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2419B1 - 음료의 농도조절이 가능한 컵 - Google Patents

음료의 농도조절이 가능한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2419B1
KR101302419B1 KR1020130084447A KR20130084447A KR101302419B1 KR 101302419 B1 KR101302419 B1 KR 101302419B1 KR 1020130084447 A KR1020130084447 A KR 1020130084447A KR 20130084447 A KR20130084447 A KR 20130084447A KR 101302419 B1 KR101302419 B1 KR 101302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wall
partition
food storage
storage member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4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우
Original Assignee
이동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우 filed Critical 이동우
Priority to KR1020130084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24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을 저장하는 공간과 물로써 식품을 우려낸 후 바로 음용할 음료 저장 공간이 분리되어 있고, 이 분리를 위한 복수개의 격벽과 그 격벽에 형성된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격벽의 홀을 사용자가 여닫을 수 있는 회전수단이 형성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원하는 농도만큼 식품을 물로써 우려내어 음용할 수 있다. 또한, 재차 식품을 다시 우려내고자 할 때에는 상기 격벽의 홀을 오픈시켜 물을 부은 후, 원하는 만큼 격벽의 홀을 개방하여 상기 방법과 동일하게 우려낸 후 음용할 수 있는 컵이 제시된다.

Description

음료의 농도조절이 가능한 컵{Cup}
본 발명은 내부에 식품을 저장한 후 물을 부어 우려내어 음용할 수 있는 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컵의 내부 혹은 하부에 회전할 수 있는 부재에 홀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농도로 식품을 물에 우려내어 섭취할 수 있는 컵에 관한 기술 분야에 속한다.
현대인들은 녹차, 커피 등 많은 종류의 음료수를 섭취하고 있으며, 이 경우 주로 일회용 컵을 이용하여 음용하고 있다.
특히 녹차의 경우 1회용 티백에 녹차를 인입한 후, 티백을 컵 내부에 거치한 상태로 물어 부어서 녹차를 우려내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커피믹스를 내장하고 있는 1회용 컵을 보면, 커피포장백을 개봉하여 원하는 만큼 컵 내부에 커피를 쏟아 부은 다음 물을 부어 섭치하는 방식을 취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그러나 상기 방법으로서는 티백이나 컵 내부에 부은 커피 및 물을 단지 1회밖에 섭취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착안된 것으로서, 식품을 저장하고 있는 공간부와 식품을 우려낸 음료가 저장되는 공간을 분리하여, 수회에 걸쳐서 식품을 우려내어 섭취할 수 있는 컵 구조물을 제시하고자 한다.
없음.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녹차와 같은 식품을 저장하는 공간부와 상기 식품을 물로 우려내어 음용할 수 있는 공간을 분리하고, 상기 두 공간 사이는 사용자가 원하는만큼 상호 연통되도록 홀을 구비한 제1,2격벽을 형성한 컵 구조물을 제시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해결수단은 아래와 같다.
상하부가 개방된 몸체(200), 상기 몸체의 하부를 막음과 동시에 상기 몸체 측면에 결합되는 제1격벽(400), 상기 제1격벽 하부에 형성되고 제1격벽과 미끄럼접촉되는 제2격벽(500), 상기 제2격벽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격벽과 함께 식품을 저장하는 공간(E)을 확보하는 식품저장부재(300)를 포함하되, 상기 식품저장부재(300)의 상부측면(350)은, 제1격벽의 측면(420)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식품저장부재의 상부측 외주면에는 절곡부(360,370)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360,370)에 대응하여, 상기 제1격벽의 외주면에는 절곡대응부(410,430)가 형성되어 절곡부가 절곡대응부를 감싼 상태로 상호 미끄럼접촉하면서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제1,2 격벽에는 각각 홀이 형성되어, 상대전 회전운동을 함에 따라 제1,2 격벽에 형성된 홀이 상호 연통되거나 폐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품저장부재(300)의 외주에는, 요홈 형태의 제3절곡부(330)가 더 형성되고,
제2격벽(500)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수평결합부(510) 직하부 위치에, 제3절곡부(330)의 상부 수평부분인, 수평결합부(340)가 상호 밀착 결합되어 수밀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녹차 등의 식품을 물로 우려내는 농도를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조절하여 섭취할 수 있으며, 음료섭취를 하지 않을 때에는 제1,2격벽을 막아두고 재차 음용하고자 할 때에는 격벽사이를 개방하여 다시 물을 부어 우려낼 수 있기 때문에 수회에 걸쳐서 물로 우려내어 섭취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컵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하단부 측단면도
도 3은 컵의 몸체(200)와 제1격벽(400)의 결합도
도 4는 도 3의 제1격벽(400)의 사시도
도 5는 제2격벽(500)과 식품저장부재(300)의 결합도 및 분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발명범위에서 파악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컵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하단부 일부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컵의 몸체(200)와 제1격벽(400)의 결합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1격벽(400)의 사시도이며 도 5는 제2격벽(500)과 식품저장부재(300)의 결합도 및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식품을 저장하는 공간과 물로써 식품을 우려낸 후 바로 음용할 음료 저장 공간이 분리되어 있다는 점과, 이 분리를 위한 복수개의 격벽과 그 격벽에 형성된 홀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 그리고 격벽의 홀을 사용자가 여닫을 수 있는 회전수단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농도만큼 식품을 물로써 우려내고, 음용할 수 있다. 또한, 그 후 재차 식품을 다시 우려내고자 할 때에는 상기 격벽의 홀을 오픈시켜 물을 부은 후, 원하는 만큼 격벽의 홀을 개방하여 상기 방법과 동일하게 우려낸 후 음용하면 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구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하부가 개방된 몸체(200), 상기 몸체의 하부를 막음과 동시에 상기 몸체 측면에 결합되는 제1격벽(400), 상기 제1격벽 하부에 형성되고 제1격벽과 미끄럼접촉되는 제2격벽(500), 상기 제2격벽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격벽과 함께 식품을 저장하는 공간(E)을 확보하는 식품저장부재(300)를 포함하되,
상기 식품저장부재(300)의 상부측면(350)은, 제1격벽의 측면(420)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식품저장부재의 상부측 외주면에는 절곡부(360,370)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360,370)에 대응하여, 상기 제1격벽의 외주면에는 절곡대응부(410,430)가 형성되어 절곡부가 절곡대응부를 감싼 상태로 상호 미끄럼접촉하면서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제1,2 격벽에는 각각 홀이 형성되어, 상대전 회전운동을 함에 따라 제1,2 격벽에 형성된 홀이 상호 연통되거나 폐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품저장부재(300)의 외주에는, 요홈 형태의 제3절곡부(330)가 더 형성되고,
제2격벽(500)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수평결합부(510) 직하부 위치에,
제3절곡부(330)의 상부 수평부분인, 수평결합부(340)가 상호 밀착 결합되어 수밀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몸체는 비닐코팅된 종이로 형성되며, 제1,2격벽과 식품저장부재(300)는 알루미늄 박판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에 한정됨은 아니다.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단면 도시한 것이 도 2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컵은 상하부가 개방된 몸체(200), 상기 몸체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1격벽(400), 상기 제1격벽 하부에 형성되고 제1격벽과 미끄럼접촉되는 제2격벽(500), 상기 제2격벽의 하부에 형성되며 식품을 저장하는 식품저장부재(300)를 포함하는 컵 구조물이 도시되어 있다.
전체적으로는 몸체(200)와 제1격벽(400)이 한몸체로 결합되고, 제2격벽(500)과 식품저장부재(300)가 한몸체로 결합된다.
편의상 몸체(200) 및 제1격벽(400)을 '고정체'라 칭하고, 제2격벽(500)과 식품저장부재(300)를 '회전체'라 칭한다.
고정체(200,400)는 도 3에 도시되어 있고, 회전체(300,500)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컵에 붓는 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몸체와 제1격벽의 측면(420) 사이는 씰링처리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식품저장부재(300)의 제3절곡부(330)에 인접한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는 부위인 수평결합부(340)는, 제2격벽의 수평결합부(510)와 상호 접합되어 씰링처리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식품저장부재(300)는 제2격벽(500)과 한몸체로 결합되어 제2격벽(500) 외곽면과 접촉하면서, 돌게 되는 구조이다.
상기 몸체는 비닐코팅된 종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제1격벽은 몸체의 하부를 막음과 동시에 몸체의 하부외곽면을 감싸는 구조를 가지며, 그 재료로서는 알루미늄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 재료에만 국한됨은 아니다.
상기 식품저장부재(300)의 상부측면(350)은, 제1격벽의 측면(420)을 감싸고 있다.
보다 상세한 구조설명을 하면, 도 2와 같이 식품저장부재(300)의 상부측면 일측에 돌출된 부위인, 제1절곡부 및 제2절곡부(370, 360)는, 제1격벽의 외곽에 돌출된 제1절곡대응부(430) 및 제2절곡대응부(410)의 외곽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호 미끄럼접촉되면서 회전체가 고정체 주위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제1절곡부(370)은 제1절곡대응부(430)과 원터치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함이 효율성 있는 생산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즉, 고정체를 기준으로 하여, 회전체를 R1 과 R2 방향으로 돌릴 수 있는 구조를 취한다.
제1,2격벽(400,500)의 수평한 면에서는 각각의 홀(hole) 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제1격벽에는 제1홀부 내지 제6홀부(461, 462, 463, 464, 465, 466)이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방사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도 5의 제2격벽(500)은 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격벽의 다수의 홀부 들에 대응하여, 제1홀대응부 내지 제6홀대응부(550,551,552,553,554,55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도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방사형태로 위치한다.
제1,2 격벽은 상호 미끄럼접촉하면서, 제1,2격벽의 형성된 홀들이 상호 연통되거나 폐쇄됨으로써, 액체가 이들 격벽을 넘나들 수 있도록 형성된다. 홀들의 위치와 갯수는 도면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례를 들어 보면, 컵의 최하단에 위치한 식품저장부재(300)의 식품저장공간(E)에 녹차와 같은 식품을 저장한 뒤, 제1,2격벽의 홀들을 상호 연통시킨 다음, 물을 부으면 식품저장공간(E)에서 녹차를 우려낼 수 있다.
이때 붓는 물의 양은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조절이 가능하며, 물을 부은 다음 원하는 농도로 우려내었다고 판단되면, 회전체를 회전하여 제1,2격벽을 밀폐시킴으로써, 몸체(200)와 제1격벽의 바닥(440)으로 형성된 공간내에 있는 녹차음료를 섭취할 수 있게 된다.
즉, 식품저장공간(E) 내에는 고농도로 우려낸 녹차가 존재하게 되므로 그후 사용자는 원하는 시기에 제1,2격벽의 홀들을 연통시킨 후, 물을 새로이 부어서 원하는 농도를 가진 음료를 수회 섭취할 수 있게 된다.
제1,2격벽을 상호 연통시키는 정도는 회전체를 돌리는 각도에 따라 조절하므로, 식품저장공간(E)으로부터 몸체(200)와 제2격벽(400) 쪽으로 이동시킬 양조절도 사용자가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는 점도 본 발명의 매우 독특한 점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의하여 녹차 등의 식품을 물로 우려내는 농도를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조절하여 섭취할 수 있으며, 음료섭취를 하지 않을 때에는 제1,2격벽을 막아두고 재차 음용하고자 할 때에는 격벽사이를 개방하여 다시 물을 부어 우려낼 수 있기 때문에 수회에 걸쳐서 물로 우려내어 섭취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100: 컵 200: 몸체
300:식품저장부재
310:베이스 320:하부측면
330:제3절곡부
350:상부측면
360:제2절곡부
370:제1절곡부
400:제1격벽
410:제2절곡대응부
420:측면 430:제1절곡대응부
440:바닥 460:홀
461:제1홀부
500:제2격벽 550:제1홀 대응부
510:수평결합부

Claims (4)

  1. 상하부가 개방된 몸체(200), 상기 몸체의 하부를 막음과 동시에 상기 몸체 측면에 결합되는 제1격벽(400), 상기 제1격벽 하부에 형성되고 제1격벽과 미끄럼접촉되는 제2격벽(500), 상기 제2격벽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격벽과 함께 식품을 저장하는 공간(E)을 확보하는 식품저장부재(300)를 포함하되,
    상기 식품저장부재(300)의 상부측면(350)은, 제1격벽의 측면(420)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식품저장부재의 상부측 외주면에는 절곡부(360,370)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360,370)에 대응하여, 상기 제1격벽의 외주면에는 절곡대응부(410,430)가 형성되어 절곡부가 절곡대응부를 감싼 상태로 상호 미끄럼접촉하면서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제1,2 격벽에는 각각 홀이 형성되어, 상대전 회전운동을 함에 따라 제1,2 격벽에 형성된 홀이 상호 연통되거나 폐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의 농도조절이 가능한 컵.
  2. 청구항 1에 있어서,
    식품저장부재(300)의 외주에는, 요홈 형태의 제3절곡부(330)가 더 형성되고,
    제2격벽(500)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수평결합부(510) 직하부 위치에,
    제3절곡부(330)의 상부 수평부분인, 수평결합부(340)가 상호 밀착 결합되어 수밀되도록 형성되는
    음료의 농도조절이 가능한 컵.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비닐코팅된 종이로 형성되며, 제1,2격벽과 식품저장부재(300)는 알루미늄 박판으로 형성되는
    음료의 농도조절이 가능한 컵.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제1,2격벽(400,500)에 형성된 홀들은 제1,2 격벽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방사형태로 형성되는
    음료의 농도조절이 가능한 컵.

KR1020130084447A 2013-07-18 2013-07-18 음료의 농도조절이 가능한 컵 KR101302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447A KR101302419B1 (ko) 2013-07-18 2013-07-18 음료의 농도조절이 가능한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447A KR101302419B1 (ko) 2013-07-18 2013-07-18 음료의 농도조절이 가능한 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2419B1 true KR101302419B1 (ko) 2013-09-02

Family

ID=49454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4447A KR101302419B1 (ko) 2013-07-18 2013-07-18 음료의 농도조절이 가능한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24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78644A (zh) * 2018-04-03 2018-08-10 张学军 一种可调节出水比例的多容积保温杯
KR20200001114U (ko) 2018-11-22 2020-05-29 홍순옥 농도 조절이 가능한 음료용 컵
CN112586956A (zh) * 2020-12-25 2021-04-02 杨万里 一种自动且等均匀分配茶叶水浓度的茶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532Y1 (ko) * 2002-12-23 2003-05-13 이규주 여과기를 설치한 컵
KR101033139B1 (ko) * 2010-09-07 2011-05-11 임기순 이중용기
KR20110135314A (ko) * 2010-06-10 2011-12-16 허진영 티백 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532Y1 (ko) * 2002-12-23 2003-05-13 이규주 여과기를 설치한 컵
KR20110135314A (ko) * 2010-06-10 2011-12-16 허진영 티백 컵
KR101033139B1 (ko) * 2010-09-07 2011-05-11 임기순 이중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78644A (zh) * 2018-04-03 2018-08-10 张学军 一种可调节出水比例的多容积保温杯
KR20200001114U (ko) 2018-11-22 2020-05-29 홍순옥 농도 조절이 가능한 음료용 컵
CN112586956A (zh) * 2020-12-25 2021-04-02 杨万里 一种自动且等均匀分配茶叶水浓度的茶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66745U (ja) 2つのチャンバを有する魔法瓶
JP5723486B2 (ja) 携帯用三重容器
EP3114040A1 (en) Lid with rotatable closure tab
US6241095B1 (en) Three-dimensional rotating cup
KR101302419B1 (ko) 음료의 농도조절이 가능한 컵
CN205923637U (zh) 真空杯
US6497344B1 (en) Multiple beverage pitcher device
CN206923974U (zh) 一种水温可调节的水杯
CN203619230U (zh) 可调节浓度茶杯
CN206119900U (zh) 组合式水杯
CN103783942A (zh) 一种速冷保温杯
CN203749090U (zh) 一种速冷保温杯
CN101422315B (zh) 活动式随手泡茶杯的结构装置
CN210870292U (zh) 多功能水杯
KR200407490Y1 (ko) 다용도 보온컵
KR101388153B1 (ko) 보온 도시락
CN211253420U (zh) 一种可控量取茶叶装置
JP3115142U (ja) 飲料用容器
CN211795933U (zh) 一种翻盖式水箱
CN209629327U (zh) 水杯
CN218022697U (zh) 一次性防烫纸杯
CN215304774U (zh) 双层多用水杯
CN210540556U (zh) 一种组合式保温杯
KR101426508B1 (ko) 스틱커피 수납부가 구비된 커피컵
WO2019056787A1 (zh) 一种一体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