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645B1 - 개폐 탭 일체 구조의 캡 - Google Patents

개폐 탭 일체 구조의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645B1
KR101930645B1 KR1020170129674A KR20170129674A KR101930645B1 KR 101930645 B1 KR101930645 B1 KR 101930645B1 KR 1020170129674 A KR1020170129674 A KR 1020170129674A KR 20170129674 A KR20170129674 A KR 20170129674A KR 101930645 B1 KR101930645 B1 KR 101930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ap
induction body
closing
closing t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9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행옥
Original Assignee
이선배
(주)동방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배, (주)동방케미칼 filed Critical 이선배
Priority to KR1020170129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6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65D47/123Threaded caps with internal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폐 탭 일체 구조의 캡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개폐 탭이 캡과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의 편의성 및 유지 보관의 편의성이 향상된 개폐 탭 일체 구조의 캡에 관한 것이다. 개폐 탭 일체 구조의 캡은 내부에 잠금 수단(112)이 형성된 결합 베이스(11); 결합 베이스(11)의 위쪽으로 연장되면서 위쪽 방향으로 개방 부분이 형성된 유도 몸체(12); 및 유도 몸체(12)의 위쪽 부분에 결합되면서 일부가 상기 개방 부분을 개폐시키면서 나머지 부분이 유도 몸체(12)의 외부로 돌출되고, 전체적으로 판 형상이 되는 개폐 탭(13)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 탭(13)은 유도 몸체(12)와 결합되는 부위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것이다.

Description

개폐 탭 일체 구조의 캡{A Cap Having a Structure of an Integrated Open Close Tab}
본 발명은 개폐 탭 일체 구조의 캡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개폐 탭이 캡과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의 편의성 및 유지 보관의 편의성이 향상된 개폐 탭 일체 구조의 캡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또는 유리 소재로 만들어지는 병은 다양한 구조의 캡에 의하여 밀폐가 될 수 있고, 캡은 병과 동일 또는 유사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병에 수용된 내용물의 배출을 위하여 배출구가 별도로 형성되거나, 캡이 분리되거나 또는 캡에 결합된 밀폐 수단이 개방이 될 수 있다. 캡의 분리 또는 밀폐 수단의 개방을 위한 다양한 수단이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특허공개번호 제10-2015-0109206호는 물을 따를 때나 물을 보관할 때 뚜껑의 배출구를 용이하게 개폐하여 사용할 수 있는 물통 뚜껑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241106호는 물통 뚜껑의 유출 또는 유입을 위한 입구를 개폐하는 마개의 구조를 개선하여 쉽고 편리하게 마개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물통 뚜껑에 대하여 개시한다. 선행기술 또는 공지된 캡은 모두 개폐 수단이 캡에 결합되고 이로 인하여 제조 과정이 복잡해지고, 사용 편의성이 감소될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특허공개번호 제10-2015-0109206호(주식회사 한주, 2015년10월01일 공개) 물통 뚜껑 선행기술 2: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241106호(김남현, 2001년10월12일 공고) 물통뚜껑
본 발명의 목적은 내구성이 향상되면서 이와 동시에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개폐 탭 일체 구조의 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개폐 탭 일체 구조의 캡은 내부에 잠금 수단이 형성된 결합 베이스; 결합 베이스의 위쪽으로 연장되면서 위쪽 방향으로 개방 부분이 형성된 유도 몸체; 및 유도 몸체의 위쪽 부분에 결합되면서 일부가 상기 개방 부분을 개폐시키면서 나머지 부분이 유도 몸체의 외부로 돌출되고, 전체적으로 판 형상이 되는 개폐 탭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 탭은 유도 몸체와 결합되는 부위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개폐 탭은 경사진 형태로 유도 몸체와 결합이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도 몸체의 한쪽 면을 형성하는 경사 작동 면에 형성되면서 위쪽 방향으로 가면서 폭이 좁아지는 오목한 형상의 회전 제한 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캡은 개폐 탭이 일체로 만들어지는 것에 의하여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캡은 물병에 결합이 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물이 쉽게 배출되도록 하면서 내부로 이물질이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캡은 플라스틱 사출 방법으로 하나의 사출 공정에 의하여 제조가 되는 것에 의하여 제조비용이 감소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 탭 일체 구조의 캡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2b 및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캡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하나의 사출 공정에 의하여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캡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 탭 일체 구조의 캡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개폐 탭 일체 구조의 캡은 내부에 잠금 수단(112)이 형성된 결합 베이스(11); 결합 베이스(11)의 위쪽으로 연장되면서 위쪽 방향으로 개방 부분이 형성된 유도 몸체(12); 및 유도 몸체(12)의 위쪽 부분에 결합되면서 일부가 상기 개방 부분을 개폐시키면서 나머지 부분이 유도 몸체(12)의 외부로 돌출되고, 전체적으로 판 형상이 되는 개폐 탭(13)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 탭(13)은 유도 몸체(12)와 결합되는 부위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캡은 물병, 약병, 음료수 병 또는 이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다양한 형태의 병에 적용될 수 있고, 병은 유리, 합성수지, 금속 또는 이와 유사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캡은 다양한 종류의 병의 입구에 결합될 수 있고, 병의 입구의 형상에 적절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캡의 소재 또는 전체적인 구조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결합 베이스(11)는 아래쪽 면 또는 위쪽 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결합이 되는 병의 입구의 형상에 대응되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결합 베이스(11)의 내부 둘레 면을 따라 예를 들어 결합 나선과 같은 잠금 수단(112)이 형성될 수 있다. 잠금 수단(112)은 병의 입구에 형성되는 잠금 형상에 따른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결합 베이스(11)의 위쪽으로부터 연결 부분(111)이 형성될 수 있고, 연결 부분(111)은 전체적으로 결합 베이스(11)의 평면 단면적에 비하여 작은 평면 단면적을 가지면서 위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결 부분(111)은 상대적으로 작은 반지름을 가지는 원통 형상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연결 부분(111)의 위쪽에 유도 몸체(12)가 결합될 수 있다.
유도 몸체(12)는 전체적으로 옆으로 누운 U자 형상이 되면서 아래쪽 부분이 연결 부분(111)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베이스(11), 연결 부분(111), 유도 몸체(12) 및 아래에서 설명되는 개폐 탭(13)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금형에서 사출 성형에 의하여 하나의 공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유도 몸체(12)는 개방된 구조가 될 수 있고, U자 형상의 열린 부분의 안쪽에 경사 작동 면(121)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 작동 면(121)은 아래쪽으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안쪽으로 연장된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경사 작동 면(121)의 아래쪽 부분에 회전 제한 홈(14)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제한 홈(14)은 위쪽 방향으로 가면서 폭이 좁아지는 오목한 형상이 될 수 있다. 회전 제한 홈(14)은 경사 작동 면(121)의 안쪽 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오목한 형상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회전 제한 홈(14)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개폐 탭(13)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면서 개폐 탭(13)의 한쪽 면이 경사 작동 면(121)의 위쪽 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회전 제한 홈(14)은 병의 내부에 저장된 액체와 같은 성분이 안정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수용 성분은 경사 작동 면(121)을 마주보는 유도 몸체(12)의 벽면을 따라 흐르고, 수용 성분의 배출 과정에서 수용 성분의 배출 방향을 따라 반 실린더 형상의 배출 유도로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수용 성분이 안정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회전 제한 홈(14)이 외부로 돌출되는 수준은 개폐 탭(13)이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는 각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회전 제한 홈(14)은 유도 몸체(12)의 위쪽 면을 개폐시키는 개폐 탭(13)이 회전 과정에서 안쪽 면에 접촉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개폐 탭(13)은 유도 몸체(12)의 위쪽 부분에 결합되면서 일부가 상기 개방 부분을 개폐시키면서 나머지 부분이 유도 몸체(12)의 외부로 돌출되고, 전체적으로 판 형상이 될 수 있다. 개폐 탭(13)은 전체적으로 사각 판 형상이 되면서 한쪽 부분은 유도 몸체(12)의 열린 부분의 위쪽 테두리에 안쪽 면이 접하는 형상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폐 탭(13)의 한쪽 부분은 유도 몸체(12)의 열린 위쪽 부분의 개폐가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유도 몸체(12)는 경사 작동 면(121)과 함께 수용 성분의 배출 경로를 형성하고, 개폐 탭(13)의 한쪽 부분은 배출 경로의 끝 부분을 개폐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개폐 탭(13)은 유도 몸체(12)의 위쪽 끝에 결합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시소(seesaw) 형태로 회전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도 몸체(12)의 둘레 벽은 연결 부분(111)의 원형의 테두리의 1/2 내지 5/6의 부분을 차지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 탭(13)의 연장 길이는 연결 부분(111)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약간 작거나 클 수 있고 예를 들어 연결 부분(111)의 지름 길이의 2/3 내지 6/5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개폐 탭(13)의 중간 부분의 양쪽 부분이 유도 몸체(12)의 둘레 벽의 열린 끝 부분의 위쪽 끝에 독립적으로 또는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도 몸체(12)에 결합된 개폐 탭(13)은 결합 부위가 되는 유도 몸체(12)의 둘레 벽의 위쪽 끝 부분을 중심으로 시소 형태로 닫히면서 유도 몸체(12)의 위쪽 부분을 개폐시킬 수 있다. 개폐 탭(13)의 위쪽 평면에 미끄럼 방지 수단(131)이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선형 돌기 또는 선형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다수 개의 돌기가 손가락이 닿는 위치에 형성되거나 이와 유사한 미끄럼 방지 구조가 개폐 탭(13)의 위쪽 평면 또는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의 좌측 위쪽 부분에 도시된 것은 유도 몸체(12)의 위쪽 테두리는 안쪽으로 계단이 진 형상을 가지면서 접촉 부분(125)을 형성할 수 있다. 접촉 부분(125)은 개폐 탭(13)의 끝 부분의 아래쪽 부분이 접하는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접촉 부분(125)은 다양한 구조로 형성되어 개폐 탭(13)에 의하여 유도 몸체(12)의 위쪽 부분이 안정적으로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개폐 탭(13)은 수평면에 대하여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형태로 유도 몸체(12)의 위쪽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개폐 탭(13)은 한쪽 면이 개폐 부분이 되고 다른쪽 부분은 접촉 부분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접촉 부분에 아래쪽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것에 의하여 유도 몸체(12)의 위쪽 부분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압력을 제거하는 것에 의하여 다시 개폐 탭(13)은 다시 회전이 되어 닫는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개폐 탭(13)이 경사진 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에 의하여 이에 대응되는 유도 몸체(12)의 위쪽 부분이 또한 경사진 형상이 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수용 성분의 배출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개폐 탭(13)은 다양한 구조로 유도 몸체(12)에 결합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a, 2b 및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캡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캡의 정면도 및 A-A선을 따른 단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캡의 배면도 및 측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고, 도 2c는 측면도, 평면도 및 저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유도 몸체(12)는 위쪽으로 연장되면서 점차적으로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이 될 수 있고, 옆으로 누운 U자-형상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개방 부분에 경사 작동 면(121)이 유도 몸체(12)와 일체가 되도록 성형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한쪽 면이 평면이 되면서 나머지 둘레 면이 실린더 형상의 곡면이 되는 배출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유도 몸체(12)의 둘레 벽의 끝 부분(12a)은 경사 작동 면(121)에 의하여 형성되는 평면에 비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개폐 탭(13)이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끝 부분(12a) 사이로 안정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또한 개폐 탭(13)은 아래쪽 면이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되는 접촉 끝 부분(13a)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도 몸체(12)는 위쪽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경사 작동 면(121)이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경사 작동 면(121)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회전 제한 홈(122)은 경사 작동 면(12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사 작동 면(121)의 경사는 작동 부분이 되는 개폐 탭(13)의 자유 끝 부분이 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안정적으로 회전이 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캡은 합성수지 소재에 의하여 하나의 사출 공정에 의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도 3은 하나의 사출 공정에 의하여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캡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캡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수지 소재,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이들의 결합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캡은 이와 같은 합성수지 소재의 사출을 위한 금형으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고, 금형으로부터 하나의 사출 공정에 의하여 일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수 개가 한 벌의 금형으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고, 도 3은 폴리에틸렌 소재의 사출 성형에 의하여 만들어진 캡의 외부 구조 및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유도 몸체(12)의 위쪽 부분에 의하여 형성되는 배출구는 개폐 탭(13)의 개폐 부분에 의하여 개폐가 될 수 있고, 개폐 부분은 개폐 탭(13)의 나머지 부분을 형성하는 작동 부분과 일체로 형성되면서 자유 끝을 형성하는 작동 부분(13)에 의하여 상하로 회전될 수 있다. 개폐 부분과 작동 부분 사이에 개폐 탭(13)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 기준선(132)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기준선(132)의 아래쪽 부분은 위에서 설명된 경사 작동 면(121)의 위쪽 가장자리에 결합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이 된 것처럼, 유도 몸체(12)는 경사진 형상으로 위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개폐 부분의 앞쪽 테두리는 유도 몸체(12)의 내부 면에 접촉되는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회전 기준선(132)이 결합된 부분은 탄성 또는 신축성을 가진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작동 부분에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개폐 탭(13)은 배출구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작동 부분에 압력을 가하는 것에 의하여 유도 몸체(12)의 위쪽 부분이 열리게 되고, 이후 작동 부분에 대한 압력이 제거되면 다시 배출구가 닫힌 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자동 닫힘 구조는 개폐 탭(13)이 경사 작동 면(121)과 일체로 성형되는 것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캡은 다양한 합성수지 소재에 의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캡은 개폐 탭이 일체로 만들어지는 것에 의하여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캡은 물병에 결합이 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물이 쉽게 배출되도록 하면서 내부로 이물질이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캡은 플라스틱 사출 방법으로 하나의 사출 공정에 의하여 제조가 되는 것에 의하여 제조비용이 감소되도록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결합 베이스 12: 유도 몸체
12a: 끝 부분 13: 개폐 탭
13a: 접촉 끝 부분 14: 회전 제한 홈
111: 연결 부분 112: 잠금 수단
121: 경사 작동 면 122: 회전 제한 홈
125: 접촉 부분 131: 미끄럼 방지 수단
132: 회전 기준선

Claims (3)

  1. 내부에 잠금 수단(112)이 형성된 결합 베이스(11);
    결합 베이스(11)의 위쪽으로 연장되면서 위쪽 방향으로 개방 부분이 형성된 유도 몸체(12); 및
    유도 몸체(12)의 위쪽 부분에 결합되면서 일부가 상기 개방 부분을 개폐시키면서 나머지 부분이 유도 몸체(12)의 외부로 돌출되고, 전체적으로 판 형상이 되는 개폐 탭(13)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 탭(13)은 유도 몸체(12)와 결합되는 부위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유도 몸체(12)의 한쪽 면을 형성하는 경사 작동 면(121)에 형성되면서 위쪽 방향으로 가면서 폭이 좁아지는 오목한 형상의 회전 제한 홈(1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탭 일체 구조의 캡.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개폐 탭(13)은 경사진 형태로 유도 몸체(12)와 결합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탭 일체 구조의 캡.
  3. 삭제
KR1020170129674A 2017-10-11 2017-10-11 개폐 탭 일체 구조의 캡 KR101930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9674A KR101930645B1 (ko) 2017-10-11 2017-10-11 개폐 탭 일체 구조의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9674A KR101930645B1 (ko) 2017-10-11 2017-10-11 개폐 탭 일체 구조의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0645B1 true KR101930645B1 (ko) 2018-12-18

Family

ID=64952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9674A KR101930645B1 (ko) 2017-10-11 2017-10-11 개폐 탭 일체 구조의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064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296Y1 (ko) * 2000-09-20 2001-09-13 송창호 세제 용기용 세제량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296Y1 (ko) * 2000-09-20 2001-09-13 송창호 세제 용기용 세제량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4956B2 (en) Closure
US7628297B2 (en) Dispensing closure,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830721B2 (en) Liquid dispensing closure
US20080023502A1 (en) Closure Cap
EP2137078B1 (en) Dispensing closure with latch back
CA2527261C (en) Dispensing closure having flow modulator and syneresis capture
US7735665B2 (en) Child-resistant flip-top dispensing closure,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4244495A (en) Plastic lid safety closure assembly for containers
US4993606A (en) Dispensing closure
US4632266A (en) Container cap
US4826026A (en) Child resistant dispensing closure
CA2584348A1 (en) Child-resistant dispensing closure,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427881B1 (en) Edge seal closure
JP6243354B2 (ja) リフィル容器用注出構造
KR101930645B1 (ko) 개폐 탭 일체 구조의 캡
RU2268849C2 (ru) Система для принудительной ориентации укупорочного средства относительно контейнера
CN112040815A (zh) 用于饮料容器的封闭装置
EP0404856B1 (en) Dispensing closure
JP7174556B2 (ja) 吐出キャップ
JP2022117314A (ja) 液体容器及び液体容器の製造方法
KR19990014459A (ko) 병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