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033Y1 - 정량 배출 용기 - Google Patents

정량 배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8033Y1
KR200398033Y1 KR20-2005-0019721U KR20050019721U KR200398033Y1 KR 200398033 Y1 KR200398033 Y1 KR 200398033Y1 KR 20050019721 U KR20050019721 U KR 20050019721U KR 200398033 Y1 KR200398033 Y1 KR 2003980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ischarge
valve
spherical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97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상원
Original Assignee
류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상원 filed Critical 류상원
Priority to KR20-2005-00197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80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80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80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6Caps or cap-like covers serving as, or incorporating, drinking or measuring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02Loosely-engaging lids or covers for jars, cans, or like containers for liquids without means for effecting sealing of container
    • B65D51/10Loosely-engaging lids or covers for jars, cans, or like containers for liquids without means for effecting sealing of container opening automatically when container is tilted for po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항상 일정한 량의 내용물을 간단하게 배출시킬 수 있으며, 제조단가를 크게 높이지 않고 사용하기 편리한 정량 배출 용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용기입구의 내측으로 상부에는 위로 협소해지는 구면시트(24)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아래로 협소해지는 구면시트(26)가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의 구면시트 사이에는 수직으로 하나 이상의 배출홈(28)이 형성되어 있는 용기(20), 그리고 상기 용기와 나사 조립되며 상부에는 토출구멍(12)이 형성되고 중앙으로 샤프트(14)가 형성된 뚜껑(10)이 구성되며, 상기 샤프트의 상/하부에는 용기의 상,하 구면시트(24,26)를 개폐시키는 상부밸브(16)와 하부밸브(18)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량 배출 용기{a vessel}
본 고안은 정량 배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항상 일정한 량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정량 배출 용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용기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물을 배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감각에 의하여 배출량을 조절하지만 그 량이 항상 일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농약 또는 의약품, 세제류, 식품 등과 같이 정확한 배출량이 요구 될 때에는 뚜껑을 이용하거나 별도의 계량컵을 사용하여 내용물의 배출량을 계량하고 있으나, 이와 같이 뚜껑 혹은 계량컵을 이용하여 내용물의 배출량을 계량할 경우에는 용기에 담겨진 내용물을 뚜껑에 따르는 과정에 있어서 손에 묻게 되거나, 넘쳐 흘리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고 별도 구비되는 계량컵은 경제적 손실을 가져온다.
그리고 용기의 상부에 별도의 계량부와 펌핑수단을 형성하고, 상기 계량부의 하부에 저장부 바닥 면에서 통공되는 관을 가지며 체크 밸브를 구비하여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물을 일정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용기의 상부에 계량부와 펌핑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용기는 구성이 복잡하고 별도의 펌핑장치와 체크 밸브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생산 단가가 고가인 문제점이 있으며, 고장발생률이 높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항상 일정한 량의 내용물을 간단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정량 배출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서 제조단가를 크게 높이지 않고 사용하기 편리한 정량 배출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용기입구의 내측으로 상부에는 위로 협소해지는 구면시트(24)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아래로 협소해지는 구면시트(26)가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의 구면시트 사이에는 수직으로 하나 이상의 배출홈(28)이 형성되어 있는 용기(20), 그리고 상기 용기와 나사 조립되며 상부에는 토출구멍(12)이 형성되고 중앙으로 샤프트(14)가 형성된 뚜껑(10)이 구성되며, 상기 샤프트의 상/하부에는 용기의 상, 하 구면시트(24,26)를 개폐시키는 상부밸브(16)와 하부밸브(18)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정량 배출 용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은 본 고안 정량 배출 용기의 요부의 구성을 단면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따르면, 입구 내부에 다수의 배출홈(28)이 구성되고 그 상부와 하부에 구면시트(24,26)를 가진 용기(20)가 구성되고, 상기 용기의 상부에 나사 조립되며 수직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구면시트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상부밸브와 하부밸브를 가진 뚜껑(10)으로 구성된다.
위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내용물의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 용기(20)의 상부에는 직경이 협소해지는 용기입구(21)가 구비되고, 상기 용기입구의 외측 둘레를 따라 나사부(22)가 형성된다. 이후 용기입구(21)의 내측으로 상부에는 위로 점차 협소해지는 구면시트(24)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아래로 협소해지는 구면시트(2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의 구면시트(24,26) 사이에는 수직으로 하나 이상의 배출홈(28)이 형성되면서 도 5와 같은 방사상형태의 단면을 구성한다.
이후, 내측으로 나사부(11)가 형성되어 전술한 용기의 나사부(22)와 결합되는 뚜껑(10)은 회전에 의해서 수직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뚜껑의 상부에는 용기의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소정의 토출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10)의 중앙에는 내부 수직으로 일체 성형되거나 나사조립으로 결합되는 샤프트(1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샤프트의 상/하부에는 용기의 상/하 구면시트(24,26)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키거나 개방시키는 상부밸브(16)와 하부밸브(18)가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상부밸브(16)와 하부밸브(18)와의 거리는 용기의 상, 하부 구면시트(24,26) 간의 거리보다 다소 짧게 되면서, 상부밸브가 상부의 구면시트(16)에 밀착되었을 때는 하부밸브(18)는 아래의 구면시트(26)로부터 이탈되고, 하부밸브가 아래의 구면시트에 밀착되게 이동하면 상부밸브(16)는 위의 구면시트(24)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용기입구 내부에는 상부밸브(16)와 하부밸브(18) 사이에 저장공간(30)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밸브와 하부밸브 그리고 각 구면시트(24,26)의 간격에 따라 저장공간(30)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고안 정량 배출 용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우선, 도 3에서와 같이 용기(20)에서 뚜껑(10)이 상부에 결합되어 상부의 구면시트(24)를 상부밸브(16)가 용기의 상부 구면시트(24)를 밀폐시킨 상태에서는 하부의 구면시트(26)는 하부밸브(18)가 위로 이탈되면서 배출홈(28)을 개방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 용기를 거꾸로 세우게 되면 도 6에서와 같이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하부밸브(18) 외측으로 열려 있는 배출홈(28)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서 상부밸브와 하부밸브 사이의 저장공간(30)을 채우게 된다.
이후, 뚜껑을 돌려 아래에 있는 뚜껑을 위로 이동시키게 되면 도 7에서와 같이 하부밸브(18)는 용기 구조상 아래 부분의 구면시트(26)를 밀폐시킴과 동시에 입구부분의 구면시트(24)를 개방시키게 되고 동시에 저장공간(30) 내부의 내용물이 배출홈(28)을 따라 아래로 이동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다음, 뚜껑(10)을 돌려 도 3에서와 같이 용기입구의 상부를 밀폐시킨 다음, 보관하게 된다.
한편, 도 8은 뚜껑과 용기의 결합을 위해 뚜껑(10) 및 용기입구(21)를 조립식으로 구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즉, 뚜껑의 샤프트(14)에 나사조립되는 제1 결합부(15)를 구성시키고, 용기입구(21) 하단부에 나사로 체결되는 제2 결합부(29)를 구성시키게 되면서 생산단계에서 조립을 가능토록 한다. 이때 상기 제1 결합부(15)는 샤프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저장공간의 면적을 다소 조절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사용자의 임의대로 미세한 량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정량 배출 용기는 간단한 구조로서 제조단가를 크게 높이지 않고 생산할 수 있고, 항상 일정한 량의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용기의 활용도를 높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정량 배출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정량 배출 용기에서 뚜껑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정량 배출 용기의 요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정량 배출 용기에서 뚜껑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3에서 도시된 A-A선 단면도.
도 6 과 도 7은 본 고안 정량 배출 용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량 배출 용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뚜껑 12: 토출구멍
14: 샤프트 16: 상부밸브
18: 하부밸브 20: 용기
24,26: 구면시트 28: 배출홈
30: 저장공간

Claims (2)

  1. 용기입구(21)의 상단부 외측으로 나사부(22)가 형성되고 그 내측으로 상부에는 위로 협소해지는 구면시트(24)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아래로 협소해지는 구면시트(26)가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의 구면시트(24,26) 사이에는 수직으로 하나 이상의 배출홈(28)이 형성되어 있는 용기(20)와;
    내측으로 나사부(11)가 형성되어 상기 용기와 체결되며 상부에는 토출구멍(12)이 형성되고 중앙으로 샤프트(14)가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의 상/하부에는 용기의 상,하 구면시트(24,26)를 개폐시키는 상부밸브(16)와 하부밸브(18)가를 가지는 뚜껑(10)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배출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밸브(16)와 하부밸브(18)는 반구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배출 용기.
KR20-2005-0019721U 2005-07-07 2005-07-07 정량 배출 용기 KR2003980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721U KR200398033Y1 (ko) 2005-07-07 2005-07-07 정량 배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721U KR200398033Y1 (ko) 2005-07-07 2005-07-07 정량 배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8033Y1 true KR200398033Y1 (ko) 2005-10-11

Family

ID=43699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721U KR200398033Y1 (ko) 2005-07-07 2005-07-07 정량 배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803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769B1 (ko) 2011-03-11 2013-03-11 여태수 자동 마개
WO2015133664A1 (ko) * 2014-03-07 2015-09-11 여태수 뉴 캡
KR101847272B1 (ko) * 2016-07-05 2018-04-10 이형주 정량 배출 및 안전사고 방지용 용기뚜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769B1 (ko) 2011-03-11 2013-03-11 여태수 자동 마개
WO2015133664A1 (ko) * 2014-03-07 2015-09-11 여태수 뉴 캡
KR101847272B1 (ko) * 2016-07-05 2018-04-10 이형주 정량 배출 및 안전사고 방지용 용기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200428B2 (en) Metered dosage dispenser closure for powders
US8657159B2 (en) Dispensing device for dispensing a liquid product
US8028865B2 (en) Two-way dispenser cap with metered and unmetered selection
KR200398033Y1 (ko) 정량 배출 용기
KR101142306B1 (ko) 정량 배출용기
JP2011098768A (ja) 定量吐出キャップ
JP2006151461A (ja) 定量吐出容器
WO2013055200A1 (en) An apparatus for measuring and dispensing liquid
CN110914168A (zh) 设置有双向鸭嘴阀的容器盖
KR101989618B1 (ko) 정확하게 정량된 계량으로 액상의 내용물을 인출하는 정량용기
JP6942650B2 (ja) 注出容器
JP5391561B2 (ja) コック式注出口栓
KR20160058507A (ko) 액상의 물질을 정량으로 인출가능한 용기
JP4954689B2 (ja) 定量排出容器
JP2016088544A (ja) 二重容器
JP5311011B2 (ja) コック式注出口栓
JP7477445B2 (ja) 回転式計量ポンプ
JP3180754U (ja) 定量吐出キャップ
JP2020055547A (ja) 計量注出栓
KR101696351B1 (ko) 액체 정량 배출장치
JP5364410B2 (ja) 計量注出器
JP2011136719A (ja) 継続使用容器と詰め替え容器の組合せ
JP4901379B2 (ja) 定量注出容器
RU2276049C2 (ru) Пробка пам - прибор автономного миксинга
WO1996007599A1 (en) A mete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