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1186B1 - 하부 배출형 물뿌리개 - Google Patents

하부 배출형 물뿌리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1186B1
KR101241186B1 KR1020100113698A KR20100113698A KR101241186B1 KR 101241186 B1 KR101241186 B1 KR 101241186B1 KR 1020100113698 A KR1020100113698 A KR 1020100113698A KR 20100113698 A KR20100113698 A KR 20100113698A KR 101241186 B1 KR101241186 B1 KR 101241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water
control plate
sprinkl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3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2503A (ko
Inventor
박지수
Original Assignee
박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수 filed Critical 박지수
Priority to KR1020100113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186B1/ko
Publication of KR20120052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2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4Hand watering devices, e.g. watering c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08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sprayer an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otany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 배출형 물뿌리개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부가 개방되며, 하면에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몸체 및 일면에 다수의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통과공과 상기 배출공이 일치하는 배출위치와 상기 배출공을 차폐하는 차폐위치 사이를 좌우회동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배출형 물뿌리개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 내부에 수용된 물을 몸체의 하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몸체에 다량의 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물을 배출하더라도 몸체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물이 배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하부 배출형 물뿌리개{Watering can with dischage water to a bottom}
본 발명은 하부 배출형 물뿌리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몸체 내부에 수용된 물을 몸체의 하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몸체에 다량의 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물을 배출하더라도 몸체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물이 배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하부 배출형 물뿌리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뿌리개는 주로 화초와 같은 식물에 물을 주거나 뿌리는 데에 쓰이는 기구로서, 내부에 물이 수용되고 일측에 배출공이 형성된 몸체와, 몸체의 일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형성되고 배출공관 연통되는 배출관과, 몸체의 다른 일측에 손잡이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몸체를 비스듬하게 기울이면 몸체에 수용된 소정의 물이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화초와 같은 식물에 제공된다.
그러나, 종래의 물뿌리개는 몸체에 수용된 물을 배출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몸체를 비스듬하게 기울여야 하므로 내부에 다량의 물이 수용되면 사용자에게 상당한 힘이 요구될 뿐 아니라 몸체 중 개방된 상면을 통해 다량의 물이 배출되어 사용자의 신발이나 옷등을 젖게 하고, 물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몸체 내부에 수용된 물을 몸체의 하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몸체에 다량의 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물을 배출하더라도 몸체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물이 배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하부 배출형 물뿌리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몸체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부를 형성하여 조절플레이트와 몸체의 사이공간을 차폐함과 아울러 조절플레이트의 저면을 지지함으로써 조절플레이트와 몸체의 사이공간을 통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조절플레이트의 회동동작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하부 배출형 물뿌리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절플레이트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끼움홈에 밀폐부재를 끼움결합하여 조절플레이트의 외면과 연장부의 내벽사이를 밀폐시켜 밀폐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하부 배출형 물뿌리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하부 배출형 물뿌리개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부가 개방되며, 하면에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몸체 및 일면에 다수의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통과공과 상기 배출공이 일치하는 배출위치와 상기 배출공을 차폐하는 차폐위치 사이를 좌우회동하는 조절부와, 상기 몸체의 측벽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내벽이 상기 조절부의 측부와 밀접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조절부의 저면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배출형 물뿌리개를 제공한다.
삭제
또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몸체의 하방에 배치되고 일면에 다수의 통과공이 형성된 조절플레이트 및 상기 조절플레이트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저면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여도 좋다.
아울러, 상기 조절플레이트는 외주면을 따라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플레이트의 끼움홈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조절플레이트의 외면과 상기 연장부의 내벽사이를 밀폐하는 밀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 내부에 수용된 물을 몸체의 하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몸체에 다량의 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물을 배출하더라도 몸체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물이 배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몸체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부를 형성하여 조절플레이트와 몸체의 사이공간을 차폐함과 아울러 조절플레이트의 저면을 지지함으로써 조절플레이트와 몸체의 사이공간을 통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조절플레이트의 회동동작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절플레이트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끼움홈에 밀폐부재를 끼움결합하여 조절플레이트의 외면과 연장부의 내벽사이를 밀폐시켜 밀폐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 배출형 물뿌리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 배출형 물뿌리개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 배출형 물뿌리개의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 배출형 물뿌리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 배출형 물뿌리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 배출형 물뿌리개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 배출형 물뿌리개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 배출형 물뿌리개(1)는 몸체(10)와, 연장부(20)와, 조절부(30) 및 밀폐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0)는 대략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11)이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일정시간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몸체(10)는 하면에 내부로 유입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공(12)이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는 후술하는 조절부(30)의 결합돌기(32)와 나사결합되는 결합공(13)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몸체(10)는 이동시 사용자에게 파지영역을 제공할 수 있도록 측면 일측에 손잡이(14)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부(20)는 몸체(10)의 측벽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측벽부(21) 및 측벽부(21)의 하단부로부터 몸체(10)의 내측으로 절곡형성되는 지지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몸체(10)에 유입된 물이 몸체(10)와 조절플레이트(31)가 이격되면서 형성되는 이격공간(S)을 통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조절플레이트(31)가 안정적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측벽부(21)는 몸체(10)의 측면부를 따라 내부가 빈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벽이 후술하는 조절플레이트(31)의 측부와 밀접되며, 몸체(10)에 유입된 물이 몸체(10)와 조절플레이트(31)가 이격되면서 형성되는 이격공간(S)을 통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부(22)는 조절플레이트(31)의 저면 외측부를 지지하여 조절플레이트(31)가 회동하는 경우 몸체(10)에 나사결합된 조절플레이트(31)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몸체(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조절플레이트(31)의 저면을 지지함으로써 스토퍼의 역할을 함과 아울러 조절플레이트(31)의 회동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조절부(30)는 몸체(10)의 하방에 배치되고 일측에 다수의 통과공(31a)이 형성된 조절플레이트(31)와, 조절플레이트(31)의 상면 중앙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는 결합돌기(3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좌우회동하면서 배출공(12)과 통과공(31a)이 일치하는 경우 몸체(10)에 유입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조절플레이트(31)는 대략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 중 몸체(10)의 배출공(12)과 대응되는 일측에 통과공(31a)이 형성되며, 좌우회동되어 배출공(12)과 통과공(31a)이 일치하는 경우 몸체(10)에 유입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조절플레이트(31)는 측면 일측에 외주면을 따라 후술하는 밀폐부재(40)가 끼움결합되는 끼움홈(31c)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조절플레이트(31)는 회동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조절플레이트(31)의 측부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파지부(31b)를 형성하여 사용자에게 파지영역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돌기(32)는 외주면에 나사산(32a)이 형성되어 몸체(10)의 결합공(13)에 나사결합되면서 조절플레이트(31)가 몸체(10)의 하방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밀폐부재(40)는 연질로서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절플레이트(31)의 끼움홈(31c)에 끼움결합되어 조절플레이트(31)의 외면과 연장부(20)의 내벽사이를 밀폐함으로써 몸체(10)에 유입된 물이 몸체(10)와 조절플레이트(31)가 이격되면서 형성되는 이격공간(S)을 통해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밀폐효율이 보다 향상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 배출형 물뿌리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 배출형 물뿌리개(1)의 동작을 첨부된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초기 통과공(31a)과 배출공(12)의 위치가 어긋나도록 조절플레이트(31)가 몸체(10)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몸체(1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수용공간(11) 내에 물을 유입한다.
이후, 사용자가 조절플레이트(31)의 파지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조절플레이트(31)를 회동시키면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절플레이트(31)가 결합돌기(32)에 의해 나선상으로 회동하면서 하방으로 이동되어 조절플레이트(31)와 몸체(10) 사이에 이격공간(S)이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절플레이트(31)와 몸체(10) 사이에 이격공간(S)이 형성되면서 몸체(10)의 내부에 유입된 물은 배출공(12)을 통해 이격공간(S)으로 유입되고, 이격공간(S)으로 유입된 물은 다시 조절플레이트(31)의 통과공(31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조절플레이트(31)는 통과공(31a)이 몸체(10)의 배출공(12)과 일치되도록 하여 몸체(10)에 유입된 물이 보다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하부 배출형 물뿌리개 10 : 몸체
11 : 수용공간 12 : 배출공
13 : 결합공 14 : 손잡이
20 : 연장부 21 : 측벽부
22 : 지지부 30 : 조절부
31 : 조절플레이트 31a : 통과공
31b : 파지부 32 : 결합돌기
33 : 끼움홈 40 : 밀폐부재

Claims (4)

  1. 하부 배출형 물뿌리개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부가 개방되며, 하면에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몸체와;
    일면에 다수의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면 중앙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결합돌기가 상기 몸체의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상기 통과공과 상기 배출공이 일치하는 배출위치와 상기 배출공을 차폐하는 차폐위치 사이를 좌우회동하는 조절부; 및
    상기 몸체의 측벽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내벽이 상기 조절부의 측부와 밀접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조절부의 저면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배출형 물뿌리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몸체의 하방에 배치되고 일면에 다수의 통과공이 형성된 조절플레이트; 및
    상기 조절플레이트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저면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배출형 물뿌리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플레이트는 외주면을 따라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플레이트의 끼움홈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조절플레이트의 외면과 상기 연장부의 내벽사이를 밀폐하는 밀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배출형 물뿌리개.
KR1020100113698A 2010-11-16 2010-11-16 하부 배출형 물뿌리개 KR101241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698A KR101241186B1 (ko) 2010-11-16 2010-11-16 하부 배출형 물뿌리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698A KR101241186B1 (ko) 2010-11-16 2010-11-16 하부 배출형 물뿌리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2503A KR20120052503A (ko) 2012-05-24
KR101241186B1 true KR101241186B1 (ko) 2013-03-13

Family

ID=46269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3698A KR101241186B1 (ko) 2010-11-16 2010-11-16 하부 배출형 물뿌리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11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18334A (zh) * 2019-12-16 2020-03-27 株洲瑞尔泰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塑胶制品制造用的喷涂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2438U (ko) * 1990-09-07 1992-05-01
JP3153184U (ja) * 2009-06-15 2009-08-27 秀彦 馬渕 じょうろ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2438U (ko) * 1990-09-07 1992-05-01
JP3153184U (ja) * 2009-06-15 2009-08-27 秀彦 馬渕 じょうろ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2503A (ko) 201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4556B2 (en) Liquid container having single cap
RU2742562C1 (ru) Пробка для бутылок
KR20130096720A (ko) 테이블탑 식기세척기
US20160347514A1 (en) Container lid
KR101241186B1 (ko) 하부 배출형 물뿌리개
ES2638594T3 (es) Recipiente y ensamblaje de tapa
US20050040184A1 (en) Delayed flow water reservoir for a clothes drying cabinet and method of use
KR200480924Y1 (ko) 텀블러 캡
CN209441937U (zh) 单手操作控量出料的卫生型瓶盖
KR200497215Y1 (ko) 액상 내용물 포장 용기용 마개
KR101956395B1 (ko) 용기 덮개
KR20120034864A (ko) 회전개폐형 브러쉬 튜브용기
JP2007145352A (ja) キャップ
KR200478218Y1 (ko) 수조내에서 회전 가능한 양변기용 급수 전환 볼탭
JP2011111227A (ja) 振り出し容器用キャップ
JP5501744B2 (ja) 振り出し容器用キャップ
KR200471426Y1 (ko) 배기형 찻병
TWM525368U (zh) 馬桶清潔與芳香劑釋出調節裝置
CN208193043U (zh) 便携式洗浴用品收纳装置
US20180029757A1 (en) One-touch cap
JP5546944B2 (ja) スクイズ容器用キャップ
KR20130034381A (ko) 스트로우를 구비한 음료 용기
CN106319885A (zh) 洗衣机
JP2006069586A (ja) 注出キャップ
KR200482280Y1 (ko) 텀블러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