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3386Y1 - 식품 용기 - Google Patents

식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386Y1
KR200443386Y1 KR2020070012848U KR20070012848U KR200443386Y1 KR 200443386 Y1 KR200443386 Y1 KR 200443386Y1 KR 2020070012848 U KR2020070012848 U KR 2020070012848U KR 20070012848 U KR20070012848 U KR 20070012848U KR 200443386 Y1 KR200443386 Y1 KR 2004433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ood
inner container
outer container
lead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28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1224U (ko
Inventor
허혜진
Original Assignee
허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혜진 filed Critical 허혜진
Priority to KR20200700128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386Y1/ko
Publication of KR200900012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2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3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3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8Partitions with provisions for removing or destroying, e.g. to facilitate mixing of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품 용기를 개시한 것으로서, 외부 용기, 외부 용기의 내측에 제공되는 내부 용기 및 내부 용기를 상하 이동시키는 구동 부재를 포함하고, 내부 용기 및 외부 용기의 내측 공간들이 서로 통하도록 내부 용기에 복수 개의 홀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이러한 특징에 의하면, 하나의 용기 내에 시리얼과 우유를 분리하여 보관하고, 필요에 따라 시리얼과 우유를 섞어서 섭취할 수 있는 식품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식품 용기, 리드 스크류, 시리얼

Description

식품 용기{FOOD CONTAINER}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품 용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의 A - A' 선에 따른 개략적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식품 용기의 개략적 분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품 용기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외부 용기
200 : 내부 용기
300 : 구동 부재
310 : 리드 스크류
400 : 용기 뚜껑
본 고안은 식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상 식품과 고체 상태의 식품을 분리 보관하고 필요에 따라 이들을 혼합할 수 있는 식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 사회가 발달하면서 현대인들의 바쁜 생활로 인해 패스트 푸드(FAST FOOD) 산업이 더욱 발전해 가고 있다. 패스트 푸드는 현대인의 생활의 일부로 정착되었고, 이로 인해 다양한 패스트 푸드 음식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바쁜 일과와 수면 부족으로 인해 아침 식사를 거르는 현대인들에게는 더욱 절실히 필요하다. 이에 따라, 현대인들은 다양한 식사 대용식을 섭취하고 있고, 그 중에서 시리얼과 우유를 섞어서 섭취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그런데, 바쁜 아침을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있어서, 별도의 용기들에 따로 보관된 시리얼과 우유를 섞어서 섭취하는 것은 매우 불편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용기 내에 시리얼과 우유를 분리하여 보관하고, 필요에 따라 이들을 섞어서 섭취할 수 있는 식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식품 용기는, 외부 용기와; 상기 외부 용기의 내측에 제공되는 내부 용기와; 상기 내부 용기를 상하 이동시키는 구동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 용기 및 상기 외부 용기의 내측 공간들이 서로 통하도록 상기 내부 용기에는 복수 개의 홀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식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부 용기는 상부가 개방되며, 상기 복수 개의 홀들은 상기 내부 용기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동 부재는 축 방향이 상기 내부 용기의 이동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외부 용기에 설치되는 리드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용기에는 상기 리드 스크류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식품 용기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내측 하부에 액체 상태의 제 1 식품이 수용되는 외부 용기와; 상기 외부 용기의 내측에 제공되고, 고체 상태의 제 2 식품이 수용되는 내부 용기와; 상기 제 1 및 제 2 식품의 혼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내부 용기를 상하 이동시키는 구동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식품의 혼합 또는 분리 시 상기 액체 상태의 제 1 식품이 유출입되도록 상기 내부 용기에 복수 개의 홀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식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부 용기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외부 용기의 중심 축과 동일한 중심 축을 가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홀들은 상기 내부 용기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외부 용기의 중심축 상에 놓이도록 상기 외부 용기에 설치되는 리드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용기에는 상기 리드 스크류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식품 용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실시 예 )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품 용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 - A' 선에 따른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식품 용기의 개략적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식품 용기(10)는 외부 용기(100), 내부 용기(200) 및 구동 부재(300)를 포함한다.
외부 용기(10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을 가진다. 외부 용기(100)의 내측에는 내부 용기(200)가 제공되고, 내부 용기(200)는 구동 부재(300)에 의해 외부 용기(100)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외부 용기(100)의 상측에는 외부 용기(10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용기 뚜껑(400)이 놓인다.
외부 용기(100)의 내측 하부에는 액체 상태의 제 1 식품(우유 혹은 쥬스)이 수용되고, 내부 용기(200)에는 고체 상태의 제 2 식품(시리얼과 같은 곡물을 가공한 식품)이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 부재(300)는 제 1 식품 및 제 2 식품의 혼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내부 용기(20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외부 용기(100)는 원형의 하부 벽(110)과, 하부 벽(110)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측벽(120)을 가진다. 외부 용기(100)의 하부 벽(110) 중심부에는 홀(112)이 형성되고, 홀(112)에는 후술할 구동 부재(300)가 삽입 설치된다.
구동 부재(300)는 리드 스크류(310)와 회전 구동부(320)를 포함한다. 리드 스크류(310)는 원형 단면의 축 부재로 마련되며, 그 외주 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된다. 리드 스크류(310)의 하단에는 리드 스크류(310)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회전 구동부(320)가 연결된다. 회전 구동부(320)는 외부 용기(100)의 하부 벽(110)에 대응하는 크기의 면적과 소정 높이를 가지는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중심 축이 리드 스크류(310)의 중심 축과 동일 선상에 정렬되도록 리드 스크류(310)에 결합된다. 리드 스크류(310)는 외부 용기(100)의 하부 벽(110)에 형성된 홀(112)을 통해 외부 용기(100)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며, 이때 그 하단에 연결된 회전 구동부(320)는 외부 용기(100)의 하단부와 맞닿는 위치에 놓인다. 그리고, 리드 스크류(310)에는 리드 스크류(310)가 외부 용기(100)에 지지되도록 환형의 지지 부재들(312a,312b)이 구비된다. 환형의 지지 부재들(312a,312b)은 리드 스크류(310)의 수나사 아래 부분에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환형의 지지 부재들(312a,312b) 간의 배치 간격은 외부 용기(100)의 하부 벽(110) 두께에 대응된다. 지지 부재들(312a,312b)은 압입 방식 등에 의해 외부 용기(100) 하부 벽(110)의 홀(1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홀(112)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내부 용기(20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며, 중심축이 외부 용기(100)의 중심 축과 동일 선상에 정렬되도록 외부 용기(100)의 내측에 배치된다. 내부 용기(200)의 하부 벽(210) 중심부에는 속이 빈 원통 형상의 결합부(230)가 돌출 형성되고, 결합부(230)의 내측에는 암나사가 형성된다. 결합부(230)의 암나사에는 리드 스크류(310)의 수나사가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외부 용기(100)와 내부 용기(200)에는 내부 용기(20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부재(122,222)가 구비된다. 외부 용기(100)의 측벽(120) 내측에는 외부 용기(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안내 돌기(122)가 돌출 형성되고, 내부 용기(200)의 측벽(220) 외 측에는 안내 돌기(122)가 삽입되는 안내 홈(222)이 형성된다.
내부 용기(20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리드 스크류(310)를 회전시킬 경우, 안내 돌기(122) 및 안내 홈(222)은 리드 스크류(310)에 나사 결합된 내부 용기(200)가 헛도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내부 용기(20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여 내부 용기(200)가 안정적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용기(10)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품 용기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먼저 내부 용기(200)가 외부 용기(100)의 내측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내부 용기(200)로 액체 상태의 제 1 식품(우유 혹은 쥬스)이 공급된다. 제 1 식품은 내부 용기(200)의 하부 벽(210)에 형성된 홀들(212)을 통과해서 외부 용기(100)로 공급되고, 점차적으로 외부 용기(100)의 내 측 하부에 채워진다. 제 1 식품은 1 회 섭취량에 이를 때까지 계속 공급될 수 있다.(도 4a)
제 1 식품의 공급이 완료된 후, 내부 용기(200)에는 고체 상태의 제 2 식품(시리얼과 같은 곡물을 가공한 식품)이 공급된다. 제 1 식품은 외부 용기(100)에 수용되고, 제 2 식품은 내부 용기(200)에 수용되기 때문에, 제 1 식품과 제 2 식품이 분리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도 4b)
이러한 상태에서 외부 용기(100)의 상측에 용기 뚜껑(400)을 닫아 식품 용기(10)를 냉장고 등의 보관 장소에 보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식품 용기(10)를 꺼내 식품을 섭취할 수 있다.
식품을 섭취하기 위해서는 용기 뚜껑(400)을 열고, 구동 부재(300)의 회전 구동부(320)를 회전시킨다. 회전 구동부(320)가 회전하면 이에 연결된 리드 스크류(310)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리드 스크류(310)에 나사 결합된 내부 용기(200)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한다. 내부 용기(200)는 내측에 수용된 제 2 식품이 제 1 식품에 충분히 잠길 수 있는 위치까지 이동된다.(도 4c)
고체 상태의 제 2 식품이 액체 상태의 제 1 식품에 충분히 잠긴 상태에서 제 1 식품과 제 2 식품을 섞어서 섭취한다. 섭취 도중 잠시 멈출 때에는, 회전 구동부(32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내부 용기(200)를 제 1 식품의 위쪽으로 이동시키고, 이후 다시 제 2 식품이 제 1 식품에 잠기도록 내부 용기(200)를 이동시켜 제 1 및 제 2 식품을 섞어서 섭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 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하나의 용기 내에 시리얼과 우유를 분리하여 보관하고, 필요에 따라 시리얼과 우유를 섞어서 섭취할 수 있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내측 하부에 액체 상태의 제 1 식품이 수용되는 외부 용기와;
    상기 외부 용기의 내측에 제공되고, 고체 상태의 제 2 식품이 수용되는 내부 용기와;
    상기 제 1 및 제 2 식품의 혼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내부 용기를 상하 이동시키는 구동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식품의 혼합 또는 분리 시 상기 액체 상태의 제 1 식품이 유출입되도록 상기 내부 용기에 복수 개의 홀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용기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외부 용기의 중심 축과 동일한 중심 축을 가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홀들은 상기 내부 용기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외부 용기의 중심축 상에 놓이도록 상기 외부 용기에 설치되는 리드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용기에는 상기 리드 스크류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용기.
KR2020070012848U 2007-07-31 2007-07-31 식품 용기 KR2004433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2848U KR200443386Y1 (ko) 2007-07-31 2007-07-31 식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2848U KR200443386Y1 (ko) 2007-07-31 2007-07-31 식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224U KR20090001224U (ko) 2009-02-04
KR200443386Y1 true KR200443386Y1 (ko) 2009-02-09

Family

ID=41346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2848U KR200443386Y1 (ko) 2007-07-31 2007-07-31 식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38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262B1 (ko) 2012-08-22 2014-04-11 김정섭 다중용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23420B (zh) * 2019-10-31 2021-11-02 山东耀华特耐科技有限公司 无水泥喷涂料的一体化盛料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262B1 (ko) 2012-08-22 2014-04-11 김정섭 다중용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224U (ko) 2009-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5613Y1 (ko) 다단 적층형 다용도 보관용기
US20170245610A1 (en) Reusable food container with an integrated cup
US7544294B2 (en) Actuated strainer for bottles
US8584840B2 (en) Device and method for storing and dispensing
WO2002065033B1 (en) Spill-resistant container with reinforced cold plug
KR200443386Y1 (ko) 식품 용기
KR20120076227A (ko) 공간이 조절되는 용기
JP4941972B2 (ja) 中皿の上昇機構を備えた容器
US8177059B2 (en) Closure arrangement
CN1997562B (zh) 液体容器和用于该液体容器的可浮游的多室的置入件
KR200480321Y1 (ko) 혼합용 용기
KR200398033Y1 (ko) 정량 배출 용기
JP4587367B2 (ja) 二種混合容器
JP2005350127A (ja) 飲料容器用キャップ
CN202115877U (zh) 可单独盛放多种物质的混装容器
KR200488897Y1 (ko) 디저트컵
CN218784399U (zh) 一种用于储米桶的定量取米机构
JP2009029475A (ja) 振り出し容器用キャップ
CN207903059U (zh) 一种固体饮料瓶盖
KR20100111215A (ko) 작동부 비분리형 이종물질 수용장치
KR101635471B1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CN211495198U (zh) 瓶盖及瓶
KR200471346Y1 (ko) 교반기
US20170050783A1 (en) Storing and mixing device
CN211495199U (zh) 瓶盖及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