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3113B1 - 음료 용기의 폐쇄 장치 - Google Patents

음료 용기의 폐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3113B1
KR102293113B1 KR1020207032444A KR20207032444A KR102293113B1 KR 102293113 B1 KR102293113 B1 KR 102293113B1 KR 1020207032444 A KR1020207032444 A KR 1020207032444A KR 20207032444 A KR20207032444 A KR 20207032444A KR 102293113 B1 KR102293113 B1 KR 102293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ure
guide
closure body
lid
flow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2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3806A (ko
Inventor
사이먼 지겐탈러
Original Assignee
에스비트 콤파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비트 콤파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스비트 콤파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133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3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 B65D47/2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a rotational or helicoidal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 B65D47/2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a rotational or helicoidal movement
    • B65D47/265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a rotational or helicoidal movement between plana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06Upper closure
    • B65D2251/0025Upper closure of the 47-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46Drinking-through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쇄 본체(14) 및 폐쇄 덮개(15)를 포함하는 음료 용기의 폐쇄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폐쇄 덮개(15)는 유동 상태와 밀봉 상태 사이에서 폐쇄 본체(14)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폐쇄 본체(14)의 액체 채널(16)은 유동 상태에서 해제되고, 밀봉 상태는 차단된다. 가이드 장치(17, 18, 19, 20, 21, 35)가 폐쇄 덮개(15)와 폐쇄 본체(1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장치는 밀봉 상태 및 유동 상태를 정의하는 2 개의 바람직한 위치(21, 35)를 갖는다. 폐쇄 덮개(15)와 폐쇄 본체(14) 사이의 회전가능한 장착부는 나사식 장착부(30, 31)의 형태이다.

Description

음료 용기의 폐쇄 장치
본 발명은 음료 용기의 폐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폐쇄 장치는 폐쇄 본체 및 폐쇄 덮개를 포함하고, 이 폐쇄 덮개는 유동 상태와 밀봉 상태 사이에서 폐쇄 본체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다. 폐쇄 본체의 액체 통로는 유동 상태에서는 자유로운 통과가 가능하고, 밀봉 상태에서는 폐쇄된다.
음료 용기의 폐쇄 장치는 다수의 기능적 구성요소를 구비한 복잡한 구조이고, 직관적인 취급을 어렵게 만드는 복잡한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조작이 간단하고 세정이 용이한 음료 용기의 폐쇄 장치를 제시한다는 목적에 기초한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유리한 실시형태는 종속 청구항에 명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폐쇄 장치는 폐쇄 덮개와 폐쇄 본체 사이에 가이드 장치를 가지며, 이 가이드 장치는 밀봉 상태 및 유동 상태를 한정하는 바람직한 제 1 위치 및 바람직한 제 2 위치를 포함한다. 폐쇄 덮개와 폐쇄 본체 사이의 회전가능한 장착부는 나사식 장착부의 형태이다.
폐쇄가능한 음료 용기는 2 가지 필수 사용 상태를 가지고 있으며, 하나의 상태에서는 용기가 밀봉식으로 폐쇄되어 있고, 다른 상태에서는 액체가 용기로부터 흘러나올 수 있다. 상기 2 가지 상태는 폐쇄 덮개가 회전될 때 이 폐쇄 덮개의 2 개의 바람직한 위치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폐쇄 장치의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다.
먼저 몇 가지 용어를 설명한다. 폐쇄 본체는 음료 용기의 하부에 끼워지고 이것으로 그 하부의 개구부를 밀봉할 수 있는 폐쇄 장치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액체 통로 및/또는 공기 덕트가 폐쇄 본체에 형성될 수 있다.
폐쇄 덮개는 폐쇄 본체와 상호작용하는 폐쇄 장치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여기서 폐쇄 덮개는 폐쇄 본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폐쇄 덮개는 밀봉 상태에서 폐쇄 본체의 하나 이상의 통로를 밀봉식으로 폐쇄할 수 있고, 유동 상태에서 액체가 음료 용기로부터 흘러나올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통로를 노출시킬 수 있다. 음료 용기는 사용자가 음료 용기로부터 직접 마실 수 있도록 입에 위치할 수 있다. 액체를 음료 용기로부터 다른 용기에 따르는 것도 가능하다.
밀봉 상태 및 유동 상태는 각각 폐쇄 덮개와 폐쇄 본체 사이의 각도 위치 또는 상기 각도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각도 범위에 대응할 수 있다. 밀봉 상태에 대해 설정되는 각도 위치는 유동 상태에 대해 설정되는 각도 위치 1/2 회전 미만, 예를 들면 1/4 회전일 수 있다.
가이드 장치는 폐쇄 덮개와 폐쇄 본체 사이의 하나 이상의 각도 위치를 구별하고, 사용자가 동일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메커니즘을 지칭한다. 식별가능하게 되는 이러한 각도 위치는 바람직한 위치로 지칭된다. 바람직한 제 1 위치 및 바람직한 제 2 위치는 각각 밀봉 상태 또는 유동 상태에 대하여 설정되는 각도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위치는 촉각 수단에 의해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람직한 위치를 벗어날 때의 회전 저항이 바람직한 위치에 도달할 때의 회전 저항보다 클 수 있다.
가이드 장치는 밀봉 상태와 유동 상태 사이의 작동 경로에서 폐쇄 덮개의 가이드 요소가 폐쇄 본체의 가이드 요소와 맞물리는 슬라이딩 가이드의 형태일 수 있다. 가이드 장치는 폐쇄 덮개와 폐쇄 본체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에 대해 미리 결정된 마찰력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 마찰력에 대해 바람직한 위치가 정의된다. 마찰력은 밀봉 상태와 유동 상태 사이의 작동 경로의 전체에 걸쳐 일정할 수 있다. 이는 작동 경로의 두 이동방향에 모두에 해당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바람직한 위치는 작동 경로에 속하지 않는다.
가이드 장치는 작동 경로로부터 바람직한 제 1 위치 및/또는 바람직한 제 2 위치로의 전이 중에 더 작아지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작동 경로로부터 멀어지는 쪽에서 바람직한 제 1 위치 및/또는 바람직한 제 2 위치는 가이드 장치의 정지부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이 정지부는 가이드 정지부로서 또는 단부 정지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단부 정지부는 증가된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폐쇄 덮개와 폐쇄 본체 사이의 추가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한다. 가이드 정지부는 증가된 힘에 의해 극복될 수 있다. 가이드 정지부는 양쪽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이것은 작동 경로의 반대 방향으로 바람직한 위치를 벗어날 때와 작동 경로의 반대 방향으로 바람직한 위치로 접근할 때의 둘 모두에서 증가된 힘에 의해 극복될 수 있다. 가이드 정지부를 극복하여 바람직한 위치를 극복하면 이동 경로를 개방할 수 있고, 이것을 따라 폐쇄 덮개를 폐쇄 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유동 상태에 대응하는 바람직한 위치는 가이드 정지부에 의해 제한되고, 밀봉 상태에 대응하는 바람직한 위치는 단부 정지부에 의해 제한된다.
가이드 정지부는, 예를 들면, 보다 낮은 높이 및/또는 완만한 측면을 가진 볼록한 만곡 형태일 수 있고, 단부 정지부는, 예를 들면, 보다 큰 높이 및/또는 연부를 가진 볼록한 만곡 형태일 수 있다.
가이드 장치는 바람직한 위치로부터 작동 경로로의 전이 중에 증가된 저항을 극복해야 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증가된 저항을 극복하는데 필요한 힘은 가이드 정지부를 극복하는데 필요한 힘보다 작을 수 있다.
가이드 장치의 제 1 가이드 요소는 폐쇄 덮개의 회전축에 동심인 가이드 표면의 형태일 수 있다. 가이드 표면의 섹션은 작동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제 1 위치 및/또는 바람직한 제 2 위치는 가이드 표면에 대해 후퇴된 섹션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정지부는 가이드 표면에 대해 돌출하는 섹션의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가이드 표면은 폐쇄 본체 상에 배치된다.
가이드 표면은 폐쇄 덮개의 회전축에 대해 원주방향의 표면일 수 있다. 가이드 표면은 회전축에 동심인 2 개의 원을 따르는 섹션 내로 연장될 수 있다. 2 개의 원의 반경은 섹션 내에서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원의 반경은 상이한 섹션에서 상이한 값을 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위치는 가이드 표면의 후퇴 섹션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후퇴 섹션은 제 2 가이드 요소를 향하는 가이드 표면의 일측 상에서 오목한 만곡부일 수 있고, 이 만곡부의 단면은 연속적일 수 있고, 즉 완만한 측면을 가질 수 있고, 및/또는 불연속적일 수 있고, 즉 각도 프로파일(angular profile)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바람직한 제 1 위치와 바람직한 제 2 위치의 둘 모두는 가이드 표면의 후퇴 섹션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제 2 가이드 요소는 가이드 본체의 형태일 수 있고, 가이드 본체는 가이드 표면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이 상호작용은 가이드 본체의 슬라이딩 표면을 통해 일어날 수 있으며, 슬라이딩 표면은 전적으로 또는 서브섹션을 통해 가이드 표면과 접촉할 수 있다. 슬라이딩 표면은 슬라이딩 표면의 제 1 서브섹션을 통해 회전축에 동심으로 만곡되거나 평평한 가이드 표면과 접촉할 수 있다. 슬라이딩 표면의 제 2 서브섹션은 회전 경로를 따라 회전 방향으로 및/또는 회전 방향의 반대로 제 1 서브섹션에 연속적으로 인접할 수 있고, 여기서 슬라이딩 표면과 제 2 서브섹션의 평평하거나 동심으로 만곡된 가이드 표면 사이의 거리는 제 1 서브섹션으로부터의 거리가 회전 경로를 따라 증가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회전 경로를 따라 슬라이딩 표면을 통과하는 횡단면은, 예를 들면, V 형상 또는 Y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정지부의 볼록한 만곡부는 가이드 본체의 슬라이딩 표면의 제 2 서브섹션과 접촉할 수 있으며, 가이드 정지부의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접촉 영역이 제 2 서브섹션으로부터 제 1 서브섹션으로 변위될 수 있다.
폐쇄 덮개와 폐쇄 본체 사이의 회전가능한 장착부는 나사식 장착부의 형태이다. 수나사산은 폐쇄 덮개 또는 폐쇄 본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나사는 오른손 나사 또는 왼손 나사일 수 있고,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나사는 오른손 나사이다. 밀봉 상태의 바람직한 위치로부터 유동 상태의 바람직한 위치로의 회전은 폐쇄 본체에 대한 폐쇄 덮개의 나사풀림 또는 나사체결을 의미할 수 있고,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밀봉 상태로부터 유동 상태로의 회전은 나사풀림을 의미한다.
나사 피치의 치수는 가이드 장치가 360° 이하의 회전 각도로 축방향으로 분리되는 방식으로 치수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나사체결 중에, 가이드 본체는 축방향으로 오프셋된 방식으로 단부 정지부를 통과할 수 있고, 완전한 회전 후에는 단부 정지부에 맞대기될 수 있다.
폐쇄 덮개의 밀봉 요소는 밀봉 상태에서 폐쇄 본체의 하나 이상의 개구부 상에 밀봉 방식으로 놓일 수 있고, 유동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축방향 거리는 나사식 장착부 또는 다른 방식으로 회전 운동과 축방향 운동을 결합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밀봉 요소는, 예를 들면, 실리콘이나 고무로 구성될 수 있다. 2 구성요소 사출 성형 프로세스에서 밀봉 요소와 함께 폐쇄 덮개를 제조할 수 있다면 유리하다. 이는, 예를 들면, 밀봉 요소로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를 사용하면 가능하다. 폐쇄 본체는 또한 사출 성형 부품일 수 있다. 따라서 폐쇄 장치는 전체적으로 2 개의 사출 성현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폐쇄 본체의 개구부는 공기 통로 및 액체 통로에 속할 수 있으며, 공기 통로는 액체 통로를 통하여 음료 용기로부터 액체를 따를 때 압력을 균등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폐쇄 본체의 밀봉 요소는 유동 상태에서 회전축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폐쇄 본체 내의 하나 이상의 개구부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밀봉 요소는 유동 상태에서 액체 통로와 공기 통로로부터 그리고 회로 경로를 따라 액체 통로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다.
폐쇄 덮개는 폐쇄 본체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분리 후에, 폐쇄 장치는 2 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리는, 예를 들면, 폐쇄 장치의 세정을 용이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분리 작업은, 예를 들면, 폐쇄 덮개를 당김으로써 바람직하게는 폐쇄 덮개를 작동 경로로부터 회전시킴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액체 통로 및/또는 공기 통로는 폐쇄 본체의 상측의 단부 표면 내로 개방될 수 있고; 폐쇄 본체의 상측은 음료 용기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지칭한다. 단부 표면은 만곡될 수 있고, 및/또는 경사 배향을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단부 표면은 평평하고, 폐쇄 덮개와 폐쇄 본체 사이에서 회전축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폐쇄 덮개는 단부 표면에 맞춰진 밀봉 요소를 가질 수 있고, 밀봉 상태에서 밀봉 요소는 단부 표면의 통로 개구부를 밀봉하고 폐쇄 본체에 대하여 폐쇄 덮개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단부 표면은 폐쇄 본체의 상측의 임의의 원하는 섹션을 점유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단부 표면은 가이드 장치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반경방향 배치의 이점은 폐쇄 덮개의 장착부의 먼 쪽에 있는 축방향 영역의 통로 개구부를 위한 충분한 영역을 확보하는 것에 있고; 또한 회전 경로를 따라 반경방향으로 위치하는 개구부는, 예를 들면, 밀봉 요소에 의해 덮이고 다시 노출될 수 있다.
폐쇄 본체의 가이드 요소는 단부 표면의 축방향 높이에 또는 단부 표면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폐쇄 본체의 가이드 요소는 단부 표면에 대해 축방향으로 오프셋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가이드 요소는 단부 표면에 대해 축방향으로 후퇴되고, 이는 폐쇄 본체의 하측 방향으로의 변위에 해당한다.
폐쇄 본체 및 폐쇄 덮개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음료 용기를 구비한 폐쇄 장치의 사용 중에 정기적으로 액체에 의해 젖게 되는 표면은 매끈하게 폴리싱될 수 있고, 영향을 받는 표면은, 예를 들면, 폐쇄 본체의 하측 및 통로의 내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폐쇄 장치는 음료 용기의 하부에 연결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폐쇄 장치는 이 폐쇄 장치와 음료 용기의 하부 사이에 액밀 폐쇄를 생성할 수 있는 밀봉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는 액체를 수용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부는 개구부가 상방을 향하는 컵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폐쇄 장치는 이 폐쇄 장치가 나사식 연결부를 통해 하부에 연결될 수 있도록 나사식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하부 및 이러한 폐쇄 장치를 포함하는 음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음료 용기는 특히 커피 컵 형태의 음료 용기일 수 있다. 폐쇄 덮개가 유동 상태에 있는 경우, 폐쇄 덮개의 컷아웃은, 액체 통로로부터의 음용이 실행될 수 있도록, 액체 통로의 개구부와 정렬된다. 동시에, 음료 용기의 내부의 음압을 방지하도록 공기가 공기 통로를 통해 음료 용기의 내부로 들어간다. 폐쇄 본체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벽은 음료 용기를 입에 위치시킬 수 있는 주입구의 역할을 한다. 밀봉 상태에서, 폐쇄 덮개는 액체 통로 및 공기 통로를 밀봉한다. 음료 용기는 이 음료 용기가 넘어져도 액체가 나오지 않도록 전체적으로 밀봉되어 있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유리한 실시형태를 사용하여 이하에서 예로서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쇄 본체를 위로부터의 사시도로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쇄 본체를 아래로부터의 사시도로 도시하고;
도 3은 도 1의 폐쇄 본체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4는 도 2의 폐쇄 덮개의 저면도를 도시하고;
도 5는 도 1의 폐쇄 본체를 아래로부터의 사시도로 도시하고;
도 6은 도 2의 폐쇄 덮개를 위로부터의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폐쇄 본체(14)는 그 하측에서 밀봉 플랜지(27)를 통해 음료 용기의 하부(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폐쇄 본체의 외벽(28)은 그 끝이 음료 용기의 외벽과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 폐쇄 본체(14)의 중앙에는 폐쇄 덮개(15)(도 2)의 하측의 수나사(31)에 맞춰지는 암나사(30)이 있다.
폐쇄 본체(14)의 상측에는 평평한 단부 표면(26)이 있고, 이 단부 표면(26)의 외측은 외벽(28)이 그리고 내측은 중앙 함몰부가 경계를 이룬다. 단부 표면(26)은 폐쇄 본체(14)와 폐쇄 덮개(15)(도 2) 사이의 장착부의 회전축(29)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액체 통로(16) 및 공기 통로(25)의 입구에 대응하는 2 개의 개구부를 갖는다.
단부 표면(26)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회전축(29)에 동심인 가이드 표면(18)이 중앙 함몰부 내에 형성되어 있다. 높이가 낮고 측면이 완만한 가이드 표면(18)의 볼록한 만곡부가 가이드 정지부(19)를 형성한다. 높이가 더 높고 각도 프로파일을 갖는 가이드 표면(18)의 볼록한 만곡부는 단부 정지부(20)를 형성한다. 2 개의 오목한 만곡부는 후퇴 섹션의 형태로 가이드 표면(18)의 바람직한 제 1 위치(21) 및 바람직한 제 2 위치(35)를 형성한다. 가이드 장치의 작동 경로가 바람직한 제 1 위치(21)와 바람직한 제 2 위치(35) 사이에 연장된다.
도 2는 나사식 장착부(30, 31)를 통해 폐쇄 본체(14)에 연결될 수 있는 폐쇄 덮개(15)를 도시한다. 유동 상태에서, 폐쇄 덮개(15)의 컷아웃(32)은 폐쇄 본체(14)의 액체 통로(16) 위에 놓인다. 그러면 가이드 본체는 슬라이딩 표면의 제 1 섹션(22)을 통해 가이드 표면(18)의 후퇴 섹션(21)과 접촉하고, 동시에 제 2 서브섹션(23)을 통해 가이드 정지부(19)와 접촉할 수 있고; 폐쇄 덮개(15)를 가이드 정지부(19)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슬라이딩 표면의 서브섹션(22)이 가이드 정지부(19)와 접촉하고, 회전축(29)의 방향으로 가이드 본체를 반경방향으로 지지하여 국부적으로 증가된 회전 저항을 유발한다.
바람직한 제 1 위치(21) 또는 바람직한 제 2 위치(35)로부터 작동 경로로의 전이 중에 약간 증가한 회전 저항을 극복해야 한다 약간 증가된 회전 저항은 가이드 정지부(19)를 극복할 때 극복해야 할 회전 저항보다 작다. 회전축(29)으로부터 가이드 표면(18)의 거리는 가이드 요소(17)의 브레이싱(bracing) 및 관련된 회전 저항이 작동 경로 내에서 더 작아지도록 작동 경로의 외부에서 치수가 결정될 수 있다.
도 3은 폐쇄 본체(14)의 상측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이 폐쇄 장치는 폐쇄 본체(14)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폐쇄 덮개(15)의 1/4 회전에 의해 밀봉 상태로부터 유동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다음에 폐쇄 덮개(15)의 컷아웃(32)은 도면의 좌반부에서 단부 표면(26) 위에 놓이고; 밀봉 요소(24)는 액체 통로(16) 및 공기 통로(25)의 입구 위에 놓이고; 폐쇄 덮개(15)의 가이드 본체는 슬라이딩 표면의 제 1 서브섹션(22)을 통해 가이드 표면(18)의 후퇴 섹션(21)과 접촉하고 단부 정지부(20)와 측방으로 맞대어진다.
도 4의 폐쇄 덮개(15)의 하부 평면도는 가이드 본체 상의 슬라이딩 표면의 서브섹션(22, 23)의 위치를 명확히 한다. 슬라이딩 표면은 회전축(29)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가이드 본체의 면 상에 높이며, 프로파일은 역 Y자와 유사하다. 이 프로파일은 도면의 지면에 수직인 슬라이딩 표면에 걸쳐 있다.
음료 용기를 향하는 폐쇄 본체(14)의 하측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폐쇄 본체(14)는 밀봉 플랜지(27)와 외벽(28)에 의해 한정되며; 액체 통로(16)의 후방 입구, 가이드 표면(18)의 후면(37) 및 암나사(30)의 소켓(36)이 내부에서 보인다. 폐쇄 본체(14)의 하측의 내면은 음료 용기 상에서 폐쇄 본체(14)를 사용하는 동안에 액체에 의해 정기적으로 적셔진다. 불순물의 축적 및 변색을 줄이기 위해, 이 내면을 매끈하게 폴리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폐쇄 덮개(15)의 상측에는 폐쇄 본체(14)에 대한 회전을 용이하게 하도록 그립(33)이 제공되어 있다.

Claims (14)

  1. 폐쇄 본체(14) 및 폐쇄 덮개(15)를 갖는 음료 용기의 폐쇄 장치로서,
    상기 폐쇄 덮개(15)는 유동 상태와 밀봉 상태 사이에서 상기 폐쇄 본체(14)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폐쇄 본체(14)의 액체 통로(16)는 상기 유동 상태에서는 개방되어 있고, 상기 밀봉 상태에서는 폐쇄되어 있고, 상기 폐쇄 덮개(15)와 상기 폐쇄 본체(14) 사이에는 가이드 장치(17, 18, 19, 20, 21, 35)가 있고, 상기 가이드 장치는 상기 밀봉 상태 및 상기 유동 상태를 한정하는 2 개의 위치(21, 35)를 포함하며, 상기 폐쇄 덮개(15)와 상기 폐쇄 본체(14) 사이의 회전가능한 장착부는 나사식 장착부(30, 31)의 형태이고, 나사 피치는 가이드 장치(17, 18, 19, 20, 21, 35)가 360° 이하의 회전 각도에 의해 축방향으로 분리되도록, 치수가 결정되고,
    상기 가이드 장치(17, 18, 19, 20, 21, 35)는 상기 밀봉 상태와 상기 유동 상태 사이에서 작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고, 가이드 요소(17)가 제1 위치(21)에 있을 때 액체 통로(16)가 유동 상태가 되고, 상기 가이드 요소(17)가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제2 위치(35)에 있을 때 액체 통로(16)는 패쇄 상태가 되고, 상기 가이드 요소(17)를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함에 따라 상기 폐쇄 덮개(15)와 상기 폐쇄 본체(14)는 분리되는, 음료 용기의 폐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21, 35)에의 도달 및 상기 위치(21, 35)로부터의 이탈 중 적어도 하나는 촉각 수단에 의해 식별될 수 있는, 음료 용기의 폐쇄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치(17, 18, 19, 20, 21, 35)는 슬라이딩 가이드의 형태이며, 상기 폐쇄 덮개(15)의 가이드 요소(17)는 상기 밀봉 상태와 상기 유동 상태 사이에서 작동 경로 상에서 상기 폐쇄 본체(14)의 가이드 요소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음료 용기의 폐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위치(21)는 극복될 수 있는 가이드 정지부(19)에 인접해 있거나,
    제 2 위치(35)는 단부 정지부(20)에 인접해 있거나,
    제 1 위치(21)는 극복될 수 있는 가이드 정지부(19)에 인접해 있으면서 제 2 위치(35)는 단부 정지부(20)에 인접해 있는, 음료 용기의 폐쇄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가이드 요소는 가이드 표면(18)의 형태이고, 상기 가이드 표면은 원주방향의 표면이고, 하나 이상의 각도 섹션에서 각각의 경우에 상기 폐쇄 덮개의 회전축(29)에 동심인 2 개의 원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음료 용기의 폐쇄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21) 및 상기 제 2 위치(35)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가이드 표면(18)의 후퇴 섹션에 의해 한정되는, 음료 용기의 폐쇄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치는 상기 가이드 표면(18)과 상호작용하는 가이드 본체를 포함하는, 음료 용기의 폐쇄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본체는, 슬라이딩 표면의 제 1 서브섹션(22)을 통해, 상기 폐쇄 덮개의 회전축(29)에 동심으로 만곡되거나 평평한 가이드 표면(18)과 접촉할 수 있는 상기 슬라이딩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표면과 상기 가이드 표면(18) 사이의 거리는 상기 슬라이딩 표면의 제 2 서브섹션(23)에서 회전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증가되고, 상기 슬라이딩 표면은 상기 제 2 서브섹션(23)을 통해 가이드 정지부(19)와 접촉할 수 있는, 음료 용기의 폐쇄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덮개(15)의 밀봉 요소(24)는 상기 유동 상태에서 상기 폐쇄 본체(14)의 공기 통로(25)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거나,
    상기 폐쇄 덮개(15)의 밀봉 요소(24)는 상기 유동 상태에서 상기 액체 통로(16)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거나,
    상기 폐쇄 덮개(15)의 밀봉 요소(24)가 상기 유동 상태에서 상기 폐쇄 본체(14)의 공기 통로(25)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으면서, 상기 폐쇄 덮개(15)의 밀봉 요소(24)는 상기 유동 상태에서 상기 액체 통로(16)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음료 용기의 폐쇄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덮개(15)는 상기 폐쇄 본체(14)로부터 완전히 분리가능한, 음료 용기의 폐쇄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통로(16) 및 상기 폐쇄 본체(14)의 공기 통로(25)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폐쇄 덮개의 회전축(29)에 수직으로 배향된 단부 표면(26) 내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폐쇄 덮개(15)는 상기 단부 표면(26)에 맞춰지는 밀봉 요소(24)를 갖는, 음료 용기의 폐쇄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표면(26)은 상기 가이드 장치(17, 18, 19, 20, 21, 35)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음료 용기의 폐쇄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본체의 가이드 요소(17)는 상기 단부 표면(26)에 대해 축방향으로 후퇴되어 있는, 음료 용기의 폐쇄 장치.
  14. 삭제
KR1020207032444A 2018-04-16 2019-04-10 음료 용기의 폐쇄 장치 KR1022931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8102047.1 2018-04-16
DE202018102047.1U DE202018102047U1 (de) 2018-04-16 2018-04-16 Verschlusseinrichtung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PCT/EP2019/059019 WO2019201691A1 (de) 2018-04-16 2019-04-10 Verschlusseinrichtung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3806A KR20200133806A (ko) 2020-11-30
KR102293113B1 true KR102293113B1 (ko) 2021-08-24

Family

ID=66165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2444A KR102293113B1 (ko) 2018-04-16 2019-04-10 음료 용기의 폐쇄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246434B2 (ko)
EP (1) EP3781000B1 (ko)
JP (1) JP6962525B2 (ko)
KR (1) KR102293113B1 (ko)
CN (1) CN112040815A (ko)
AR (1) AR115055A1 (ko)
DE (1) DE202018102047U1 (ko)
WO (1) WO20192016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41518B1 (pl) * 2020-10-11 2022-10-17 Reend Spolka Z Ograniczona Odpowiedzialnoscia Mechanizm do otwierania i ponownego zamykania otworu do opróżniania pojemnika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877Y1 (ko) * 2003-02-28 2003-06-28 김화식 머그컵
JP2004123172A (ja) * 2002-10-02 2004-04-22 Gifu Plast Ind Co Ltd 蓋付き容器
US20110174830A1 (en) * 2010-01-21 2011-07-21 Yi-Chia Liao Drinking cup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7108103D0 (pt) * 1971-12-07 1973-04-26 Brasil Ind Termica Sistema para fechamento hermetico de garrafas termicas e similares
DE2548199C2 (de) * 1975-10-28 1984-05-30 Dr. Anso Zimmermann Isolierflaschen, 6434 Niederaula Schraubverschluß für Isolierkannen
US4190173A (en) * 1978-02-14 1980-02-26 Flambeau Products Corporation Beverage container
DE3433354A1 (de) * 1984-09-11 1986-03-13 Rotpunkt Dr. Anso Zimmermann, 6434 Niederaula Isolierkanne oder -flasche mit einem ein verschlussglied tragenden verschlussschieber
EP0196198A1 (en) 1985-03-20 1986-10-01 Laura Kirke Drinking vessel
US5294014A (en) 1992-10-16 1994-03-15 Aladdin Synergetics, Inc. Container closure arrangement
DE4305601C2 (de) * 1993-02-24 1998-07-23 Helmut Scheffler Drehverschluß für Flaschen und Behälter
US5477979A (en) * 1994-03-04 1995-12-26 Quick Point, Inc. Beverage mug with removable closure
US5680951A (en) * 1995-08-07 1997-10-28 Feltman, Iii; Charles H. Flow control cover for a cup
US20100133227A1 (en) * 2000-08-31 2010-06-03 Ver Hage Richard P Removable cap assembly
US6732875B2 (en) * 2001-08-06 2004-05-11 Solo Cup Company Reclosable container lid
US6736295B2 (en) * 2002-05-13 2004-05-18 Shin-Shuoh Lin High flow carafe
WO2005068312A1 (en) * 2004-01-13 2005-07-28 Bound2B B.V. Device for sealing food product containers and food product container provided with such a device
JP4658559B2 (ja) 2004-02-04 2011-03-23 子淵 沈 容器
WO2010003259A1 (de) * 2009-02-09 2010-01-14 Pi-Design Ag Verschluss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DE102009002726B3 (de) * 2009-04-29 2010-07-08 Kunststofftechnik Waidhofen An Der Thaya Gmbh Wiederverschließbarer Verschluss sowie Getränkedose und Getränkekarton
US20110198352A1 (en) * 2010-02-17 2011-08-18 Lown John M Carafe with a 360 degree pouring capability
US8640904B2 (en) * 2012-02-22 2014-02-04 Zak Designs, Inc. Flow control valve for dispensing a source of fluid
JP6118520B2 (ja) 2012-07-31 2017-04-1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塗布容器
JP5457523B2 (ja) * 2012-08-02 2014-04-02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容器の栓体
US9540151B2 (en) * 2015-03-06 2017-01-10 Berlin Packaging, Llc Twist closure for opening and closing containers
US9745110B2 (en) * 2015-09-23 2017-08-29 Ignite Usa, Llc 360° pour beverage container
US20180050849A1 (en) * 2016-08-22 2018-02-22 Sorry Robots, LLC Travel Cup
CN107874548A (zh) * 2016-09-30 2018-04-06 徐柏青 一种磁吸式自动封口杯盖
US10683147B2 (en) * 2017-10-13 2020-06-16 Pacific Market International, Llc Beverage container lid with adjustable flow rat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3172A (ja) * 2002-10-02 2004-04-22 Gifu Plast Ind Co Ltd 蓋付き容器
KR200317877Y1 (ko) * 2003-02-28 2003-06-28 김화식 머그컵
US20110174830A1 (en) * 2010-01-21 2011-07-21 Yi-Chia Liao Drinking cu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77173A1 (en) 2021-06-17
EP3781000B1 (de) 2023-12-20
AR115055A1 (es) 2020-11-25
WO2019201691A1 (de) 2019-10-24
JP6962525B2 (ja) 2021-11-05
CN112040815A (zh) 2020-12-04
US11246434B2 (en) 2022-02-15
EP3781000A1 (de) 2021-02-24
KR20200133806A (ko) 2020-11-30
DE202018102047U1 (de) 2019-07-18
JP2021510658A (ja) 2021-04-30
EP3781000C0 (de) 2023-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83430B1 (en) Sealing mechanism for beverage container
US11718455B2 (en) Closure and lid and method of forming closure and lid
JP7128300B2 (ja) 飲料容器の蓋アセンブリ
US4241855A (en) Flow controlling pouring spout
US8459510B2 (en) Dispenser assembly
CN101052571B (zh) 儿童防护性分配封闭物、包装和制造方法
US7500585B2 (en) Fluid-storing container
US7147126B2 (en) Cup assembly
US8528756B2 (en) Leakproof closure sealing system for baby bottle
US5890628A (en) Dispensing lid assembly for a container
CA2462586A1 (en) Liquid dispensing closure
EP2424785B1 (en) Toggle-action dispensing closure with articulated rear flange
JP6804518B2 (ja) キャップ用の一体ヒンジマウントを具える、コップ用の蓋組立体
US20100108701A1 (en) Splash-resistant drinking device
KR102293113B1 (ko) 음료 용기의 폐쇄 장치
WO2007136499A1 (en) Dispensing closure, closure and container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e
JPH072500B2 (ja) 液体容器
JP2008207867A (ja) 注出用口栓
US6932248B2 (en) Dispensing cap for liquid container
US20020074366A1 (en) Vented fluid container closure
JP6393071B2 (ja) 携帯飲料容器
KR101930645B1 (ko) 개폐 탭 일체 구조의 캡
EP1466835A2 (en) Stopcock with pushbutton for carafes and the like
WO2017127056A1 (en) Lid for a drink cup
JPS622157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