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7571A -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캡 - Google Patents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7571A
KR20170137571A KR1020160069939A KR20160069939A KR20170137571A KR 20170137571 A KR20170137571 A KR 20170137571A KR 1020160069939 A KR1020160069939 A KR 1020160069939A KR 20160069939 A KR20160069939 A KR 20160069939A KR 20170137571 A KR20170137571 A KR 20170137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main body
press cap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9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호
김지현
Original Assignee
김선호
김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호, 김지현 filed Critical 김선호
Priority to KR1020160069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7571A/ko
Publication of KR20170137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75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23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and elastically biased towards the closed position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57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made separately from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6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made separately from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and elastically biased towards the closed position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65D47/123Threaded caps with internal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10Details of hinged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수단 및 제 1 배출구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와 결합하고, 일측에는 누름영역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개폐영역이 형성되어 상기 누름영역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개폐영역이 개폐를 수행하는 개폐부; 상기 본체와 상기 개폐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누름영역에 인가된 압력의 해제 시 상기 개폐부가 원위치로 돌아가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누름영역이 상하로 움직이도록 안내하는 경사가이드를 포함하는,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캡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캡{PRESS CAP WITH AUTOMATICALLY CLOSING FUNCTION}
본 발명은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과 같은 용기에는 캡이 구비된다. 캡은 용기의 상부와 결합되어 용기의 주입구를 밀폐함으로써,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용물의 오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캡의 개폐를 수월하게 하기 위해, 원터치 구조로 캡을 누름으로써, 캡의 개폐가 가능하게 하는 기술들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서는 사용자가 개폐부의 열고 닫힘을 개별적인 압력을 가하여 실행해야 하므로, 사용자가 사용 후 개폐부의 닫힘을 실행하지 않고 방치해두는 경우, 먼지의 혼입 등 내용물이 오염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개폐부가 열린 상태에서 용기가 넘어지게 되면, 내용물이 쏟아져 낭패를 보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사용자가 용기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이나, 실수로 병이 넘어지는 찰나에도 자동으로 개폐부의 폐쇄를 수행함으로써, 내용물의 오염이나 엎질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프레스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캡은, 용기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수단 및 제 1 배출구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와 결합하고, 일측에는 누름영역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개폐영역이 형성되어 상기 누름영역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개폐영역이 개폐를 수행하는 개폐부; 상기 본체와 상기 개폐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누름영역에 인가된 압력의 해제 시 상기 개폐부가 원위치로 돌아가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누름영역이 상하로 움직이도록 안내하는 경사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본체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은, 나사산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개폐영역은, 상기 제 1 배출구에 끼워져 상기 제 1 배출구를 차폐시킬수 있게 형성된 차폐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돌기는, 상기 제 1 배출구의 단부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제 1 컷아웃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개폐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 2 배출구를 형성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본체 및 상기 제 1 배출구의 단부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제 2 컷아웃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누름영역은, 상기 경사가이드와 접촉하고, 상기 경사가이드가 안내하는 경사면을 따라 움직이는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의 표면에 제 1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요철부는, 상기 연장부의 이동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복수개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경사가이드의 표면에 상기 연장부의 제 1 요철부와 맞닿아 끼워지는 복수개의 제 2 요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캡에 의하면, 용기의 미사용시, 개폐부의 폐쇄를 항시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동안 방치되는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용기가 넘어져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어 사용자가 낭패를 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경사가이드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개폐를 수행할 시, 개폐부의 상하 이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므로, 안정적인 개폐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캡(1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캡(100)의 개폐 동작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캡(100)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캡(100)의 개폐 동작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캡(200)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캡(200)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캡(200)의 개폐 동작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다른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캡(300)의 평면도 및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캡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캡(1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캡(100)의 개폐 동작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캡(100)은, 본체(110) 및 개폐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대체로 원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체(110)는 용기의 상단과 결합할 수 있다. 이때, 본체(110)는 용기의 주입구의 형태에 따른 모양을 형성할 수 있다.
개폐부(130)는 본체(110)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개폐부(130)는 누름영역(131), 개폐영역(133) 및 배출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10) 및 개폐부(130)는 힌지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누름영역(131)은 개폐부(13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누름영역(131)은 압력이 인가되면 상하로 동작할 수 있다. 힌지부(115)는 누름영역(131)의 상하 동작 시 개폐부(130)를 지지해줄 수 있다. 이때, 누름영역(131)은 압력의 해제 시 원위치로 돌아갈 수 있다.
개폐영역(133)은 개폐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누름영역(131)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개폐영역(133)은 누름영역(131)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개폐영역(133)은 누름영역(131)에 대한 압력의 인가 여부에 따라 개폐가 수행될 수 있다.
배출부(137)는 개폐영역(133)으로부터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배출부(137)는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139)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배출부(137)는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안정적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캡(100)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캡(100)의 개폐 동작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캡(100)은 본체(110), 개폐부(130), 탄성부재(150), 및 경사가이드(1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결합수단(111) 및 제 1 배출구(113)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수단(111)은 본체(110)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수단(111)은 나사산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결합수단(111)은 용기의 주입구 외경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호 이음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배출구(113)는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개폐부(130)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개폐부(130)는 누름영역(131), 개폐영역(133), 및 배출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누름영역(131)은 일측에 연장부(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32)는 본체(110)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132)는 본체(110)와 접촉할 수 있다. 여기서, 연장부(132)는 일측에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개폐영역(133)은 제 1 배출구를 차폐하는 차폐돌기(135)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돌기(135)는 제 1 배출구(113)의 내측 및 외측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배출구는 차폐돌기의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여기서, 차폐돌기(135)는 제 1 배출구(113)의 단부와의 간섭을 방지해주는 제 1 컷아웃부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새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컷아웃부를 구비함으로써, 차폐돌기와 제 1 배출구의 단부의 간섭에 의해 개폐가 타이트해지는 느낌을 감소시켜 줄 수 있다.
배출부(137)는 본체 및 제 1 배출구의 단부와의 간섭을 방지해주는 제 2 컷아웃부를 가질 수 있다. 배출부(137)는 제 2 배출구(139)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배출구(139)는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배출부(137)와 제 1 배출구(113)가 간섭되지 않음으로써, 개폐영역(133)의 개폐가 수월해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탄성부재(150)는 본체(110)와 개폐부(13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150)는 본체(110)와 개폐부(130)의 누름영역(13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탄성부재(l50)는 누름영역(131)에 압력이 인가되면 수축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150)는 압력의 해제 시 개폐부(130)가 원위치로 돌아가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압력이 해제 시 개폐부(130)가 안정되게 수평을 유지하도록 자동으로 폐쇄를 수행함으로써, 용기 내부 내용물의 오염방지와 쏟음방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경사가이드(170)는 본체(110)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경사가이드(170)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가이드(170)는 연장부(132)의 경사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이때, 경사가이드(170)는 연장부(132)가 경사면을 따라 움직이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누름영역(131)의 상하 이동이 보다 수월해 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캡(200)의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캡(200)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캡(200)의 개폐 동작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캡(200)은 본체(210), 개폐부(230), 탄성부재(250), 경사가이드(270)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선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에 대비하여, 결합수단(211)은 본체(21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수단(211)은 나사산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수단(211)의 나사산은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결합수단은 고무나 실리콘 재질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유리 용기가 결합 될 경우, 고무나 실리콘 소재로 된 결합수단(211)이 유리 용기와의 마찰을 줄여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닫힘 기능을 갇는 프레스캡(300)의 평면도 및 부분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연장부(332)는 경사가이드(370)와 맞닿는 표면에 제 1 요철부(332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요철부(332a)는 연장부(332)의 이동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요철부(332a)는 복수개로 배열될 수 있다.
경사가이드(370)는 표면에 제 2 요철부(371)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요철부(371)는 제 1 요철부(332a)와 맞닿아 끼워질 수 있다. 이때, 제 2 요철부(371)는 복수개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 1 요철부(332a)와 제 2 요철부(371)가 상호결합함으로써, 연장부(332)가 상하로 움직이는 경우, 좌우 흔들림을 보완하여 연장부(332)의 움직임을 안정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100, 200, 300 : 프레스캡
110, 210 : 본체
111, 211 : 결합수단
113, 213 : 제 1 배출구
130, 230 : 개폐부 131, 231 : 누름영역
132, 232, 332 : 연장부
332a : 제 1요철부
133, 233 : 개폐영역 135, 235 : 차폐돌기
137, 237 : 배출부 139, 239 : 제 2 배출구
150, 250 : 탄성부재 170, 270, 370 : 경사가이드
371 : 제 2 요철부

Claims (11)

  1. 용기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수단 및 제 1 배출구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와 결합하고, 일측에는 누름영역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개폐영역이 형성되어 상기 누름영역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개폐영역이 개폐를 수행하는 개폐부;
    상기 본체와 상기 개폐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누름영역에 인가된 압력의 해제 시 상기 개폐부가 원위치로 돌아가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누름영역이 상하로 움직이도록 안내하는 경사가이드를 포함하는,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캡.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본체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캡.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나사산의 형태를 갖는,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캡.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영역은,
    상기 제 1 배출구에 끼워져 상기 제 1 배출구를 차폐시킬수 있게 형성된 차폐돌기를 더 포함하는,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캡.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돌기는,
    상기 제 1 배출구의 단부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제 1 컷아웃부를 갖는,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캡.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 2 배출구를 형성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캡.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본체 및 상기 제 1 배출구의 단부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제 2 컷아웃부를 갖는,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캡.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영역은,
    상기 경사가이드와 접촉하고, 상기 경사가이드가 안내하는 경사면을 따라 움직이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캡.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표면에 제 1 요철부가 형성된,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캡.
  10.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요철부는,
    상기 연장부의 이동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복수개로 배열되는,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 캡
  11.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가이드의 표면에 상기 연장부의 제 1 요철부와 맞닿아 끼워지는 복수개의 제 2 요철부를 포함하는,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캡.
KR1020160069939A 2016-06-04 2016-06-04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캡 KR201701375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939A KR20170137571A (ko) 2016-06-04 2016-06-04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939A KR20170137571A (ko) 2016-06-04 2016-06-04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7571A true KR20170137571A (ko) 2017-12-13

Family

ID=60944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9939A KR20170137571A (ko) 2016-06-04 2016-06-04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757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7212B1 (ko) 연결부재가 구비된 마개 분실방지 용기
US4261487A (en) Pour through stopper
KR101845460B1 (ko) 액체 도포 마개
KR20170096151A (ko) 디스펜서
JP2012210953A (ja) 詰め替え容器
US9229370B2 (en) Toner bottle cap and refill mechanism
CN110352166B (zh) 盖的密封结构
KR101861810B1 (ko) 액상 화장품 토출 장치
KR101213019B1 (ko) 립글로즈 용기
EP1595470B1 (en) Cosmetics dispenser container fitment
JP2016088581A (ja) 注出栓
KR20170137571A (ko)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캡
US20180035781A1 (en) Liquid cosmetic case
KR20190042049A (ko) 일종 원터치로 열수 있는 병마개
KR101707285B1 (ko) 용기 덮개
US9272826B2 (en) Closure with lock mechanism for fluid products
KR102293113B1 (ko) 음료 용기의 폐쇄 장치
KR101684846B1 (ko) 밸브구조를 포함한 회전식 온 오프 화장품용기
KR102048769B1 (ko) 컵의 체결캡
JP6157261B2 (ja) ヒンジキャップ
KR102080707B1 (ko) 회전형 화장품 용기
JPH08244822A (ja) 液体容器の口栓装置
KR102036479B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101797126B1 (ko) 액상 화장품 토출 장치
KR101727237B1 (ko) 화장품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