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395B1 - 용기 덮개 - Google Patents

용기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6395B1
KR101956395B1 KR1020137015969A KR20137015969A KR101956395B1 KR 101956395 B1 KR101956395 B1 KR 101956395B1 KR 1020137015969 A KR1020137015969 A KR 1020137015969A KR 20137015969 A KR20137015969 A KR 20137015969A KR 101956395 B1 KR101956395 B1 KR 101956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wall
closed position
open position
inner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5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7505A (ko
Inventor
다카히로 아카오기
모토카츠 야마다
류이치 츠카모토
아츠시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니혼 클로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클로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클로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17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7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09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and elastically biased towards both the open and the closed positions
    • B65D47/081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and elastically biased towards both the open and the closed positions by at least three hinge sections, at least one having a length different from the o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57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made separately from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76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65D47/088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 B65D47/0885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one part of the hinge being integral with the hinged closure and the other part with the base element, without any other additional hing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06Upper closure
    • B65D2251/0025Upper closure of the 47-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68Lower closure
    • B65D2251/0087Lower closure of the 47-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융기부(22)의 제1 선회축선 방향 양측에 형성된 배출구(34a, 34b)의 각각에 관련하여, 배출구(34a, 34b)를 덮는 폐쇄 위치와 배출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선회 가능하게 제2 힌지 수단을 통해 내측 덮개(38a, 38b)를 융기부(22)에 접속하고, 내측 덮개(38a, 38b)의 각각에 관련하여, 외측 덮개(6)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선회되는 동안에 내측 덮개(38a, 38b)에 간섭하여 내측 덮개(38a, 38b)를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를 향해 선회시키고, 외측 덮개(6)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선회되는 동안에 내측 덮개(38a, 38b)에 간섭하여 내측 덮개(38a, 38b)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해 선회시키는 간섭 수단(68a, 68b)을 외측 덮개(6)의 스커트벽(52)의 내주면에 배치한 용기 덮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용기 덮개{CONTAINER CLOSURE}
본 발명은, 상면벽을 갖는 본체와 이 본체의 상면벽을 덮는 폐쇄 위치와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선회 가능하게 본체에 접속된 외측 덮개를 포함하고, 본체의 상면벽에는 양측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융기부 또는 단일의 배출통이 배치되어 있는, 합성 수지로 일체로 형성된 용기 덮개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적절한 합성 수지 또는 유리로 형성되고, 특히 간장과 같은 조미료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용기에 적용되는 용기 덮개로서,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합성 수지로 일체로 형성된 본체와 외측 덮개를 포함하는 용기 덮개가 개시되어 있다. 본체는 상면벽 및 이 상면벽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드리워지는 통형 측벽을 가지며, 외측 덮개는 천장면벽 및 이 천장면벽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드리워지는 통형 스커트벽을 갖는다. 외측 덮개의 스커트벽과 본체의 측벽이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1 선회축선을 규정하는 제1 힌지 수단을 통해 접속되어 있고, 외측 덮개는 제1 선회축선을 선회 중심으로 하여 본체의 상면벽을 덮는 폐쇄 위치와 본체의 상면벽을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선회 가능하다. 본체의 상면벽 중앙부에는 위쪽으로 융기하면서 제1 선회축선 방향 양측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융기부가 배치되어 있다.
용기의 내용물을 배출할 때에는, 외측 덮개를 개방 위치로 선회시켜 본체의 상면벽, 그에 따라 융기부를 노출시키고, 이어서 용기를 틸팅시켜 융기부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 중의 한쪽을 아래쪽으로 지향시킨다. 이렇게 하면, 배출구 중의 한쪽으로부터 내용물이 배출되고, 이러한 내용물의 배출은 배출구 중의 다른쪽으로부터 용기 안에 외기가 유입하는 것에 의해 촉진된다.
하기 특허문헌 2 및 3에는, 상면벽 및 이 상면벽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드리워지는 통형 측벽을 갖는 본체와, 천장면벽 및 이 천장면벽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드리워지는 통형 스커트벽을 갖는 외측 덮개를 포함하고, 외측 덮개의 스커트벽과 본체의 측벽은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1 힌지 수단을 통해 접속되어 있으며, 외측 덮개는 본체의 상면벽을 덮는 폐쇄 위치와 상면벽을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선회 가능한, 합성 수지로 일체로 성형된 용기 덮개가 개시되어 있다. 본체의 천장면벽에는 제1 힌지 수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선단에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배출통이 배치되어 있고, 배출통의 상면에는 배출구를 덮는 폐쇄 위치와 배출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선회 가능하게 제2 힌지 수단을 통해 내측 덮개가 접속되어 있다. 외측 덮개의 스커트벽의 내주면에는, 외측 덮개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선회되는 동안에 내측 덮개에 간섭하여 내측 덮개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선회 이동시키고, 그러한 후에 내측 덮개로부터 이격되며, 외측 덮개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선회되는 동안에 내측 덮개에 간섭하여 내측 덮개를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를 향해 선회시키고, 그러한 후에 내측 덮개로부터 이격되는 간섭 수단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외측 덮개의 스커트벽의 내주면 및/또는 천장면벽의 내면에는 외측 덮개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선회되면 내측 덮개에 접촉하여 내측 덮개를 폐쇄 위치에 강제하는 압박 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내측 덮개는 배출통의 양측면을 넘어 돌출하는 판형편이고, 그 내면 중앙부에는 배출구에 결합하는 시일 링이 형성되어 있다. 내측 덮개의 내면 양측부에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배출통에는 그 양측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받침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 덮개가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선회 이동될 때와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로 선회 이동될 때에는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받침 돌기를 탄성적으로 타고 넘어간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86468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8-74470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26191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용기 덮개에는 다음과 같은 해결해야 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즉, 외측 덮개를 폐쇄 위치로 했을 때에, 융기부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에 외측 덮개의 스커트벽의 내주면을 접촉시키고, 이것에 의해 양 배출구를 밀봉하고자 한다. 그러나, 외측 덮개의 스커트벽의 내주면은 원통형 내지 원뿔대 형상으로서 둘레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는 등에 기인하여 배출구의 밀봉이 불충분하게 되어, 용기가 뒤집어진 경우에 내용물이 누출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특허문헌 2 및 3에 개시되어 있는 용기 덮개에는, 그 사용성에 관해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용기 덮개가 적절한 합성 수지 또는 유리로 형성된 용기의 구경부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용기의 내용물을 소비하고자 할 때에는, 소비자는 예컨대 오른손으로 용기를 파지하고 왼손으로 용기 덮개의 외측 덮개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선회시킨다. 이렇게 하면, 배출구가 개방된 상태에서 배출통이 노출되게 되지만, 배출통의 배출구는 소비자를 향해 개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배출구로부터 내용물을 배출하는 데 앞서서 용기의 파지를 일단 해제하고, 파지 방향을 바꿔 오른손 또는 왼손으로 용기를 다시 파지하는 것이 필요하여, 내용물의 배출 조작이 번거로운 것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제1 기술적 과제는,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용기 덮개에 개량을 가하여, 외측 덮개의 선회 개폐 이동에 더하여 특별한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외측 덮개를 개방 위치로 선회시키면 융기부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가 개방되며, 외측 덮개를 폐쇄 위치로 선회시키면 융기부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가 충분히 확실하게 밀봉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기술적 과제는, 상기 특허문헌 2 및 3에 개시되어 있는 용기 덮개에 개량을 가하여, 내용물을 배출할 때에 용기의 파지를 일단 해제하고 용기를 다시 파지할 필요 없이, 예컨대 오른손으로 용기를 파지하고 왼손으로 용기 덮개의 외측 덮개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선회시킨 후에, 그대로의 상태에서 오른손을 적절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배출구를 통해 내용물을 배출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 등은, 예의 검토 및 실험을 행한 결과, 융기부의 양측에 형성된 배출구의 각각에 관련하여, 배출구를 덮는 폐쇄 위치와 배출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선회 가능하게 제2 힌지 수단을 통해 내측 덮개를 융기부에 접속하고, 내측 덮개의 각각에 관련하여, 외측 덮개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선회되는 동안에 내측 덮개에 간섭하여 내측 덮개를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를 향해 선회시키고, 그러한 후에 내측 덮개를 타고 넘어가 내측 덮개로부터 이격되며, 외측 덮개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선회되는 동안에 내측 덮개에 간섭하여 내측 덮개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해 선회시키고, 그러한 후에 내측 덮개로부터 이격시키는 간섭 수단을 외측 덮개의 스커트벽의 내주면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기술적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하면, 상기 제1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는 용기 덮개로서, 상면벽 및 이 상면벽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드리워지는 통형 측벽을 갖는 본체와, 천장면벽 및 이 천장면벽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드리워지는 통형 스커트벽을 갖는 외측 덮개를 포함하고, 이 외측 덮개의 상기 스커트벽과 상기 본체의 상기 측벽은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1 선회축선을 규정하는 제1 힌지 수단을 통해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 덮개는 상기 제1 선회축선을 선회 중심으로 하여 상기 본체의 상기 상면벽을 덮는 폐쇄 위치와 상기 본체의 상기 상면벽을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선회 가능하고, 상기 본체의 상기 상면벽 중앙부에는 위쪽으로 융기하고 상기 제1 선회축선 방향 양측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융기부가 배치되어 있는, 합성 수지로 일체로 형성된 용기 덮개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에는, 상기 배출구의 각각에 관련하여, 상기 배출구를 덮는 폐쇄 위치와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선회 가능하게, 제2 힌지 수단을 통해 내측 덮개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외측 덮개의 상기 스커트벽의 내주면에는, 상기 내측 덮개의 각각에 관련하여, 상기 외측 덮개가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로 선회되는 동안에 상기 내측 덮개에 간섭하여 상기 내측 덮개를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를 향해 선회시키고, 그러한 후에 상기 내측 덮개를 타고 넘어가 상기 내측 덮개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외측 덮개가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 선회되는 동안에 상기 내측 덮개에 간섭하여 상기 내측 덮개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해 선회시키고, 그러한 후에 상기 내측 덮개로부터 이격되는 간섭 수단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덮개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간섭 수단은 상기 외측 덮개의 상기 스커트벽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제1 선회축선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을 향해 아래쪽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설형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외측 덮개의 상기 스커트벽의 상기 내주면에는, 상기 내측 덮개의 각각에 관련하여, 상기 외측 덮개가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로 선회되는 동안에 상기 내측 덮개의 외면에 접촉하여 상기 내측 덮개를 폐쇄 위치에 강제하는 압박 수단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융기부에는, 그 상단벽 내면 중앙으로부터 아래로 드리워져, 상기 제1 선회축선 방향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배출구를 서로 차단하는 차단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융기부는 상기 제1 선회축선 방향 양측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양측벽을 갖고, 상기 배출구는 이 양측벽 각각으로부터 수평으로 돌출하는 배출통의 선단에 규정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융기부는 상기 제1 선회축선 방향 양측에 아래쪽을 향해 상기 제1 선회축선 방향 양 외측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양측벽을 가지며, 상기 배출구는 이 양측벽의 각각으로부터 위쪽을 향해 상기 제1 선회축선 방향 양 외측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배출통의 선단에 규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 덮개의 내면 양측부에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융기부에는 이 걸림 돌기에 대응하여 한 쌍의 받침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 덮개가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 선회될 때에는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받침 돌기를 탄성적으로 타고 넘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하면, 배출통의 연장 방향을 제1 선회축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 아니라, 제1 선회축선을 따르는 방향으로 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 기술적 과제가 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하면, 상기 제2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는 용기 덮개로서, 상면벽 및 이 상면벽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드리워지는 통형 측벽을 갖는 본체와, 천장면벽 및 이 천장면벽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드리워지는 통형 스커트벽을 갖는 외측 덮개를 포함하고, 이 외측 덮개의 상기 스커트벽과 상기 본체의 상기 측벽은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1 선회축선을 규정하는 제1 힌지 수단을 통해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 덮개는 상기 본체의 상기 상면벽을 덮는 폐쇄 위치와 이 상면벽을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선회 가능하고, 상기 본체의 상기 상면벽에는 선단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배출통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 배출통의 상면에는 상기 배출구를 덮는 폐쇄 위치와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선회 가능하게 제2 선회축선을 규정하는 제2 힌지 수단을 통해 내측 덮개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외측 덮개의 상기 스커트벽의 내주면에는 상기 외측 덮개가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 선회되는 동안에 상기 내측 덮개에 간섭하여 상기 내측 덮개를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 선회 이동시키며, 그러한 후에 상기 내측 덮개를 타고 넘어가 상기 내측 덮개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외측 덮개가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로 선회되는 동안에 상기 내측 덮개에 간섭하여 상기 내측 덮개를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를 향해 선회시키며, 그러한 후에 상기 내측 덮개로부터 이격되는 간섭 수단이 배치되어 있는 것인, 합성 수지로부터 일체로 성형된 용기 덮개에 있어서,
상기 배출통은 상기 제1 선회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덮개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통은 상기 제1 선회축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또는 상기 선단을 향해 상기 제1 선회축선으로부터 점차 이격하는 방향으로 0<α≤45도인 경사 각도를 이루어 연장되어 있다. 상기 간섭 수단은 상기 외측 덮개의 상기 스커트벽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설형편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설형편은 상기 외측 덮개가 상기 폐쇄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선회축선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향해 아래쪽으로 경사져 연장되거나 및/또는 상기 제2 선회축선은 상기 제1 선회축선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향해 위쪽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라 구성되는 용기 덮개에 있어서는, 외측 덮개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선회시키면, 간섭 수단의 작용에 의해 내측 덮개가 자동적으로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선회되고, 그에 따라 간단히 용기를 소요(所要) 방향으로 틸팅시키는 것에 의해 배출구 중의 한쪽으로부터 내용물을 배출하며, 배출구 중의 다른쪽으로부터 용기 안에 외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외측 덮개를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선회시키면, 간섭 수단의 작용에 의해 내측 덮개가 자동적으로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선회되고, 이렇게 하여 융기부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가 밀봉된다. 배출구의 밀봉은, 외측 덮개의 스커트벽에 의존하지 않고, 별개로 배치한 내측 덮개에 의존하기 때문에, 충분히 확실하게 배출구를 밀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라 구성되는 용기 덮개에 있어서는, 용기 덮개가 용기의 구경부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소비자가 예컨대 오른손으로 용기를 파지하고 왼손으로 용기 덮개의 외측 덮개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선회시키면, 배출구가 소비자를 향하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의 오른 손목에 대략 직행하는 방향, 즉 횡방향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배출통이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용기의 파지를 일단 해제하고 용기를 다시 파지할 필요 없이, 간단히 오른 손목을 적절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배출구로부터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라 구성된 용기 덮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성형시의 상태(외측 덮개가 폐쇄 상태로부터 180도 선회된 상태)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선 Ⅱ-Ⅱ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선 Ⅲ-Ⅲ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용기 덮개에서의 융기부를 도시하는 부분 정면도.
도 5는 도 1의 용기 덮개에서의 내측 덮개의 걸림 돌기와 융기부의 받침 돌기의 협동 작용을 도시하는 부분 측면도.
도 6은 도 1의 용기 덮개를, 외측 덮개를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를 향해 어느 정도 선회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7은 도 1의 용기 덮개를, 도 6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외측 덮개를 폐쇄 위치를 향해 어느 정도 더 선회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8은 도 1의 용기 덮개를, 도 7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외측 덮개를 폐쇄 위치를 향해 어느 정도 더 선회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9는 도 1의 용기 덮개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해 어느 정도 선회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0은 도 1의 용기 덮개를, 도 9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외측 덮개를 개방 위치를 향해 어느 정도 더 선회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1은 도 1의 용기 덮개를, 도 10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외측 덮개를 개방 위치를 향해 어느 정도 더 선회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양태를 따라 구성된 용기 덮개의 다른 실시형태를, 성형시의 상태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13은 도 12의 용기 덮개를, 일부를 단면으로 도시하는 정면도.
도 14는 도 12의 선 ⅩⅣ-Ⅹ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라 구성된 용기 덮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외측 덮개가 개방 위치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일부를 단면으로 도시하는 우측면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하는 용기 덮개를, 일부를 단면으로 도시하는 좌측면도.
도 17은 도 15에 도시하는 용기 덮개에서의 본체의 단면도.
도 18은 도 15에 도시하는 용기 덮개에 있어서, 외측 덮개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선회 이동될 때의 거동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19는 도 15에 도시하는 용기 덮개에 있어서, 외측 덮개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선회 이동될 때의 거동을 도시하는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용기 덮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라 구성된 용기 덮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성형시의 상태로 도시하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체를 도면부호 2로 표시하는 용기 덮개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적절한 합성 수지로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본체(4)와 외측 덮개(6)를 포함한다. 본체(4)는, 평면도에서 원형인 상면벽(8) 및 이 상면벽(8)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드리워지는 대략 원통 형상의 통형 측벽(10)을 갖는다. 상면벽(8)의 외주 가장자리부는 반경 방향 바깥쪽을 향해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면벽(8)의 최외주 가장자리부에는 위쪽을 향한 환형 숄더면(12)이 형성되며, 상면벽(8)의 상단부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환형 걸림 돌출 라인(14)이 형성되어 있다. 통형 측벽(10)은 실질상 수직으로 아래로 드리워져 있고, 원통 형상인 외주면을 갖는다. 통형 측벽(10)의 내주면 상부에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상측 환형 돌출 라인(16)이 형성되고, 통형 측벽(10)의 내주면 하부에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하측 환형 돌출 라인(18)이 형성되어 있다. 상측 환형 돌출 라인(16)의 반경 방향 내측 돌출량은 비교적 작고, 하측 환형 돌출 라인(18)의 반경 방향 내측 돌출량은 비교적 크다. 상면벽(8)의 하면에는, 통형 측벽(10)보다 어느 정도 반경 방향 내측의 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환형 시일 부재(20)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과 함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하면, 상면벽(8)의 중앙부에는 위쪽으로 융기하는 융기부(22)가 배치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융기부(22)는 직방체 형상이고, 실질상 수직으로 연장되는 4개의 측벽, 즉 양측벽(24a 및 24b) 및 양단부벽(26a 및 26b)과 함께 실질상 수평으로 연장되는 정상면벽(28)을 갖는다. 도 3에 명확히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측벽(24a 및 24b)의 각각에는, 원형 개구(30a 및 30b)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원형 개구(30a 및 30b)의 외주부로부터 실질상 수평 돌출하는 원통 형상의 배출통(32a 및 32b)이 부설(付設)되어 있다. 배출통(32a 및 32b)의 선단에 존재하는 원형 개구가 배출구(34a 및 34b)를 규정한다. 도 3을 참조함으로써 명확히 이해되는 바와 같이, 융기부(22) 안에는 정상면벽(28)의 내면 중앙부로부터 실질상 수직으로 아래로 드리워지는 차단벽(36)이 배치되어 있다. 이 차단벽(36)의 양단 가장자리는 융기부(22)의 양단부벽(26a 및 26b)에 접속되어 있고, 융기부(22) 안의 공간은 차단벽(36)에 의해 이분되며, 양측벽(24a 및 24b)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30a 및 30b), 그에 따른 배출통(32a 및 32b) 및 이들의 선단에 존재하는 배출구(34a 및 34b)는, 차단벽(36)에 의해 차단되어 있다.
융기부(22)에 배치되어 있는 배출통(32a 및 32b)의 각각에는 내측 덮개(38a 및 38b)가 부설되어 있다. 더 상세히 기술하면, 도 3 및 도 4를 참조함으로써 명확히 이해되는 바와 같이, 배출통(32a 및 32b)의 상면에는 위쪽으로 돌출하는 연결편(40a 및 40b)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연결편(40a 및 40b)을 통해 배출통(32a 및 32b)에 내측 덮개(38a 및 38b)가 연결되어 있다. 힌지 수단(제2 힌지 수단)을 구성하는 연결편(40a 및 40b)에는, 실질상 수평이며 도 3에서의 지면(紙面)에 수직인 방향에서 도 4에서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얇은 힌지(42a 및 42b)가 형성되어 있고, 내측 덮개(38a 및 38b)는 얇은 힌지(42a 및 42b)를 선회 중심으로 하여 도 3 및 도 4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개방 위치와 도 3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선회 가능하다. 각 내측 덮개(38a 및 38b)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판 부재이고, 그 내면에는 환형 시일 돌기(44a 및 44b)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 덮개(38a 및 38b)가 상기 폐쇄 위치로 되면, 환형 시일 돌기(44a 및 44b)가 배출통(32a 및 32b) 안에 삽입되고, 이에 의해 배출구(34a 및 34b)가 밀봉된다. 내측 덮개(38a 및 38b)의 각각의 내면 양측부에는 걸림 돌기(46a 및 46b)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배출통(32a 및 32b)의 각각에는 상기 연결편(40a 및 40b)의 양측으로부터 돌출하는 받침 돌기(48a 및 48b)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명확히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받침 돌기(48a 및 48b)는 실질상 수평으로 연장되는 상면과 실질상 수직으로 연장되는 전방면과의 경계 영역에 전방을 향해 아래쪽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갖고, 내측 덮개(38a 및 38b)가 이점쇄선으로 도시하는 폐쇄 위치로부터 실선으로 도시하는 개방 위치로 선회될 때는, 걸림 돌기(46a 및 46b)가 받침 돌기(48a 및 48b)를 탄성적으로 타고 넘어가, 걸림 돌기(46a 및 46b)와 받침 돌기(48a 및 48b)의 협동에 의해, 더 상세하게는 걸림 돌기(46a 및 46b)의 하단부 외면이 받침 돌기(48a 및 48b)의 상기 경사면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내측 덮개(38a 및 38b)가 개방 위치에 탄성적으로 유지된다. 내측 덮개(38a 및 38b)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선회될 때는 걸림 돌기(46a 및 46b)가 받침 돌기(48a 및 48b)를 탄성적으로 타고 넘어간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하면, 외측 덮개(6)는 천장면벽(50) 및 이 천장면벽(50)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드리워지는 통형 스커트벽(52)을 갖는다. 천장면벽(50)의 메인 부분은 평면도에서 원형이지만, 천장면벽(50)의 소정 각도 영역에는, 외측 덮개(6)를 개폐 운동시킬 때에 손가락을 걸 수 있는 아치형 돌출편(54)(도 2)이 부설되어 있다. 스커트벽(52)은 비교적 소직경의 원통 형상인 상부(56), 원뿔대 형상인 중간부(58) 및 비교적 대직경의 원통 형상인 하부(60)를 갖는다. 스커트벽의 내주면 하단부에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환형 걸림 돌출 라인(62)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명확히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측 덮개(6)의 스커트벽(52)의 외주면 하단의 소정 각도 영역은, 힌지 수단(64)(제1 힌지 수단)을 통해 본체(4)의 통형 측벽(10)의 외주면 상단의 소정 각도 영역에 연결되어 있다. 그 자체는 주지의 형태이어도 좋은 힌지 수단(64)은, 도 2에서의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얇은 힌지(66)를 갖고, 외측 덮개(6)는 얇은 힌지(66)에 의해 규정되는 실질상 수평으로 연장되는 선회 중심 축선(제1 선회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개방 위치와 도 3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선회 이동 가능하다. 외측 덮개(6)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개방 위치에 위치되어 있을 때에는, 본체(4)의 상면벽(8)은 노출되고, 외측 덮개(6)가 도 3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하는 폐쇄 위치로 선회되면, 본체(4)의 상면벽(8)은 외측 덮개(6)에 의해 덮인다. 도 6에 명확히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측 덮개(6)가 폐쇄 위치로 되면, 외측 덮개(6)의 스커트벽(52)의 하단면이 본체(4)의 상면벽(8)의 최외주 가장자리부에 존재하는 환형 숄더면(12)에 접촉되며, 외측 덮개(6)의 스커트벽(52)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환형 걸림 돌출 라인(62)이 본체(4)의 상면벽(8)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환형 걸림 돌출 라인(14)에 탄성적으로 걸리고, 이에 의해 외측 덮개(6)가 폐쇄 위치에 탄성적으로 유지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외측 덮개(6)에는 또한, 본체(4)에 배치되어 있는 내측 덮개(38a 및 38b)에 각각 대응하여, 간섭 수단(68a 및 68b) 및 압박 수단(70a 및 70b)이 배치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간섭 수단(68a 및 68b) 각각은, 스커트벽(52) 하부(60)의 내주면의 소정 각도 위치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설형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설형편은, 외측 덮개(6)가 도 3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하는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얇은 힌지(66)에 의해 규정되는 선회 중심 축선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향해 아래쪽으로 경사져 연장되어 있다. 압박 수단(70a 및 70b) 각각은, 스커트벽(52)의 상부(56) 및 중간부(58)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3개의 판형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3개의 판형편은 상호 평행하고 실질상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이들의 상단 가장자리는 천장면벽(50)의 내면에 접속되어 있다. 간섭 수단(68a 및 68b) 및 압박 수단(70a 및 70b)은, 본체(4)의 내측 덮개(38a 및 38b)에 대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은 개폐 및 압박 작용을 수행하도록 치수 및 배치 위치가 설정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도 2 및 도 3에는, 용기 덮개(2)가 적용되는 용기의 구경부(72)도 도시되어 있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적절한 합성 수지로 형성할 수 있는 용기의 구경부(72)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이고, 그 정상면은 개구되어 있다. 그 자체는 주지의 형태이어도 좋은 구경부(72)의 외주면 상부에는 환형 걸림 턱부(74)가 형성되어 있다. 구경부(72)의 외주면에는, 또한 걸림 턱부(74)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환형 돌출 라인(76)도 배치되어 있다. 이 환형 돌출 라인(76)은 용기의 반송(搬送)에 이용되는 것이고, 일반적으로 서포트 링으로 지칭된다. 용기 덮개(2)는, 본체(4)의 통형 측벽(10)과 환형 시일 부재(20)의 사이에 구경부(72)를 수용하는 것에 의해, 용기의 구경부(72)에 장착된다. 통형 측벽(1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하측 환형 돌출 라인(16)은 구경부(72)의 걸림 턱부(74)를 탄성적으로 타고 넘어가며, 구경부(72)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 턱부(74)는 통형 측벽(1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측 환형 돌출 라인(16)과 하측 환형 돌출 라인(18) 사이에 위치한다. 본체(4)의 환형 시일 부재(20)는 구경부(72) 안에 진입하여 구경부(72)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용기 덮개(2)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는 것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외측 덮개(6)를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를 향해 선회 이동시킬 때에는, 외측 덮개(6)의 선회에 따라 외측 덮개(6)에 배치되어 있는 간섭 수단(68a 및 68b)이 본체(4)에 배치되어 있는 내측 덮개(38a 및 38b)에 점차 접근하고(도 6), 그리고 소정 각도까지 선회되면 간섭 수단(68a 및 68b)이 내측 덮개(38a 및 38b)의 외면에 접촉한다. 외측 덮개(6)가 더 선회되면, 간섭 수단(68a 및 68b)의 간섭 작용에 의해 내측 덮개(38a 및 38b)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를 향해 강제적으로 선회되고(도 7), 그러한 후 간섭 수단(68a 및 68b)은 내측 덮개(38a 및 38b)로부터 이격된다(도 8). 간섭 수단(68a 및 68b)이 내측 덮개(38a 및 38b)로부터 이격되면, 내측 덮개(38a 및 38b)는 탄성적으로 어느 정도 개방 위치를 향해 복귀되지만, 외측 덮개(6)가 폐쇄 위치를 향해 더 선회되면, 외측 덮개(6)에 배치되어 있는 압박 수단(70a 및 70b)이 내측 덮개(38a 및 38b)의 외면에 작용하여 내측 덮개(38a 및 38b)를 폐쇄 위치로 강제적으로 선회시킨다. 그리고, 외측 덮개(6)가 폐쇄 위치까지 선회되면, 압박 수단(70a 및 70b)의 압박 작용에 의해 내측 덮개(38a 및 38b)는 폐쇄 위치에 강제되고, 배출통(32a 및 32b)의 선단에 배치되어 있는 배출구(34a 및 34b)가 확실하게 밀폐되며, 압박 수단(70a 및 70b)의 압박 작용에 의해 내측 덮개(38a 및 38b)는 폐쇄 위치에 유지된다(도 3).
한편, 외측 덮개(6)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해 선회될 때는,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함으로써 이해되는 바와 같이, 외측 덮개(6)의 선회에 따라 먼저 압박 수단(70a 및 70b)이 내측 덮개(38a 및 38b)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이어서, 간섭 수단(68a 및 68b)이 내측 덮개(38a 및 38b)의 선단 가장자리 내지 내면에 접촉하여 내측 덮개(38a 및 38b)에 간섭하기 시작하고, 외측 덮개(6)의 선회에 따라 내측 덮개(38a 및 38b)가 간섭 수단(68a 및 68b)의 작용에 의해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해 선회된다(도 9 및 도 10). 외측 덮개(6)가 더 선회되면, 간섭 수단(68a 및 68b)은, 개방 위치로 된 내측 덮개(38a 및 38b)로부터 이격된다(도 11).
외측 덮개(2)가 개방 위치로 되고 내측 덮개(38a 및 38b)가 개방 위치로 된 상태(도 3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용기를 소요 방향으로 틸팅시켜 배출통(32a 및 32b)의 선단에 배치되어 있는 배출구(34a 및 34b) 중 어느 하나를 아래쪽으로 향하게 하면, 용기 안에 수용되어 있는 간장과 같이 내용물을 배출구(34a 및 34b)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배출구(34a 및 34b) 중의 한쪽으로부터 내용물이 배출됨에 따라 배출구(34a 및 34b) 중의 다른쪽으로부터 용기 안에 공기가 유입되고, 이에 의해 내용물의 배출이 촉진된다.
도 12 내지 도 14에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용기 덮개의 다른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하는 용기 덮개(102)의 본체(104)에서는, 융기부(122)의 양측벽(124a 및 124b)은 아래쪽을 향해 도 14에서의 좌우 방향 외측[본체(104)에 대한 외측 덮개(106)의 선회 중심 축선 방향 양 외측]으로 경사져 있다. 또한, 융기부(122)의 양단부벽(126a 및 126b)도 아래쪽을 향해 도 13에서의 좌우 방향 외측으로 약간 경사져 있다. 그리고, 양측벽(124a 및 124b)으로부터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배출통(132a 및 132b)은 위쪽을 향해 경사져 연장되어 있다. 배출통(132a 및 132b)과 내측 덮개(138a 및 138b)의 상대적 관계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본체(4)의 경우와 실질상 동일하다. 융기부(122) 안에는 차단벽이 배치되어 있지 않아, 융기부(122) 안의 공간은 이분되어 있지 않다. 본체(104)의 전술한 구성 이외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본체(4)와 실질상 동일하다. 물론, 필요에 따라 차단벽을 배치할 수도 있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하는 용기 덮개(102)의 외측 덮개(106)에서는, 본체(104)의 내측 덮개(138a 및 138b)가 위쪽을 향해 경사져 연장되는 배출통(132a 및 132b)에 배치되어 있는 것에 대응하여, 간섭 수단(168a 및 168b) 및 압박 수단(170a 및 170b)의 배치 위치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외측 덮개(6)의 경우와 어느 정도 상이하다. 또한 외측 덮개(106)에서는 천장면벽(150)은 평탄한 원형이고, 외측 덮개(106)를 선회시킬 때에 손가락을 걸 수 있는 아치형 돌기(154)는 천장면벽(150)이 아니라, 스커트벽(152) 하단의 소요 각도 영역에 부설되어 있다. 스커트벽(152)은 원뿔대 형상의 상부(156)와 원통 형상의 하부(160)를 갖고, 상부(156)와 하부(160)의 경계에는 환형 숄더부(158)가 형성되어 있다. 외측 덮개(106)의 전술한 구성 이외에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외측 덮개(6)와 실질상 동일하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하는 용기 덮개(102)에 있어서, 외측 덮개(106)가 개폐 운동될 때의 거동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용기(2)와 실질상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라 구성된, 전체가 도면부호 202로 표시된 용기 덮개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적절한 합성 수지로 일체로 사출 성형할 수 있고, 본체(204)와 외측 덮개(206)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204)는, 평면도에서 원형인 상면벽(208)과, 이 상면벽(208)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드리워지는 원통형 측벽(210)을 갖는다. 상면벽(208)의 상면 외주 가장자리부에는, 위쪽으로 돌출하는 환형 돌출 라인(212)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환형 돌출 라인(212)의 외주면 하부에는 환형 걸림 홈(214)이 형성되어 있다. 환형 돌출 라인(212)의 내주면은 아래쪽을 향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경사져 있다. 상면벽(208)의 하면 외주 가장자리에는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원통형 시일 돌출 라인(216)이 형성되어 있다. 측벽(210)의 내주면 상부에는 환형의 작은 돌출 라인(218)이 형성되고, 측벽(210)의 내주면 하부에는 환형 걸림 돌출 라인(220)이 형성되어 있다.
도 15 및 도 16과 함께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하면, 본체(204)의 상면벽(208)에는 위쪽으로 융기하는 배출통(222)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형태에서의 배출통(222)은 후술하는 제1 선회축선에 실질상 평행하게, 즉 도 15에서의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또한 도 3에서의 왼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더 상세히 기술하면, 도시한 배출통(222)은 베이스부(224)와 선단부(226)를 갖는다. 베이스부(224)는 실질상 수직으로 위쪽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측벽부(228), 대략 오목한 원호형으로 연장되는 후벽부(230), 실질상 수직으로 연장되는 전벽부(232), 및 도 17에서의 왼쪽을 향해 위쪽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상벽부(234)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전벽부(232)의 상부에는 원형이어도 좋은 관통 구멍(236)이 형성되어 있다. 배출통(222)의 선단부(226)는, 베이스부(224)의 전벽부(232)로부터 실질상 수평으로 도 17에서의 왼쪽으로 돌출하는 원통형 돌출 통부(238)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돌출 통부(238)의 내경은 관통 구멍(236)의 내경에 합치한다. 돌출 통부(238)의 선단에는 원형 배출구(240)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통(222)의 베이스부와 상기 환형 돌출 라인(212)의 사이에는, 받침대(242)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받침대(242)의 상면은 실질상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배출통(222)은 도 17에서의 왼쪽으로 연장되어 있지만, 원한다면 도 17에서의 오른쪽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또한, 배출통(222)은 상기 제1 선회축선에 실질상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지만, 원한다면 선단을 향해 갈수록 상기 제1 선회축선으로부터 점차 이격하는 방향으로 0도<α≤45도의 각도(α)로 경사지게 할 수 있다.
배출통(222)의 돌출 통부(238)의 상면에는, 힌지 수단(244)을 통해 내측 덮개(246)가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내측 덮개(246)는 도 15 내지 도 17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개방 위치와 도 17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하는 폐쇄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다[내측 덮개(246)의 이동에 대해서는 뒤에 추가로 언급한다]. 내측 덮개(246)는 배출통(222)의 돌출 통부(238)를 넘어 돌출하는 가로로 긴 판형편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상측 가장자리는 원호 형상이다. 내측 덮개(246)의 내면의 폭방향 중앙부에는 원형 시일 링(248)이 형성되어 있다. 시일 링(248)의 외경은 배출통(222)의 돌출 통부(238)의 내경과 실질상 동일하고, 내측 덮개(246)가 폐쇄 위치로 되면, 시일 링(248)이 돌출 통부(238) 안에 끼워 넣어져 돌출 통부(238)의 선단을 밀봉한다. 내측 덮개(246)의 내면의 기단(도 15 내지 도 17에서의 하단) 양측부에는 걸림 돌기(25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걸림 돌기(250)는, 내측 덮개(246)가 개방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평탄한 걸림면을 갖는다.
배출통(222)의 상면에는 위쪽 및 양 측방으로 연장되는 연장편(254)이 형성되어 있고, 이 연장편(254)에는 폭방향(도 15 및 도 16에서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의 받침 돌기(256)가 형성되어 있다. 받침 돌기(256)는, 전방을 향해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한 받침면을 갖는다[받침 돌기(256) 및 상기 걸림 돌기(250)의 세부 사항에 대해서는, 상기 특허문헌 3을 참조하고자 한다]. 상기 힌지 수단(244)은 내측 덮개(246)의 기단과 연장편(254)의 선단(도 15 및 도 16에서의 상단)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힌지 수단(244)은, 폭방향 중앙부[따라서, 한 쌍의 받침 돌기(256)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중앙 힌지 부재(244a)와 함께, 한 쌍의 받침 돌기(256)보다 폭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양측 힌지 부재(244b)를 포함한다. 중앙 힌지 부재(244a) 및 양측 힌지 부재(244b) 각각은 수평하며 일직선상에 배치된 얇은 라인을 갖고, 이러한 얇은 라인을 선회 중심선으로 하여 내측 덮개(246)가 선회 이동된다. 원한다면, 양측 힌지 부재(244b)를 생략할 수도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하면, 외측 덮개(206)는 천장면벽(260)과 이 천장면벽(260)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드리워지는 통형 스커트벽(262)을 갖는다. 천장면벽(260)의 중앙부는 어느 정도 위쪽으로 팽출되어 있다. 또한, 천장면벽(260)에는 소정 각도 영역에서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플랜지(264)가 부설되어 있다. 도 15 및 도 16과 함께 도 18을 참조함으로써 명확히 이해되는 바와 같이, 플랜지(264)의 외주 가장자리는 아치형이며, 플랜지(264)의 하면도 아치형이다.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스커트벽(262)은 원통 형상의 상부(266)와 원뿔대 형상의 중간부(268)와 원통 형상의 하부(270)를 갖는다[외측 덮개(206)의 「상하」는 외측 덮개(206)가 도 16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하는 폐쇄 위치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상하를 의미한다]. 외측 덮개(206)의 스커트벽(262)의 외주면 하단과 상기 본체(204)의 측벽(210) 사이에는 전체가 도면부호 272로 표시된 힌지 수단[이 힌지 수단(272)은 제1 힌지 수단을 구성하며, 그 선회 중심 축선은 전술한 제1 선회축선을 구성함]이 배치되어 있고, 이러한 힌지 수단(272)을 통해 외측 덮개(206)가 본체(204)에 접속되어 있으며, 외측 덮개(206)는 도 15 및 도 16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개방 위치와 도 16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선회 이동된다[외측 덮개(206)의 선회 이동에 대해서는 뒤에 추가로 언급한다]. 힌지 수단(272) 자체는 주지의 형태이어도 좋고, 이 때문에 힌지 수단(272)의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스커트벽(262)의 하부(270)의 내주면 하단부에는, 힌지 수단(272)이 존재하는 영역을 제외하고 원호형으로 연장되는 걸림 돌출 라인(274)이 형성되어 있다. 스커트벽(262)의 내주면에는, 또한 간섭 수단(276)도 배치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간섭 수단(276)은, 힌지 수단(272)으로부터 대략 100도의 각도 간격을 둔 부위에서, 스커트벽(262) 하부(270)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설형편(278)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설형편(278)은 상기 걸림 돌출 라인(274)보다 약간 위쪽에 위치하고, 외측 덮개(206)가 도 17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하는 폐쇄 위치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선회축선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향해 아래쪽으로 30도 정도이어도 좋은 소정 각도로 경사져 연장된다. 원한다면, 설형편(278)을 경사지게 하는 것 대신에, 제2 힌지 수단을 구성하는 상기 힌지 수단(244)의 선회축선, 즉 제2 선회축선을, 제1 선회축선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향해 위쪽으로 소정 경사 각도로 경사지게 할 수도 있다. 스커트벽(262)의 내주면에는 압박 수단(280)도 배치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압박 수단(280)은, 힌지 수단(272)으로부터 대략 90도의 각도 간격을 둔 부위에서,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스커트벽(262)의 상부(266)의 내주면 및 천장면벽(260)의 내면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돌출하는 3개의 압박편(282)으로 구성되어 있다. 압박편(282) 각각은 실질상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고, 각각의 돌출 가장자리의 하단부는 아래쪽을 향해 바깥쪽으로 경사져 있다. 원한다면, 폭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단일의 광폭 압박편으로부터 압박 수단(280)을 구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용기 덮개(202)는, 식용유 또는 액체 조미료와 같은 액체를 수용한 용기의 구경부(284)에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용기의 구경부(284)에 용기 덮개(202)를 장착할 때는, 본체(204)의 측벽(210)과 시일 돌출 라인(216) 사이의 환형 공간에 용기의 구경부의 상단부가 삽입되고, 구경부 안에 진입하는 시일 돌출 라인(216)에 의해 구경부가 밀봉된다.
외측 덮개(206)가 도 16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하는 폐쇄 위치에 위치되어 있을 때에는, 외측 덮개(206)의 스커트벽(262)의 내주면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 돌출 라인(274)이 본체(204)의 환형 돌출 라인(212)의 외주면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 홈(214)에 걸리며, 이에 의해 외측 덮개(206)가 폐쇄 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외측 덮개(206)가 폐쇄 위치에 위치되어 있을 때에는, 압박 수단(280)이 내측 덮개(246)의 외면[즉 시일 링(248)이 형성되어 있는 면에 대하여 반대측의 면]에 접촉하여 내측 덮개(246)를 폐쇄 위치에 강제하고, 이렇게 하여 배출통(222)의 배출구(240)를 충분히 확실하게 밀봉한다.
용기 덮개(202)가 장착된 용기 안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을 소비할 때에는, 외측 덮개(206)의 천장면벽(260)에 부설되어 있는 플랜지(264)에 손가락을 걸어 외측 덮개(206)를 도 16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하는 폐쇄 위치로부터 도 15및 도 16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개방 위치를 향해 선회 이동시킨다. 도 15 및 도 16과 함께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하면, 외측 덮개(206)가 도 18의 (a)에 도시하는 위치로부터 도 18의 (b)에 도시하는 위치까지 개방 운동되면, 압박 수단(280)이 내측 덮개(246)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외측 덮개(206)의 스커트벽(262)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간섭 수단(276)이 내측 덮개(246)의 하면에 접촉하여 내측 덮개(246)에 간섭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외측 덮개(206)가 도 18의 (b)에 도시하는 위치로부터 도 18의 (c)에 도시하는 위치까지 개방 운동되면, 외측 덮개(206)의 개방 운동에 부수(付隨)하여 개방 운동되는 내측 덮개(246)에 배치되어 있는 걸림 돌기(250)가 배출통(222)에 배치되어 있는 받침 돌기(256)를 탄성적으로 타고 넘어간다. 외측 덮개(206)가 또한 도 18의 (d)에 도시하는 위치까지 개방 운동될 때에는, 내측 덮개(246)도 이 개방 운동에 부수하여 추가로 개방 운동되지만, 외측 덮개(206)가 도 18의 (d)에 도시하는 위치를 넘어 추가로 개방 운동될 때는, 외측 덮개(206)의 간섭 수단(276)은 내측 덮개(246)로부터 이격된다. 외측 덮개(206)의 간섭 수단(276)이 내측 덮개(246)로부터 이격되면, 내측 덮개(246)는 탄성적으로 폐쇄 위치를 향해 폐쇄 운동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지만, 내측 덮개(246)의 걸림 돌기(250)의 걸림면이 배출통(222)에 배치되어 있는 받침 돌기(256)의 받침면에 접촉하고, 이에 의해 내측 덮개(246)의 폐쇄 운동이 저지되며, 내측 덮개(246)는 개방 위치에 유지된다.
외측 덮개(206)를 개방 운동시키면 이 개방 운동에 부수하여 내측 덮개(246)가 개방 운동되기 때문에, 소비자는 내측 덮개(246) 자체에 손가락을 걸어 이것을 개방 운동할 필요 없이, 용기의 내용물을 배출통(222)을 통해 배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용기 덮개(202)에서는, 배출통(222)은 제1 선회축선, 즉 힌지 수단(272)의 선회 중심 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예컨대 오른손으로 용기를 파지하고 왼손으로 외측 덮개(206)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개방 운동시킨 경우, 배출통(222)의 선단에 배치되어 있는 배출구(240)는, 왼 손목에 대략 직행하는 방향을 지향한 상태로 되고, 따라서 용기의 파지를 일단 해제하고 다시 파지할 필요 없이 오른 손목을 우측 방향으로 회전[배출통(222)의 연장 방향이 도시한 실시형태의 경우와 반대인 경우에는 좌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배출구(240)를 아래쪽으로 지향시켜, 배출구(240)로부터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다.
내용물의 소비를 종료한 후에는, 외측 덮개(206)를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는 개방 위치로부터 도 16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하는 폐쇄 위치로 선회 이동시킨다. 도 15 및 도 16과 함께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외측 덮개(206)를 도 19의 (a)에 도시하는 위치까지 폐쇄 운동시키면, 외측 덮개(206)의 스커트벽(262)에 형성되어 있는 간섭 수단(276)이 개방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내측 덮개(246)의 외면에 접촉하여 내측 덮개(246)에 간섭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외측 덮개(206)를 도 19의 (a)에 도시하는 위치로부터 도 19의 (b)에 도시하는 위치까지 폐쇄 운동시키면, 외측 덮개(206)의 폐쇄 운동에 부수하여 내측 덮개(246)도 폐쇄 운동되어, 내측 덮개(246)에 배치되어 있는 걸림 돌기(250)가 배출통(222)에 배치되어 있는 받침 돌기(256)를 탄성적으로 타고 넘어간다. 외측 덮개(206)가 도 19의 (b)에 도시하는 위치로부터 도 19의 (c)에 도시하는 위치까지 폐쇄 운동되면, 이 폐쇄 운동에 부수하여 내측 덮개(246)도 폐쇄 운동되어 내측 덮개(246)는 일단 배출통(222)의 배출구(240)를 밀봉하는 폐쇄 위치로 되지만, 외측 덮개(206)의 간섭 수단(276)이 내측 덮개(246)로부터 이격된 후에서는, 도 19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덮개(246)가 탄성 복원 작용에 기인하여 어느 정도 개방 방향으로 선회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외측 덮개(206)가 도 19의 (d)에 도시하는 폐쇄 위치까지 폐쇄 운동될 때에는, 외측 덮개(206)에 배치되어 있는 압박 수단(280)이 내측 덮개(246)의 외면에 접촉하여 내측 덮개(246)를 폐쇄 위치에 강제한다. 또한, 외측 덮개(206)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 돌출 라인(274)이 본체(204)의 환형 돌출 라인(212)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 홈(214)에 걸리고, 이에 의해 외측 덮개(206)가 폐쇄 위치에 유지된다.
2: 용기 덮개 4: 본체
6: 외측 덮개 8: 본체의 상면벽
10: 본체의 통형 측벽 22: 융기부
24a, 24b: 융기부의 측벽 32a, 32b: 배출통
34a, 34b: 배출구 36: 차단벽
38a, 38b: 내측 덮개 46a, 46b: 걸림 돌기
48a, 48b: 받침 돌기 50: 외측 덮개의 천장면벽
52: 외측 덮개의 스커트벽 68a, 68b: 간섭 수단
70a, 70b: 압박 수단 72: 용기의 구경부
102: 용기 덮개 104: 본체
106: 외측 덮개 122: 융기부
124a, 124b: 융기부의 측벽 132a, 132b: 배출통
138a, 138b: 내측 덮개 150: 외측 덮개의 천장면벽
152: 외측 덮개의 스커트벽 202: 용기 덮개
204: 본체 206: 외측 덮개
208: 본체의 상면벽 210: 본체의 측벽
222: 배출통 244: 힌지 수단(제2 힌지 수단)
246: 내측 덮개 260: 외측 덮개의 천장면벽
262: 외측 덮개의 스커트벽 272: 힌지 수단(제1 힌지 수단)
276: 간섭 수단 280: 압박 수단

Claims (10)

  1. 상면벽 및 이 상면벽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드리워지는 통형 측벽을 갖는 본체와, 천장면벽 및 이 천장면벽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드리워지는 통형 스커트벽을 갖는 외측 덮개를 포함하고, 이 외측 덮개의 스커트벽과 상기 본체의 측벽은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1 선회축선을 규정하는 제1 힌지 수단을 통해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 덮개는 상기 제1 선회축선을 선회 중심으로 하여 상기 본체의 상면벽을 덮는 폐쇄 위치와 상기 본체의 상면벽을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선회 가능하고, 상기 본체의 상면벽 중앙부에는 위쪽으로 융기하며 상기 제1 선회축선 방향 양측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융기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인, 합성 수지로 일체로 형성된 용기 덮개로서,
    상기 융기부에는, 상기 배출구 각각에 관련하여, 상기 배출구를 덮는 폐쇄 위치와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선회 가능하게, 제2 힌지 수단을 통해 내측 덮개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외측 덮개의 스커트벽의 내주면에는, 상기 내측 덮개의 각각에 관련하여, 상기 외측 덮개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선회되는 동안에 상기 내측 덮개에 간섭하여 상기 내측 덮개를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를 향해 선회시키고, 그러한 후에 상기 내측 덮개를 타고 넘어가 상기 내측 덮개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외측 덮개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선회되는 동안에 상기 내측 덮개에 간섭하여 상기 내측 덮개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해 선회시키고, 그러한 후에 상기 내측 덮개로부터 이격되는 간섭 수단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간섭 수단은 상기 외측 덮개의 스커트벽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제1 선회축선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을 향해 아래쪽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설형편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덮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덮개의 스커트벽의 내주면에는, 상기 내측 덮개의 각각에 관련하여, 상기 외측 덮개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선회되는 동안에 상기 내측 덮개의 외면에 접촉하여 상기 내측 덮개를 폐쇄 위치에 강제하는 압박 수단이 배치되어 있는 것인 용기 덮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에는, 그 상단벽 내면 중앙으로부터 아래로 드리워져, 상기 제1 선회축선 방향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배출구를 상호 차단하는 차단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용기 덮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는 상기 제1 선회축선 방향 양측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양측벽을 가지며, 상기 배출구는 이 양측벽의 각각으로부터 수평으로 돌출하는 배출통의 선단에 규정되어 있는 것인 용기 덮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는 상기 제1 선회축선 방향 양측에 아래쪽을 향해 상기 제1 선회축선 방향 양(兩) 외측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양측벽을 갖고, 상기 배출구는 이 양측벽의 각각으로부터 위쪽을 향해 상기 제1 선회축선 방향 양 외측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배출통의 선단에 규정되어 있는 것인 용기 덮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덮개의 내면 양측부에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융기부에는 이 걸림 돌기에 대응하여 한 쌍의 받침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 덮개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선회될 때에는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받침 돌기를 탄성적으로 타고 넘어가는 것인 용기 덮개.
  8. 상면벽 및 이 상면벽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드리워지는 통형 측벽을 갖는 본체와, 천장면벽 및 이 천장면벽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드리워지는 통형 스커트벽을 갖는 외측 덮개를 포함하며, 이 외측 덮개의 스커트벽과 상기 본체의 측벽은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1 선회축선을 규정하는 제1 힌지 수단을 통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외측 덮개는 상기 본체의 상면벽을 덮는 폐쇄 위치와 상기 상면벽을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선회 가능하며, 상기 본체의 상면벽에는 선단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배출통이 배치되어 있고, 이 배출통의 상면에는, 상기 배출구를 덮는 폐쇄 위치와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선회 가능하게 제2 선회축선을 규정하는 제2 힌지 수단을 통해 내측 덮개가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 덮개의 스커트벽의 내주면에는, 상기 외측 덮개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선회되는 동안에 상기 내측 덮개에 간섭하여 상기 내측 덮개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선회 이동시키고, 그러한 후에 상기 내측 덮개를 타고 넘어가 상기 내측 덮개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외측 덮개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선회되는 동안에 상기 내측 덮개에 간섭하여 상기 내측 덮개를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를 향해 선회시키고, 그러한 후에 상기 내측 덮개로부터 이격되는 간섭 수단이 배치되어 있는 것인, 합성 수지로 일체로 성형된 용기 덮개로서,
    상기 배출통은 상기 제1 선회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기 간섭 수단은 상기 외측 덮개의 스커트벽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설형편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설형편은 상기 외측 덮개가 폐쇄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선회축선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향해 아래쪽으로 경사져 연장되거나 또는 상기 제2 선회축선은 상기 제1 선회축선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향해 위쪽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덮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통은 상기 제1 선회축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또는 상기 선단을 향해 갈수록 상기 제1 선회축선으로부터 점차 이격하는 방향으로 0<α≤45도의 경사 각도를 이루어 연장되어 있는 것인 용기 덮개.
  10. 삭제
KR1020137015969A 2010-11-25 2011-11-11 용기 덮개 KR1019563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62823 2010-11-25
JP2010262823A JP5650508B2 (ja) 2010-11-25 2010-11-25 容器蓋
PCT/JP2011/076044 WO2012070407A1 (ja) 2010-11-25 2011-11-11 容器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505A KR20140017505A (ko) 2014-02-11
KR101956395B1 true KR101956395B1 (ko) 2019-03-08

Family

ID=46145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5969A KR101956395B1 (ko) 2010-11-25 2011-11-11 용기 덮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15307B2 (ko)
EP (1) EP2644528B1 (ko)
JP (1) JP5650508B2 (ko)
KR (1) KR101956395B1 (ko)
CN (1) CN103282283B (ko)
WO (1) WO20120704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29665A1 (en) * 2015-11-09 2017-05-11 Patrick J. Rolfes Pod shaker bottle with lid
US10251499B2 (en) 2016-12-31 2019-04-09 John J. Lopynski Container assembly with a lid and the lid thereof that allow for drinking from the side
US9848722B1 (en) * 2016-12-31 2017-12-26 John J. Lopynski Container assembly with a lid and the lid thereof that allow for drinking from the sid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6468A (ja) * 2008-05-30 2009-12-10 Yoshino Kogyosho Co Ltd キャップ
JP2010006398A (ja) * 2008-06-25 2010-01-14 Yoshino Kogyosho Co Ltd キャップ
JP2010126191A (ja) * 2008-11-27 2010-06-10 Japan Crown Cork Co Ltd 容器蓋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2450A (en) 1986-01-16 1988-05-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to share copy on write segment for mapped files
JPH0536843Y2 (ko) * 1986-04-11 1993-09-17
US4903870A (en) * 1988-10-19 1990-02-27 Polytop Corporation Dispensing closure
AU3078895A (en) * 1994-07-22 1996-02-22 Investigacion Desarrollo, Creacion Y Mejora De Productos, S.L. Container for beverages, preserved food products and the like
US5897013A (en) * 1997-04-14 1999-04-27 Playtex Products, Inc. Straw for drinking cup
US5884793A (en) * 1998-01-28 1999-03-23 Wang; Wen-Pin Cap assembly for a bottle
JP4267788B2 (ja) * 2000-01-21 2009-05-27 ヱスビー食品株式会社 キャップ
US6390341B1 (en) * 2000-03-02 2002-05-21 Japan Crown Cork Co., Ltd. Container closure with outflow tube
DE20115489U1 (de) * 2001-09-20 2001-12-06 Seaquist Loeffler Kunststoffwerk Gmbh Abgabeverschluß für fließfähiges Gut enthaltende Behälter
JP4850012B2 (ja) 2006-09-23 2012-01-11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開閉自在の小蓋を有するヒンジキャップ
US8376173B2 (en) * 2007-04-23 2013-02-19 Learning Curve Brands, Inc. Drinking container with straw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6468A (ja) * 2008-05-30 2009-12-10 Yoshino Kogyosho Co Ltd キャップ
JP2010006398A (ja) * 2008-06-25 2010-01-14 Yoshino Kogyosho Co Ltd キャップ
JP2010126191A (ja) * 2008-11-27 2010-06-10 Japan Crown Cork Co Ltd 容器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82283A (zh) 2013-09-04
JP2012111529A (ja) 2012-06-14
JP5650508B2 (ja) 2015-01-07
EP2644528B1 (en) 2016-10-12
KR20140017505A (ko) 2014-02-11
WO2012070407A1 (ja) 2012-05-31
US20130228578A1 (en) 2013-09-05
EP2644528A1 (en) 2013-10-02
EP2644528A4 (en) 2014-07-23
CN103282283B (zh) 2015-05-13
US9315307B2 (en) 2016-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88373B2 (ja) 容器蓋
KR101956395B1 (ko) 용기 덮개
KR101707285B1 (ko) 용기 덮개
JP5650455B2 (ja) 容器蓋
JP5469529B2 (ja) 容器蓋
JP2010184729A (ja) ヒンジキャップ
JP2016064838A (ja) 小量排出と大量排出との選択が可能な容器蓋
JP6133381B2 (ja) 飲料容器
JP6133196B2 (ja) 飲料容器
JP5650451B2 (ja) 合成樹脂製容器蓋
JP4652600B2 (ja) 本体部と冠帽部とを備えた合成樹脂製容器蓋
WO2016159491A1 (ko) 원터치캡
JP4663057B2 (ja) 流出筒を備えた容器蓋
KR101241186B1 (ko) 하부 배출형 물뿌리개
JP4585093B2 (ja) 流出筒を備えた容器蓋
KR101930645B1 (ko) 개폐 탭 일체 구조의 캡
JP2011111225A (ja) 振り出し容器用キャップ
JP6453936B2 (ja) 飲料容器
JPS5934588B2 (ja) 合成樹脂製容器蓋
JP6552084B2 (ja) 容器
JP4511808B2 (ja) ピッチャー
JP4990670B2 (ja) 振り出し容器用キャップ
JP5220336B2 (ja) 振り出し容器用キャップ
JP2004352352A (ja) 蓋体付きキャップ
JP2010149868A (ja) 注出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