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8769B1 - 컵의 체결캡 - Google Patents

컵의 체결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8769B1
KR102048769B1 KR1020180100134A KR20180100134A KR102048769B1 KR 102048769 B1 KR102048769 B1 KR 102048769B1 KR 1020180100134 A KR1020180100134 A KR 1020180100134A KR 20180100134 A KR20180100134 A KR 20180100134A KR 102048769 B1 KR102048769 B1 KR 102048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auxiliary
main
cup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0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신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00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7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 B65D47/2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linear movement
    • B65D47/28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linear movement between plana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컵의 체결캡에 관한 기술로 컵본체의 상부에 체결되는 메인캡;
상기 메인캡과 결합하는 보조캡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체결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메인캡의 상부에 구성한 레일상부가이드와 슬라이드되도록 구성하는 상기 보조캡의 하부에 구성된 레일하부가이드;
상기 메인캡에 체결되었을 때에 컵본체에서 내용물이 유출되도록 구성한 유출구;
상기 보조캡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상기 유출구를 개방 및 폐쇄하는 상기 보조캡의 하부에 구성된 유출구 마개;
상기 메인캡의 측면에 구성한 홈부;
상기 홈부와 결합하여 컵본체의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2차 밀봉하는 상기 보조캡의 돌기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의 체결캡에 관한 기술이다.

Description

컵의 체결캡{The closure cap of cup}
본 발명은 음료를 채운 용기를 이동하면서 보관하기 쉽고 마시기에도 용이한 컵의 체결컵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배경이 되는 기술로써 음료수 컵 커버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캡이 음료 배출구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음료수 컵 커버(20)는 커버몸체(22), 음료 배출구, 캡(cap)(30), 및 캡 홀더(cap holder)(40)를 구비한다. 커버 몸체(22)는 종이 재질의 컵(5)의 상부 개구를 폐쇄하는 것으로, 컵(5)의 상부 개구의 주변부에 형성된 고리부가 끼워지는 컵 체결부(24)를 구비한다. 커버 몸체(22) 하단부의 컵 체결부(24)에 컵(5)의 고리부(7)가 끼워짐으로써 음료수 컵 커버(20)가 컵(5)에 고정된다.
음료 배출구는 커버 몸체(22)의 상측면 일 측에 형성되며, 음료를 구입한 고객이 이 음료 배출구를 통해 컵(5)에 담긴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 음료 배출구는 커버 몸체(22)의 상측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음료 배출구 돌출부(28)의 중앙에 형성되고, 음료 배출구의 주변에는 음료 배출구의 경계가 되는 내측벽(27)이 구비된다. 캡(30)은 캡 베이스(cap base)(31)와, 캡 베이스(31)로부터 돌출되고 음료 배출구에 삽입 가능한 캡 돌기(32)와, 상기 캡 돌기(32)의 말단부에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 후크(hook)(33)를 구비한다.
캡 베이스(31)는 바깥쪽으로 충분히 확장된다. 구체적으로, 캡 돌기(32)가 음료 배출구에 삽입된 때 캡 베이스(31)의 외주변이 음료 배출구 돌출부(28)의 바깥으로 삐져나오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캡 돌기(32)가 음료 배출구에 삽입된 때 상기 삐져나온 캡 베이스(31)의 외주변을 손가락으로 튕겨서 캡(30)을 음료 배출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고 음료를 마실 수 있다.
상기 캡(30)은 유연하게 휠 수 있는 연결 수단에 의해 커버 몸체(22)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 수단은 주름 호스(wrinkle hose)(35)일 수 있다. 주름 호스(35)의 일 측 단부는 커버 몸체(22)의 상측면과 연결되고, 주름 호스(35)의 타 측 단부는 캡 베이스(31)에 연결된다. 캡 홀더(40)는 음료 배출구보다는 커버 몸체(22)의 중앙부에 가깝게 배치되며, 커버 몸체(22)의 상측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캡 홀더 돌출부(44)와, 상기 캡 홀더 돌출부(44)의 중앙에 상기 캡 돌기가 수용될 수 있게 오목하게 파여진 캡 돌기 수용 홈(41)과, 상기 캡 돌기 수용 홈(41)을 한정하는 내측벽(42)과, 상기 내측벽(42)의 하단부에 상기 후크(33)가 수용될 수 있게 파여진 후크 수용 홈(43)을 구비한다.
캡 홀더(40)를 통하여 컵(5)에 수용된 음료가 유출되어서는 안되므로 캡 돌기 수용 홈(41)과 후크 수용 홈(43)은 개방되지 않게 형성된다.
캡 베이스(31)는 캡 홀더(40)에 대해서도 바깥쪽으로 충분히 확장된다. 구체적으로, 캡 돌기(32)가 캡 돌기 수용 홈(41)에 안치된 때 캡 베이스(31)의 외주변이 캡 홀더 돌출부(44)의 바깥으로 삐져나오도록 구성된다. 이에따라, 캡 돌기(32)가 캡 돌기 수용 홈(41)에 안치된 때 상기 삐져나온 캡 베이스(31)의 외주변을 손가락으로 튕겨서 캡(30)을 캡 홀더(4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여 음료 배출구(26)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몸체(22)와, 음료 배출구 돌출부(28)와, 캡 홀더(40)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캡(30)은 별도의 플라스틱 사출 성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주름 호스(35)를 이용하여 커버 몸체(22)의 상측면과 캡(30)을 연결하여 음료수 컵 커버(20)를 제조할 수 있다. 또는, 커버 몸체(22), 음료 배출구 돌출부(28), 캡 홀더(40), 주름 호스(35), 및 캡(30)이 플라스틱 사출 성형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음료 구매자가 컵(5)을 들고 이동하고자 하면 캡 베이스(31)를 손으로 잡고 캡 돌기(32)를 음료 배출구에 끼워 삽입한다. 그리하면, 후크(33)가 음료 배출구(26) 주변의 내측벽(27)의 하단부보다 아래로 내려와 상기 내측벽(27)의 하단부에 걸리게 되고, 이로써 캡(30)이 음료 배출구에서 빠지지 않게 고정된다.
캡(30)이 음료배출구에 고정된 때 캡 돌기(32)가 상기 내측벽(27)에 밀착되고, 캡 베이스(31)가 음료 배출구(26) 주변의 음료 배출구 돌출부(28)의 상측면(29)에 밀착된다. 이에 의해서, 음료 배출구가 폐쇄되고, 컵(5)에 담긴 액체 음료의 음료 배출구를 통한 유출이 차단되며, 음료 구매자는 음료 유출의 염려 없이 편안하게 컵(5)을 들고 이동할 수 있다.
음료 구매자가 컵(5)에 담긴 음료를 마시고자 할 때에는 음료 배출구 돌출부(28)의 바깥으로 삐져나온 캡 베이스(31)의 외주변을 손가락으로 튕겨 캡(30)을 음료 배출구로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다만, 상기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음료 배출구 돌출부(28)를 손가락으로 잡고 음료 배출구를 약간 벌려 주면서 캡 베이스(31)를 손가락으로 잡고 위로 잡아당겨 캡(30)을 음료 배출구로부터 분리할 수도 있다.
음료수 컵 커버(20)가 탄성 복원성 있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므로 후크(33)에 의해 캡(30)이 음료 배출구에 고정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상기한 동작으로 캡(30)을 음료 배출구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음료 구매자는 캡 베이스(31)를 손가락으로 잡고 캡 돌기(32)를 캡 돌기 수용 홈(41)에 끼워 삽입함으로써 캡 홀더(40)에 고정 안치할 수 있다.
캡(30)이 캡 홀더(40)에 고정된 때 캡 돌기(32)는 캡 돌기 수용 홈(41)에 삽입 수용되고, 후크(33)는 후크 수용 홈(43)에 삽입 수용되며, 캡 베이스(31)는 캡 홀더 돌출부(44)의 상측면(45)에 밀착된다 이로써 음료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음료를 마시는 동안 캡(30)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어 번거롭지 않게 음료를 마실 수 있다
한편, 음료 구매자가 음료 마시기를 중단하고 다시 이동하는 때에는 캡 홀더 돌출부(44)의 바깥으로 삐져나온 캡 베이스(31)의 외주변을 손가락으로 튕겨 캡(30)을 캡 홀더(40)로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캡 홀더 돌출부(44)를 손가락으로 잡고 캡 돌기 수용 홈(41)을 약간 벌려 주면서 캡 베이스(31)를 손가락으로 잡고 위로 잡아당겨 캡(30)을 캡 홀더(40)로부터 분리할 수도 있다.
음료수 컵 커버(20)가 탄성 복원성 있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므로 후크(33)가 후크 수용 홈(43)에 삽입되어 있다 하더라도 상기한 동작으로 용이하게 캡(30)을 캡 홀더(4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캡 돌기(32)를 음료 배출구에 삽입하여 음료 배출구를 폐쇄할 수 있다.
그러나 구조가 복잡할 뿐만아니라 장기간 사용할 수있는 것도 아닌 것이다.
또한 음료병을 떨어뜨리거나 충격이 가하였을 때에도 견디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특허공개번호 10-2014-0092183(2014.07.23)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10-0626164(2006.09.13)
음료하기에 용이하고 휴대하기에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음용할 경우에는 용이하게 슬라이드로 덮개를 개방하고 용기를 폐쇄할 때에는 음료가 비산되지 않고 덮개를 안전하고 확실하게 2중으로 체결하는 구조를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둔다.
컵본체의 상부에 체결되는 메인캡;
상기 메인캡과 결합하는 보조캡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체결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메인캡의 상부에 구성한 레일상부가이드와 슬라이드되도록 구성하는 상기 보조캡의 하부에 구성된 레일하부가이드;
상기 메인캡에 체결되었을 때에 컵본체에서 내용물이 유출되도록 구성한 유출구;
상기 보조캡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상기 유출구를 개방 및 폐쇄하는 상기 보조캡의 하부에 구성된 유출구 마개;
상기 메인캡의 측면에 구성한 홈부;
상기 홈부와 결합하여 컵본체의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2차 밀봉하는 상기 보조캡의 돌기부를 구성하여 컵의 체결캡을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캡의 상기 돌기부는 상기 보조캡의 상부 평면부와 동일한 평면을 상기 돌기부 상부로 구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캡의 상기 홈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메인캡의 상기 홈부는 상기 홈부의 상부는 평면으로 구성하되 하부는 경사도가 있도록 구성하여 음료를 사용한 후에 상기 홈부에 음료가 남아있지 않도록 하여 상기 보조캡을 슬라이드 결합할 때에 잔존하는 음료용액으로 인하여 외부로 비산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메인캡의 상부와 상기 보조캡의 하부에 블럭부를 구성하여 상기 보조캡이 더이상 진행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조캡의 상기 유출구마개는 탄성재질로 구성하여 상기 메인캡의 상기 유출구를 확실하게 결합하여 음료가 누설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메인캡과 상기 보조캡이 결합하여 상기 유출구를 상기 유출구마개로 폐쇄할 때에 상기 보조캡의 제2보조돌기부는 상기 메인캡의 제1보조돌기부에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홈부에 상기 돌기부가 상부로부터 결합이 시작되도록 하여 결합시 상기 홈부에 잔재 음료가 비산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보조돌기부는 경사도가 완만하게 구성되어 슬라이드 결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유출구를 개방 및 폐쇄하는 상기 보조캡을 전후진시킬 때에 상기 메인캡의 단차부에 상기 보조캡의 블럭부가 슬라이드하면서 개방과 폐쇄정도를 단계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료하기에 용이하고 휴대하기에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또한, 음용할 경우에는 용이하게 슬라이드로 덮개를 개방하고 용기를 폐쇄할 때에는 음료가 비산되지 않고 덮개를 안전하고 확실하게 2중으로 체결하는 구조를 위한 것이다.
나사결합없이 단순하게 슬라이드 체결하므로서 이중으로 밀봉결합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제1a 도는 본발명의 컵의 체결캡을 체결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1b 도는 본발명의 컵의 체결캡을 체결한 것을 보이는 도로써 음료하기 위하여 보조캡을 개방한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제2도는 컵의 체결캡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도이다.
제3a도는 체결캡을 보조캡과 메인캡으로 분해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3b도는 메인캡을 상세하게 보이는 도이다.
제3c도는 보조캡의 하부를 상세하게 보이는 도이다.
제4a도는 체결캡의 단면도를 보이는 도이다.
제4b도는 메인캡의 단면도를 보이는 도이다.
제4c도는 제2실시예의 도이다.
제5도는 종랙의 기술을 보이는 도이다.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1a 및 도1b에 의하여 설명하면 컵본체(300)의 상부에
체결되는 메인캡(100)과 보조캡(200)이 구성된 것이다.
도2은 메인캡으로부터 보조캡을 이격시켜 컵본체에 있는 음료를 마시기 위하여 개방한 것을 보이는 도로써 유출구(120)과 돌기부(210)을 보이는 도이다.
일실시예로는 하기와 같다.
다음으로는 3a도 내지 3c 및 도4a,4b에 대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메인캡(100)과 결합하는 보조캡(200)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체결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메인캡의 상부에 구성한 레일상부가이드(130,140)와 슬라이드되도록 구성하는 상기 보조캡의 하부에 구성된 레일하부가이드(230,240);
상기 메인캡에 체결되었을 때에 컵본체에서 내용물이 유출되도록 구성한 유출구(120);
상기 보조캡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상기 유출구(120)를 개방 및 폐쇄하는 상기 보조캡의 하부에 구성된 유출구 마개(220);
상기 메인캡의 측면에 구성한 홈부(110);
상기 홈부(110)와 결합하여 컵본체의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2차 밀봉하는 상기 보조캡의 돌기부(210)를 구성한다.
상기 보조캡(200)의 상기 돌기부(210)는 상기 보조캡의 상부 평면부와 동일한 평면을 상기 돌기부(210) 상부로 구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캡(100)의 상기 홈부(110)를 구성한다.이렇게 구성하여 음료를 마시고 난후에 보조캡으로 폐쇄시에 음료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메인캡의 상기 홈부(110)는 상기 홈부의 상부는 평면으로 구성하되 하부는 경사도가 있도록 구성하여 음료를 사용한 후에 상기 홈부에 음료가 남아있지 않도록 하여 상기 보조캡(200)을 슬라이드 결합할 때에 잔존하는 음료용액으로 인하여 외부로 비산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상기 메인캡(100)의 상부에 블러부(150)와 상기 보조캡의 하부에 블럭부(250)를 구성하여 상기 보조캡이 더이상 진행하지 않도록 차단역활을 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보조캡의 상기 유출구마개(220)는 탄성재질로 구성하여 상기 메인캡(100)의 상기 유출구(120)를 확실하게 결합하여 음료가 누설되지 않도록 구성한 다.
상기 메인캡(100)과 상기 보조캡(200)이 결합하여 상기 유출구(120)를 상기 유출구마개(220)로 폐쇄할 때에 상기 보조캡의 제2보조돌기부(280)는 상기 메인캡의 제1보조돌기부(180)에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홈부(110)에 상기 돌기부(210)가 상부로부터 결합이 시작되도록 하여 결합시 상기 홈부(110)에 잔재 음료가 비산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제2실시예로는 하기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도4c에 대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음료를 따르고 난후에는 홈부(110)의 표면장력에 의하여 음료의 일부가 있어 보조캡(200)을 닫을 때에 음료가 외부로 비산하는 것을 더욱방지하기 위하여 돌기부(210)을 마치 새의 부리처럼 구성하여 홈부(110)를 진입할 때에 용이하게 하고 홈부를 넓게 구성하여 음료의 일부가 남아있지 않도록 함으로 보조캡을 닫을 때에 비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 돌기부의 끝부분이 홈부의 벽에 닿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더욱 좋을 수도 있다.
제1보조돌기부(180)에는 공기구멍을 구성하여 음용하기에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제2보조돌기부(280)가 공기구멍을 차단하도록 마개를 막는 것이다.
상기 제1보조돌기부(180)는 경사도가 완만하게 구성되어 슬라이드 결합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유출구(120)를 개방 및 폐쇄하는 상기 보조캡(200)을 전후진시킬 때에 상기 메인캡(100)의 단차부(162,164,166)에 상기 보조캡의 블럭부(250)가 슬라이드하면서 개방과 폐쇄정도를 단계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성한다.
메인캡(100)과 보조캡(200)의 외부는 각각 원형의 제1 및 제2윤곽부(190,290)를 구성한다.
메인캡의 일단부(170)와 보조캡의 일단부(270)가 서로 잇닿게 되어 더이상 보조캡이 후진하지 못하도록 메인캡의 일단부(170)이 차단벽의 역활을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메인캡 110:홈부 120:유출구 130,140:레일상부가이드
150,250:블럭부 162,164,166:단차부 170,270:일단부
180:제1보조돌기부 190:제1윤곽부
200: 보조캡 210:돌기부 220:유출구마개 230,240:레일하부가이드
280:제2보조돌기부 290:제2윤곽부 300: 컵본체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컵본체의 상부에 체결되는 메인캡;
    상기 메인캡과 결합하는 보조캡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체결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메인캡의 상부에 구성한 레일상부가이드와 슬라이드되도록 구성하는 상기 보조캡의 하부에 구성된 레일하부가이드;
    상기 메인캡에 체결되었을 때에 컵본체에서 내용물이 유출되도록 구성한 유출구;
    상기 보조캡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상기 유출구를 개방 및 폐쇄하는 상기 보조캡의 하부에 구성된 유출구 마개;
    상기 메인캡의 측면에 구성한 홈부;
    상기 홈부와 결합하여 컵본체의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2차 밀봉하는 상기 보조캡의 돌기부;
    상기 보조캡의 상기 돌기부는 상기 보조캡의 상부 평면부와 동일한 평면을 상기 돌기부 상부로 구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캡의 상기 홈부를 구성하되,
    상기 메인캡의 상기 홈부는 상기 홈부의 상부는 평면으로 구성하되 하부는 경사도가 있도록 구성하여 음료를 사용한 후에 상기 홈부에 음료가 남아있지 않도록 하여 상기 보조캡을 슬라이드 결합할 때에 잔존하는 음료용액으로 인하여 외부로 비산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의 체결캡.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캡의 상부와 상기 보조캡의 하부에 블럭부를 구성하여 상기 보조캡이 더이상 진행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의 체결캡.
  5. 제3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캡의 상기 유출구마개는 탄성재질로 구성하여 상기 메인캡의 상기 유출구를 확실하게 결합하여 음료가 누설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의 체결캡.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캡과 상기 보조캡이 결합하여 상기 유출구를 상기 유출구마개로 폐쇄할 때에 상기 보조캡의 제2보조돌기부는 상기 메인캡의 제1보조돌기부에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홈부에 상기 돌기부가 상부로부터 결합이 시작되도록 하여 결합시 상기 홈부에 잔재 음료가 비산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의 체결캡.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돌기부는 경사도가 완만하게 구성되어 슬라이드 결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의 체결캡.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를 개방 및 폐쇄하는 상기 보조캡을 전후진시킬 때에 상기 메인캡의 단차부에 상기 보조캡의 블럭부가 슬라이드하면서 개방과 폐쇄정도를 단계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의 체결캡.
KR1020180100134A 2018-08-27 2018-08-27 컵의 체결캡 KR102048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134A KR102048769B1 (ko) 2018-08-27 2018-08-27 컵의 체결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134A KR102048769B1 (ko) 2018-08-27 2018-08-27 컵의 체결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8769B1 true KR102048769B1 (ko) 2019-11-26

Family

ID=68731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0134A KR102048769B1 (ko) 2018-08-27 2018-08-27 컵의 체결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87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092543A1 (en) * 2022-03-17 2024-03-21 Hangzhou Great Star Industrial Co., Ltd. Container li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647U (ja) * 1991-07-15 1993-02-02 日通工株式会社 蓋の取付け構造
KR100626164B1 (ko) 2004-01-10 2006-09-25 김정근 스트로우 컵
KR20140092183A (ko) 2013-01-14 2014-07-23 강정환 음료수 컵 커버
KR200480377Y1 (ko) * 2015-03-26 2016-05-31 김종화 텀블러 뚜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647U (ja) * 1991-07-15 1993-02-02 日通工株式会社 蓋の取付け構造
KR100626164B1 (ko) 2004-01-10 2006-09-25 김정근 스트로우 컵
KR20140092183A (ko) 2013-01-14 2014-07-23 강정환 음료수 컵 커버
KR200480377Y1 (ko) * 2015-03-26 2016-05-31 김종화 텀블러 뚜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092543A1 (en) * 2022-03-17 2024-03-21 Hangzhou Great Star Industrial Co., Ltd. Container l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10041B2 (ja) 折り畳み可能なストローを有する、ボトルのための蓋
US20160355305A1 (en) Multi-drink bottles
KR20120097306A (ko) 마개가 있는 컵 뚜껑
KR102048769B1 (ko) 컵의 체결캡
CN110352166A (zh) 盖的密封结构
TW201601976A (zh) 扣件包裝展示盒
US4832221A (en) Cap with a sliding-flap closure
ES2770802T3 (es) Mecanismo de seguridad para recipientes
KR101622732B1 (ko) 음료 용기용 뚜껑
WO2018168281A1 (ja) スリットバルブ付きキャップ
JP2023504710A (ja) 不正開封防止容器
KR20170001939U (ko) 재활용이 가능한 액상 식품 보관용 뚜껑
KR20140092183A (ko) 음료수 컵 커버
JPH11321909A (ja) 振り混ぜ容器の蓋付き注出栓
KR101425894B1 (ko) 액체용기 뚜껑
US2496439A (en) Receptacle closure
US981457A (en) Cap for milk-bottles.
US9227766B2 (en) Pouring spout for container
JP2007302253A (ja) 吐出容器
KR20130001110U (ko) 자동 개폐 플러그를 갖는 튜브형 용기
KR102323991B1 (ko) 화장품 용기
KR200390444Y1 (ko) 2단 밀폐구조를 음료용기 뚜껑
KR200449548Y1 (ko) 액체 보관용기의 이중 마개
KR200488702Y1 (ko) 세제용 계량캡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싱 장치
KR19980062544U (ko) 음료용기용 원터치 위생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