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1781A - 기능성 텀블러 - Google Patents

기능성 텀블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1781A
KR20120021781A KR1020100079211A KR20100079211A KR20120021781A KR 20120021781 A KR20120021781 A KR 20120021781A KR 1020100079211 A KR1020100079211 A KR 1020100079211A KR 20100079211 A KR20100079211 A KR 20100079211A KR 20120021781 A KR20120021781 A KR 20120021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body
opening
rotating plate
open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9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지성
Original Assignee
임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지성 filed Critical 임지성
Priority to KR1020100079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1781A/ko
Publication of KR20120021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17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02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64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a liquid being fed by mechanical pumping from the container to the nozz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2Safety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Pack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뜨거운 커피나 차가운 음료수 등 액체 음료를 보관하며 음용하기 위한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마개의 이탈시에도 내용물이 쏟아지지 않고, 보행시나 흔들리는 차량 속에서도 액체인 내용물이 쏟아지거나 출렁거림에 의하여 튀겨 나오지 않으며, 뜨거운 내용물의 양을 조절하여 단계적으로 공급한 후 식혀 음용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내부에 음료와 같은 액체 내용물을 담기 위한 중공부가 마련되고, 상단부가 개방되며, 개방된 상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하부체; 상기 하부체의 상단에 결합하는 것으로서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일정 길이의 가이드공이 관통 형성되고, 외주면 하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내측 벽면에는 그 원주방향을 따라 장착턱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상부체; 상기 장착턱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판면의 일부분이 상하로 개방되도록절개홈이 형성되는 회전판 지지체와, 상기 회전판 지지체의 내부에 회전판 지지체와 접촉하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것으로서 판면에 제1유체 통과공, 제2유체 통과공 및 차폐구역이 형성되고, 측단에 조절탭이 돌출 형성되는 회전판으로 이루어지는 유량 조절 유닛; 및 상기 상부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기 위한 것으로서 상면에 개방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개방공을 개폐하기 위한 개방탭이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개방공 주변의 하면에는 측방 차단막이 하향 돌출하여 형성되는 마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텀블러에 관하여 개시한다.

Description

기능성 텀블러{Functional tumbler}
본 발명은 커피나 음료 등을 담아 보관하여 음용하기 위한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본체를 상하로 나누어 분리형으로 설계하고, 내부에 유량 조절 유닛을 설치하여 마개가 열리더라도 내용물의 흘러 넘치지 않도록 하며, 유량 조절 유닛의 유체 통과공과 마개의 개방공의 상하 위치를 엇갈리게 배치하고 마개의 개방공 주변에 측방 차단막을 설치함으로써 보행중이나 흔들리는 차량 내에서도 내용물이 튀지 않도록 하며, 아울러 내용물을 펌핑유닛에 의하여 상부로 정량 공급하여 식힐 수 있도록 함으로써 뜨거운 내용물도 안전하게 마실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능식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
텀블러란 일반적으로 굽과 손잡이가 없는 큰 잔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보통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본체 용기의 상단부에 마개를 닫을 수 있도록 하여 커피나 음료를 담아 마시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텀블러는 일반적인 컵이나 일회용기에 비하여 보온성이나 휴대성이 좋아 최근 뜨거운 커피나 기타 음료를 담는 용기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텀블러는 가방 등에 담아 휴대하는 경우 외력이나 내용물의 압력에 의하여 뚜껑이 본체에서 쉽게 분리되어 내용물이 쏟아지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보행중이나 운전중인 차량에서 텀블러를 이용하여 내용물인 음료를 마실 때 흔들림으로 인하여 뚜껑의 개방공을 통하여 내용물이 왈칵 쏟아져 나오거나 튀겨져 나오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개방공을 통하여 나오는 음료의 양을 조절하기 어려워 뜨거운 커피와 같은 음료를 마시기에는 불편한 점이 존재하였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67108호 "개폐가 용이한 음료용 컵"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10500호 "누출 방지 음료 컵" 공개특허공보 제1--2010-0007554호 "음료용 컵" 등록실용신안 제0233447호 "음료용 컵의 주출장치"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텀블러 본체를 상부체와 하부체로 구획되는 분리형으로 구성하고 하부체의 내용물이 상부체로 이동하는 것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체의 마개가 이탈되는 경우에도 내용물이 쏟아지지 않는 안전한 텀블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부체 내의 내용물이 상부체로 급격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체로 공급된 내용물이 마개의 개방공을 통하여 배출될 때 출렁거림에 의하여 튀기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뜨거운 음료를 식혀서 손쉽고 안전하게 마실 수 있도록 내용물을 상부체로 손쉽게 이송할 수 있는 펌핑수단이 구비된 텀블러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내부에 음료와 같은 액체 내용물을 담기 위한 중공부가 마련되고, 상단부가 개방되며, 개방된 상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하부체; 상기 하부체의 상단에 결합하는 것으로서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일정 길이의 가이드공이 관통 형성되고, 외주면 하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내측 벽면에는 그 원주방향을 따라 장착턱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상부체; 상기 장착턱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판면의 일부분이 상하로 개방되도록절개홈이 형성되는 회전판 지지체와, 상기 회전판 지지체의 내부에 회전판 지지체와 접촉하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것으로서 판면에 제1유체 통과공, 제2유체 통과공 및 차폐구역이 형성되고, 측단에 조절탭이 돌출 형성되는 회전판으로 이루어지는 유량 조절 유닛; 및 상기 상부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기 위한 것으로서 상면에 개방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개방공을 개폐하기 위한 개방탭이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개방공 주변의 하면에는 측방 차단막이 하향 돌출하여 형성되는 마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텀블러에 관하여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체와 하부체의 결합체 내부에는 하부체 내부의 내용물을 펌핑하여 상부체로 이송하기 위한 펌핑유닛(140)이 장착되되, 펌핑유닛의 누름버튼이 상기 결합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텀블러.
이때, 상기 하부체의 외벽은 이중벽체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이중 벽체의 사이 공간에 공기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텀블러의 본체가 상부체와 하부체로 구획하여 분리형으로 마련되고, 상부체 내벽에 하부체로부터 전달되는 내용물의 양을 조절 내지는 단속할 수 있는 수단을 가지므로 본체 상부의 마개가 이탈되더라도 내용물이 밖으로 쏟아져 나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부체에 설치되는 유량 조절 유닛에 의하여 하부체로부터 상부체로 유체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동시에 상부체로 이동한 뜨거운 음료를 식힌 다음 섭취할 수 있게 하므로 아무리 뜨거운 음료라도 손쉽고 안전하게 음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하부체는 보온성이 좋은 재질로 형성하고 상부체는 열전달 특성이 좋은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 하부체 내의 내용물은 쉽게 식지 않으면서 상부체 내로 이송된 내용물만 쉽게 식게 되므로 마시기가 편리함과 동시에 내용물의 온도를 장시간 유지하기에도 매우 유용하다고 하겠다.
게다가 본 발명에서는 유량 조절 유닛의 회전판에 서로 다른 사이즈의 유체 통과공을 구비하여 상부체로 이송되는 내용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한 경우 본체에 형성되는 펌핑유닛에 의하여 하부체 내의 내용물을 상부체로 끌어 올려 마실 수 있게 되어 필요한 양만큼 정확하게 조절하여 음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의 외관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의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의 종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의한 유량 조절 유닛의 외관 사시도.
도5는 도4를 구비한 텀블러의 부분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작동원리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의 종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능성 텀블러(100)는 크게 상부체(110), 상부체(110) 내부에 장착되는 유량 조절 유닛(150), 하부체(120) 및 마개(13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체(110)와 하부체(120)는 내부에 음료 등 액체 내용물을 담기 위한 중공부가 형성되는 용기 형상의 것으로서 나사산에 의하여 상호간 결합 또는 분리된다.
상기 상부체(110)는 중공 원통 형상의 것으로서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되며, 개방된 하단부 외주면 상에는 수나사부(111)가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중공 원통 형상의 하부체(120)의 개방된 상단부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21)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체(110)의 측면인 외주면 상에는 전체 원주 길이의 일부분에 해당하도록 조절탭 가이드공(112)이 관통하여 형성되는데, 여기에는 후술할 조절탭(153e)이 돌출하도록 삽입되어 조절탭 가이드공(112)을 따라 회전 이동한다.
상기 상부체(110)의 내측벽에는 그 원주방향을 따라 장착턱(113)이 돌출하여 형성된다. 상기 장착턱(113)에는 후술할 유량 조절 유닛(150,160)이 장착된다.
상기 유량 조절 유닛(150)은 하부체(120) 내부에 저장되는 내용물을 상부체(110)로 일정량 만큼 이동시키거나 그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회전판 지지체(151,152)와 회전판(153)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판 지지체를 한 조의 상판(151)과 하판(152)으로 구성한다. 상기 상판(151)과 하판(152)은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며, 그 사이에 후술할 회전판(153)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상판(151)과 하판(152)에는 상?하면을 개방하는 부채꼴 형상의 절개홈(151a,152a)이 형성되며, 여기에 더하여 펌핑관 안내공(151b,152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153)은 회전판 지지체(151.152)의 내부에 밀폐 설치되어 회전하는 것으로서 판면 상에 유체의 이송을 허용하기 위한 제1유체통과공(153a)과 제2유체통과공(153b)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유체통과공(153a,153b)과 이웃하여 내용물인 액체의 이송을 차단하기 이한 차폐구역(153c)이 마련된다. 상기 제1및 제2유체통과공(153a,153b)의 직경이나 사이즈는 서로 달리하며,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서로 다른 직경의 유체통과공들이 세 개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판(153)의 측단(원주단)에는 조절탭(153e)이 돌출하여 형성되는데, 이는 사용자가 회전판(153)을 회전시켜가며 유체통과공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한다.
상기 제1 및 제2유체통과공(153a,153b)의 위치는 상기 마개(130)의 개방공(134)의 직하방이 아닌 상하로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래야만 하부체(120) 내부의 내용물이 유체통과공(153a,153b)을 통하여 상부체로 이동하는 중에 내용물의 흔들림이나 출렁거림에 의하여 액체인 내용물이 개방공(134)으로 왈칵 쏟아져 나오거나 튀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판(153)의 판면에서 상기 제1 및 제2유체통과공(153a,153b)을 피한 위치에는 후술할 펌핑관(141)과의 간섭을 막기 위한 회전 안내공(153d)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위의 유량 조절 유닛(150)의 구조에서 상?하판(151,152)과 회전판(153) 사이에는 밀봉재를 이용하여 내용물이 조절탭 가이드공(112)을 통하여 본체의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회전판(153) 또는/및 상기 회전판 지지체(151,152)를 탄성이 좋고 접촉시 밀폐력이 우수한 수지재질로 구성하거나 이러한 재질로 코팅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기능성 텀블러(100)에 의하면 하부체(120) 내부의 뜨거운 액체 내용물이 유량 조절 유닛(150)에 의하여 차단되어 상부체(110)로 이동하지 못하므로 마개(130)의 이탈시 내용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뜨거운 내용물을 사용자가 음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유량 조절 유닛(150)의 회전판(153)을 돌려 필요한 사이즈의 유체통과공을 회전판 지지체(151,152)의 절개홈(151a,152a)과 일치시킴으로써 상부체(110)로 이동시켜 식힌 후 마실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체(110)와 하부체(120)의 구조와 재질은 각 기능에 맞도록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체(110)는 위로 올라온 뜨거운 내용물을 빨리 식힐 수 있도록 열전달 특성이 우수한 재질의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열전달 특성이 우수한 재질로는 알루미늄, 구리 및 이들의 합금이 있으며, 합성수지로 하는 경우 필요한 강도와 열전달 효율을 고려하여 그 두께를 정하면 될 것이다.
상기 하부체(120)는 뜨거운 내용물이나 차가운 내용물의 보온 및 보냉 효과가 우수한 재질과 구조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의 실시예에서는 하부체(120)의 벽체가 단일벽 구조로 하였으나, 보온 및 보냉 효과를 배가하기 위하여 하부체(120)의 벽체 구조를 이중벽 구조로 하고 이중벽 사이의 공간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보온 및 보냉 구조는 일반적인 보온병의 구조를 채택할 수 있으며, 이중벽체의 재질로 부식에 강한 스테인레스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마개(130)는 상부체(110)의 개방된 상단부를 덮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체(110)에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마개(130)의 상면 일부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개방공(134)이 형성되며, 상기 개방공(134)을 위에서 덮기 위하여 별도의 개방탭(131)이 마개(130)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개(130)의 상면에 힌지편(132a)을 형성한 후 여기에 개방탭(131) 하단의 힌지축(132b)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개방공(134) 하방의 마개(130)의 저면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단면이 'C'자형인 측방 차단막(133)이 형성된다. 상기 측방 차단막(133)은 마개(130)의 저면에서 아랫쪽으로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하여 형성하며, 측면의 일부가 개방되는 개방부(133a)를 가지는데, 상기 개방부(133a)는 사용자가 내용물을 마시기 위하여 입을 대는 부위측에 형성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내용물을 마실때 내용물이 상부체(110) 벽면에 부딪혀 울컥 튀겨 나오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안정되게 음용할 수 있게 된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텀블러(100) 내부에는 펌핑유닛(140)이 별도로 내장될 수 있다. 상기 펌핑유닛(140)은 크게 액체인 내용물을 끌어올리기 위한 펌핑관(141), 상기 펌핑관(141)에 연결되어 액체를 끌어올리기 위한 내부구조를 가지는 펌핑 구조체(142), 상기 펌핑 구조체(142)에 연결되어 상부체(110)의 외부로 연장되는 누름관(144), 상기 누름관(144)의 외측 선단에 장착되는 누름버튼(143) 및 펌핑되어 올라온 내용물을 상부체(110)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유출관(145)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펌핑유닛(140)은 샴프나 세제류의 용기에 부착되는 일반적인 펌핑 수단과 동일한 것으로서, 그 내부구조와 펌핑구조 역시 종래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을 선택하여 채용할 수 있다. 용기 내의 액체를 펌핑하기 위한 펌핑구조는 해당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이에 관하여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이러한 펌핑구조에 관하여 다수가 특허출원되어 이미 공개된 바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37496호 "액체용기의 누름식 추출펌프 구조", 공개특허 제10-2009-0097627호 "액체용기용 압출펌프", 등록실용신안 제0134011호 "액체용기의 압출펌프 풀림방지 장치" 및 등록실용신안 제0374615호 "한 손 사용이 가능한 펌프식 액체용기의 액체 배출장치" 등이 그러한 예들이다.
본 발명에서 펌핑 구조체(142)의 내부구조나 펌핑유닛(140)의 작동기전은 이들 종래의 기술이나 선행공개특허들에 개시된 내용을 본 발명에 일체화하는 것으로 하고, 이에 관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누름버튼(143)이 상부체(110)의 외부에 설치되고 누름버튼(143)을 누름에 따라 하부체(120)이 내용물이 유출관(145)으로 배출되어 상부체(110)로 공급되는 점에 차이가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의한 유량 조절 유닛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5는 도4를 구비한 텀블러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판(153)이 전술한 실시예처럼 상판(151)과 하판(152)으로 이루어지는 회전판 지지체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회전판(153)이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원판 또는 원통형상의 단일체인 회전판 지지체(16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회전판 지지체(161)는 단일의 입체로서 내부에 회전판(153)이 수용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되며, 상?하면을 개방하도록 부채꼴 형상의 절개홈(161a)이 형성된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판 지지체(161)의 외주면 일부에는 조절탭(153e)의 회동을 위한 가이드공(161b)이 형성된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161c는 펌핑관 안내공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의 유량 조절 유닛(160)은 회전판(153)이 회전판 지지체(161)의 내부 공간에 밀착되게 내장되어 설치되므로 액체의 누설이나 밀봉 기능이 전기의 실시예에 비하여 유리하다.
본 발명은 상하로 분리되는 분리형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내용물의 음용량을 조절하거나 식히기 위한 유량 조절 유닛을 구비하고, 또한 하부체의 내용물을 상부체로 손쉽게 이송시키기 이한 펌핑유닛을 구비한 기능성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텀블러는 보행중이나 차량 내에서와 같이 흔들리는 상황하에서도 내용물이 쏟아지거나 튀지 않도록 하여 안전하게 음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내용물 중 필요한 양만큼을 상부체로 이동시켜 식힌 후 천천히 음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커피나 기타 음료를 제조하거나 서비스하는 업체 또는 학생 및 직장인들과 같은 사용자들에게 보급되는 경우 그 유용성이 매우 크다고 할 것이다.
100: 기능성 텀블러 110: 상부체
111: 수나사부 112: 조절탭 가이드공
113: 장착턱 120: 하부체
121: 암나사부 130: 마개
131: 개방탭 132a: 힌지편
132b: 힌지축 133: 측방 차단막
134: 개방공 140: 펌핑유닛
141: 펌핑관 142: 펌핑 구조체
143: 누름버튼 144: 누름관
145: 유출관 150: 유량 조절 유닛
151,152: 회전판 지지체(상판,하판) 151a,152a: 절개홈
153: 회전판 153a,153b: 유체 통과공
153c: 차폐구역 153d: 회전 안내공
153e: 조절탭

Claims (3)

  1. 내부에 음료와 같은 액체 내용물을 담기 위한 중공부가 마련되고, 상단부가 개방되며, 개방된 상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하부체;
    상기 하부체의 상단에 결합하는 것으로서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일정 길이의 가이드공이 관통 형성되고, 외주면 하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내측 벽면에는 그 원주방향을 따라 장착턱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상부체;
    상기 장착턱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판면의 일부분이 상하로 개방되도록절개홈이 형성되는 회전판 지지체와, 상기 회전판 지지체의 내부에 회전판 지지체와 접촉하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것으로서 판면에 제1유체 통과공, 제2유체 통과공 및 차폐구역이 형성되고, 측단에 조절탭이 돌출 형성되는 회전판으로 이루어지는 유량 조절 유닛; 및
    상기 상부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기 위한 것으로서 상면에 개방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개방공을 개폐하기 위한 개방탭이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개방공 주변의 하면에는 측방 차단막이 하향 돌출하여 형성되는 마개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텀블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와 하부체의 결합체 내부에는 하부체 내부의 내용물을 펌핑하여 상부체로 이송하기 위한 펌핑유닛(140)이 장착되되, 펌핑유닛의 누름버튼이 상기 결합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텀블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체의 외벽은 이중벽체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이중 벽체의 사이 공간에 공기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텀블러.






KR1020100079211A 2010-08-17 2010-08-17 기능성 텀블러 KR201200217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211A KR20120021781A (ko) 2010-08-17 2010-08-17 기능성 텀블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211A KR20120021781A (ko) 2010-08-17 2010-08-17 기능성 텀블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781A true KR20120021781A (ko) 2012-03-09

Family

ID=46130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9211A KR20120021781A (ko) 2010-08-17 2010-08-17 기능성 텀블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1781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04594A1 (de) 2014-04-01 2015-10-01 Terramark Markencreation Gmbh Deckel für einen Behälter und Anordnung
KR200480691Y1 (ko) 2015-05-28 2016-06-24 김현순 빨대 지지부가 구비된 텀블러
KR200480924Y1 (ko) 2015-07-06 2016-07-22 김현순 텀블러 캡
KR20160004176U (ko) 2015-05-28 2016-12-07 김현순 텀블러 캡
KR20170113433A (ko) * 2017-03-31 2017-10-12 박문식 첨가물 수납공간이 구비된 텀블러
CN107440436A (zh) * 2017-08-31 2017-12-08 安徽信息工程学院 一种双饮型水杯
CN108669963A (zh) * 2018-05-07 2018-10-19 宁波利时日用品有限公司 新型旋转式杯盖及具有该旋转式杯盖的饮料杯
KR102050965B1 (ko) 2018-08-14 2019-12-03 노성화 텀블러
WO2020027567A1 (ko) * 2018-07-31 2020-02-06 박문식 음료제조용 텀블러 및 이를 위한 첨가물 저장 캡슐
KR20200107054A (ko) 2019-03-06 2020-09-16 주식회사 더채움 믹싱구조를 갖는 텀블러
US11871874B2 (en) 2018-07-31 2024-01-16 Moon Sik PARK Tumbler for preparing beverage and additive-storing capsule therefor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04594B4 (de) 2014-04-01 2018-10-31 Terramark Markencreation Gmbh Deckel für einen Behälter und Anordnung
DE102014104594A1 (de) 2014-04-01 2015-10-01 Terramark Markencreation Gmbh Deckel für einen Behälter und Anordnung
KR200480691Y1 (ko) 2015-05-28 2016-06-24 김현순 빨대 지지부가 구비된 텀블러
KR20160004176U (ko) 2015-05-28 2016-12-07 김현순 텀블러 캡
KR200480924Y1 (ko) 2015-07-06 2016-07-22 김현순 텀블러 캡
KR20170113433A (ko) * 2017-03-31 2017-10-12 박문식 첨가물 수납공간이 구비된 텀블러
CN107440436A (zh) * 2017-08-31 2017-12-08 安徽信息工程学院 一种双饮型水杯
CN108669963A (zh) * 2018-05-07 2018-10-19 宁波利时日用品有限公司 新型旋转式杯盖及具有该旋转式杯盖的饮料杯
CN108669963B (zh) * 2018-05-07 2024-04-19 宁波利时日用品有限公司 新型旋转式杯盖及具有该旋转式杯盖的饮料杯
WO2020027567A1 (ko) * 2018-07-31 2020-02-06 박문식 음료제조용 텀블러 및 이를 위한 첨가물 저장 캡슐
CN112469639A (zh) * 2018-07-31 2021-03-09 朴文植 饮料制造用随行杯及用于其的添加物储存囊
CN112469639B (zh) * 2018-07-31 2022-06-03 朴文植 饮料制造用随行杯及用于其的添加物储存囊
US11871874B2 (en) 2018-07-31 2024-01-16 Moon Sik PARK Tumbler for preparing beverage and additive-storing capsule therefor
KR102050965B1 (ko) 2018-08-14 2019-12-03 노성화 텀블러
KR20200107054A (ko) 2019-03-06 2020-09-16 주식회사 더채움 믹싱구조를 갖는 텀블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1781A (ko) 기능성 텀블러
US8469227B2 (en) Device to enhance and prolong a hot beverage drinking experience
JP4154722B2 (ja) 液体用容器の開口口部の構造
AU2011241031B2 (en) Bottle closure with integrated flip top handle
US8851324B2 (en) Drinking cup with a straw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cup
US8955707B2 (en) Portable triple container
US7740147B1 (en) Ball and socket closing lid
US6571973B1 (en) Cup lid with cooling spillover chamber
US20120205371A1 (en) Leak proof collapsible cup
US20120269025A1 (en) Beverage container
US20210206539A1 (en) Drinking Tumbler
AU2013202070A1 (en) Food transport and storage container having removable inner container and insulating outer sleeve
JP3159974U (ja) 飲料用容器の蓋
US11304550B1 (en) Travel tumbler for beverage dispensing
CA2553045A1 (en) Beverage maker
US10327580B2 (en) Coffee maker
US6276559B1 (en) Liquid container with pump and heat sealing system
KR200473995Y1 (ko) 개폐 조절손잡이를 구비한 텀블러용 뚜껑
KR101875498B1 (ko) 텀블러 뚜껑
JP3175817U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CA2553086A1 (en) Beverage maker
JP2011073790A (ja) 飲料容器
US20220234811A1 (en) Container system including lid with improved neck insulation
TWM548145U (zh) 飲料容器
JP2014097410A (ja) 飲料容器の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