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2183A - 음료수 컵 커버 - Google Patents

음료수 컵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2183A
KR20140092183A KR1020130005517A KR20130005517A KR20140092183A KR 20140092183 A KR20140092183 A KR 20140092183A KR 1020130005517 A KR1020130005517 A KR 1020130005517A KR 20130005517 A KR20130005517 A KR 20130005517A KR 20140092183 A KR20140092183 A KR 20140092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beverage
beverage outlet
cup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5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환
Original Assignee
강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정환 filed Critical 강정환
Publication of KR20140092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21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1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음료 배출구를 막는 캡(cap)을 구비하고, 그 캡을 용이하게 조작하여 음료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는 음료수 컵 커버가 개시된다. 개시된 음료수 컵 커버는, 컵의 상부 개구의 주변부에 체결되어 상기 상부 개구를 폐쇄하는 커버 몸체, 상기 커버 몸체의 일 측에 형성된 음료 배출구(排出口), 및 자신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음료 배출구에 삽입되어 상기 음료 배출구를 통한 액체 유출을 차단하고, 상기 자신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음료 배출구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음료 배출구를 개방하는 캡(cap)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료수 컵 커버{Beverage cup cover}
본 발명은 내용물이 쏟아지지 않도록 음료수 컵의 상측 개구를 폐쇄하는 음료수 컵 커버에 관한 것이다.
커피 전문점, 패스트푸드점 등에서 종이로 된 일회용 음료수 컵이 많이 사용되고, 운반 중에 또는 섭취시의 부주의로 인해 음료수 컵에 들어있는 내용물이 쏟아지지 않도록 음료수 컵 커버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 예에 따른 음료수 컵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음료수 컵 커버(10)는 컵(5)의 상부 개구(6)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원형 보디(body)(12)를 구비하고, 원형 보디(12)의 일 측에 컵(5)에 담긴 음료가 배출되도록 개방된 음료 배출구(19)가 형성된다.
또한, 음료수 컵 커버(10)는 상기 음료 배출구(19)를 막을 수 있는 캡(14)을 구비한다. 상기 캡(14)은 음료 배출구(19)에 대응되게 원형 보디(12)의 일부를 접을 수 있게 절개하여 형성된다. 상기 캡(14)에는 돌출된 캡 돌기(15)가 구비되고, 음료 배출구(19)에 인접하여 상기 캡 돌기(15)가 삽입 고정 가능한 캡 홀더(cap holder)(17)가 구비된다. 사용자는 컵(5)에 담긴 음료를 마시고자 하면, 상기 캡(14)을 캡 홀더(17) 방향으로 접어 캡 돌기(15)를 캡 홀더(17)에 삽입 고정하여 음료 배출구(19)을 완전히 개방하고 음료 배출구(19)에 입을 대거나 빨대를 꽂아 음료를 마실 수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형태의 캡(14)은 음료수 컵 커버(10)의 제조 과정 또는 취급 과정에서 캡(14)이 음료 배출구(19) 속으로 삽입되도록 안으로 접히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렇게 되면 음료를 주문한 고객은 사용에 불편을 느껴 불만을 느끼게 된다. 또는 새로운 음료수 컵 커버(10)로 교환하기도 하므로, 음료수 컵 커버(10)에 소요되는 비용이 증대된다. 또한, 상기 캡(14)은 음료 배출구(19)를 폐쇄한 상태로 유지하지 못하므로 캡(14)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음료수가 담긴 컵(5)의 이동 또는 취급시에 음료 유출 염려로 불안감을 느끼게 된다.
본 발명은, 음료 배출구를 막는 캡(cap)을 구비하고, 그 캡을 용이하게 조작하여 음료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는 음료수 컵 커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료가 유출되지 않도록 캡으로 음료 배출구를 막을 수 있고, 음료 배출구가 개방될 때에는 캡을 지정된 장소에 고정할 수 있는 음료수 컵 커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컵의 상부 개구의 주변부에 체결되어 상기 상부 개구를 폐쇄하는 커버 몸체, 상기 커버 몸체의 일 측에 형성된 음료 배출구(排出口), 및 자신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음료 배출구에 삽입되어 상기 음료 배출구를 통한 액체 유출을 차단하고, 상기 자신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음료 배출구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음료 배출구를 개방하는 캡(cap)을 구비하는 음료수 컵 커버를 제공한다.
상기 음료 배출구의 주변에는 상기 캡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음료 배출구에 삽입되면 상기 캡의 적어도 일부분에 밀착되는 내측벽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캡의 적어도 일부분은 말단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테이퍼(taper)지며, 상기 테이퍼진 일부분이 상기 음료 배출구에 삽입되면 상기 내측벽이 밀려 벌어지며 상기 테이퍼진 일부분에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캡은 캡 베이스(cap base)와, 상기 캡 베이스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음료 배출구에 삽입 가능한 캡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캡 돌기가 상기 음료 배출구에 삽입된 때 상기 캡 베이스가 상기 음료 배출구의 주변에 밀착되어 상기 음료 배출구를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캡은 상기 음료 배출구에 삽입된 때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후크(hook)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수 컵 커버는, 상기 캡이 상기 음료 배출구로부터 분리되어, 분리 가능하게 안치되는 캡 홀더(cap holder)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캡 홀더는 상기 커버 몸체의 상측면에서 상향 돌출된 캡 홀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캡은 캡 베이스(cap base)와, 상기 캡 베이스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음료 배출구에 삽입 가능한 캡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캡 돌기가 상기 캡 홀더에 안치된 때 상기 캡 베이스의 외주변이 상기 캡 홀더 돌출부의 경계 바깥으로 삐져나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음료 배출구는 상기 커버 몸체의 상측면에서 상향 돌출된 음료 배출구 돌출부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캡은 캡 베이스(cap base)와, 상기 캡 베이스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음료 배출구에 삽입 가능한 캡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캡 돌기가 상기 음료 배출구에 삽입된 때 상기 캡 베이스의 외주변이 상기 음료 배출구 돌출부의 경계 바깥으로 삐져나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수 컵 커버는, 일 측 단부가 상기 커버 몸체와 연결되고, 타 측 단부가 상기 캡에 연결되며, 유연하게 휠 수 있는 연결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수 컵 커버는, 음료 배출구를 막는 캡(cap)을 구비하고, 그 캡을 조작하여 음료 배출구를 쉽게 개폐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 불편으로 인한 고객의 불만이 감소되고, 음료수 컵 커버 교환 요구도 감소되어, 고객 만족도가 향상되고, 음료수 컵 커버에 소요되는 비용도 절감된다. `
또한 본 발명은, 음료가 유출되지 않도록 캡으로 음료 배출구를 음료수의 운반시에 음료 유출 염려 없이 안심할 수 있고, 음료 배출구를 개방할 때에는 캡의 분실 염려 없이 안심할 수 있는 음료수 컵 커버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일 예에 따른 음료수 컵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료수 컵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음료수 컵 커버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캡이 음료 배출구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도 3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캡이 음료 배출구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료수 컵 커버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캡이 음료 배출구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수 컵 커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료수 컵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음료수 컵 커버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캡이 음료 배출구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료수 컵 커버(20)는 커버 몸체(22), 음료 배출구(26), 캡(cap)(30), 및 캡 홀더(cap holder)(40)를 구비한다. 커버 몸체(22)는 종이 재질의 컵(5)의 상부 개구(6)를 폐쇄하는 것으로, 컵(5)의 상부 개구의 주변부에 형성된 고리부(7)가 끼워지는 컵 체결부(24)를 구비한다. 커버 몸체(22) 하단부의 컵 체결부(24)에 컵(5)의 고리부(7)가 끼워짐으로써 음료수 컵 커버(20)가 컵(5)에 고정된다.
음료 배출구(26)는 커버 몸체(22)의 상측면 일 측에 형성되며, 음료를 구입한 고객이 이 음료 배출구(26)를 통해 컵(5)에 담긴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 음료 배출구(26)는 커버 몸체(22)의 상측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음료 배출구 돌출부(28)의 중앙에 형성되고, 음료 배출구(26)의 주변에는 음료 배출구(26)의 경계가 되는 내측벽(27)이 구비된다. 캡(30)은 캡 베이스(cap base)(31)와, 캡 베이스(31)로부터 돌출되고 음료 배출구(26)에 삽입 가능한 캡 돌기(32)와, 상기 캡 돌기(32)의 말단부에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 후크(hook)(33)를 구비한다.
캡 베이스(31)는 바깥쪽으로 충분히 확장된다. 구체적으로, 캡 돌기(32)가 음료 배출구(26)에 삽입된 때 캡 베이스(31)의 외주변이 음료 배출구 돌출부(28)의 바깥으로 삐져나오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캡 돌기(32)가 음료 배출구(26)에 삽입된 때 상기 삐져나온 캡 베이스(31)의 외주변을 손가락으로 튕겨서 캡(30)을 음료 배출구(26)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고 음료를 마실 수 있다.
상기 캡(30)은 유연하게 휠 수 있는 연결 수단에 의해 커버 몸체(22)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 수단은 주름 호스(wrinkle hose)(35)일 수 있다. 주름 호스(35)의 일 측 단부는 커버 몸체(22)의 상측면과 연결되고, 주름 호스(35)의 타 측 단부는 캡 베이스(31)에 연결된다. 캡 홀더(40)는 음료 배출구(26)보다는 커버 몸체(22)의 중앙부에 가깝게 배치되며, 커버 몸체(22)의 상측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캡 홀더 돌출부(44)와, 상기 캡 홀더 돌출부(44)의 중앙에 상기 캡 돌기가 수용될 수 있게 오목하게 파여진 캡 돌기 수용 홈(41)과, 상기 캡 돌기 수용 홈(41)을 한정하는 내측벽(42)과, 상기 내측벽(42)의 하단부에 상기 후크(33)가 수용될 수 있게 파여진 후크 수용 홈(43)을 구비한다. 캡 홀더(40)를 통하여 컵(5)에 수용된 음료가 유출되어서는 안되므로 캡 돌기 수용 홈(41)과 후크 수용 홈(43)은 개방되지 않게 형성된다.
캡 베이스(31)는 캡 홀더(40)에 대해서도 바깥쪽으로 충분히 확장된다. 구체적으로, 캡 돌기(32)가 캡 돌기 수용 홈(41)에 안치된 때 캡 베이스(31)의 외주변이 캡 홀더 돌출부(44)의 바깥으로 삐져나오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캡 돌기(32)가 캡 돌기 수용 홈(41)에 안치된 때 상기 삐져나온 캡 베이스(31)의 외주변을 손가락으로 튕겨서 캡(30)을 캡 홀더(4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여 음료 배출구(26)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몸체(22)와, 음료 배출구 돌출부(28)와, 캡 홀더(40)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캡(30)은 별도의 플라스틱 사출 성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주름 호스(35)를 이용하여 커버 몸체(22)의 상측면과 캡(30)을 연결하여 음료수 컵 커버(20)를 제조할 수 있다. 또는, 커버 몸체(22), 음료 배출구 돌출부(28), 캡 홀더(40), 주름 호스(35), 및 캡(30)이 플라스틱 사출 성형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음료 구매자가 컵(5)을 들고 이동하고자 하면 캡 베이스(31)를 손으로 잡고 캡 돌기(32)를 음료 배출구(26)에 끼워 삽입한다. 그리하면, 후크(33)가 음료 배출구(26) 주변의 내측벽(27)의 하단부보다 아래로 내려와 상기 내측벽(27)의 하단부에 걸리게 되고, 이로써 캡(30)이 음료 배출구(26)에서 빠지지 않게 고정된다. 캡(30)이 음료 배출구(26)에 고정된 때 캡 돌기(32)가 상기 내측벽(27)에 밀착되고, 캡 베이스(31)가 음료 배출구(26) 주변의 음료 배출구 돌출부(28)의 상측면(29)에 밀착된다. 이에 의해서, 음료 배출구(26)가 폐쇄되고, 컵(5)에 담긴 액체 음료의 음료 배출구(26)를 통한 유출이 차단되며, 음료 구매자는 음료 유출의 염려 없이 편안하게 컵(5)을 들고 이동할 수 있다.
음료 구매자가 컵(5)에 담긴 음료를 마시고자 할 때에는 음료 배출구 돌출부(28)의 바깥으로 삐져나온 캡 베이스(31)의 외주변을 손가락으로 튕겨 캡(30)을 음료 배출구(26)로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다만, 상기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음료 배출구 돌출부(28)를 손가락으로 잡고 음료 배출구(26)를 약간 벌려 주면서 캡 베이스(31)를 손가락으로 잡고 위로 잡아당겨 캡(30)을 음료 배출구(26)로부터 분리할 수도 있다. 음료수 컵 커버(20)가 탄성 복원성 있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므로 후크(33)에 의해 캡(30)이 음료 배출구(26)에 고정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상기한 동작으로 캡(30)을 음료 배출구(26)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음료 구매자는 캡 베이스(31)를 손가락으로 잡고 캡 돌기(32)를 캡 돌기 수용 홈(41)에 끼워 삽입함으로써 캡 홀더(40)에 고정 안치할 수 있다. 도 3에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캡(30)이 캡 홀더(40)에 고정된 때 캡 돌기(32)는 캡 돌기 수용 홈(41)에 삽입 수용되고, 후크(33)는 후크 수용 홈(43)에 삽입 수용되며, 캡 베이스(31)는 캡 홀더 돌출부(44)의 상측면(45)에 밀착된다. 이로써 음료 배출구(26)를 통해 배출되는 음료를 마시는 동안 캡(30)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어 번거롭지 않게 음료를 마실 수 있다.
한편, 음료 구매자가 음료 마시기를 중단하고 다시 이동하는 때에는 캡 홀더 돌출부(44)의 바깥으로 삐져나온 캡 베이스(31)의 외주변을 손가락으로 튕겨 캡(30)을 캡 홀더(40)로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다만, 상기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캡 홀더 돌출부(44)를 손가락으로 잡고 캡 돌기 수용 홈(41)을 약간 벌려 주면서 캡 베이스(31)를 손가락으로 잡고 위로 잡아당겨 캡(30)을 캡 홀더(40)로부터 분리할 수도 있다. 음료수 컵 커버(20)가 탄성 복원성 있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므로 후크(33)가 후크 수용 홈(43)에 삽입되어 있다 하더라도 상기한 동작으로 용이하게 캡(30)을 캡 홀더(4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캡 돌기(32)를 음료 배출구(26)에 삽입하여 음료 배출구(26)를 폐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도 3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캡이 음료 배출구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음료수 컵 커버(2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음료수 컵 커버(20)와 유사하나 캡(30)과 커버 몸체(22)를 연결하는 주름 호스(35)가 제거된 실시예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참조 번호와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는 것이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음료 구매자가 컵(5)을 들고 이동하고자 하는 때에는 캡 돌기(32)를 음료 배출구(26)(도 2 참조)에 삽입하여 캡(30)으로 음료 배출구(26)를 폐쇄할 수 있다. 이때 캡(30)은 음료 배출구(26)에 고정된다. 한편, 음료 구매자가 컵(5)에 담긴 음료를 마시고자 할 때에는 캡 돌기(32)를 음료 배출구(26)에서 빼내어 음료 배출구(26)를 개방하고, 도 4에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빼낸 캡 돌기(32)를 캡 돌기 수용 홈(41)에 삽입함으로써 캡(30)을 캡 홀더(40)에 안치할 수 있다. 이때 캡(30)은 캡 홀더(40)에 고정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변형예 이외에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음료수 컵 커버(10)의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캡(30)의 후크(33)가 캡 돌기(32)의 말단부가 아닌 중간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후크(hook)가 음료 배출구 내측벽(27) 및 캡 홀더(40)의 내측벽(42)에 돌출 형성되고, 캡(30)에는 상기 후크를 수용할 수 있는 후크 수용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료수 컵 커버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캡이 음료 배출구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료수 컵 커버(50)는 커버 몸체(52), 음료 배출구(56), 캡(cap)(60), 및 캡 홀더(cap holder)(70)를 구비한다. 커버 몸체(52)는 종이 재질의 컵(5)의 상부 개구(6)를 폐쇄하는 것으로, 컵(5)의 상부 개구의 주변부에 형성된 고리부(7)가 끼워지는 컵 체결부(54)를 구비한다. 커버 몸체(52) 하단부의 컵 체결부(54)에 컵(5)의 고리부(7)가 끼워짐으로써 음료수 컵 커버(50)가 컵(5)에 고정된다.
음료 배출구(56)는 커버 몸체(52)의 상측면 일 측에 형성되며, 음료 구매자가 이 음료 배출구(56)를 통해 컵(5)에 담긴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 음료 배출구(56)는 커버 몸체(52)의 상측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음료 배출구 돌출부(58)의 중앙에 형성되고, 음료 배출구(56)의 주변에는 음료 배출구(56)의 경계가 되는 내측벽(57)이 구비된다. 캡(60)은 말단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테이퍼(taper)진 형태를 갖는다. 도 5에 도시된 캡(60)은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이나, 단면이 삼각형인 원뿔형 또는 쐐기형 캡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캡(60)은 유연하게 휠 수 있는 연결 수단에 의해 커버 몸체(52)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 수단은 끈(65)일 수 있다. 끈(65)의 일 측 단부는 커버 몸체(52)의 상측면과 연결되고, 끈(65)의 타 측 단부는 캡(60)에 연결된다. 캡 홀더(70)는 음료 배출구(56)보다는 커버 몸체(52)의 중앙부에 가깝게 위치하며, 커버 몸체(52)의 상측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캡 홀더 돌출부(74)와, 상기 캡 홀더 돌출부(74)의 중앙에 상기 캡(60)이 수용될 수 있게 오목하게 파여진 캡 수용 홈(71)을 구비한다. 캡 홀더(70)를 통하여 컵(5)에 수용된 음료가 유출되어서는 안되므로 캡 수용 홈(71)은 개방되지 않게 형성된다. 상기 커버 몸체(52)와, 음료 배출구 돌출부(58)와, 캡 홀더(70)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캡(60)은 별도의 플라스틱 사출 성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끈(65)을 이용하여 커버 몸체(52)의 상측면과 캡(60)을 연결하여 음료수 컵 커버(50)를 제조할 수 있다.
음료 구매자가 컵(5)을 들고 이동하고자 하면 캡(60)을 손으로 잡고 음료 배출구(56)에 끼워 삽입한다. 그리하면, 음료 배출구(56)의 내측벽(57)이 캡(60)에 의해 밀려 벌어지며 테이퍼진 캡(60)의 외주면과 상기 내측벽(57)이 밀착된다. 이로써 캡(60)이 음료 배출구(56)에 고정되고, 음료 배출구(56)가 폐쇄되어 컵(5)에 담긴 액체 음료의 음료 배출구(56)를 통한 유출이 차단되며, 음료 구매자는 음료 유출의 염려 없이 편안하게 컵(5)을 들고 이동할 수 있다.
음료 구매자가 컵(5)에 담긴 음료를 마시고자 할 때에는 캡(60)을 손가락으로 잡고 위로 잡아당겨 음료 배출구(56)로부터 분리한다. 캡(60)이 음료 배출구(56)에서 분리되면 내측벽(57)은 원래 형태로 탄성 복원되면서 약간 오므려진다. 음료 구매자는 캡(60)을 손가락으로 잡고 캡 수용 홈(71)에 끼워 삽입함으로써, 도 5에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캡(60)을 캡 홀더(70)에 안치할 수 있다. 이로써 음료 배출구(56)를 통해 배출되는 음료를 마시는 동안 캡(60)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어 번거롭지 않게 음료를 마실 수 있다. 한편, 음료 구매자가 음료 마시기를 중단하고 다시 이동하는 때에는 캡(60)을 손가락으로 잡고 위로 잡아당겨 캡 홀더(70)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캡(60)을 음료 배출구(56)에 삽입하여 음료 배출구(56)를 폐쇄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캡(60)을 음료 배출구(58) 및 캡 수용홈(71)에 보다 신뢰성있게 고정하기 위하여 캡(60)의 측면에 돌출된 후크(hook)가 구비되고, 음료 배출구 내측벽(57) 및 캡 수용 홈 내측벽(72)에 상기 후크가 수용되는 후크 수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이와 반대로, 음료 배출구 내측벽(57) 및 캡 수용 홈 내측벽(72)에 돌출된 후크가 구비되고, 캡(60)의 측면에 상기 후크가 수용되는 후크 수용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 음료수 컵 커버 22: 커버 몸체
26: 음료 배출구 30: 캡
32: 캡 돌기 33: 후크
40: 캡 홀더 41: 캡 돌기 수용 홈

Claims (5)

  1. 컵의 상부 개구의 주변부에 체결되어 상기 상부 개구를 폐쇄하는 커버 몸체;
    상기 커버 몸체의 일 측에 형성된 음료 배출구(排出口); 및,
    자신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음료 배출구에 삽입되면 상기 음료 배출구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음료 배출구를 통한 액체 유출을 차단하고, 상기 자신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음료 배출구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음료 배출구를 개방하는 캡(cap);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컵 커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캡 베이스(cap base)와, 상기 캡 베이스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음료 배출구에 삽입 가능한 캡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캡 돌기가 상기 음료 배출구에 삽입된 때 상기 캡 베이스가 상기 음료 배출구의 주변에 밀착되어 상기 음료 배출구를 폐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컵 커버.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이 상기 음료 배출구로부터 분리되어, 분리 가능하게 안치되는 캡 홀더(cap holder)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컵 커버.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배출구는 상기 커버 몸체의 상측면에서 상향 돌출된 음료 배출구 돌출부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캡은 캡 베이스(cap base)와, 상기 캡 베이스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음료 배출구에 삽입 가능한 캡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캡 돌기가 상기 음료 배출구에 삽입된 때 상기 캡 베이스의 외주변이 상기 음료 배출구 돌출부의 경계 바깥으로 삐져나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컵 커버.
  5. 제1 항에 있어서,
    일 측 단부가 상기 커버 몸체와 연결되고, 타 측 단부가 상기 캡에 연결되며, 유연하게 휠 수 있는 연결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컵 커버.
KR1020130005517A 2013-01-14 2013-01-17 음료수 컵 커버 KR201400921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992 2013-01-14
KR20130003992 2013-01-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183A true KR20140092183A (ko) 2014-07-23

Family

ID=517390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5517A KR20140092183A (ko) 2013-01-14 2013-01-17 음료수 컵 커버
KR1020130030001A KR20140092191A (ko) 2013-01-14 2013-03-20 음료수 컵 커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0001A KR20140092191A (ko) 2013-01-14 2013-03-20 음료수 컵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4009218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0045A (ko) 2017-11-24 2019-06-03 김정우 맥주거품 넘침 방지용 컵 커버
KR102048769B1 (ko) 2018-08-27 2019-11-2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컵의 체결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0045A (ko) 2017-11-24 2019-06-03 김정우 맥주거품 넘침 방지용 컵 커버
KR102048769B1 (ko) 2018-08-27 2019-11-2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컵의 체결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191A (ko) 201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3240B2 (en) Closure for a liquid container
JP6110041B2 (ja) 折り畳み可能なストローを有する、ボトルのための蓋
EP2969829B1 (en) Drink containers with closure retention mechanisms
US7611029B2 (en) Drinking cup lid with a reclosable drink opening using a sliding member
US20160355305A1 (en) Multi-drink bottles
US8602252B2 (en) Liquid dispensing cover for container
US9161887B2 (en) Infant feeding system
US20080006643A1 (en) Insulated container
US20150014322A1 (en) Cup lid and portable protection case therefor
MXNL04000046A (es) Cubiertas para latas de bebidas con boquilla articulada.
JP4883942B2 (ja) 飲料容器及び飲み口付蓋体
CN106395117B (zh) 带有吸管的盖子
CA2633834A1 (en) Cup and lid combination
CN113382660A (zh) 具有可旋啜吸件和柔性手柄的容器盖
KR20120030671A (ko) 빨대 조립체
US20120217241A1 (en) Cup lid for additive to be conveniently added therein
CN110710849A (zh) 婴儿吸管杯
KR20140092183A (ko) 음료수 컵 커버
JP5642329B2 (ja) 液体容器用中栓
KR20140106984A (ko) 음료수 컵 커버
KR100840983B1 (ko) 마개홀더를 구비한 용기
KR20110000821U (ko) 빨대가 구비된 용기
KR20100086700A (ko) 음료컵용 컵뚜껑 조립체
KR200497719Y1 (ko) 일회용 음료용 컵 뚜껑
TWI822293B (zh) 具有可互換插入件之飲料容器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