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7285B1 - 용기 덮개 - Google Patents

용기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7285B1
KR101707285B1 KR1020147011024A KR20147011024A KR101707285B1 KR 101707285 B1 KR101707285 B1 KR 101707285B1 KR 1020147011024 A KR1020147011024 A KR 1020147011024A KR 20147011024 A KR20147011024 A KR 20147011024A KR 101707285 B1 KR101707285 B1 KR 101707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inner lid
closed position
open position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1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4067A (ko
Inventor
모토가츠 야마다
다카히로 아카오기
Original Assignee
니혼 클로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클로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클로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84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4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09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and elastically biased towards both the open and the closed positions
    • B65D47/081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and elastically biased towards both the open and the closed positions by at least three hinge sections, at least one having a length different from the o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09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and elastically biased towards both the open and the closed positions
    • B65D47/0819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and elastically biased towards both the open and the closed positions by cam action, e.g. interacting protru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06Upper closure
    • B65D2251/0025Upper closure of the 47-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68Lower closure
    • B65D2251/0087Lower closure of the 47-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4)와 이 본체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외부 덮개(6)를 포함하며, 본체의 상면벽(8)에는 배출관(22)이 배치되고 또한 배출관에는 내부 덮개(46)가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외부 덮개가 본체의 상면벽을 덮는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선회 이동되면 내부 덮개가 배출관의 선단에 존재하는 배출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로부터 배출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로 선회 이동되며, 외부 덮개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선회 이동되면 내부 덮개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선회 이동되는 형태의 용기 덮개(2)로서, 내부 덮개가 비틀림 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하는 용기 덮개에 관한 것이다.
내부 덮개를 선회 가능하게 배출관에 연결하는 제2 힌지 수단(44)은, 내부 덮개의 폭방향 중앙부에 있어서 내부 덮개와 배출관을 연결하는 중앙 힌지 부재(44a)와 폭방향 외측 양쪽에서 내부 덮개와 배출관을 연결하는 양측 힌지 부재(44b)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용기 덮개{CONTAINER LID}
본 발명은, 본체와 이 본체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외부 덮개를 포함하며, 본체의 상면벽에는 배출관이 배치되고 또한 배출관에는 내부 덮개가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 덮개가 본체의 상면벽을 덮는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선회 이동되면 내부 덮개가 배출관의 선단에 존재하는 배출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로부터 배출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로 선회 이동되고, 외부 덮개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선회 이동되면 내부 덮개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선회 이동되는 형태인 것인, 합성 수지로 일체로 성형된 용기 덮개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식용유 혹은 액체 조미료를 수용한 용기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는 용기 덮개로서, 상면벽 및 이 상면벽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측벽을 갖는 본체와, 천장면벽 및 이 천장면벽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스커트벽을 갖는 외부 덮개를 포함하고, 외부 덮개의 스커트벽과 본체의 측벽은 제1 힌지 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 덮개는 본체의 상면벽을 덮는 폐쇄 위치와 본체의 상면벽을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 사이를 선회 가능한 것인, 합성 수지로 일체로 성형된 용기 덮개가 개시되어 있다. 본체의 천장면벽에는, 제1 힌지 수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선단에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배출관이 배치되어 있으며, 배출관의 상면에는 배출구를 덮는 폐쇄 위치와 배출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를 선회 가능하게 제2 힌지 수단을 통해 내부 덮개가 연결되어 있다. 외부 덮개의 스커트벽의 내주면에는, 외부 덮개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선회되는 동안에 내부 덮개에 간섭하여 내부 덮개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선회 이동시키고, 그 후에 내부 덮개로부터 이격되며, 또한 외부 덮개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선회되는 동안에 내부 덮개에 간섭하여 내부 덮개를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를 향하여 선회시키며, 그 후에 내부 덮개로부터 이격되는 간섭 수단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외부 덮개의 스커트벽의 내주면 및/또는 천장면벽의 내면에는, 외부 덮개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선회되면 내부 덮개에 접촉하여 내부 덮개를 폐쇄 위치에 강제하는 압박 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내부 덮개는 배출관의 양측면을 넘어 뻗는 판형 부재이며, 내부 덮개의 내면 중앙부에는 배출구에 맞물리는 시일 링이 형성되어 있다. 내부 덮개의 내면 양측부에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배출관에는 그 양측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취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내부 덮개가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선회 이동될 때 그리고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로 선회 이동될 때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수취 돌기를 탄성적으로 넘어간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8-74470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26191호 공보
그런데, 본 발명자들의 경험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형태의 종래의 용기 덮개에는, 다음과 같은 해결하여야 할 문제가 존재한다. 제2 힌지 수단은, 내부 덮개를 구성하는 판형 부재의 폭방향에 있어서 걸림 돌기와 수취 돌기 사이, 즉 폭방향 중앙부에 있어서 내부 덮개와 배출관을 연결하는 단일의 힌지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외부 덮개가 개방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예컨대 내부 덮개에 부착된 용기 내용물 혹은 먼지 등을 제거하기 위해 소비자가 청소포 등을 통해 내부 덮개에 접촉하였을 때에, 단일의 힌지 부재에 비틀림이 가해져, 폭방향 한쪽의 걸림 돌기는 수취 돌기에 대하여 개방측에 위치하지만 폭방향 다른쪽의 걸림 돌기는 수취 돌기에 대하여 폐쇄측에 위치하는 비틀림 상태가 우발적으로 생성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이러한 비틀림 상태가 생성된 상황에서 외부 덮개가 폐쇄 위치를 향하여 선회되면, 내부 덮개는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적절하게 선회되지 않으면서, 이에 따라 배출구가 적절하게 폐쇄되지 않으면서, 과잉된 힘을 부가함으로써 외부 덮개가 폐쇄 위치에 있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실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주된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형태의 용기 덮개에 개량을 더하여, 내부 덮개가 전술한 바와 같은 비틀림 상태로 되는 것이 충분히 확실하게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내부 덮개를 선회 가능하게 배출관에 연결하는 제2 힌지 수단을, 내부 덮개의 폭방향 중앙부에 있어서 내부 덮개와 배출관을 연결하는 중앙 힌지 부재와 수취 돌기보다 더욱 폭방향 외측 양쪽에 있어서 내부 덮개와 배출관을 연결하는 양측 힌지 부재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주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주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용기 덮개로서, 상면벽 및 상기 상면벽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측벽을 갖는 본체와, 천장면벽 및 이 천장면벽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스커트벽을 갖는 외부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덮개의 상기 스커트벽과 상기 본체의 상기 측벽은 제1 힌지 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외부 덮개는 상기 본체의 상기 상면벽을 덮는 폐쇄 위치와 본체의 상기 상면벽을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 사이를 선회 가능하며, 상기 본체의 상기 상면벽에는, 상기 제1 힌지 수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선단에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배출관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관의 상면에는 상기 배출구를 덮는 폐쇄 위치와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를 선회 가능하게 제2 힌지 수단을 통해 내부 덮개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외부 덮개의 상기 스커트벽의 내주면에는, 상기 외부 덮개가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 선회되는 동안에 상기 내부 덮개에 간섭하여 상기 내부 덮개를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 선회 이동시키며, 그 후에 상기 내부 덮개를 넘어가 상기 내부 덮개로부터 이격되고, 또한 상기 외부 덮개가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로 선회되는 동안에 상기 내부 덮개에 간섭하여 상기 내부 덮개를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를 향하여 선회시키며, 그 후에 상기 내부 덮개로부터 이격되는 간섭 수단이 배치되고, 상기 외부 덮개의 상기 스커트벽의 내주면 및/또는 상기 천장면벽의 내면에는, 상기 외부 덮개가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로 선회되는 동안에 상기 내부 덮개에 접촉하여 상기 내부 덮개를 상기 폐쇄 위치에 강제하는 압박 수단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 덮개는 상기 배출관의 양측면을 넘어 뻗는 판형 부재이고, 내부 덮개의 내면 중앙부에는 상기 배출구에 맞물리는 시일 링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 덮개의 내면 양측부에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관의 양측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취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내부 덮개가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 선회 이동될 때 그리고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로 선회 이동될 때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수취 돌기를 탄성적으로 넘어가는 것인, 합성 수지로 일체로 성형된 용기 덮개에 있어서,
상기 제2 힌지 수단은, 상기 내부 덮개의 폭방향 중앙부에 있어서 상기 내부 덮개와 상기 배출관을 연결하는 중앙 힌지 부재와 상기 수취 돌기보다 더욱 폭방향 외측 양쪽에 있어서 상기 내부 덮개와 상기 배출관을 연결하는 양측 힌지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덮개가 제공된다.
상기 배출관에는, 그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그리고 양측방으로 연장되는 연장 부재가 부설되어 있고, 상기 수취 돌기는 상기 연장 부재 상에 배치되며, 상기 중앙 힌지 부재 및 상기 양측 힌지 부재 각각의 부재 가장자리는 상기 연장 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용기 덮개에 있어서, 제2 힌지 수단은 내부 덮개의 폭방향 중앙부에 있어서 내부 덮개와 배출관을 연결하는 중앙 힌지 부재에 부가하여 수취 돌기보다 더욱 폭방향 외측 양쪽에 있어서 내부 덮개와 배출관을 연결하는 양측 힌지 부재를 포함하고 있고, 양측 힌지 부재의 존재에 의해 중앙 힌지 부재가 비틀어져 버리는 것이 충분히 효과적으로 저지되며, 이렇게 하여 내부 덮개가 비틀림 상태로 되어 버리는 것이 충분히 확실하게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용기 덮개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외부 덮개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용기 덮개를, 외부 덮개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용기 덮개의 본체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용기 덮개의 본체에 있어서의 내부 덮개와 배출관의 상호 관계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5의 (a) 내지 도 5의 (d)는 도 1에 나타내는 용기 덮개에 있어서, 외부 덮개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개방 이동될 때의 거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의 (a) 내지 도 6의 (d)는 도 1에 나타내는 용기 덮개에 있어서, 외부 덮개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폐쇄 이동될 때의 거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용기 덮개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며 전체를 도면 부호 2로 나타내는 용기 덮개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적절한 합성 수지로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용기 덮개(2)는 본체(4)와 외부 덮개(6)를 포함하고 있다.
본체(4)는, 평면도에 있어서 원형인 상면벽(8)과, 이 상면벽(8)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측벽(10)을 갖는다. 상면벽(8)의 상면 외측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환형 릿지(12; ridge)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환형 릿지(12)의 외주면 하부에는 환형 걸림홈(14)이 형성되어 있다. 환형 릿지(12)의 내주면은 하방을 향하여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 경사져 있다. 상면벽(8)의 하면 외측 둘레 가장자리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원통형 시일 릿지(16)가 형성되어 있다. 측벽(10)의 내주면 상부에는 작은 환형 릿지(18)가 형성되고, 측벽(10)의 내주면 하부에는 환형 걸림 릿지(20)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하면, 본체(4)의 상면벽(8)에는 전체를 도면 부호 22로 나타내는 배출관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배출관(22)은 후술하는 제1 힌지 수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즉 도 1에 있어서 좌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배출관(22)은 기초부(24)와 선단부(26)를 갖는다. 기초부(24)는 대략 수직으로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부(28), 대략 원호형으로 연장되는 뒷벽부(30), 상방을 향하여 반경 방향 내방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앞벽부(32), 및 뒷벽부(30)의 상단 가장자리와 앞벽부(32)의 상단 가장자리 사이에서 전방(즉 도 1에 있어서 좌방)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상벽부(34)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기초부(24)의 앞벽부(32)의 상부에는 원형이어도 좋은 관통 구멍(36)이 형성되어 있다. 배출관(22)의 선단부(26)는, 기초부(24)의 앞벽부(32)의 앞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원통형 돌출 관형부(38)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돌출 관형부(38)의 기초부 가장자리는 관통 구멍(36)을 둘러싸고 있고, 돌출 관형부(38)의 중심 축선은 관통 구멍(36)의 중심 축선과 합치된다. 돌출 관형부(38)의 선단에는 원형 배출구(40)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관(22)의 기초부(24)와 상기 환형 릿지(12) 사이에는 호형(弧形) 받침대(42)가 형성되어 있고, 호형 받침대(42)의 상면은 기초부(24)의 앞벽부(32)의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환형 릿지(12)의 내주면 상단 가장자리까지 전방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져 연장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와 함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배출관(22)의 돌출 관형부(38)의 상면에는, 힌지 수단(44)[제2 힌지 수단을 구성하는 힌지 수단(44)에 대해서는 뒤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함]을 통해 내부 덮개(46)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내부 덮개(46)는 도 1 내지 도 4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개방 위치와 도 1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폐쇄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다[내부 덮개(46)의 이동에 대해서는 뒤에 더 언급함]. 내부 덮개(46)는 배출관(22)의 돌출 관형부(38)를 넘어 뻗는 가로로 긴 판형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그 상부 가장자리는 원호 형상이다. 내부 덮개(46)의 내면의 폭방향 중앙부에는 원형 시일 링(48)이 형성되어 있다. 시일 링(48)의 외경은 배출관(22)의 돌출 관형부(38)의 선단부 내경과 실질상 동일하며, 내부 덮개(46)가 폐쇄 위치에 있게 되면, 시일 링(48)이 돌출 관형부(38) 내에 감입(嵌入)하여 돌출 관형부(38)의 선단을 밀봉한다. 내부 덮개(46)의 내면의 기초단(즉,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하단) 양측부에는 걸림 돌기(5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걸림 돌기(50)는, 내부 덮개(46)가 개방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최하방에 위치하는 평탄한 걸림면(52)을 갖는다.
도 2와 함께 도 4 및 도 5의 (a)를 참조함으로써 명확하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배출관(22)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그리고 양측방으로 연장되는 연장 부재(53)가 형성되어 있고, 이 연장 부재(53)에는 폭방향(도 4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수취 돌기(54)가 형성되어 있다. 수취 돌기(54)는, 전방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져 있는 것이 적합한 수취면(56)을 갖는다[수취 돌기(54) 및 상기 걸림 돌기(50)의 상세에 대해서는, 상기 특허문헌 2를 참조]. 상기 힌지 수단(44)은 내부 덮개(46)의 기초단과 연장 부재(53)의 선단(도 3 및 도 4에 있어서 상단)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힌지 수단(44)은, 폭방향 중앙부에[따라서, 한 쌍의 수취 돌기(54)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중앙 힌지 부재(44a)와 함께, 한쌍의 수취 돌기(54)보다 폭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양측 힌지 부재(44b)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중앙 힌지 부재(44a) 및 양측 힌지 부재(44b) 각각은 수평으로 일직선 상에 배치된 박육 라인(thin-walled line)을 가지며, 이러한 박육 라인을 선회 중심선으로하여 내부 덮개(46)가 선회 이동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하면, 외부 덮개(6)는 원형 천장면벽(58)과 이 천장면벽(58)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스커트벽(60)을 갖는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스커트벽(60)은 원뿔대 원통형상의 상부(62)와 원통 형상의 하부(64)를 가지고, 스커트벽(60)의 외주면 중간부에는 상방을 향한 환형 어깨면(66)이 형성되어 있다[외부 덮개(6)의 「상하」는 외부 덮개(6)가 도 1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폐쇄 위치로 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상하를 의미함]. 외부 덮개(6)의 스커트벽(60)의 외주면 하단과 상기 본체(4)의 측벽(10) 사이에는 전체를 도면 부호 68로 나타내는 힌지 수단[이 힌지 수단(68)은 제1 힌지 수단을 구성함]이 배치되어 있고, 이러한 힌지 수단(68)을 통해 외부 덮개(6)가 본체(4)에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 덮개(6)는 도 1 및 도 2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개방 위치와 도 1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폐쇄 위치 사이를 선회 이동한다[외부 덮개(6)의 선회 이동에 대해서는 뒤에 더 언급함]. 본체(4)의 측벽(10)이 그 상면으로부터 정해진 깊이까지 환형 또는 원호형 홈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고 힌지 수단(68)이 배치되어 있는 부위에 있어서 적어도 상부가 이중벽 구조인 경우, 힌지 수단(68)은 이중벽 구조의 외측벽부의 상단 가장자리부와 외부 덮개(6)의 스커트벽(60)의 외주면 하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힌지 수단(68) 자체는 주지의 형태이어도 좋으며, 따라서 힌지 수단(68)의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힌지 수단(68)의 정반대측에 있어서, 스커트벽(60)의 외주면 하단에는, 외부 덮개(6)를 선회 이동시킬 때에 손가락을 걸 수 있는 호형 돌출 부재(70)가 형성되어 있다.
스커트벽(60)의 하부(64)의 내주면 하단부에는, 힌지 수단(68)이 존재하는 영역을 제외하고 원호형으로 연장되는 걸림 릿지(72)가 형성되어 있다. 스커트벽(60)의 내주면에는, 또한, 간섭 수단(74)도 배치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간섭 수단(74)은, 힌지 수단(68)의 정반대측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스커트벽(60)의 하부(64)의 내주면으로부터 수평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판형 부재(76)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판형 부재(76)는 상기 걸림 릿지(72)보다 약간 상방에 위치한다. 스커트벽(60)의 내주면에는 압박 수단(78)도 배치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압박 수단(78)은, 힌지 수단(68)의 정반대측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스커트벽(60)의 상부(62)의 내주면 및 천장면벽(58)의 내면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돌출되는 3개의 압박 부재(80)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압박 부재(80)는 실질상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고, 각각의 압박 부재의 돌출된 가장자리부는 하방을 향하여 외측을 향해 경사져 있다. 원한다면, 폭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단일의 광폭 압박 부재로 압박 수단(78)을 구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용기 덮개는, 식용유 혹은 액체 조미료를 수용한 용기(도시하지 않음)의 구경부에 적합하게 적용된다. 용기의 구경부에 용기 덮개(2)를 장착할 때에는, 본체(4)의 측벽(10)과 시일 릿지(16) 사이의 환형 공간에 용기의 구경부의 상단부가 삽입되고, 구경부 내로 진입하는 시일 릿지(16)에 의해 구경부가 밀봉된다.
외부 덮개(6)가 도 1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폐쇄 위치에 위치되어 있을 때에는, 외부 덮개(6)의 스커트벽(60)의 내주면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 릿지(72)가 본체(4)의 환형 릿지(12)의 외주면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14)에 걸리고, 이에 의해 외부 덮개(6)가 폐쇄 위치에서 유지된다. 또한, 외부 덮개(6)가 폐쇄 위치에 위치되어 있을 때에는, 압박 수단(78)이 내부 덮개(46)의 외면[즉 시일 링(48)이 형성되어 있는 면에 대하여 반대측의 면]에 접촉하여 내부 덮개(46)를 폐쇄 위치에 강제하고, 이렇게 하여 배출관(22)의 배출구(40)를 충분히 확실하게 밀봉한다.
용기 덮개(2)가 장착된 용기 내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을 소비할 때에는, 외부 덮개(6)의 스커트벽(6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 부재(70)에 손가락을 걸어 외부 덮개(6)를 도 1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폐쇄 위치로부터 도 1 및 도 2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개방 위치를 향하여 선회 이동시킨다. 도 1과 함께 도 5의 (a) 내지 도 5의 (d)를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하면, 외부 덮개(6)가 도 5의 (a)에 도시하는 위치까지 개방 이동되면, 압박 수단(78)이 내부 덮개(46)의 외면으로부터 충분히 이격되며, 외부 덮개(6)의 스커트벽(6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간섭 수단(74)이 내부 덮개(46)의 내면 양측부에 접촉하여 내부 덮개(46)에 간섭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외부 덮개(6)가 도 5의 (a)에 도시하는 위치로부터 도 5의 (b)를 거쳐 도 5의 (c)에 도시하는 위치까지 개방 이동되면, 외부 덮개(6)의 개방 이동에 따라 개방 이동되는 내부 덮개(46)에 배치되어 있는 걸림 돌기(50)가 배출관(22)에 배치되어 있는 수취 돌기(54)를 탄성적으로 넘어간다(도 4도 참조). 외부 덮개(6)가 도 5의 (d)에 도시하는 위치까지 더 개방 이동될 때에는, 내부 덮개(46)도 이에 따라 더 개방 이동되지만, 외부 덮개(6)가 도 5의 (d)에 도시하는 위치를 넘어 더 개방 이동되면, 외부 덮개(6)의 간섭 수단(74)은 내부 덮개(46)로부터 이격된다. 외부 덮개(6)의 간섭 수단(74)이 내부 덮개(46)로부터 이격되면, 내부 덮개(46)는 탄성적으로 폐쇄 위치를 향하여 폐쇄 이동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지만, 내부 덮개(46)의 걸림 돌기(50)의 걸림면(52)은 배출관(22)에 배치되어 있는 수취 돌기(54)의 수취면(56)에 접촉하고, 이에 의해 내부 덮개(46)의 폐쇄 이동이 저지되어, 내부 덮개(46)는 개방 위치에서 유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덮개(6)를 개방 이동시키면 이에 따라 내부 덮개(46)가 개방 이동되기 때문에, 소비자는 내부 덮개(46) 자체에 손가락을 걸어 이것을 개방 이동시킬 필요 없이, 배출관(22)을 통하여 용기의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내부 덮개(46)의 내면에 내용물 혹은 먼지 등이 부착된 경우, 소비자가 청소포 혹은 종이로 내부 덮개를 닦는 경우가 있다. 이때에는 내부 덮개(46)에 편하중을 가하는 경향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용기 덮개(2)에 있어서는, 내부 덮개(46)를 배출관(22)에 연결하고 있는 힌지 수단(44)이, 폭방향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는 중앙 힌지 부재(44a)와 함께 한 쌍의 수취 돌기(54)보다 폭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양측 힌지 부재(44b)를 포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 덮개(46)에 편하중이 가해져도 내부 덮개(46)의 힌지 수단(44)이 비틀어져 버리는 것이 충분히 확실하게 방지되어, 내부 덮개(46)가 비틀림 상태로 되어 버리는 일이 없다.
내용물의 소비를 종료한 후에는, 외부 덮개(6)를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개방 위치로부터 도 1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폐쇄 위치로 선회 이동시킨다. 도 1과 함께 도 6의 (a) 내지 도 6의 (d)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외부 덮개(6)를 도 6의 (a)에 도시하는 위치까지 폐쇄 이동시키면, 외부 덮개(6)의 스커트벽(60)에 형성되어 있는 간섭 수단(74)이 개방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내부 덮개(46)의 외면에 접촉하여 내부 덮개(46)에 간섭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외부 덮개(6)를 도 6의 (a)에 도시하는 위치로부터 도 6의 (b)에 도시하는 위치까지 폐쇄 이동시키면, 외부 덮개(6)의 폐쇄 이동에 따라 내부 덮개(46)도 폐쇄 이동되어, 내부 덮개(46)에 배치되어 있는 걸림 돌기(50)가 배출관(22)에 배치되어 있는 수취 돌기(54)를 탄성적으로 넘어간다. 외부 덮개(6)가 도 6의 (b)에 도시하는 위치로부터 도 6의 (c)를 거쳐 도 6의 (d)에 도시하는 위치까지 폐쇄 이동되면, 이에 따라 내부 덮개(46)도 폐쇄 이동되어 내부 덮개(46)는 배출관(22)의 배출구(40)를 밀봉하는 폐쇄 위치로 된다. 도 6의 (d)에 도시하는 위치를 넘어 외부 덮개(6)가 더 폐쇄 이동되면, 외부 덮개(6)의 간섭 수단(74)은 내부 덮개(46)로부터 이격된다. 간섭 수단(74)이 내부 덮개(46)로부터 이격되면, 내부 덮개(46)는 탄성적으로 개방 방향으로 선회 이동하는 경향이 있지만, 외부 덮개(6)가 도 1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폐쇄 위치까지 폐쇄 이동되는 동안에, 외부 덮개(6)에 배치되어 있는 압박 수단(78)이 내부 덮개(46)의 외면에 접촉하여 내부 덮개(46)를 폐쇄 위치에 강제한다. 또한, 외부 덮개(6)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 릿지(72)가 본체(4)의 환형 릿지(12)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14)에 걸리고, 이에 의해 외부 덮개(6)가 폐쇄 위치에서 유지된다.
2: 용기 덮개
4: 본체
6: 외부 덮개
8: 본체의 상면벽
10: 본체의 측벽
22: 배출관
44: 힌지 수단(제2 힌지 수단)
44a: 중앙 힌지 부재
44b: 양측 힌지 부재
46: 내부 덮개
48: 시일 링
50: 걸림 돌기
53: 연장 부재
54: 수취 돌기
58: 외부 덮개의 천장면벽
60: 외부 덮개의 스커트벽
68: 힌지 수단(제1 힌지 수단)
74: 간섭 수단
78: 압박 수단

Claims (2)

  1. 상면벽 및 상기 상면벽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측벽을 갖는 본체와, 천장면벽 및 상기 천장면벽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스커트벽을 갖는 외부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덮개의 상기 스커트벽과 상기 본체의 상기 측벽은 제1 힌지 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외부 덮개는 상기 본체의 상기 상면벽을 덮는 폐쇄 위치와 상기 본체의 상기 상면벽을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 사이를 선회 가능하며, 상기 본체의 상기 상면벽에는, 상기 제1 힌지 수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선단에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배출관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관의 상면에는, 상기 배출구를 덮는 폐쇄 위치와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를 선회 가능하게 제2 힌지 수단을 통해 내부 덮개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외부 덮개의 상기 스커트벽의 내주면에는 간섭 수단이 배치되며, 상기 간섭 수단은 상기 외부 덮개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선회되는 동안에 상기 내부 덮개에 간섭하여 상기 내부 덮개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선회 이동시키며, 그 후에 상기 내부 덮개를 넘어가 상기 내부 덮개로부터 이격되고, 또한 상기 외부 덮개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선회되는 동안에 상기 내부 덮개에 간섭하여 상기 내부 덮개를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를 향하여 선회시키며, 그 후에 상기 내부 덮개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외부 덮개의 상기 스커트벽의 내주면, 또는 상기 천장면벽의 내면, 또는 양자 모두에는 상기 외부 덮개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선회되는 동안에 상기 내부 덮개에 접촉하여 상기 내부 덮개를 폐쇄 위치에 강제하는 압박 수단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 덮개는 상기 배출관의 양측면을 넘어 뻗는 판형 부재이고, 내부 덮개의 내면 중앙부에는 상기 배출구에 맞물리는 시일 링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 덮개의 내면 양측부에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관의 양측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취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내부 덮개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선회 이동될 때 그리고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선회 이동될 때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수취 돌기를 탄성적으로 넘어가는 것인, 합성 수지로 일체로 성형된 용기 덮개에 있어서,
    상기 제2 힌지 수단은, 상기 내부 덮개의 폭방향 중앙부에 있어서 상기 내부 덮개와 상기 배출관을 연결하는 중앙 힌지 부재와 상기 수취 돌기보다 더욱 폭방향 외측 양쪽에 있어서 상기 내부 덮개와 상기 배출관을 연결하는 양측 힌지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배출관에는, 그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그리고 양측방으로 연장되는 연장 부재가 부설되어 있고, 상기 수취 돌기는 상기 연장 부재 상에 배치되며, 상기 중앙 힌지 부재 및 상기 양측 힌지 부재 각각의 가장자리는 상기 연장 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것인 용기 덮개.
  2. 삭제
KR1020147011024A 2011-10-31 2011-10-31 용기 덮개 KR1017072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75104 WO2013065111A1 (ja) 2011-10-31 2011-10-31 容器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067A KR20140084067A (ko) 2014-07-04
KR101707285B1 true KR101707285B1 (ko) 2017-02-15

Family

ID=48191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1024A KR101707285B1 (ko) 2011-10-31 2011-10-31 용기 덮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21565B2 (ko)
EP (1) EP2774870B1 (ko)
KR (1) KR101707285B1 (ko)
CN (1) CN103906688B (ko)
WO (1) WO20130651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47425B2 (ja) * 2014-02-20 2018-06-27 株式会社型システム 流量調整でき、液垂れしない注出ノズル付き容器のヒンジキャップ
US9392892B2 (en) * 2014-10-17 2016-07-19 Aegis Global Resources (Hk) Limited Lid assembly and drinking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US10124937B2 (en) * 2015-09-03 2018-11-13 Helen Of Troy Limited Lid assembly for drinking cup with integral hinge mount for cap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2659A (ja) 2000-05-17 2001-11-20 Ajinomoto Co Inc ヒンジ構造に特徴を有する蓋付きキャップ
US20100089861A1 (en) 2008-10-10 2010-04-15 Gunn And Richards, Inc. Container having dual-mode closure assembly
JP2010126191A (ja) * 2008-11-27 2010-06-10 Japan Crown Cork Co Ltd 容器蓋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8916A (en) * 1985-07-12 1987-01-27 Owens-Illinois, Inc. Closure with snap-type hinge cap
CH674502A5 (ko) * 1988-01-26 1990-06-15 Alfatechnic Ag
US4895282A (en) * 1988-08-01 1990-01-23 Owens-Illinois Closure Inc. Dispensing closure with pull tab for enlarging orifice
US5257708A (en) * 1991-02-12 1993-11-02 Createchnic Ag Plastic snap hinge closure
US5489035A (en) * 1994-10-13 1996-02-06 Owens-Illinois Closure Inc. Closure with snap-type hinge cap
JP4402755B2 (ja) * 1998-08-04 2010-01-20 三笠産業株式会社 栓抜き使用の分別回収ヒンジキャップ
JP4471047B2 (ja) * 2000-01-21 2010-06-02 ヱスビー食品株式会社 キャップ
TWI226300B (en) * 2001-01-05 2005-01-11 Sig Technology Ltd A guarantee closure for a liquid or free-flowing material container
US8123065B2 (en) 2004-03-16 2012-02-28 Prescribe Genomics Co. Container with lid
JP4799110B2 (ja) * 2005-09-30 2011-10-26 花王株式会社 キャップ
JP4850012B2 (ja) 2006-09-23 2012-01-11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開閉自在の小蓋を有するヒンジキャップ
CN101821172B (zh) * 2007-08-09 2012-01-25 龟甲万株式会社 具有倾倒突起的塑料帽
US20090107998A1 (en) * 2007-10-25 2009-04-30 Meissen Cynthia R Contai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2659A (ja) 2000-05-17 2001-11-20 Ajinomoto Co Inc ヒンジ構造に特徴を有する蓋付きキャップ
US20100089861A1 (en) 2008-10-10 2010-04-15 Gunn And Richards, Inc. Container having dual-mode closure assembly
JP2010126191A (ja) * 2008-11-27 2010-06-10 Japan Crown Cork Co Ltd 容器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74870B1 (en) 2017-02-15
CN103906688A (zh) 2014-07-02
US9321565B2 (en) 2016-04-26
KR20140084067A (ko) 2014-07-04
EP2774870A1 (en) 2014-09-10
US20140252017A1 (en) 2014-09-11
WO2013065111A1 (ja) 2013-05-10
CN103906688B (zh) 2015-09-16
EP2774870A4 (en) 2015-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0313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JP5188373B2 (ja) 容器蓋
KR101707285B1 (ko) 용기 덮개
JP6238031B2 (ja) 容器
JP5966240B2 (ja) 容器
JP6040236B2 (ja) 安全キャップ
KR101956395B1 (ko) 용기 덮개
JP5650455B2 (ja) 容器蓋
JP4641833B2 (ja) 開閉自在の小蓋を有するヒンジキャップ
TW202400484A (zh) 飲料容器之蓋體總成
JP5358379B2 (ja) 注出キャップ
JP4439958B2 (ja) 開閉自在の小蓋を有するヒンジキャップ
JP7129200B2 (ja) 容器蓋
KR101930645B1 (ko) 개폐 탭 일체 구조의 캡
JP6052766B2 (ja) 液注出容器のキャップ
JP4646118B2 (ja) 開閉自在の小蓋を有するヒンジキャップ
JP5469529B2 (ja) 容器蓋
JP3147286U (ja) 缶容器の密閉用キャップ
JP2008056300A (ja) キャップ
JP3103950U (ja) 容器のスナップオンキャップ
JP2020019505A (ja) 吐出キャップ
JP5220336B2 (ja) 振り出し容器用キャップ
JP2005111133A (ja) パウダー容器
KR20180010411A (ko) 오버캡 폐쇄 인지 구조가 구비된 용기
KR20170137571A (ko)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