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924Y1 - 텀블러 캡 - Google Patents

텀블러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924Y1
KR200480924Y1 KR2020150004548U KR20150004548U KR200480924Y1 KR 200480924 Y1 KR200480924 Y1 KR 200480924Y1 KR 2020150004548 U KR2020150004548 U KR 2020150004548U KR 20150004548 U KR20150004548 U KR 20150004548U KR 200480924 Y1 KR200480924 Y1 KR 2004809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cap
tumbl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45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순
Original Assignee
김현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순 filed Critical 김현순
Priority to KR20201500045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9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9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9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57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made separately from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76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46Drinking-through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텀블러 캡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텀블러 캡은, 텀블러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며, 텀블러 바디에 수용되는 액체의 배출 통로인 배출홀과, 회동 지지암이 마련된 캡 몸체; 회동 지지암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배출홀을 개폐하는 회동 개폐캡과, 회동 개폐캡에 연결되어 캡 몸체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 되는 승강 로드가 구비된 개폐 구동부; 및 개폐 구동부에 연결되며, 개폐 구동부와 같이 승강 되어 캡 몸체의 내부에서 배출홀을 개폐시키는 배출구 개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텀블러 캡{TUMBLER CAP}
본 고안은, 텀블러 캡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텀블러에 결합 된 캡을 분리하지 않고 편리하게 내용물을 배출함과 내용물의 누출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텀블러 캡에 관한 것이다.
통상 텀블러는 굽과 손잡이가 없고 바닥이 납작한 큰 잔을 일컫는다. 텀블러는 다량의 음료를 장시간에 걸쳐 마실 수 있도록 내부가 비교적 큰 용량을 갖도록 형성되고, 보온병과 함께 등산이나 야영 등 각종 스포츠 및 여가활동에 널리 이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회사 또는 단체에서 일회용 종이컵 사용을 제한하고 개인용 머그컵을 이용하자는 규칙을 세우는 등의 환경운동이 심화 되고 있어 텀블러의 소비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텀블러는 보온병이나 머그컵과 달리 중량이 가볍고 용량이 크기 때문에 휴대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개폐 가능한 뚜껑으로 보관성과 청결성을 모두 겸비하고 있다. 특히 다채로운 디자인으로 가방이나 핸드백처럼 하나의 패션 아이템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텀블러는 내부의 음료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회전되는 뚜껑 등을 통해 개폐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기울이거나 넘어지는 경우 내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청소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개선책이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12-0021781호(임지성) 2012. 03. 09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텀블러에 결합 된 캡을 분리하지 않고 편리하게 내용물을 배출함과 내용물의 누출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텀블러 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텀블러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며, 상기 텀블러 바디에 수용되는 액체의 배출 통로인 배출홀과, 회동 지지암이 마련된 캡 몸체; 상기 회동 지지암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배출홀을 개폐하는 회동 개폐캡과, 상기 회동 개폐캡에 연결되어 상기 캡 몸체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 되는 승강 로드가 구비된 개폐 구동부; 및 상기 개폐 구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개폐 구동부와 같이 승강 되어 상기 캡 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배출홀을 개폐시키는 배출구 개폐부를 포함하는 텀블러 캡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회동 개폐캡에는 상기 회동 지지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는 회동 지지축과, 상기 승강 로드를 지지하는 승강 구동축이 마련되고, 상기 승강 구동축은 상기 회동 지지축 보다 낮은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 개폐부는, 상기 승강 로드에 결합 되어 상기 승강 로드와 같이 승강 되는 개폐부 몸체; 상기 개폐부 몸체에 상기 개폐부 몸체보다 넓은 면적으로 마련되는 플랜지; 및 상기 개폐부 몸체와 상기 플랜지에 결합 되어 상기 배출홀을 밀폐하는 배출구 밀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에는 손잡이 플레이트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캡 몸체는, 외면에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배출홀과 연통 되는 배출 포스트; 및 상기 배출홀을 주변 영역과 차단시키는 제1 차단벽과, 상기 승강 로드가 승강 되는 통로이며 상기 배출홀 보다 중앙부에 위치되는 구동홀을 주변 영역과 차단시키는 제2 차단벽이 구비된 차단벽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 밀폐부재에는 상기 개폐부 몸체와 이격 되도록 돌출되는 돌출벽이 마련되고, 상기 돌출벽과 상기 개폐부 몸체의 외주면 사이에 상기 제2 차단벽이 삽입 되고, 상기 제1 차단벽의 저면부에 상기 배출구 밀폐부재의 상면부가 접촉되어 상기 배출홀을 밀폐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개폐캡에 연결되어 캡 몸체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 되는 승강 로드에 배출홀을 개폐시키는 배출구 개폐부가 결합 되어 개폐캡의 개폐 동작에 의해 배출홀을 개폐 및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텀블러에 결합 된 캡 몸체를 분리하지 않고 편리하게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고 내용물의 누출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 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배출구 개폐부가 분리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배출구 개폐부에서 배출구 밀폐부재가 분리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배출구 밀폐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회동 개폐캡이 손잡이 방향으로 회동 되어 승강 로드가 상승 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저면 사시도로 배출구 밀폐부재가 분리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도로 회동캡이 손잡이 방향으로 회동 되어 텀블러 바디에 수용된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 캡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배출구 개폐부가 분리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배출구 개폐부에서 배출구 밀폐부재가 분리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배출구 밀폐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회동 개폐캡이 손잡이 방향으로 회동 되어 승강 로드가 상승 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저면 사시도로 배출구 밀폐부재가 분리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도로 회동캡이 손잡이 방향으로 회동 되어 텀블러 바디에 수용된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 캡(1)은, 텀블러 바디(TB)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며 텀블러 바디(TB)에 수용되는 액체의 배출 통로인 배출홀(110)과 회동 지지암(150)이 마련된 캡 몸체(100)와, 회동 지지암(150)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개폐 구동부(200)와, 개폐 구동부(200)에 연결되며 개폐 구동부(200)에 의해 승강 되어 캡 몸체(100)의 내부에서 배출홀(110)을 개폐시키는 배출구 개폐부(300)를 구비한다.
캡 몸체(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그 일측부에는 텀블러 바디(TB)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외부 유출 통로인 배출홀(110)이 마련된다.
또한 캠 몸체의 상면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포스트(120)가 마련되며, 이 배출 포스트(120)는 전술한 배출홀(110)과 연통 된다. 따라서 텀블러 바디(TB)에 수용되는 내용물은 배출홀(110)과 배출 포스트(1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배출 포스트(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개폐캡(210)에 의해 막혀 지고, 배출홀(110)은 후술하는 차단벽(130)을 밀폐하는 배출구 밀폐부재(330)에 의해 막혀 질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캡 몸체(100)의 내부 천장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홀(110)을 주변 영역과 차단시키는 차단벽(130)이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서 차단벽(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홀(110)이 내부에 배치 되도록 원형 형상으로 연속적으로 마련되는 제1 차단벽(131)과, 제1 차단벽(131)과 이격 되되 제1 차단벽(131)보다 작은 사이즈로 마련되며 내부에 승강 로드(220)의 승강 통로가 되는 구동홀(140)이 마련되는 제2 차단벽(132)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차단벽(131)은, 도 5에 도시된 배출구 밀폐부재(330)의 상면부가 접촉되어 밀폐되고, 제2 차단벽(132)은 도 4에 도시된 개폐부 몸체(310)와, 플랜지(320)에 결합 되어 개폐부 몸체(310)와 이격 배치되는 돌출벽(331)에 의해 마련되는 공간에 삽입되어 밀폐된다.
즉 본 실시 예에서 배출홀(110)은 제1 차단벽(131)에 밀착 접촉되는 배출구 밀폐부재(330)의 상면부에 의해 밀폐되고, 구동홀(140)은 개폐부 몸체(310)와 돌출벽(331)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는 제2 차단벽(132)에 의해 밀폐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캠 몸체의 외측 상면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51)를 갖는 회동 지지암(150)이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서 회동 지지암(15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개폐캡(210)이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캡 몸체(100)의 내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재(160)가 마련될 수 있고, 본 실시 예에서 실링부재(160)는 실리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캡 몸체(100)의 내벽에는, 텀블러 바디(TB)에 분리 가능하게 나사 결합 되도록 나사산(170)이 마련될 수 있다.
개폐 구동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지지암(150)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배출홀(110)을 개폐하는 회동 개폐캡(210)과, 회동 개폐캡(210)에 연결되어 캡 몸체(100)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 되는 승강 로드(220)를 포함한다.
개폐 구동부(200)의 회동 개폐캡(2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지지축(211)에 의해 회동 지지암(15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회동 개폐캡(21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지지축(211) 보다 낮은 위치에 승강 구동축(212)이 마련되고, 이 승강 구동축(212)은 승강 로드(220)의 구동축 지지홀(221)에 삽입되어 승강 로드(220)를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회동 지지축(211)이 승강 구동축(212)보다 높은 위치에 있고, 구동축 지지홀(221)이 평평한 직선 구간을 갖는 반원 형태로 마련되어 회동 개폐캡(210)의 회동 시 승강 로드(220)를 승강(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즉 회동 지지축(211)과 승강 구동축(212)이 동일 선상에 있지 않고 서로 다른 위치에 있으므로 회동 개폐캡(210)을 손잡이(151) 방향으로 회동 시 승강 구동축(212)은 승강 로드(220)를 텀블러 바디(TB) 방향으로 하강시키는 외력을 가한다. 이때 승강 구동축(212)은 구동축 지지홀(221)의 평평한 직선 구간에 접촉되고, 승강 구동축(212)의 외력은 평평한 직선 구간을 통해 승강 로드(220)로 전달된다.
개폐 구동부(200)의 승강 로드(22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몸체(100)의 내부에 위치되는 승강 로드(220) 영역 즉 승강 로드(220)의 하단부에 체결 로드(222) 한 쌍이 서로 대칭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체결 로드(222)는 도 4에 도시된 개폐부 몸체(310)의 로드 삽입홈(311)에 삽입된 후 개폐부 몸체(310)의 회전에 의해 로드 체결홀(312)로 삽입되어 개폐부 몸체(310)를 승강 로드(220)에 체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 결과 개폐부 몸체(310)는 회동 개폐캡(210)의 회동 시 승강 로드(220)와 같이 승강 된다.
배출구 개폐부(300)는, 승강 로드(220)와 같이 승강 되어 캡 몸체(100)의 배출홀(110)과 구동홀(140)을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배출구 개폐부(300)는, 도 4에 도시된 개폐부 몸체(310)와, 개폐부 몸체(310)의 하단부에 개폐부 몸체(310)보다 큰 직경으로 마련되는 플랜지(320)와, 플랜지(320)에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 되어 배출홀(110)과 구동홀(140)을 밀폐하는 배출구 밀폐부재(330)를 포함한다.
배출구 개폐부(300)의 개폐부 몸체(3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그 중앙부에는 체결 로드(222)의 삽입 통로인 로드 삽입홈(311)이 마련된다.
배출구 개폐부(300)의 개폐부 몸체(31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 삽입홈(311)과 연통 되며 서로 대칭되게 마련되어 체결 로드(222)의 체결 장소로 제공되는 로드 체결홀(312)이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서 로드 체결홀(31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 삽입홈(311)보다 작은 길이로 마련되며, 이는 로드 삽입홈(311)으로 삽입된 체결 로드(222)를 스토핑 시키기 위해서다. 본 실시 예에서 로드 체결홀(312)은 체결 로드(222)보다 조금 큰 사이즈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호 간에 적절한 마찰력이 가해져 결합 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배출구 개폐부(300)의 플랜지(32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 플레이트(321)가 마련될 수 있고, 본 실시 예는 손잡이 플레이트(321)를 통해 개폐부 몸체(310)를 편리하게 정역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어 개폐부 몸체(310)의 탈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배출구 개폐부(300)의 배출구 밀폐부재(330)는, 승강 로드(220)의 상승 시 제1 차단벽(131)에 접촉되어 배출홀(110)을 밀폐함과 아울러 개폐부 몸체(310)와의 사이에서 제2 차단벽(132)이 삽입되어 밀폐되는 공간을 마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배출구 밀폐부재(330)의 상면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벽(331)이 마련되고, 이 돌출벽(331)은 승강 로드(220)의 상승 시 개폐부 몸체(310)와 이격 된 공간을 마련하고 이격 된 공간에 제2 차단벽(132)이 밀착 삽입되게 하여 구동홀(140)을 주변 영역과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배출구 개폐부(300)는 실리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전술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실시예의 작동을 간략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개폐캡(210)이 배출 포스트(120)를 덮고 있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 개폐부(300)는 캡 몸체(100)의 내부 천장부로 승강 되어 천장부에 밀착된 상태에 있다.
따라서 배출홀(110)이 막혀 지므로 텀블러 바디(TB)에 수용된 내용물은 텀블러 바디(TB)를 뒤집어도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이때 승강 로드(220)의 높이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h1으로 표시되었다.
이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개폐캡(210)을 손잡이(151)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회동 개폐캡(210)의 회전력에 의해 승강 로드(220)가 하강 된다. 승강 로드(220)가 하강 되면 승강 로드(220)에 연결된 배출구 개폐부(300)가 하강 되어 막혀 있던 배출홀(110)은 개방된다.
따라서 텀블러 바디(TB)에 수용된 내용물은 배출홀(1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승강 로드(220)의 높이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h2로 표시되었다. 승강 로드(220)의 높이인 h2는 h1보다 높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개폐캡에 연결되어 캡 몸체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 되는 승강 로드에 배출홀을 개폐시키는 배출구 개폐부가 결합 되어 개폐캡의 개폐 동작에 의해 배출홀을 개폐 및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텀블러에 결합 된 캡 몸체를 분리하지 않고 편리하게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고 내용물의 누출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텀블러 캡
100 : 캡 몸체 110 : 배출홀
120 : 배출 포스트 130 : 차단벽
131 : 제1 차단벽 132 : 제2 차단벽
140 : 구동홀 150 : 회동 지지암
151 : 손잡이 160 : 실링부재
170 : 나사산 200 : 개폐 구동부
210 : 회동 개폐캡 211 : 회동 지지축
212 : 승강 구동축 220 : 승강 로드
221 : 구동축 지지홀 222 : 체결 로드
300 : 배출구 개폐부 310 : 개폐부 몸체
311 : 로드 삽입홈 312 : 로드 체결홀
320 : 플랜지 321 : 손잡이 플레이트
330 : 배출구 밀폐부재 331 : 돌출벽
TB : 텀블러 바디

Claims (5)

  1. 텀블러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며, 상기 텀블러 바디에 수용되는 액체의 배출 통로인 배출홀과, 회동 지지암이 마련된 캡 몸체;
    상기 회동 지지암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배출홀을 개폐하는 회동 개폐캡과, 상기 회동 개폐캡에 연결되어 상기 캡 몸체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 되는 승강 로드가 구비된 개폐 구동부; 및
    상기 개폐 구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개폐 구동부와 같이 승강 되어 상기 캡 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배출홀을 개폐시키는 배출구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 개폐캡에는 상기 회동 지지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는 회동 지지축과, 상기 승강 로드를 지지하는 승강 구동축이 마련되며,
    상기 승강 구동축은 상기 회동 지지축 보다 낮은 위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캡.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 개폐부는,
    상기 승강 로드에 결합 되어 상기 승강 로드와 같이 승강 되는 개폐부 몸체;
    상기 개폐부 몸체에 상기 개폐부 몸체보다 넓은 면적으로 마련되는 플랜지; 및
    상기 개폐부 몸체와 상기 플랜지에 결합 되어 상기 배출홀을 밀폐하는 배출구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텀블러 캡.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에는 손잡이 플레이트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캡.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캡 몸체는,
    외면에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배출홀과 연통 되는 배출 포스트; 및
    상기 배출홀을 주변 영역과 차단시키는 제1 차단벽과, 상기 승강 로드가 승강 되는 통로이며 상기 배출홀 보다 중앙부에 위치되는 구동홀을 주변 영역과 차단시키는 제2 차단벽이 구비된 차단벽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 밀폐부재에는 상기 개폐부 몸체와 이격 되도록 돌출되는 돌출벽이 마련되고,
    상기 돌출벽과 상기 개폐부 몸체의 외주면 사이에 상기 제2 차단벽이 삽입 되고, 상기 제1 차단벽의 저면부에 상기 배출구 밀폐부재의 상면부가 접촉되어 상기 배출홀을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캡.
KR2020150004548U 2015-07-06 2015-07-06 텀블러 캡 KR2004809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548U KR200480924Y1 (ko) 2015-07-06 2015-07-06 텀블러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548U KR200480924Y1 (ko) 2015-07-06 2015-07-06 텀블러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924Y1 true KR200480924Y1 (ko) 2016-07-22

Family

ID=56613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548U KR200480924Y1 (ko) 2015-07-06 2015-07-06 텀블러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92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96408B2 (en) 2019-08-05 2022-07-26 Yeti Coolers, Llc Lid for container
USD1005776S1 (en) 2021-09-15 2023-11-28 Yeti Coolers, Llc Lid
USD1011136S1 (en) 2020-10-27 2024-01-16 Yeti Coolers, Llc Bott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5402A (ja) * 2002-11-27 2004-06-24 Pearl Metal Co Ltd 液体容器の栓装置
KR20120021781A (ko) 2010-08-17 2012-03-09 임지성 기능성 텀블러
US20140175042A1 (en) * 2012-05-30 2014-06-26 Thermos L.L.C. Beverage bottle and lid with back button release
JP2015000741A (ja) * 2013-06-14 2015-01-05 南龍集団有限公司 飲料容器の栓装置並びに飲料容器
KR20150045472A (ko) * 2012-09-11 2015-04-28 런웨이 블루, 엘엘씨 독립적으로 피봇팅하는 플립형 상단부 및 손잡이를 구비한 용기 덮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5402A (ja) * 2002-11-27 2004-06-24 Pearl Metal Co Ltd 液体容器の栓装置
KR20120021781A (ko) 2010-08-17 2012-03-09 임지성 기능성 텀블러
US20140175042A1 (en) * 2012-05-30 2014-06-26 Thermos L.L.C. Beverage bottle and lid with back button release
KR20150045472A (ko) * 2012-09-11 2015-04-28 런웨이 블루, 엘엘씨 독립적으로 피봇팅하는 플립형 상단부 및 손잡이를 구비한 용기 덮개
JP2015000741A (ja) * 2013-06-14 2015-01-05 南龍集団有限公司 飲料容器の栓装置並びに飲料容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96408B2 (en) 2019-08-05 2022-07-26 Yeti Coolers, Llc Lid for container
USD1011136S1 (en) 2020-10-27 2024-01-16 Yeti Coolers, Llc Bottle
USD1005776S1 (en) 2021-09-15 2023-11-28 Yeti Coolers, Llc Lid
USD1015804S1 (en) 2021-09-15 2024-02-27 Yeti Coolers, Llc L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0924Y1 (ko) 텀블러 캡
US7762437B2 (en) Liquid container and lid for same
JPH11278523A (ja) 液体用容器の開口口部の構造
KR200473995Y1 (ko) 개폐 조절손잡이를 구비한 텀블러용 뚜껑
JP2009161196A (ja) 飲料容器
JPH09299253A (ja) 液体容器
CN1222475A (zh) 饮料容器的盖子
KR101229152B1 (ko) 밀폐수단을 구비한 음료용기 뚜껑
KR200376968Y1 (ko) 밀폐 용기
KR102337470B1 (ko) 자중 개폐형 위생 물통
KR101241186B1 (ko) 하부 배출형 물뿌리개
KR200378637Y1 (ko) 용기 뚜껑 구조
KR200482280Y1 (ko) 텀블러 캡
KR200267719Y1 (ko) 음료용기
KR102334927B1 (ko) 버튼 개폐형 위생 물통
KR102594347B1 (ko) 개폐가능한 이중덮개가 구비되는 뚜껑이 결합되는 물병
CN209003457U (zh) 一种带有侧排口的饮水容器
US20180029757A1 (en) One-touch cap
KR200356859Y1 (ko) 컵이 장착된 물통
JP2022051724A (ja) ボトルキャップおよび片手操作ボトル
JP5019388B2 (ja) 飲料容器
KR200251348Y1 (ko) 밀봉용기용 마개
KR101819115B1 (ko) 진공 기능을 갖는 텀블러
JP4342246B2 (ja) パウダー収納室付き容器
CN206324594U (zh) 杯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