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2049A - 일종 원터치로 열수 있는 병마개 - Google Patents

일종 원터치로 열수 있는 병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2049A
KR20190042049A KR1020197008149A KR20197008149A KR20190042049A KR 20190042049 A KR20190042049 A KR 20190042049A KR 1020197008149 A KR1020197008149 A KR 1020197008149A KR 20197008149 A KR20197008149 A KR 20197008149A KR 20190042049 A KR20190042049 A KR 20190042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cap
rocket
bottle cap
aforementio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8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6673B1 (ko
Inventor
이월군
Original Assignee
크라운피시(상해) 인더스트리얼 씨오.,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라운피시(상해) 인더스트리얼 씨오.,엘티디. filed Critical 크라운피시(상해) 인더스트리얼 씨오.,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90042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2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0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 B65D50/02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 B65D50/04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simultaneous actions, e.g. depressing and turning, lifting and turning, maintaining a part and turning another one
    • B65D50/045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simultaneous actions, e.g. depressing and turning, lifting and turning, maintaining a part and turning another one where one action elastically deforms or deflects at least part of the closure, the container or an intermediate element, e.g. a ring
    • B65D50/046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simultaneous actions, e.g. depressing and turning, lifting and turning, maintaining a part and turning another one where one action elastically deforms or deflects at least part of the closure, the container or an intermediate element, e.g. a ring and such deformation causes the disengagement of locking means, e.g. the release of a pawl-like element from a tooth or abutment, to allow removal of the closure by simultaneous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16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 B65D41/165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with integral internal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16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16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 B65D41/18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non-metallic, e.g. made of paper or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종 원터치로 열수 있는 병마개에 관한 것으로, 병입구와 병마개를 포함하고, 추가로 로케트링, 고정링과 타원형 탄력 스냅링을 포함한다. 로케트링과 고정링은 위에서 아래로 순서에 따라 병마개 내에 설치되고, 로케트링과 고정링 사이에는 그루브가 있다. 탄력 스냅링의 장축 양단은 그루브 내에 위치하고, 아울러 탄력 스냅링의 장축 양단중 일단에는 누름키가 설치되며, 로케트링과 고정링이와 대응하는 누름키의 위치에는 누름키를 수용할 수 있는 캐비티가 설치된다. 누름키는 캐비티 내에서 병마개의 방사 방향을 따라 위치이동을 한다. 병마개의 측벽과 대응하는 캐비티의 위치에는 캐비티를 연결하는 포트가 설치된다. 병입구를 에워싸는 측벽과 대응하는 탄력 스냅링의 위치에는 카드슬롯이 설치된다. 탄력 스냅링의 단축 양단은 카드슬롯 내에 위치하여 병마개과 병입구의 연결을 고정하고, 동시에 누름키가 수시로 눌리우면서 열리면서 카드슬롯을 이탈하여 그루브 내로 들어감으로써, 병마개와 병입구의 연결을 해제한다.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조작이 간편하고 힘을 절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병마개 열기 조작이 안전하고 빠르다.

Description

일종 원터치로 열수 있는 병마개
본 발명은 병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조작이 손쉽고, 안전하고 빠르게 열수 있는 일종 원터치로 열수 있는 병마개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은 매일 물을 마셔야 살아 갈수 있다. 현대사회에 들어선후 빠른 생활 절주로 인해 물을 마시는 사소한 일도 사람들은 극히 간편하고 빠른 방식을 추구한다. 따라서, 다양한 물컵 및 보조장치로 제작되어 편리하게 물을 마실 수 있는 기능성 물마개가 나타나게 되었다.
현재 시중에서 많이 볼수 있는 병마개들로는 대부분 버클타입 혹은 스쿠르타입의 구조이다. 스쿠르타입 구조는 일반적으로 한손으로 병체를 잡은후 다른 한손으로 병마개를 여러바퀴 돌려서 병마개를 열게 되어 있는데 조작이 복잡하고 힘들다. 버클타입 구조는 일반적으로 한손으로 병체를 잡은 후 다른 한손으로 버클 연결을 제껴야 하는데 조작이 힘들고, 게다가 병마개를 여는 순간 병속의 액체가 튕기면서 낭비는 물론, 병마개를 따는 순간 발생하는 비교적 큰 반작용 힘은 손가락을 다치게 하기 쉬워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KR 20-0172664 Y1 (2000.04.01.)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최소한 일종 구조가 간단하고, 조작이 손쉬우며, 마개를 안전하고 빠르게 열수 있는 일종 원터치로 열수 있는 병마개를 제공함을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일종 원터치로 열수 있는 병마개를 구성하되, 병입구와 병마개를 포함하고, 추가로 로케트링, 고정링과 타원형 스냅링을 포함하며, 전술한 로케트링과 고정링은 위에서 아래의 순서에 따라 전술한 병마개 내에 설치된다. 전술한 로케트링과 전술한 고정링 사이에는 그루브가 있고, 전술한 스냅링의 장축 양단은 전술한 그루브 내에 위치하고, 전술한 스냅링의 장축 양단중 일단에는 누름키가 설치된다. 전술한 로케트링과 고정링이 대응하는 전술한 누름키의 위치에는 전술한 누름키를 수용할 수 있는 캐비티가 설치되고, 전술한 누름키는 전술한 캐비티 내에서 전술한 병마개의 방사방향으로 위치이동을 한다. 전술한 병마개의 측벽과 대응하는 전술한 캐비티의 위치에는 전술한 캐비티를 연결하는 포트가 설치된다. 전술한 병입구을 에워싸는 측벽에서 전술한 스냅링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카드슬롯이 설치된다. 전술한 스냅링의 단축 양단은 전술한 카드슬롯 내에 위치하여 전술한 병마개와 전술한 병입구의 연결을 고정하고, 동시에 전술한 누름키(7)가 수시로 눌리움과 함께 벌어지면서 전술한 카드슬롯(12)을 이탈하여 전술한 그루브(13) 내로 들어감으로써, 전술한 병마개와 전술한 병입구의 연결을 해제한다.
진일보하게, 전술한 병마개에는 바텀과 고리형 측벽을 포함하고, 전술한 고리형 측벽은 전술한 바텀에 고정되며, 전술한 고리형 측벽의 내벽과 바텀의 내표면은 캐비티를 둘러싼다.
진일보하게, 전술한 로케트링은 전술한 고리형 측벽의 내벽에 고정되고, 전술한 로케트링은 바텀의 단면과 전술한 바텀의 내표면에서 접합된다.
진일보하게, 전술한 고정링은 전술한 고리형 측벽의 내벽에 고정되고, 전술한 고정링은 바텀으로부터 떨어져 있으며, 고정링의 끝단과 고리형 측벽의 끝단은 동일평면에 있다.
진일보하게, 전술한 로케트링 내에는 전술한 병입구의 당단이 전술한 병마개 내의 바텀을 누르는 탄력 개스킷이 설치된다.
진일보하게, 전술한 탄력 개스킷은 원형으로, 전술한 탄력 개스킷을 전술한 로케트링의 내벽에 고정하고, 전술한 탄력 개스킷은 전술한 바텀의 단면과 바텀의 내표면에서 접합된다.
진일보하게, 전술한 병입구의 상면 바깥 가장자리는 둥근모서리 또는 모따기로 이루어진다.
진일보하게, 전술한 탄력 개스킷은 고리형 실리콘 패드이다.
진일보하게, 전술한 스냅링의 장축은 전술한 누름키의 일단에서 떨어져 수직으로 고정되어 돌출되고, 전술한 로케트링의 하단과 대응되는 전술한 고정 돌출 위치에는 고정 그루브가 설치되며, 전술한 고정돌기는 전술한 고정 그루브 내로 삽입된다.
진일보하게, 전술한 고정돌기와 전술한 고정그루브는 모두 여러개이고, 여러개의 전술한 고정돌기는 전술한 스냅링의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여러개의 전술한 고정그루브는 전술한 로케트링의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여러개의 전술한 고정돌기와 여러개의 전술한 고정그루브는 일일히 대응 설치되고, 매 한개의 전술한 고정돌기는 해당 고정돌기와 대응되는 고정그루브에 삽입된다.
진일보하게, 전술한 고정돌기와 전술한 스냅링은 일체형으로 성형된다.
진일보하게, 전술한 로케트링과 전술한 병마개의 원주방향 내 측벽은 일체형으로 성형한다.
진일보하게, 전술한 누름키와 전술한 스냅링은 일체형으로 성형된다.
진일보하게, 전술한 스냅링의 하단면은 전술한 병마개 내의 경사면을 향한다.
진일보하게, 전술한 카드슬롯의 하단면은 병마개 외부 아래로 경사된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유익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전술한 병마개와 전술한 병입구를 닫을 경우, 전술한 스냅링의 단축 양단은 전술한 카드슬롯 내에 위치하여 전술한 병마개와 전술한 병입구의 연결을 고정하고, 전술한 병마개를 열어야 할 경우, 전술한 누름키를 눌러 전술한 스냅링의 단축 양단이 눌리움과 함께 벌어지면서 전술한 카드슬롯을 이탈하여 전술한 그루브 내로 들어감으로써, 전술한 병마개와 전술한 병입구의 연결을 해제하여 전술한 병마개를 바로 열수 있다.
전술한 병마개를 다시 닫으려면, 전술한 누름키를 눌러 전술한 스냅링의 단축 양단이 벌어지면서, 전술한 병마개를 전술한 병입구에 다시 닫고, 전술한 누름키를 놓아 전술한 스냅링의 단축 양단이 초기 상태로 회복되어 전술한 카드슬롯에 삽입되면 되는바, 구조가 간단하고, 조작이 손쉬우며, 마개를 안전하고 빠르게 열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로케트링 내에는 전술한 병입구의 당단이 전술한 병마개 내의 바텀을 누르는 탄력 개스킷이 설치되어, 한편으로는 전술한 병마개의 밀봉 신뢰성을 높여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탄력을 이용하여 마개를 열대 전술한 누름키를 눌러 전술한 병마개를 튀어 오르게 하는바, 병마개 열기가 더 편리해졌다.
진일보하게, 전술한 탄력 개스킷은 원형으로, 전술한 탄력 개스킷을 전술한 로케트링의 내벽에 고정하고, 전술한 탄력 개스킷은 전술한 바텀의 단면과 바텀의 내표면에서 접합되고, 탄력 개스킷은 고리형 실리콘 패드로 구성하여 탄력 개스킷의 밀봉 신뢰성과 탄력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진일보하게, 전술한 스냅링의 장축은 전술한 누름키의 일단에서 떨어져 수직으로 고정되어 돌출되고, 전술한 로케트링의 하단과 대응되는 전술한 고정 돌출 위치에는 고정 그루브가 설치되며, 전술한 고정돌기는 전술한 고정 그루브 내로 삽입된다. 따라서 전술한 고정돌기와 전술한 고정그루브의 배합을 이용하고, 전술한 캐비티의 전술한 누름키에 대한 리미트 작용을 결부하여, 협동으로 전술한 스냅링이 전술한 그루브 내에서 회전하면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진일보하게, 전술한 고정돌기와 전술한 고정그루브는 모두 여러개이고, 여러개의 전술한 고정돌기는 전술한 스냅링의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여러개의 전술한 고정그루브는 전술한 로케트링의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여러개의 전술한 고정돌기와 여러개의 전술한 고정그루브는 일일히 대응 설치되고, 매 한개의 전술한 고정돌기는 해당 고정돌기와 대응되는 고정그루브에 삽입된다.
진일보하게, 전술한 고정돌기와 전술한 스냅링은 일체형으로 성형된다.
상술한 진일보한 기술방안에 의해 전술한 고정돌기와 전술한 스냅링의 연결의 신뢰성을 높일수 있다.
진일보하게, 전술한 로케트링과 전술한 병마개의 원주방향 내 측벽은 일체형으로 성형하여, 전술한 병마개와 전술한 로케트링의 일체형 생산 가공에 편리하고, 생산 원가를 줄이고 전술한 병마개의 구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진일보하게, 전술한 누름키와 전술한 스냅링은 일체형으로 성형하여, 생산원가를 낮추고 전술한 누름키와 전술한 스냅링의 연결의 신뢰성을 높일수 있다.
진일보하게, 전술한 스냅링의 하단면은 전술한 병마개 내의 경사면을 향한다. 이처럼 전술한 스냅링 하단면을 경사면으로 이용하여, 전술한 병마개를 전술한 병입구에 다시 닫는 과정에서, 전술한 병입구의 상면은 전술한 스냅링의 하단을 경과할 때 직접 전술한 스냅링을 벌려, 전술한 누름키를 누를 필요 없이 바로 전술한 병마개를 전술한 병입구로 순조롭게 닫을수 있어, 전술한 병마개를 전술한 병입구에 다시 닫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 닫힘 상태의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 닫힘 상태의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 열림 상태의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 열림 상태의 정단면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방안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뿐이며, 따라서 단지 실시예로만 가능하고, 이로써 본 발명의 보호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일종 원터치로 열수 있는 병마개에 관한 것으로, 병입구(11)와 병마개(1)을 포함하고, 추가로 로케트링(3), 고정링(10)과 타원형 스냅링(8)을 포함하며, 로케트링(3)과 고정링(10)은 위에서 아래로의 순서에 따라 병마개(1) 내에 설치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로케트링(3)과 고정링(10) 사이에는 그루브(13)이 형성되고, 스냅링(8)의 장축 양단은 그루브(13) 내에 위치하고, 스냅링(8)의 장축 양단 중 일단에 누름키(7)가 설치된다. 로케트링(3)과 고정링(10)이 대응하는 누름키(7)의 위치에는 누름키(7)을 수용할 수 있는 캐비티(2)가 형성되고, 누름키(7)는 캐비티(2) 내에서 병마개(1)의 방사방향으로 위치이동 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캐비티(2)의 위치에 대응하는 병마개의 측벽에는 캐비티(2)와 이어져 개구되는 포트(100)가 형성된다.
병입구(11)의 측벽에서 스냅링(8)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카드슬롯(12)이 형성된다. 스냅링(8)의 단축 양단은 카드슬롯(12) 내에 위치하여 병마개(1)과 병입구(11)의 연결을 고정하고, 동시에 전술한 누름키(7)를 누르면 스냅링(8)의 단축이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전술한 카드슬롯(12)을 이탈하여 그루브(13) 내로 들어감으로써, 병마개(1)과 병입구(11)의 연결을 해제한다.
병마개(1)과 병입구(11)을 닫을 경우, 스냅링(8)의 단축 양단은 카드슬롯(12) 내에 위치하여 병마개(1)과 병입구(11)의 연결을 고정하고, 병마개(1)을 열어야 할 경우, 누름키(7)을 눌러 스냅링(8)의 단축 양단이 벌어지면서 카드슬롯(12)를 이탈하여 그루브(13) 내로 들어가게 함으로써, 병마개(1)과 병입구(11)의 연결을 해제하여 병마개(1)을 바로 열수 있다. 병마개(1)을 다시 닫으려면, 직접 병마개(1)을 병입구(11)에 다시 닫으면 된다. 병마개(1)을 병입구(11)에 다시 닫는 과정에서, 병입구(11)의 상면은 스냅링(8)의 하단에 형성된 경사면(9)과 접할 때 직접 스냅링(8)을 눌러 벌어지게 되므로, 누름키(7)를 누를 필요가 없이 바로 병마개(1)를 순조롭게 병입구(11)에 다시 닫을 수 있다. 따라서 구조가 간단하고, 조작이 손쉬우며, 병마개를 여닫는 과정이 안전하고 편리하다.
구체적으로, 병마개(1)의 외부 윤곽은 원주모양이고, 병마개(1)에는 바텀과 고리형 측벽을 포함하며, 고리형 측벽은 바텀에 고정된다. 고리형 측벽의 내벽과 바텀의 내표면은 원주형 캐비티를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로케트링(3)과 고정링(10)은 각각 둥근 고리모양이고, 로케트링(3)은 고리형 측벽의 내표면에 고정되며, 로케트링(3)은 바텀의 단면과 바텀의 내표면에 접합된다. 고정링(10)은 고리형 측벽의 내표면에 고정되고, 고정링(10)은 바텀으로부터 떨어져 있으며, 전술한 고리형 측벽의 끝단과 고정링(10)의 저면은 동일평면에 있도록 구성되며, 병마개(1)의 축방향을 따라, 로케트링(3)과 고정링(10) 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로케트링(3)과 고정링(10) 사이에는 그루브(13)가 형성된다.
그 중, 병마개(1)를 병입구(11)에 닫을 때, 로케트링(3)과 고정링(10)의 내벽은 각각 병입구(11)의 외벽과 긴밀히 밀착됨으로써 밀봉 효과를 증가시킨다.
로케트링(3)의 일측 외표면 아래에는 캐비티(2)가 형성되고, 로케트링(3)의 캐비티(2)는 누름키(7)를 수용하여 바텀의 단부로 향한다. 고정링(10)의 외표면 위에는 캐비티(2)가 설치되고, 고정링(10)의 캐비티(2)는 누름키(7)을 수용하여 바텀의 단부와 떨어져 있으며, 고리형 측벽에는 포트(100)가 설치된다. 포트(100)의 설치와 로케트링(3) 아래의 캐비티(2)와 고정링(10) 위의 캐비티(2)는 서로 대응되어, 이로써 로케트링(3) 아래의 캐비티(2)와 고정링(10) 위의 캐비티(2), 누름키(7)가 포트(100)에 설치되도록 하고, 아울러 누름키(7)는 병마개(1)의 방사방향을 따라 캐비티(2) 안에서 드나들 수 있다.
병마개(1)를 열어야 할 경우, 누름키(7)을 눌러 스냅링(8)의 단축 양단이 벌어지면서 카드슬롯(12)를 이탈하여 그루브(13) 내로 들어가게 함으로써, 병마개(1)와 병입구(11)의 연결을 해제하여 병마개(1)을 바로 열 수 있다. 병마개(1)를 여는 과정에서, 캐비티(2)는 제한 작용을 하여, 누름키(7)가 캐비티와 접촉되는 위치로 이동하면, 스냅링(8)의 단축 양단이 바로 카드슬롯(12)를 이탈하게 되어, 병마개(1)의 정확하고 확실한 탈착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포트(100)와 캐비티(2)는 가이드 작용을 할 수 있는바, 누름키(7)가 이동할 경우, 누름키(7)는 포트(100)와 캐비티(2)로 형성된 통로의 궤도를 따라 이동하게 되어, 스냅링(8)을 이끌어 사전 설정 궤적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하므로 스냅링(8)이 이동하면서 궤적을 이탈함에 따른 병마개1을 열기 힘든 상황을 피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로케트링(3) 내측에 병입구(11)의 상면이 병마개(1) 내를 누르는 바텀 위의 탄력 개스킷(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력 개스킷(5)은 둥근 고리모양이고, 탄력 개스킷(5)는 로케트링(3)의 내벽에 설치되며, 아울러 탄력 개스킷(5)는 바텀의 단면과 바텀의 내표면을 따라 접합된다.
선택적으로, 병입구(11)의 상면의 외부 변두리 가장자리는 둥근모서리 또는 모따기로 이루어져, 병마개(1)가 병입구(11)에 닫힌 후 병입구(11)가 탄력 개스킷(5) 위를 누를 수 있게 설계하여, 둥근모서리 또는 모따기를 하는 것은 밀봉량을 강화하여 밀봉 성능을 높일 수 있다.
탄력 개스킷(5)를 이용하면, 한편으로는 전술한 병마개(1)의 밀봉의 신뢰성을 보장하여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전술한 누름키(7)를 눌러 마개를 열 때, 탄력에 의해 전술한 병마개1가 튀어 오르게 하여, 마개를 더 손쉽게 열수 있게 한다.
선택적으로, 탄력 개스킷(5)는 고리형 실리콘 패드이다. 이는 탄력 개스킷(5)의 밀봉의 신뢰성과 탄력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스냅링(8)의 장축은, 누름키(7)와 떨어진 일단은 수직 상부로 고정돌기(6)가 설치되고, 로케트링(3)의 하단은 고정돌기(6)의 위치와 대응되게 고정그루브(4)가 설치되어 고정돌기(6)가 고정그루브(4) 내로 삽입되게 한다.
고정돌기(6)과 고정그루브(4)의 배합을 이용하여, 캐비티(2)의 누름키(7)에 대한 리미트 작용을 결부하여, 협동으로 스냅링(8)이 그루브(13) 내에서 회전하면서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6)와 고정그루브(4)는 한 개 일수 있고, 여러 개일 수도 있다. 오직 고정돌기(6)과 고정그루브(4)가 일일이 대응되게 설치하기만 하면 된다.
고정돌기(6)과 고정그루브(4)가 여러 개일 경우, 여러 개의 고정돌기(6)는 스냅링(8)의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여러개의 고정그루브4는 로케트링(3)의 축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여러개의 고정돌기(6)과 여러개의 고정그루브(4)는 일일히 대응되게 설치된다. 매개 고정돌기(6)가 해당 고정돌기(6)의 대응하는 고정그루브(4)에 삽입된다. 여러개의 고정돌기(6)과 고정그루브(4)를 통해, 스냅링의 제한 작용을 강화할 수 있고, 진일보하게 스냅링(8)이 그루브(13) 내에서 회전하면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돌기(6)과 스냅링(8)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고정 연결되고, 연결 방식은 접착 또는 고정 부품을 통한 연결중 임의의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고정돌기(6)과 스냅링(8)은 일체형으로 성형된다. 이는 고정돌기(6)과 스냅링(8)의 연결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다.
로케트링(3)과 병마개(1)의 원주방향 내 측벽은 고정 연결되고, 연결 방식은 접착 또는 고정 부품을 통한 연결중 임의의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로케트링(3)과 병마개(1)의 원주방향 내 측벽은 일체형으로 성형된다. 이는 병마개(1)과 로케트링(3)의 일체형 생산 가공에 편리하고, 생산원가를 절감함은 물론, 병마개(1)의 구조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누름키(7)과 스냅링(8)은 고정 연결되고, 연결 방식은 접착 또는 고정 부품을 통한 연결중 임의의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누름키(7)과 스냅링(8)은 일체형으로 성형된다. 이는 생산원가를 절감함은 물론, 누름키(7)과 스냅링(8)의 연결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누름키(7)의 형상은 장방형이고, 병마개(1)을 여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엄지손가락과 식지는 고리형을 형성하면서 병마개(1)의 측벽을 감싼다. 이때, 사용자의 엄지는 병마개(1)측벽의 축방향 외부 윤곽을 따라 기본상 장방형을 이루는데, 누름키(7)의 형상을 장방형으로 설정하면, 사용자 엄지로 병마개(1)을 누르는데 편리하여, 병마개(1)을 여는 편리성을 높일수 있다.
선택적으로, 스냅링(8)의 하단면은 병마개(1) 내의 경사면(9)를 향한다.
스냅링(8)의 하단면을 경사면(9)으로 이용하고, 병마개(1)을 전술한 병입구(11)에 다시 닫는 과정에서, 병입구(11)의 상단이 스냅링(8)의 하단을 경과할 때 직접 스냅링(8)을 벌리므로, 전술한 누름키(7)를 누를 필요 없이 바로 병마개(1)을 순조롭게 전술한 병입구(11)에 닫을수 있어, 병마개(1)를 병입구(11)에 다시 닫는데 편리하다.
선택적으로, 카드슬롯(12)의 하단면은 병마개(1) 외부에서 아래로 경사지고, 카드슬롯(12)의 하단면은 스냅링(8)의 하단면과 접착되어, 스냅링(8)이 카드슬롯(12)을 드나드는 과정이 더 매끄러울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로케트링(3) 내에 병입구(11)의 상단이 병마개(1) 내 바텀을 누르는 탄력 개스킷(5)을 설치한다. 탄력 개스킷(5)는 고리형 실리콘 패드이고, 스냅링(8)의 장축은 누름키(7)의 일단과 떨어져 수직 상부로 고정돌기(6)이 형성되고, 로케트링(3)의 하단에서 고정돌기(6)과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그루브(4)가 설치된다. 고정돌기(6)는 고정그루브(4) 내에 삽입되고, 고정돌기(6)와 스냅링(8)은 일체형으로 성형되며, 로케트링(3)과 병마개(1)의 원주방향 내 측벽은 일체형으로 성형되고, 누름키(7)과 스냅링(8)은 일체형으로 성형되며, 스냅링(8)의 하단면은 병마개(1) 내의 경사면(9)를 향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종 원터치로 열수 있는 병마개는 최소한 다음과 같은 사용 방식이 있다. 도3과 도4와 같이, 병마개(1)가 병입구(11)에 닫혔을 때, 스냅링(8)의 단축 양단은 카드슬롯(12) 내에 위치하여 병마개(1)과 병입구(11)의 연결을 고정한다. 도5와 도6과 같이, 병마개(1)를 열어야 할 경우, 누름키(7)를 눌러 스냅링(8)의 단축 양단이 벌어지면서 카드슬롯(12)를 이탈하여 그루브(13) 내로 들어가게 함으로써, 병마개(1)과 병입구(11)의 연결을 해제하여 병마개(1)을 바로 열수 있다. 도2, 도3과 도4와 같이, 병마개(1)을 다시 닫으려면, 직접 병마개(1)을 병입구(11)에 다시 닫으면 된다. 병마개(1)을 병입구(11)에 다시 닫는 과정에서, 병입구(11)의 상단이 스냅링(8)의 하단의 경사면(9)를 경과할 때 스냅링(8)이 직접 열리면서, 누름키(7)를 누를 필요 없이 바로 병마개(1)를 순조롭게 병입구(11)에 닫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일종 원터치로 열수 있는 병마개는, 조작이 손쉬우며, 마개를 안전하고 빠르게 열수 있는 외에, 생산원가가 저렴하고, 구조의 신뢰성이 높아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병마개 2:캐비티 3:로케트링 4:고정그루브
5:탄력 개스킷
6:고정돌기 7:누름키 8:스냅링
9:경사면 10:고정링
11:병입구 12:카드슬롯 13:그루브 100:포트

Claims (15)

  1. 병입구(11)와 병마개(1)을 포함하는 일종 원터치로 열수 있는 병마개에 있어서,
    상기 병마개(1)는 로케트링(3), 고정링(10)과 타원형 스냅링(8)을 포함하고, 상기 로케트링(3)과 고정링(10)은 위에서 아래로의 순서에 따라 병마개(1) 내측에 설치되며,
    전술한 로케트링(3)과 전술한 고정링(10)의 사이에는 그루브(13)가 형성되며,
    전술한 스냅링(8)의 장축 양단은 전술한 그루브(13) 내에 위치하고, 전술한 스냅링(8)의 장축 양단중 일단에는 누름키(7)가 설치되며,
    전술한 로케트링(3)과 고정링(10)이 대응하는 전술한 누름키(7)의 위치에는 누름키(7)를 수용할 수 있는 캐비티(2)가 설치되고,
    전술한 누름키(7)는 전술한 캐비티(2) 내에 구성되어 전술한 병마개(1)의 방사방향으로 위치이동하며,
    전술한 캐비티(2)의 위치에 대응하는 병마개의 측벽에는 캐비티(2)와 이어져 개구되는 포트(100)가 형성되며,
    전술한 병입구(11)의 측벽에서 스냅링(8)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카드슬롯(12)이 형성되며,
    스냅링(8)의 단축 양단은 카드슬롯(12) 내에 위치하여 병마개(1)과 병입구(11)의 연결을 고정하고, 전술한 누름키(7)를 누르면 스냅링(8)의 단축이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전술한 카드슬롯(12)을 이탈하여 그루브(13) 내로 들어감으로써 전술한 병마개(1)과 병입구(11)의 연결을 해제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 원터치로 열수 있는 병마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병마개(1)는 바텀과 고리형 측벽을 포함하고, 전술한 고리형 측벽은 전술한 바텀에 고정되며, 전술한 고리형 측벽의 내벽과 바텀의 내표면은 상기 캐비티(2)를 둘러싸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 원터치로 열수 있는 병마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로케트링(3)은 전술한 고리형 측벽의 내벽에 고정되고, 전술한 로케트링(3)은 바텀의 단면과 전술한 바텀의 내표면으로 접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 원터치로 열수 있는 병마개.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전술한 고정링(10)은 전술한 고리형 측벽의 내벽에 고정되고, 전술한 고정링(10)은 바텀으로부터 떨어져 있으며, 전술한 고리형 측벽의 끝단과 고정링(10)의 저면은 동일평면에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 원터치로 열수 있는 병마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전술한 로케트링(3) 내에는 전술한 병입구(11)의 상단이 전술한 병마개(1) 내 바텀을 누르는 탄력 개스킷(5)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 원터치로 열수 있는 병마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전술한 탄력 개스킷(5)은 둥근 고리모양이고, 전술한 탄력 개스킷(5)은 전술한 로케트링(3)의 내벽에 고정되며, 전술한 탄력 개스킷(5)은 전술한 바텀의 단면과 바텀의 내표면으로 접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 원터치로 열수 있는 병마개.
  7. 청구항 5 또는 6에 있어서,
    전술한 병입구(11)의 상면의 외부 변두리 가장자리는 둥근모서리 또는 모따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 원터치로 열수 있는 병마개.
  8. 청구항 5 또는 6에 있어서,
    전술한 탄력 개스킷(5)은 고리형 실리콘 패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 원터치로 열수 있는 병마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스냅링(8)의 장축은 전술한 누름키(7)의 일단과 떨어져 수직 상부에 고정돌기(6)가 설치되고, 전술한 로케트링(3)의 하단에서 전술한 고정돌기(6)와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그루브(4)가 설치되며, 전술한 고정돌기(6)는 전술한 고정그루브(4)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 원터치로 열수 있는 병마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전술한 고정돌기(6)와 전술한 고정그루브(4)는 모두 여러개이고, 여러개의 전술한 고정돌기(6)는 전술한 스냅링(8)의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여러개의 전술한 고정그루브(4)는 전술한 로케트링(3)의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여러개의 전술한 고정돌기(6)와 여러개의 전술한 고정그루브(4)은 일일히 대응하게 설치되고, 매개 전술한 고정돌기(6)는 해당 고정돌기(6)와 대응하는 고정그루브(4)에 삽입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 원터치로 열수 있는 병마개.
  11. 청구항 9 또는 10에 있어서,
    전술한 고정돌기(6)와 전술한 스냅링(8)은 일체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 원터치로 열수 있는 병마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로케트링(3)과 전술한 병마개(1)의 원주방향 내 측벽은 일체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 원터치로 열수 있는 병마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누름키(7)와 전술한 스냅링(8)은 일체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 원터치로 열수 있는 병마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스냅링(8)의 하단면은 전술한 병마개(1) 내의 경사면(9)을 향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 원터치로 열수 있는 병마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전술한 카드슬롯(12)의 하단면은 병마개(1) 외부에서 아래로 경사지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 원터치로 열수 있는 병마개.
KR1020197008149A 2017-08-21 2018-08-17 일종 원터치로 열수 있는 병마개 KR1022066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720300.0A CN107380691B (zh) 2017-08-21 2017-08-21 一种一键开启的瓶盖
CN201710720300.0 2017-08-21
PCT/CN2018/101074 WO2019037663A1 (zh) 2017-08-21 2018-08-17 一种一键开启的瓶盖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049A true KR20190042049A (ko) 2019-04-23
KR102206673B1 KR102206673B1 (ko) 2021-01-21

Family

ID=60352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8149A KR102206673B1 (ko) 2017-08-21 2018-08-17 일종 원터치로 열수 있는 병마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001418B2 (ko)
EP (1) EP3674228B1 (ko)
JP (1) JP6713582B2 (ko)
KR (1) KR102206673B1 (ko)
CN (1) CN107380691B (ko)
AU (1) AU2018320552B2 (ko)
CA (1) CA3073619C (ko)
WO (1) WO20190376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80691B (zh) 2017-08-21 2020-08-21 小丑鱼(上海)实业有限公司 一种一键开启的瓶盖
KR102376546B1 (ko) * 2021-05-26 2022-03-17 김기철 용기 캡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5688U (ja) * 1991-07-17 1993-05-1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キヤツプ付き容器
KR200172664Y1 (ko) 1997-11-03 2000-04-01 권영철 실리콘 병마개
JP2012086862A (ja) * 2010-10-19 2012-05-10 Yoshida Industry Co Ltd キャップ付き容器
JP2012086861A (ja) * 2010-10-19 2012-05-10 Yoshida Industry Co Ltd キャップ付き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0683A (en) * 1972-02-10 1974-06-28 A Jasinski Spray can safety cap
JPS5411236Y2 (ko) * 1973-05-08 1979-05-22
US3995765A (en) * 1974-12-18 1976-12-07 Vca Corporation Safety closure for containers
FR2340868A1 (fr) * 1976-02-13 1977-09-09 Utilisation Ration Gaz Dispositif d'accrochage d'un appareil d'utilisation sur une tete de valve
JPH0417498Y2 (ko) * 1985-11-27 1992-04-20
FR2593145B1 (fr) * 1986-01-17 1989-01-06 Oreal Recipient comprenant un col et un capuchon amovible.
FR2645125B1 (fr) * 1989-03-28 1991-07-26 Simon Patrick Dispositif de fermeture etanche pour recipients et procede pour sa fabrication
US5577624A (en) * 1995-06-03 1996-11-26 Mcneil-Ppc, Inc. Child resistant easy open closure mechanism
US5941402A (en) * 1997-06-24 1999-08-24 Kerr Child-resistant closure and container apparatus
JP4498510B2 (ja) * 1999-11-22 2010-07-07 大成化工株式会社 流体容器に間欠排出能力を付与するストッパー機構
DE10207204A1 (de) * 2001-04-05 2002-12-12 Alpla Werke Kombination aus einer Flasche mit rastgehaltertem Adapter und/oder einer Verschlusskappe
JP4144208B2 (ja) * 2001-10-15 2008-09-03 Nok株式会社 ガスケット及び密封構造
JP2004250101A (ja) * 2002-08-13 2004-09-09 Imekkusu Kk 容器
DE202005007586U1 (de) * 2005-05-13 2005-08-04 Rösler, Peter Behälter mit Rastverschluss
US8100288B2 (en) * 2006-09-06 2012-01-24 Csp Technologies, Inc. Non-round moisture-tight re-sealable containers with round sealing surfaces
JP4770691B2 (ja) * 2006-10-13 2011-09-14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ケースの嵌合構造
JP5368934B2 (ja) * 2009-10-21 2013-12-18 紀伊産業株式会社 ヒンジキャップ
WO2011062211A1 (ja) * 2009-11-20 2011-05-26 吉田プラ工業株式会社 キャップ付き容器
JP5789101B2 (ja) * 2011-01-28 2015-10-07 株式会社三輝 詰替えボトル装置
US9387976B2 (en) * 2012-08-09 2016-07-12 S.C. Johnson & Son, Inc. Carrier assemblies for portable dispensers
JP6057178B2 (ja) 2013-10-11 2017-01-11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接続箱
US10457474B2 (en) * 2016-01-26 2019-10-29 T Graziano Product Development LLC Individual pill dispenser
EP3936457A1 (en) * 2016-12-22 2022-01-12 Unilever IP Holdings B.V. A fitment for combining with a closure
US10448726B2 (en) * 2017-06-09 2019-10-22 Libo Cosmetics Co., Ltd. Cosmetic container
CN207141810U (zh) * 2017-08-21 2018-03-27 小丑鱼(上海)实业有限公司 一种一键开启的瓶盖
CN107380691B (zh) * 2017-08-21 2020-08-21 小丑鱼(上海)实业有限公司 一种一键开启的瓶盖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5688U (ja) * 1991-07-17 1993-05-1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キヤツプ付き容器
KR200172664Y1 (ko) 1997-11-03 2000-04-01 권영철 실리콘 병마개
JP2012086862A (ja) * 2010-10-19 2012-05-10 Yoshida Industry Co Ltd キャップ付き容器
JP2012086861A (ja) * 2010-10-19 2012-05-10 Yoshida Industry Co Ltd キャップ付き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8320552B2 (en) 2022-12-08
CN107380691B (zh) 2020-08-21
EP3674228A4 (en) 2021-05-26
CA3073619C (en) 2023-02-28
WO2019037663A1 (zh) 2019-02-28
EP3674228A1 (en) 2020-07-01
CA3073619A1 (en) 2019-02-28
JP6713582B2 (ja) 2020-06-24
CN107380691A (zh) 2017-11-24
JP2019531982A (ja) 2019-11-07
EP3674228B1 (en) 2022-04-20
US20190233174A1 (en) 2019-08-01
US11001418B2 (en) 2021-05-11
AU2018320552A1 (en) 2020-04-09
KR102206673B1 (ko) 202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59235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4943506B2 (ja) 閉鎖具およびそれを有する容器
KR101528024B1 (ko) 음료용기의 마개체
JP3205180U (ja) 容器の蓋体構造
KR102191472B1 (ko)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KR20190042049A (ko) 일종 원터치로 열수 있는 병마개
JP6509783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KR20140115535A (ko)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
JP6716448B2 (ja) 抽出容器
KR101373638B1 (ko) 원터치 방식의 기능성 컵 마개
JP6831265B2 (ja) 抽出キャップ
KR20180004415A (ko) 저장용기
JP2544728Y2 (ja) 容 器
KR20150103668A (ko) 여행용 머그컵 뚜껑
JP2003292004A (ja) 注出キャップ
KR102444634B1 (ko) 물병 뚜껑
JP3195450U (ja) 飲料容器の栓体
JP3226157U (ja) 飲料容器
JP2575719Y2 (ja) 液体容器の栓
JP5874371B2 (ja) 液体容器
KR200151097Y1 (ko) 액체용기용 뚜껑
JPH0424825Y2 (ko)
KR200327600Y1 (ko) 음식물 보관용기의 사각커버
JP2019123519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2023108540A (ja) 容器の蓋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