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6859Y1 - 컵이 장착된 물통 - Google Patents

컵이 장착된 물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6859Y1
KR200356859Y1 KR20-2004-0011894U KR20040011894U KR200356859Y1 KR 200356859 Y1 KR200356859 Y1 KR 200356859Y1 KR 20040011894 U KR20040011894 U KR 20040011894U KR 200356859 Y1 KR200356859 Y1 KR 2003568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bucket
water
water tank
tank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18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주형
Original Assignee
임주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주형 filed Critical 임주형
Priority to KR20-2004-00118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68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68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68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2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 B65D43/0229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only on the inside, or a part turned to the in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02Loosely-engaging lids or covers for jars, cans, or like containers for liquids without means for effecting sealing of container
    • B65D51/04Loosely-engaging lids or covers for jars, cans, or like containers for liquids without means for effecting sealing of container hing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정량의 물을 담을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물통본체(11)가 있고, 상기 물통본체(11) 상단 일측에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112)가 구비되며, 물통본체(11) 상단 내주면에는 토출구(12)를 제외한 다른 부분에 나선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선부(13)의 바로 하단에는 물통본체(11)의 상면을 덮을 수 있는 보조덮개(14)가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된 물통부(10)와; 상기 물통본체(11)와 동일한 직경을 갖고 그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를 갖도록 형성된 컵본체(21)가 있고, 상기 컵본체(21) 하단에는 물통부(10)의 나선부(13)와 대응되는 나선돌기부(22)가 하단에 연속되지 않게 둘 이상으로 나뉘어져 형성된 컵부(20);로 구성된 컵이 장착된 물통에 관한 것으로, 물통의 상단에 컵을 덮개 대용으로 장착시켜 사용자가 물통만을 꺼내 덮개를 분리하여 컵으로 사용함으로서 용이하게 음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Description

컵이 장착된 물통{A water pail of combinde cup}
본 고안은 컵이 장착된 물통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일반적으로 물을 담아 보관하는 물통의 덮개부분을 컵으로도 사용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컵이 장착된 물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통이라 함은 물을 내부에 담아 보관하였다가 필요에 따라 음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그 보관방법은 냉장고 내에서 차갑게 보관하기도 하고, 실온에서 그냥 보관하기도 한다.
이러한 물통은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모양과 크기 및 구조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주로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물통의 경우 단순히 물을 담아 놓기 위한 것으로, 물을 담을 수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덮을 수 있는 덮개가 탈착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에는 물을 용이하게 따를 수 있도록 토출구가 형성된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여행, 등산, 낚시, 골프, 운동경기관람과 같이 야외에서 사용되는 물통의 경우 휴대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적당히 작은 크기에 최대한 본체와 뚜껑이 밀폐되도록 하여 물이 새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 외에도, 뜨거운 물의 온도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보온물통이 있으며, 이러한 보온물통은 내면과 외면을 스텐레스스틸로 형성되어 외부와의 열교환율을 최저화시켜 그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물통 중에서, 주로 가정에서 사용되는 물통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단순히 물만 따를 수 있는 기능만 갖고 있어, 물통의 물을 음용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소정의 컵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대부분 가정에서 물통은 냉장고나 식탁 위에 놓여지고, 컵은 찬장과 같은 곳에 진열된 바와 같이, 각기 다른 장소에서 보관되어 있어 사용자가 물통과 물을 동시에 준비하여 마셔야하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으로,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물통의 상단에 컵을 덮개 대용으로 장착시켜 사용자가 물통만을 꺼내 용이하게 음용할 수 있도록 한 컵이 장착된 물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컵이 장착된 물통을 나타낸 부분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물통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 :물통부
11 : 물통본체
12 : 토출구
13 : 나선부
14 : 보조덮개
15 : 물통손잡이
20 : 컵부
21 : 물통본체
22 : 나선돌기
23 : 컵손잡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소정량의 물을 담을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물통본체가 있고, 상기 물통본체 상단 일측에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가 구비되며, 물통본체 상단 내주면에는 토출구를 제외한 다른 부분에 나선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선부의 바로 하단에는 물통본체의 상면을 덮을 수 있는 보조덮개가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된 물통부와;
상기 물통본체와 동일한 직경을 갖고 그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를 갖도록 형성된 컵본체가 있고, 상기 컵본체 하단에는 물통부의 나선부와 대응되는 나선돌기부가 하단에 연속되지 않게 둘 이상으로 나뉘어져 형성된 컵부;로 구성된 것을 장착된 컵이 장착된 물통을 제공함으로서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가위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기는 하나, 본 고안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컵이 장착된 물통의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물통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컵이 장착된 물통은 내부에 소정량의 물을 담을 수 있는 물통부(10)와, 상기 물통부(10)의 상단에 결합되어 덮개의 역할을 겸하게 되는 컵부(20)로 구성된다.
먼저 물통부(10)의 경우 소정량의 물을 담을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물통본체(11)가 있고, 상기 물통본체(11) 상단 일측에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12)가 구비되며, 물통본체(11) 상단 내주면에는 토출구(12)를 제외한 다른 부분에 나선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선부(13)의 바로 하단에는 물통본체(11)의 상면을 덮을 수 있는 보조덮개(14)가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물통부(10)에 있어서, 물통본체(11)의 크기나 모양은 저장하고자 하는 물의 용량과 용도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통본체(11)의 일측에 소정의 물통손잡이(15)를 부착시켜 사용자가 상기 물통손잡이(15)를 잡고 물통 내부의 물을 용이하게 따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컵부(20)의 경우에는 물통본체(11)와 동일한 직경을 갖고 그 내부에 소정의공간부를 갖도록 형성된 컵본체(21)가 있고, 상기 컵본체(21) 하단에는 물통부(10)의 나선부(13)와 대응되는 나선돌기부(22)가 하단에 연속되지 않게 둘 이상으로 나뉘어져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컵본체(21) 일측에도 역시 소정의 컵손잡이(23)를 부착시켜 사용자가 상기 컵손잡이(23)를 잡고 그 내부에 충진된 물을 용이하게 음용이 가능하도로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컵부(20)는 물통부(10)의 상단에 나선돌기(22)와 나선부(13)의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이 되며,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컵부(20)와 물통부(10)가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 물통부(10)의 토출구(12)에는 컵부(20)의 나선부(22)가 위치되지 않도록 하여 물통본체(11) 내부의 물이 토출구(12)를 통해 나올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컵부(20)와 물통부(10)가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 컵부(20)의 나선돌기(22) 하단이 물통부(10)의 보조덮개(14) 주위와 밀착되게 되어, 물통이 외부충격에 의해 흔들릴 경우 보조덮개가 물의 움직임에 의해 열리지 않도록 하여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컵부(20)와 물통부(10)가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에는 물통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으며, 컵부(20)를 처음 결합했을 때와 반대방향으로 돌려 물통부(10)로 부터 분리시키게 되면 컵의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는 것이다. 아울러, 물통본체(11) 내부에 물을 충진시키고자 할 때에는 보조덮개(14)를 상부방향으로 열고 물을 부은 다음 다시 덮으면 된다.
이와 같은 보조덮개를 물통본체와의 결합방법은 흰지나 경첩과 같이 회전가능한 결합수단을 사용하면 가능하고, 보조덮개가 물통본체 내에서 유동되지 않고 단단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물통본체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컵이 장착된 물통은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물통의 상단에 컵을 덮개 대용으로 장착시켜 사용자가 물통만을 꺼내 덮개를 분리하여 컵으로 사용함으로서 용이하게 음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컵이 장착된 물통은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물통의 상단에 컵을 덮개 대용으로 장착시켜 사용자가 물통만을 꺼내 덮개를 분리하여 컵으로 사용함으로서 용이하게 음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Claims (2)

  1. 소정량의 물을 담을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물통본체(11)가 있고, 상기 물통본체(11) 상단 일측에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112)가 구비되며, 물통본체(11) 상단 내주면에는 토출구(12)를 제외한 다른 부분에 나선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선부(13)의 바로 하단에는 물통본체(11)의 상면을 덮을 수 있는 보조덮개(14)가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된 물통부(10)와;
    상기 물통본체(11)와 동일한 직경을 갖고 그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를 갖도록 형성된 컵본체(21)가 있고, 상기 컵본체(21) 하단에는 물통부(10)의 나선부(13)와 대응되는 나선돌기부(22)가 하단에 연속되지 않게 둘 이상으로 나뉘어져 형성된 컵부(20);로 구성된 것을 장착된 컵이 장착된 물통.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통본체(11)와 컵본체(21)의 일측에는 각각 물통손잡이(15)와 컵손잡이(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이 장착된 물통.
KR20-2004-0011894U 2004-04-28 2004-04-28 컵이 장착된 물통 KR2003568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894U KR200356859Y1 (ko) 2004-04-28 2004-04-28 컵이 장착된 물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894U KR200356859Y1 (ko) 2004-04-28 2004-04-28 컵이 장착된 물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6859Y1 true KR200356859Y1 (ko) 2004-07-19

Family

ID=49348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1894U KR200356859Y1 (ko) 2004-04-28 2004-04-28 컵이 장착된 물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68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213B1 (ko) 2017-11-17 2018-04-11 류창윤 보온과 조명 기능을 갖는 접이식 텀블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213B1 (ko) 2017-11-17 2018-04-11 류창윤 보온과 조명 기능을 갖는 접이식 텀블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4329B1 (en) Cooler with beverage dispenser
US4162029A (en) Cooler chest/liquid dispenser combination
US20090266737A1 (en) Beverage container permitting multiple configurations
US20070125118A1 (en) Ice chest
JP5320318B2 (ja) 保冷容器
KR100828147B1 (ko) 생수병 단열 케이스
US20130153085A1 (en) Multi-compartment beverage container
JP2005527438A (ja) 冷蔵庫用の液体ディスペンサー
KR20120021781A (ko) 기능성 텀블러
JP3219770U (ja) 自動ストローを備えた飲料カップ
US20030029867A1 (en) Partitioned cooler
KR200356859Y1 (ko) 컵이 장착된 물통
KR200480924Y1 (ko) 텀블러 캡
KR200497485Y1 (ko) 대구경 인입구를 가지는 텀블러 용기
KR200407490Y1 (ko) 다용도 보온컵
KR200250105Y1 (ko) 물통
KR200493844Y1 (ko) 휴대용 아이스컵
KR200427785Y1 (ko) 사용이 용이한 선반용 물통
KR20190122603A (ko) 분리형 물병
JPH057509A (ja) 容量変化自在な容器
CN210696364U (zh) 保温且便携式午餐盒
CN210810358U (zh) 一种便携式冰杯
KR200429845Y1 (ko) 병 따개가 내설된 휴대용 컵 보관 용기
JPH0355406Y2 (ko)
US20100154463A1 (en) Cooler for use with a beverage ke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