략 동일한 형상의 돌기부(152,153,162,16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받침금형(170)의 프레스면(171)에는 돌기(15)의 외면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오목부(172,173)가 형성되어 있다.
실시형태 5에 관한 안전컵의 제조방법에서는, 상기 둘레벽(11)을 형성한 후,받침금형(170)의 내부에 수용하고, 프레스면(171)에 의해 밀접하여 지지한다. 다음에, 분할금형편(150,160)을 둘레벽(11)의 내부에 배치한다. 이 때, 프레스면 (151,161)과 둘레벽(11)의 내면의 사이에는 약간의 빈틈이 형성된다. 다음에, 분할금형(150,160)을 방사방향 바깥쪽으로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분할금형(150,160)의 프레스면(151,161)과 받침금형(170)의 프레스면(171)과의 사이에서 둘레벽(11)을 프레스한다. 이 프레스시에는, 프레스면(151,161)의 돌기부(152, 153,162,163)는, 프레스면(171)의 오목부(172,173)내에 수용되고, 돌기부(152,153, 162,163) 및 오목부(172,173) 사이에 상기 돌기(15)와 대략 동일한 형상의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분할금형(150,160) 및 받침금형(170) 사이에서 상기 둘레벽 (11)을 프레스성형함으로써 둘레벽(11)에 돌기(15)를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 제조방법에 의하면, 안전컵(10)의 둘레벽(11) 형성후에, 돌기(15)가 형성된다. 그 결과, 돌기형성공정을 둘레벽형성공정후에 행하기 때문에, 분할금형(150,160) 등의 돌기형성수단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돌기(15)의 형성을 한층 더 용이하고 또한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변경예]
본 발명의 안전컵은, 상기 각 실시형태 이외에도 여러가지 형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각 실시형태의 안전컵(10)은, 종이제이지만, 이것을 수지(플라스틱) 컵으로서 구체화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체형상은 상기 종이컵 (10)과 거의 같고, 통상의 수지컵과 마찬가지로 둘레벽과 바닥벽으로 이루어지는 바닥이 붙은 중공의 역원추사다리꼴 형상을 이룬다. 또한, 소재로서는 통상의 수지컵과 마찬가지로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저밀도폴리에틸렌 등의 저밀도수지를 사용한 두꺼운 수지컵으로서 구체화하여도 좋다.
한편, 본 발명의 특징부분인 돌기는 상기 종이컵(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둘레벽의 바깥둘레면에 링형상으로 형성한다. 이 경우의 제조방법은, 돌기형성공정을 제외하고, 기본적으로는 통상의 수지컵과 같다. 즉,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합성수지를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하거나, 폴리스틸렌(PS)이나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시트를, 진공성형, 블로우 성형 등에 의해, 최종형상으로 일체로 성형하거나 할 수 있다. 이 경우, 돌기의 형성은 안전컵 전체의 성형과 동시에 완료한다. 또한 예를 들면, 진공성형이나 블로우성형의 경우, 성형금형의 수지시트를 압접하는 내면의 소정위치에 돌기형성용의 오목부를 형성해 놓는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컵은 상기와 같은 종이컵이나 수지컵 이외에도, 즉석면용 용기나 된장국 등의 즉석수프용 용기로 구체화할 수도 있다. 이 경우의 전체형상은 통상의 즉석면용 용기 또는 즉석수프용 용기와 같이둘레벽과 바닥벽으로 이루어지는 바닥이 붙은 중공의 역원추사다리꼴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소재로서는 통상의 즉석면용 용기 또는 즉석수프용 용기와 마찬가지로 종이제로 하거나,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제로 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저밀도폴리에틸렌 등의 저밀도수지를 사용한 두꺼운 즉석면용 용기 또는 즉석수프용 용기로서 구체화하더라도 좋다.
한편, 본 발명의 특징부분인 돌기는, 상기 종이컵(10)의 경우와 같이 둘레벽의 바깥둘레면에 링형상으로 형성한다. 이 경우의 제조방법은, 돌기형성공정을 제외하고, 기본적으로는 통상의 즉석면용 용기 또는 즉석수프용 용기와 같고, 상기 종이컵(10) 또는 수지컵의 경우와 같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형태와 같이, 둘레벽(11)에 돌기(15)를 일체로 성형하는 것 이외에도, 별개로 준비한 예를 들면 링형상의 돌기부재를 통상의 컵 또는 용기의 둘레벽에, 둘레방향을 따라 이어지도록 접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각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컵의 돌기는 둘레벽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점형상(반구형상 등)의 작은 돌기(작은 돌기 그룹)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돌기는 둘레벽의 둘레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대략 파선형상, 대략 톱니형상 또는 대략 사다리꼴을 교대로 연속한 형상 등의 각종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혹은 상기 각 실시형태와 같이 수평방향[안전컵(10)의 둘레방향]으로 이어지는 돌기(15,25,35) 이외에도, 안전컵의 상하방향(수직방향)으로 이어지는 부돌기를 형성하여, 상하 단의 돌기(15,25,35)를 부돌기에 의해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사다리형상의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안전컵은 전체적으로 통형상이면 되고, 상기 중공의 원추사디리꼴형상 이외에도, 단순한 원통형, 각진 통형상 등, 기타 각종통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안전컵의 돌기는, 둘레벽의 일부를 바깥쪽으로 돌출시킴으로써 형성하지만, 반대로, 둘레벽을 펀치하여, 돌기가 되는 부분 이외의 부분을 안쪽으로 함몰시켜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돌기를 형성하도록하여도 좋다. 이 경우의 오목부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안쪽으로 함몰하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컵의 제조방법은 실시형태 1 또는 2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그 밖의 여러가지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특히, 돌기형성공정은 사용자의 손가락을 걸어 둘 수 있는 치수 및 형상으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기를 상기 블랭크에 프레스성형할 수 있는 것이면, 임의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컵을 실시형태 1과 같은 종이컵(10)으로 구체화하는 경우, 돌기형성공정은 블랭크 펀칭 공정전의 단계에서 행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원료지에 배치되는 다수의 블랭크부분의 각각을 히트 프레스롤러 등의 프레스롤러에 의해 프레스하고, 원료지의 블랭크부분의 소정위치에 돌기를 프레스성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프레스롤러의 둘레면에, 원료지의 폭방향으로 나란한 다수의 블랭크부분(펀칭 부분)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돌기형성용의 프레스돌기부 및 프레스오목부를 각각 형성해 놓는다. 이렇게 하면, 블랭크 펀칭시에 도 4에 나타내는 사례와 같이, 블랭크(11A)에는 이미 돌기(15A)가 형성되는 것이 된다.
덧붙여, 안전컵에 형성하는 돌기의 수는, 1개만으로 하여도 좋고, 3개이상의 복수단으로 하여도 좋다. 3개 이상의 복수단으로 하는 경우, 상기 각 실시형태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의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대략 평행하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의 안전컵(10)은, 중공의 역원추사다리꼴형상을 이루며, 둘레벽(11)의 바깥면은 아래쪽을 향하여 지름을 작게 하는 경사면이 되기 때문에, 다수의 안전컵을 종래의 컵과 같이 다수 겹쳐 쌓을 수 있어, 그 수납, 운반 등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에 관한 안전컵에 의하면, 일반사람은 물론, 손 힘이 약한 사용자라 하더라도, 안전컵을 확실하고 또한 안전하게 쥘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안전컵을 소변컵으로 구체화한 경우, 사용자가 손가락을 미끄러뜨리거나, 더욱 소변컵을 떨어뜨리거나 하는 사태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변컵 내부의 소변이 외부에 누설되거나 비산하거나 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안전컵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프레스성형이라는 일반적으로 간단한 성형방법을 사용하여, 안전컵의 돌기를 간단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돌기형성공정을 둘레벽형성공정과 동시에 행하는 경우, 안전컵의 제조공정수를 삭감하는 동시에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어, 안전컵의 생산비용의 저감에 공헌할 수 있다. 한편, 돌기형성공정을 둘레벽형성공정후에 행하는 경우, 분할금형 등의 돌기형성수단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고, 또한 돌기형성을 한층 더 용이하고 또한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8)

  1. 통형상의 둘레벽과 상기 둘레벽의 하단을 밀폐하는 바닥벽을 구비하는 바닥이 있는 통형상을 이루며, 상기 둘레벽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걸어 둘 수 있는 치수 및 형상으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둘레벽의 둘레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대략 직선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컵.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둘레벽의 둘레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파선형상 또는 쇄선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컵.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사용자의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의 사이의 손바닥의 바깥가장자리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이 되도록 상기 둘레벽의 둘레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곡선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컵.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를, 손가락의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상기 둘레벽의 상하방향으로 복수단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컵.
  6. 원료지로 이루어지는 블랭크를 통형상으로 구부려 가공하여 통형상의 둘레벽을 형성한 후, 상기 둘레벽의 하단에 원료지로 이루어지는 원형의 바닥지를 접합하여 상기 둘레벽의 하단을 밀폐하는 바닥벽을 형성하는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종이제컵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가락을 걸어 둘 수 있는 치수 및 형상으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기를 상기 블랭크에 프레스성형하는 돌기형성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컵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벽의 내면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프레스면을 바깥쪽에 가지는 내측금형과, 상기 둘레벽의 외면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프레스면을 안쪽에 가지는 외측금형 사이에서, 상기 블랭크를 프레스하여 상기 둘레벽을 형성하는 둘레벽형성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돌기형성공정은, 상기 둘레벽형성공정에서, 상기 돌기의 내면형상에 대응하는 돌기부를 상기 내측금형의 프레스면에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돌기의 외면형상에 대응하는 오목부를 상기 외측금형의 프레스면에 형성하여, 그들 내측금형 및 외측금형 사이에서 상기 블랭크를 프레스성형함으로써 상기 둘레벽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돌기를 형성하는 것인 안전컵의 제조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형성공정은,
    상기 돌기를 포함하는 상기 둘레벽의 내면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프레스면을 바깥쪽에 가지는 복수의 분할금형편과, 상기 돌기를 포함하는 상기 둘레벽의 외면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프레스면을 안쪽에 가지는 받침금형을 사용하고,
    상기 둘레벽을 형성한 후, 상기 둘레벽을 상기 받침금형 내에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분할금형편을 상기 둘레벽의 내부에 배치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금형편을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분할금형편의 프레스면과 상기 받침금형의 프레스면과의 사이에서 상기 둘레벽을 프레스함으로써 상기 둘레벽에 상기 돌기를 형성하는 것인 안전컵의 제조방법.
KR1020010026788A 2001-03-16 2001-05-16 안전컵 및 안전컵의 제조방법 KR200200733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6933 2001-03-16
JP2001076933A JP2002274522A (ja) 2001-03-16 2001-03-16 安全カップ及び安全カップ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3366A true KR20020073366A (ko) 2002-09-26

Family

ID=18933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6788A KR20020073366A (ko) 2001-03-16 2001-05-16 안전컵 및 안전컵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588654B2 (ko)
JP (1) JP2002274522A (ko)
KR (1) KR2002007336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407Y1 (ko) * 2008-12-30 2009-07-28 주식회사 카라 화초에 물주는 것이 용이한 물컵
KR101139307B1 (ko) * 2010-06-21 2012-06-27 이규주 기능성 종이용기 및 제조방법
US20160244237A1 (en) * 2013-10-10 2016-08-25 Nestec S.A. Two compartment container and method for making a two component bevera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3738B1 (en) * 1998-05-11 2001-02-27 Scimed Life Systems, Inc. Balloon cones and waists thinning methodology
ITVE20070019A1 (it) * 2007-03-29 2008-09-30 Giorgio Trani Metodo per realizzare contenitori tridimensionali in materiale cartaceo estensibile.-
AU2007202556B2 (en) * 2007-06-04 2013-09-12 Tma Capital Australia Pty Ltd Disposable Beverage Container
US20090001090A1 (en) * 2007-06-29 2009-01-01 Carl-Louis Pty Ltd. Disposable beverage container
GB2452719B (en) 2007-09-11 2012-01-11 Mars Inc Cups for beverage dispensing
KR100851814B1 (ko) * 2007-11-02 2008-08-13 임정민 컵홀더
USD613554S1 (en) 2008-03-14 2010-04-13 Solo Cup Operating Corporation Cup
US8166703B2 (en) * 2008-06-12 2012-05-01 Driscoll Daniel G Conical container
US8196772B2 (en) * 2009-04-17 2012-06-12 Richard Joseph Leon Disposable beverage cup with lid isolation system
EP2272657A3 (en) * 2009-07-06 2011-09-28 Huhtamäki Oyj Production of a sidewall-segment for a cardboard container
EP2451716B1 (en) * 2009-07-06 2013-12-25 Huhtamäki Oyj Cardboard container
DK2451715T3 (en) 2009-07-06 2014-03-10 Huhtamaeki Oyj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cup and a plurality of cups
WO2011031318A1 (en) * 2009-09-10 2011-03-17 Norman Lefton Disposable cup and integral detachable stir stick, spoon or straw packaged as a unit, with components usable as toys
US9539786B2 (en) * 2009-12-04 2017-01-10 Huhtamäki Oyj Container having a stacking support shaping
DE102010013951A1 (de) * 2010-03-30 2011-10-06 Ptm Packaging Tools Machinery Pte. Ltd. Becher aus einem Papiermaterial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echers aus Papiermaterial
BR112013005684A2 (pt) 2010-09-10 2017-07-18 Eazy Pac Danmark As distribuição de discos de algodão e um método para sua produção
TW201221347A (en) * 2010-11-16 2012-06-01 Power Source & Amp Associates Corp Shaping mold for paper cup body
USD645748S1 (en) 2011-03-04 2011-09-27 The Quaker Oats Company Container
USD677162S1 (en) 2011-03-04 2013-03-05 The Quaker Oats Company Lid
JP2013138861A (ja) * 2011-12-08 2013-07-18 Yasuo Onishi 飲食器
US9096347B2 (en) 2012-03-20 2015-08-04 Berry Plastics Corporation Stand-up Package
USD667276S1 (en) * 2012-04-19 2012-09-18 Hearthmark, Llc Freezer jar
US9145251B2 (en) 2012-10-26 2015-09-29 Berry Plastics Corporation Package
WO2014066810A1 (en) 2012-10-26 2014-05-01 Berry Plastics Corporation Closure for container
DE202012011488U1 (de) * 2012-11-29 2014-03-06 Seda Suisse Ag Konischer Behälter
WO2014153060A1 (en) 2013-03-14 2014-09-25 Berry Plastics Corporation Stack shoulders for insulated container
US10532872B2 (en) 2014-12-08 2020-01-14 Berry Plastics Corporation Package
US9994379B2 (en) 2015-04-30 2018-06-12 Berry Plastics Corporation Container closure
US10477998B2 (en) 2016-03-01 2019-11-19 Berry Plastics Corporation Drink cup
USD891186S1 (en) * 2018-06-12 2020-07-28 Rubbermaid, Inc. Nesting canning jar
USD1000211S1 (en) * 2021-07-19 2023-10-03 Silgan Containers Llc Thin metal cup
USD1025710S1 (en) * 2022-03-31 2024-05-07 Starbucks Corporation Cup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2483A (en) * 1912-02-29 1916-02-22 Germless Paper Cup Company Folding paper vessel.
US2435906A (en) * 1946-09-09 1948-02-10 Maryland Baking Company Inc Pastry cup
NL291640A (ko) * 1962-04-18
BE636476A (ko) * 1962-12-14
US3327895A (en) * 1965-01-05 1967-06-27 Seymour C Graham Nestable plastic container
GB1188989A (en) * 1967-06-21 1970-04-22 Leer U K Ltd Van Improved Container.
US3781183A (en) * 1969-06-27 1973-12-25 Cellu Prod Co Net-like thermoplastic material and products
US3628719A (en) * 1970-01-15 1971-12-21 Arthur W Ford Sr Carton with handling means
NL176520C (nl) * 1972-05-26 Mars Ltd Drinkbeker.
US4102454A (en) * 1977-04-27 1978-07-25 Huhtamaki Oy Conical disposable mug
JPS60240634A (ja) * 1984-05-08 1985-11-29 関 則雄 飲み干し容易なコツプ
JPH075127B2 (ja) * 1990-12-18 1995-01-25 東洋製罐株式会社 缶詰用缶
JPH06144434A (ja) * 1992-11-02 1994-05-24 Akio Maru 紙,プラスチック製等の軟質容器の補強方法
US5762230A (en) * 1993-03-11 1998-06-09 Policappelli; Nini Laminated container
US5868272A (en) * 1993-06-01 1999-02-09 Deal; Richard E. Beverage contain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407Y1 (ko) * 2008-12-30 2009-07-28 주식회사 카라 화초에 물주는 것이 용이한 물컵
KR101139307B1 (ko) * 2010-06-21 2012-06-27 이규주 기능성 종이용기 및 제조방법
US20160244237A1 (en) * 2013-10-10 2016-08-25 Nestec S.A. Two compartment container and method for making a two component bever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130170A1 (en) 2002-09-19
JP2002274522A (ja) 2002-09-25
US6588654B2 (en) 2003-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73366A (ko) 안전컵 및 안전컵의 제조방법
KR100759164B1 (ko) 단열 용기
TWI288619B (en) Ergonomic disposable cup having improved structural integrity
US3512677A (en) Stackable container
US20050040218A1 (en) Unitary double walled container and method for making
US11059653B2 (en) Insulating cup
JP2000085852A (ja) 断熱容器
JP2010149931A (ja) 紙コップ、及び紙コップを作るための方法と装置
US3220595A (en) Thin wall container with strengthening and insulating characteristics
WO2016144809A1 (en) Container closure
WO2006095730A1 (ja) 断熱容器
WO2007110897A1 (ja) 紙製容器用の紙製蓋
AP671A (en) A disc shaped container.
JPS601217B2 (ja) 入れ子式積み重ね自在なプラスチツク容器
JP3953992B2 (ja) 断熱性紙製容器
JP2009001295A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
JP2020164205A (ja) 包装用容器
JPH11342982A (ja) 取手付き断熱容器
TWI732520B (zh) 容器蓋以及其製造方法
JP2000007057A (ja) 断熱容器
JP5666339B2 (ja) 紙製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130157A (ja) 断熱容器
JP3190687U (ja) 断熱容器
JP2005247354A (ja) スープ食品用カップ
KR200385606Y1 (ko) 원뿔형 종이컵과 원뿔형 종이컵 수납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