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1348Y1 - 밀봉용기용 마개 - Google Patents

밀봉용기용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1348Y1
KR200251348Y1 KR2020010020252U KR20010020252U KR200251348Y1 KR 200251348 Y1 KR200251348 Y1 KR 200251348Y1 KR 2020010020252 U KR2020010020252 U KR 2020010020252U KR 20010020252 U KR20010020252 U KR 20010020252U KR 200251348 Y1 KR200251348 Y1 KR 2002513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ntainer
opening
cylindrical portion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02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권
Original Assignee
김성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권 filed Critical 김성권
Priority to KR20200100202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13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13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1348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캡을 회전시켜 하부캡에 대해 승하강되도록 하여 용기내에 수용된 내용물을 배출 또는 차단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어린이나 노약자가 사용하기에 편리성을 기대할 수 있고, 특히 상부캡에 사람의 입술로 물수 있는 접촉부를 구비함으로써 어린이 또는 노약자가 상부캡을 입술로 문 상태에서 용기내의 내용물을 마실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마개는, 용기(10)의 개구부(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 배출공(21)을 갖는 하부캡(20)과; 상기 하부캡(20)상에 회전과 함께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며, 승강시 상기 용기(10)와 통하면서 상기 배출공(21)과 연통되는 개폐공(31)을 갖는 상부캡(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밀봉용기용 마개{A STOPPER OF CONTAINER}
본 고안은 밀봉용기용 마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캡을 회전시켜 하부캡에 대해 승하강되도록 하여 용기내에 수용된 내용물을 배출 또는 차단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어린이나 노약자가 사용하기에 편리성을 기대할 수 있고, 특히 상부캡에 사람의 입술로 물수 있는 접촉부를 구비함으로써 어린이 또는 노약자가 상부캡을 입술로 문 상태에서 용기내의 내용물을 마실수 있도록 한 밀봉용기용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봉용기라 함은 음료수등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와, 이 용기의 개구부를 통해 음료수를 외부로 배출 또는 차단하기 위한 마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최근에는 마개에 대한 개발이 두드러지게 진행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밀봉용기용 마개는 용기와 결합된 하부캡상에 상부캡을 결합하는 등 2중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시에는 상부캡을 손으로 잡아당겨 하부캡과 일정한 간격 만큼 이격시켜 내부에 형성된 배출공을 통해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음료수 용기용 2중 마개는 사용시 용기와 결합되어진 하부캡에 결합된 상부캡을 수직상으로 잡아당겨 사용해야 함으로 사용자가 큰 힘을 주어야함 상부캡이 상승되어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마실 수 있으므로 비교적 힘이 약한 어린이나 노약자가 사용하기에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부캡을 상승시키기 위항 무리한 힘을 주게되면 하부캡으로부터 상부캡이 완전히 분리되어 2중 마개가 파손되는 경우가 생겨 재사용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내부의 내용물이외부로 새어나오게 되어 보관이나 휴대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부캡을 회전시켜 하부캡에 대해 승하강되도록 하여 용기내에 수용된 내용물을 배출 또는 차단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어린이나 노약자가 사용하기에 편리성을 기대할 수 있고, 특히 상부캡에 사람의 입술로 물수 있는 접촉부를 구비함으로써 어린이 또는 노약자가 상부캡을 입술로 문 상태에서 용기내의 내용물을 마실수 있도록 한 밀봉용기용 마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밀봉용기용 마개를 구성하는 상부캡과 하부캡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상부캡과 하부캡의 결합 전의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하부캡의 일측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상부캡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하부캡이 밀봉용기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캡이 체결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상부캡이 하부캡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
11 : 개구부
20 : 하부캡
30 : 상부캡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밀봉용기용 마개는, 용기의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 배출공을 갖는 하부캡과; 상기 하부캡상에 회전과 함께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며, 승강시 상기 용기와 통하면서 상기 배출공과 연통되는 개폐공을 갖는 상부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밀봉용기용 마개를 구성하는 상부캡과 하부캡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상부캡과 하부캡의 결합 전의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하부캡의 일측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상부캡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하부캡이 밀봉용기에 결합된상태에서 상부캡이 체결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상부캡이 하부캡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밀봉용기용 마개는 용기(10)의 개구부(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부에 배출공(21)이 형성된 하부캡(20)과; 상기 하부캡(20)의 상부에 나사 결합되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여 승하강됨에 따라 상기 배출공(21)을 개폐하며, 상기 배출공(21)이 개방된 경우에 외부로 배출 가능하도록 개폐공(31)이 형성된 상부캡(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캡(20)은, 상기 용기(10)의 개구부(11)와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부(22a)가 형성된 일단부 개구 형상의 원형 단면을 갖는 결합부(22)와, 상기 결합부(22)의 폐쇄측 단부(22b)에 연통되게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23a)가 형성되며 끝단부가 개구된 하측 원통부(23)와, 상기 하측 원통부(23a)의 단부에 상기 배출공(21)을 형성하도록 적어도 두개 이상의 브릿지(24)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단부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원형 단면의 돌출부(25)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캡(30)은, 상기 하측 원통부(23)의 나사(23a)와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32)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공(31)에 단부에 상기 돌출부(25)가 긴밀하게 삽입되어 상기 배출공(21)을 개폐하는 상측 원통부(33)와, 상기 상측 원통부(33)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사람의 입술로 물어 압박 가능한 접촉부(34)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캡(20)에 대해 상부캡(30)이 회전하여 상기 하부캡(20)으로부터 소정 높이 상승하여 상기 개폐공(31)에 의해 상기 배출공(21)이 개폐된 경우에 상기 상부캡(30)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수단이 더 구비된다.
상기 정지수단은 상기 하측 원통부(23)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23a)의 상단 끝부분에 형성되는 정지돌기(23b)와, 상기 상측 원통부(33)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32)의 적정 위치에 상기 정지돌기(23b)에 걸리는 걸림돌기(33a)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어린이나 노약자가 상부캡(30)의 접촉부(34)를 입술로 문 상태에서 용기(10)를 손에 쥐고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부캡(30)이 입술에 고정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캡(30)과 하부캡(20)간의 나사 결합으로 인해 상부캡(30)은 하부캡(20)으로부터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캡(30)의 상승 정도는 상부캡(30)의 걸림돌기(33a)가 하부캡(20)의 정지돌기(23b)에 걸릴때까지 상승된다.
상기와 같이 상부캡(30)이 상승하게 되면, 하부캡(20)에 구비된 돌출부(25)는 상부캡(20)에 형성된 개폐공(31)과 이격되어 하부캡(20)에 형성된 배출공(21)으로 용기(10)의 내용물이 배출되어 상부캡(20)의 개폐공(31)으로 최종적으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가 되면, 사용자자는 용기(10)내의 내용물을 마실수 있게 된다.
한편, 용기(10)내의 내용물을 마시지 않고자 할 경우에는 입술로 상부캡(30)의 접촉부(34)를 문 상태에서 용기(10)를 손에 쥔 후에 개폐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부캡(30)은 하강하여 최최의 위치로 복원된다.
상기와 같이 상부캡(30)이 최초의 위치로 복원되면 하부캡(20)의 돌출부(25)는 상부캡(30)에 형성되 개폐공(31)에 긴밀하게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돌출부(25)가 개폐공(31)에 삽입되면, 개폐공(31)을 형성하는 상측 원통부(33)의 주변부가 배출공(21)을 차단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용기(10)의 내용물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상부캡을 회전시켜 하부캡에 대해 승하강되도록 하여 용기내에 수용된 내용물을 배출 또는 차단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어린이나 노약자가 사용하기에 편리성을 기대할 수 있고, 특히 상부캡에 사람의 입술로 물수 있는 접촉부를 구비함으로써 어린이 또는 노약자가 상부캡을 입술로 문 상태에서 용기내의 내용물을 마실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용기(10)의 개구부(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 배출공(21)을 갖는 하부캡(20)과;
    상기 하부캡(20)상에 회전과 함께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며, 승강시 상기 용기(10)와 통하면서 상기 배출공(21)과 연통되는 개폐공(31)을 갖는 상부캡(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밀봉용기의 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20)은, 상기 용기(10)의 개구부(11)와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부(22a)가 형성된 일단부 개구 형상의 원형 단면을 갖는 결합부(22)와; 상기 결합부(22)의 폐쇄측 단부(22b)에 연통되게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23a)가 형성되며, 끝단부가 개구된 하측 원통부(23)와; 상기 하측 원통부(23a)의 단부에 상기 배출공(21)을 형성하도록 적어도 두개 이상의 브릿지(24)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단부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원형 단면의 돌출부(25)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캡(30)은, 상기 하측 원통부(23)의 나사(23a)와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32)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공(31)에 단부에 상기 돌출부(25)가 긴밀하게 삽입되어 상기 배출공(21)을 개폐하는 상측 원통부(33)와; 상기 상측 원통부(33)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사람의 입술로 물어 압박 가능한 접촉부(34)로 구성된 것을특징으로 하는 밀봉용기의 마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20)에 대해 상부캡(30)이 회전하여 상기 하부캡(20)으로부터 소정 높이 상승하여 상기 개폐공(31)에 의해 상기 배출공(21)이 개폐된 경우에 상기 상부캡(30)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용기의 마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수단은
    상기 하측 원통부(23)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23a)의 상단 끝부분에 형성되는 정지돌기(23b)와, 상기 상측 원통부(33)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32)의 적정 위치에 상기 정지돌기(23b)에 걸리는 걸림돌기(33a)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용기의 마개.
KR2020010020252U 2001-07-05 2001-07-05 밀봉용기용 마개 KR2002513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252U KR200251348Y1 (ko) 2001-07-05 2001-07-05 밀봉용기용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252U KR200251348Y1 (ko) 2001-07-05 2001-07-05 밀봉용기용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1348Y1 true KR200251348Y1 (ko) 2001-11-16

Family

ID=73104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252U KR200251348Y1 (ko) 2001-07-05 2001-07-05 밀봉용기용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13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445A (ko) * 2002-08-06 2004-02-14 (주)아미티에 유출량의 미세조절이 가능한 용기용 마개와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445A (ko) * 2002-08-06 2004-02-14 (주)아미티에 유출량의 미세조절이 가능한 용기용 마개와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9647Y1 (ko) 화장품 용기 캡
KR200251348Y1 (ko) 밀봉용기용 마개
KR200348302Y1 (ko) 위조방지용 병뚜껑
KR200480924Y1 (ko) 텀블러 캡
KR200391215Y1 (ko) 빨대가 형성된 음료 용기 뚜껑
WO2000001587A1 (en) Reclosable closure for cans
KR200201667Y1 (ko) 음료수 용기용 마개
JP4141668B2 (ja) 噴出キャップ
KR20210055959A (ko) 개봉 시 입에 닿는 부분이 돌출되는 캔 음료수 용기
KR870001365Y1 (ko) 용 기 마 개 체
KR200326218Y1 (ko) 회전마개가 있는 음료캔
KR200292087Y1 (ko) 맥주캔
KR102200669B1 (ko) 원터치형 안전캡
KR100577728B1 (ko) 일체형 3중 실링캡
KR100696676B1 (ko) 액상물질 용기용 마개
JP3961179B2 (ja) 注出ノズル付き飲料容器
JP2001192051A (ja) 飲料容器
JPH0523490Y2 (ko)
KR200233050Y1 (ko) 이중 개폐마개를 가진 용기
KR200286542Y1 (ko) 밀폐용기용 뚜껑
JP5269360B2 (ja) ヒンジキャップ
KR200182824Y1 (ko) 개폐가 편리한 마개
KR19980062544U (ko) 음료용기용 원터치 위생캡
KR200202813Y1 (ko) 음료용 캔
KR200232137Y1 (ko) 용기의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