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27567A1 - 음료제조용 텀블러 및 이를 위한 첨가물 저장 캡슐 - Google Patents

음료제조용 텀블러 및 이를 위한 첨가물 저장 캡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27567A1
WO2020027567A1 PCT/KR2019/009525 KR2019009525W WO2020027567A1 WO 2020027567 A1 WO2020027567 A1 WO 2020027567A1 KR 2019009525 W KR2019009525 W KR 2019009525W WO 2020027567 A1 WO2020027567 A1 WO 202002756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dditive
tray
tumbler
drinking water
pu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952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문식
Original Assignee
박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8527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10005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8519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10000B1/ko
Application filed by 박문식 filed Critical 박문식
Priority to CN201980049724.6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2469639B/zh
Priority to US17/262,127 priority patent/US11871874B2/en
Publication of WO202002756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2756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6Thin-walled containers, e.g. formed by deep-drawing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7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for mixing drinks; Hand-held sh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8Partitions with provisions for removing or destroying, e.g. to facilitate mixing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05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 B65D81/3211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coaxially and provided with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6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단이 차폐되어 내부에 음용수 또는 음료를 저장하는 음용수 저장공간이 형성된 하부트레이와, 하부트레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부가 개방된 하부트레이의 상부를 차폐하고, 이용자가 음용수 저장공간의 음용수 또는 음료를 마실 수 있는 음용구가 형성된 상부트레이를 포함하는 음용수트레이와, 음용수트레이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내부에 첨가물이 저장되는 첨가물 저장공간이 형성된 첨가물트레이와 음용수트레이와 첨가물트레이에 걸쳐 관통되게 설치되어, 첨가물을 펌핑하여 음용수 저장공간으로 공급하는 펌핑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음용수가 저장된 음용수트레이에 액상형태의 첨가물을 저장 및 보관할 수 있는 첨가물트레이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액상의 첨가물을 용이하게 저장할 수 있고, 첨가물을 일정량 첨가할 수 있도록 하여 첨가물을 이용한 음료제조가 용이하며, 기밀을 유지하여 외부로 음료가 누수되지 않도록 하여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제조용 텀블러 및 이를 위한 첨가물 저장 캡슐
본 발명은 음료제조용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용수와 첨가물을 함께 수용하고, 이용자의 필요에 따라 첨가물을 펌핑하여 음용수에 첨가함으로써 음료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기밀을 유지하여 외부로 음료가 누수되지 않도록 하는 음료제조용 텀블러 및 이에 삽입되어 사용되는 첨가물 저장 캡슐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음료수를 휴대하여 음용하는 문화가 발달함과 더불어 1회용 컵의 유해성 논란에 따른 환경에 대한 인식변화로 인하여 개인용 텀블러를 이용하여 음료수를 휴대하여 음용하는 이용자가 널리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개인용 텀블러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의 용기본체와 용기 본체 상단을 개폐하는 뚜껑으로 구성되어, 용기본체에 음료를 저장하고 뚜껑을 개방하여 음료를 음용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러한 텀블러는 사용자가 늘어남에 따라 특히, 운동선수, 헬스트레이너, 보디빌더 등과 같이 물에 우유와 같은 음료 등을 섞어 섭취하는 경우도 늘어나면서 이에 따른 다양한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상기한 텀블러에 대한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22408호는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텀블러본체와, 상기 텀블러본체 일측에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텀블러본체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텀블러커버와, 상기 텀블러본체 하부에 위치도록 구성되되, 내부에 쉐이킹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측면에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텀블러본체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혼합하도록 구성되는 쉐이킹막대와, 상기 하부하우징의 일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쉐이킹막대가 회전하도록 상기 쉐이킹기어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기어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쉐이커 텀블러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텀블러는 음용수에 첨가물을 첨가하여 음료를 제조함에 있어, 첨가물을 따로 보관해야 할뿐만 아니라 이용자가 첨가물을 직접 인출하여 음용수에 첨가해야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불편함이 있었으며, 특히 음료 제조 시 첨가물의 누출우려가 있어 첨가물의 낭비 및 위생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음료 제조 시 첨가물을 비롯한 음료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기밀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첨가물의 낭비를 방지하고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료제조용 텀블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첨가물을 별도로 보관하여 따로 인출할 필요 없이 텀블러 내에 음용수와 액상의 첨가물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성 및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내장된 펌핑유닛을 통하여 첨가물을 일정량 첨가할 수 있도록 하여 음료제조가 용이하고, 펌핑 시 발생할 수 있는 내부의 음압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펌핑을 원활하게 하여 첨가물의 유출량을 일정하게 할 수 있는 음료제조용 텀블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펌핑부 내부를 분해하기 어려워 펌핑부 내의 유로를 세척하기가 어려웠던 기존과는 달리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해체가 가능하고 내부 세척이 용이하고, 이에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료제조용 텀블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덮개부의 구조를 수평 회동식으로 구성하여 사용이 용이하고, 휴대 시 의도치 않은 외력 등에 의하여 덮개부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내용물 유출로 인한 위생상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음료제조용 텀블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음료제조용 텀블러에 직접 첨가물 저장 용기를 수납시켜 사용함으로써, 첨가물의 투입이 용이하고 첨가제 투입 과정에서 발생하는 첨가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첨가물 저장 캡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텀블러에의 수납 및 교체가 용이한 첨가물 저장 캡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단이 차폐되어 내부에 음용수 또는 음료를 저장하는 음용수 저장공간이 형성된 하부트레이와, 상기 하부트레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부가 개방된 상기 하부트레이의 상부를 차폐하고, 이용자가 상기 음용수 저장공간의 음용수 또는 음료를 마실 수 있는 음용구가 형성된 상부트레이를 포함하는 음용수트레이와; 상기 음용수트레이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내부에 첨가물이 저장되는 첨가물 저장공간이 형성된 첨가물트레이와; 상기 음용수트레이와 상기 첨가물트레이에 걸쳐 관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첨가물을 펌핑하여 상기 음용수 저장공간으로 공급하는 펌핑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펌핑유닛은, 상기 상부트레이에 슬라이딩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이용자의 가압에 따라 이동하는 펌핑버튼부와, 상기 하부트레이의 음용수 저장공간 내에 위치하여 상기 펌핑버튼부의 왕복이동에 의하여 승하강하고, 상기 음용수 저장공간과 상기 첨가물 저장공간과 각각 연통되게 연결되어 승하강에 의하여 상기 첨가물을 흡입하여 상기 음용수 저장공간으로 유출시키는 펌핑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펌핑유닛은, 상기 펌핑버튼부에 결합되어 상기 펌핑버튼부를 상기 음용수 저장공간과 구획시켜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음용수 저장공간으로부터 상기 펌핑버튼부를 차폐하는 기밀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트레이는, 상기 하부트레이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면에 상기 음용구가 관통 형성되며, 상면으로 상기 음용구와 이격되게 상기 펌핑유닛이 관통 설치되는 클로저부와; 상기 클로저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내측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클로저부가 노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회전 시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음용구 또는 상기 펌핑유닛의 상부를 노출시키는 회전덮개부와; 상기 클로저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부가 상기 회전덮개부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덮개부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 및 상기 회전덮개부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회전덮개부의 회전 시 상기 음용구를 개폐하는 차폐지지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지지부는,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회전축을 따라 승하강하는 회전축부와; 내측으로 상기 회전축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회전축부에 상단 및 하단이 지지되어 상기 회전축부와 연동하여 승하강하는 지지몸체와; 일단부가 상기 지지몸체의 외측면에 결합하고, 상기 일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타단부가 상기 음용구를 개폐하는 차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텀블러에 내장되어 사용되는 첨가물 저장 캡슐로서, 상기 첨가물 저장 캡슐은, 텀블러 하단에 결합되어, 텀블러 본체 내부로 펌핑되는 첨가물이 수용되는 첨가물트레이에 삽입되어 구비되고, 상기 첨가물 저장 캡슐은, 상기 첨가물트레이의 내측면에 접하여 위치하는 측벽부와; 상기 첨가물트레이의 바닥면에 접하여 위치하는 바닥부; 그리고 상기 측벽부의 상부를 밀폐하는 밀폐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는, 중앙부에 내측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바닥 돌출부와; 상기 바닥 돌출부와 상기 측벽부 사이에 형성되는 바닥 저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제조용 텀블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기밀수단을 통하여 음료 제조 시 첨가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기밀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펌핑 시 또는 사용 시 첨가물이나 음료의 누출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첨가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휴대 시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음용수가 저장된 음용수트레이에 액상형태의 첨가물을 저장 및 보관할 수 있는 첨가물트레이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액상의 첨가물을 용이하게 저장할 수 있고, 첨가물을 별도로 보관하여 따로 인출할 필요 없이 텀블러 내에서 첨가물을 일정량 첨가할 수 있도록 하여 첨가물을 이용한 음료제조가 용이하다.
셋째, 펌핑유닛의 해체가 어려워 펌핑유닛 내부 세척이 어려웠던 기존과는 달리 첨가물의 이동유로를 세척할 수 있도록 펌핑유닛 내부까지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펌핑유닛을 비롯한 상부트레이의 각 구성이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해체 조립이 가능하기 때문에, 세척이 용이하고 유지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섯째, 공기유입수단을 구비하여, 내부 음압으로 인한 펌핑유닛의 기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첨가물의 유출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음료제조의 균일성 및 통일성을 유지할 수 있다.
여섯째, 회전덮개부의 개폐구조를 트레이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평 회전하여 음용상태, 펌핑상태 및 보관상태 시 이에 대응하여 차폐상태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 시 의도치 않은 외력 등에 의하여 회전덮개부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내용물 유출로 인한 위생상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일곱째, 본 발명에 따른 첨가물 저장 캡슐은, 음료제조용 텀블러에 직접 첨가물을 투입하는 대신 첨가물을 저장한 캡슐을 수납시켜 사용함으로써, 액상의 첨가물을 텀블러에 투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첨가물의 유출에 의한 첨가물의 손실, 위생상의 문제점 등을 해결하고 용이하게 첨가물을 텀블러에 투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덟째, 본 발명에 따른 첨가물 저장 캡슐은, 캡슐의 외주면에 경사 단차부를 형성함으로써 첨가물 수납공간에 첨가물 저장 캡슐이 정확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캡슐 교체시 경사 단차부를 이용한 회전력에 의하여 캡슐을 텀블러에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제조용 텀블러의 주요구성인 펌핑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음료제조용 텀블러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음료제조용 텀블러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음료제조용 텀블러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음료제조용 텀블러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음료제조용 텀블러에서 펌핑버튼부의 기밀수단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음료제조용 텀블러에서 공기유입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음료제조용 텀블러에서 공기유입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4의 음료제조용 텀블러에서 첨가물트레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음료제조용 텀블러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4의 음료제조용 텀블러에서 음용수트레이에 결합부가 형성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제조용 텀블러에서 첨가물 트레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제조용 텀블러의 정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음료제조용 텀블러의 분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음료제조용 텀블러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음료제조용 텀블러에서 상부트레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3에 도시된 음료제조용 텀블러에서 클로저부의 스토퍼돌기와 회전덮개부의 가이드홈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음료제조용 텀블러에서 하부트레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19는 도 15에 도시된 음료제조용 텀블러에서 첨가물트레이와 첨가물캡슐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5에 도시된 음료제조용 텀블러에서 펌핑부의 슬라이딩 개폐부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13에 도시된 음료제조용 텀블러에서 펌핑모드 시 상부트레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정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3에 도시된 음료제조용 텀블러에서 보관모드 시 상부트레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정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13에 도시된 음료제조용 텀블러에서 음용모드 시 상부트레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정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1의 음료제조용 텀블러에서 각 모드 시 회전덮개부의 위치 및 차폐지지부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도 13에 도시된 음료제조용 텀블러에서 빨대부가 구비되는 상부트레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정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음료제조용 텀블러에서 개폐마개를 개방한 경우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정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13에 도시된 음료제조용 텀블러에서 회전덮개부와 클로저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28의 (a)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첨가물 저장 캡슐의 사시도이고, (b)는 그 측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첨가물 저장 캡슐이 텀블러의 첨가물트레이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0 내지 33은 본 발명에 따른 첨가물 저장 캡슐의 외주면에 형성된 단차부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4 및 35는 본 발명에 따른 첨가물 저장 캡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단이 차폐되어 내부에 음용수 또는 음료를 저장하는 음용수 저장공간이 형성된 하부트레이와, 상기 하부트레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부가 개방된 상기 하부트레이의 상부를 차폐하고, 이용자가 상기 음용수 저장공간의 음용수 또는 음료를 마실 수 있는 음용구가 형성된 상부트레이를 포함하는 음용수트레이와; 상기 음용수트레이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내부에 첨가물이 저장되는 첨가물 저장공간이 형성된 첨가물트레이와; 상기 음용수트레이와 상기 첨가물트레이에 걸쳐 관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첨가물을 펌핑하여 상기 음용수 저장공간으로 공급하는 펌핑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펌핑유닛은, 상기 상부트레이에 슬라이딩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이용자의 가압에 따라 이동하는 펌핑버튼부와, 상기 하부트레이의 음용수 저장공간 내에 위치하여 상기 펌핑버튼부의 왕복이동에 의하여 승하강하고, 상기 음용수 저장공간과 상기 첨가물 저장공간과 각각 연통되게 연결되어 승하강에 의하여 상기 첨가물을 흡입하여 상기 음용수 저장공간으로 유출시키는 펌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트레이는, 상기 하부트레이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면에 상기 음용구가 관통 형성되며, 상면으로 상기 음용구와 이격되게 상기 펌핑유닛이 관통 설치되는 클로저부와; 상기 클로저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내측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클로저부가 노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회전 시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음용구 또는 상기 펌핑유닛의 상부를 노출시키는 회전덮개부와; 상기 클로저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부가 상기 회전덮개부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덮개부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 및 상기 회전덮개부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회전덮개부의 회전 시 상기 음용구를 개폐하는 차폐지지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펌핑유닛은, 상기 펌핑버튼부에 결합되어 상기 펌핑버튼부를 상기 음용수 저장공간과 구획시켜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음용수 저장공간으로부터 상기 펌핑버튼부를 차폐하는 기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차폐지지부는,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회전축을 따라 승하강하는 회전축부와; 내측으로 상기 회전축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회전축부에 상단 및 하단이 지지되어 상기 회전축부와 연동하여 승하강하는 지지몸체와; 일단부가 상기 지지몸체의 외측면에 결합하고, 상기 일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타단부가 상기 음용구를 개폐하는 차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텀블러에 내장되어 사용되는 첨가물 저장 캡슐로서, 상기 첨가물 저장 캡슐은, 텀블러 하단에 결합되어, 텀블러 본체 내부로 펌핑되는 첨가물이 수용되는 첨가물트레이에 삽입되어 구비되고, 상기 첨가물 저장 캡슐은, 상기 첨가물트레이의 내측면에 접하여 위치하는 측벽부와; 상기 첨가물트레이의 바닥면에 접하여 위치하는 바닥부; 그리고 상기 측벽부의 상부를 밀폐하는 밀폐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제조용 텀블러는, 음용수 또는 음료에 첨가물을 혼합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구비된 펌핑유닛에 의하여 첨가물이 설정된 양에 따라 첨가되도록 구성되며, 기밀수단에 의하여 음용수 저장공간으로부터 펌핑유닛을 차폐하는 구조를 기본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음료제조용 텀블러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제조용 텀블러는, 음용수트레이(100)와, 첨가물트레이(200)와, 상기 음용수트레이(100)와 첨가물트레이(200)에 결합하는 펌핑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첨가물트레이(200)는, 음용수트레이(100)의 하부에 결합하고, 음용수트레이(100) 상부에 펌핑유닛(300)이 결합되어, 사용자가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음용수트레이(100)는, 텀블러의 몸체를 구성하는 부분으로 내부에 음용수 저장공간(111)이 형성되어 음용수 또는 음료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음용수 저장공간(111)은 저장된 음용수에 펌핑된 첨가물이 첨가되어 음료를 제조하는 공간이며, 제조된 음료를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음용수트레이(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보다 좋은 사용감을 고려한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한 원통형 외에 횡단면형상이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음용수트레이(100)는, 하부트레이(110)와 상부트레이(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하부트레이(110)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단이 차폐되어 상기 음용수 저장공간(111)이 내측에 형성되며, 하단 바닥부에 상기 펌핑유닛(300)이 관통삽입되도록 관통공(11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관통공(114)은 평면상으로 봤을 때 상기 하부트레이(110)의 중심부로부터 외주방향으로 벗어나 하부트레이(110)의 내주측면에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펌핑유닛(300)이 음용수트레이(100)와 첨가물트레이(200)의 내측면에 인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트레이(120)는, 하부트레이(11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부가 개방된 상기 하부트레이(110)의 상부를 차폐하는 역할을 하며, 음용수 저장공간(111)에 음용수를 채운 후 이를 차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트레이(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로저부(121)와, 마개부(122)와, 덮개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클로저부(121)는, 상기 하부트레이(11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음용구(12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음용구(124)는 이용자가 저장된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 이용자가 음용수 저장공간(111)의 음용수 또는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되며, 이용자가 용이하게 음용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클로저부(121)와 하부트레이(110) 사이에는 오링 형태의 패킹(126)이 구비되어, 하부트레이(100)와 클로저부(121)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클로저부(1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용구(124)가 형성된 상부부재(1211)와, 상기 상부부재(1211)와 결합하고 하부트레이(11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하부부재(1212)로 각각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클로저부(121)는, 상기 원통형의 하부트레이(110)의 평단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부재(1212)의 외주면을 따라 이용자가 하부트레이(110)와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돌기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로저부(121)와 하부트레이(110)는, 하부트레이(110)의 상단 외주면과 클로저부(121)의 하단 내주면에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클로저부(121)와 하부트레이(110)가 서로 나사결합을 통하여 착탈 결합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나사결합방식으로 구성되는 클로저부(121)와 하부트레이(110)의 착탈방식은 일 실시예로, 스냅결합방식 또는 버튼 방식 등 착탈 가능하고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식이라면 다양하게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클로저부(121)는, 상기와 같이 상부부재(1211)와, 하부부재(1212)로 각각 분리된 경우를 실시예로 나타내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상부부재(1211)와 하부부재(1212)가 일체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129는 펌핑유닛(300)이 삽입설치되는 관통공을 나타낸다.
상기 마개부(122)는, 상기 클로저부(121)에 결합하여 상기 음용구(124)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마개부(1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용구(124)에 대응되는 덮개부(123)의 내측면에 결합하여, 덮개부(123)를 개폐함에 따라 음용구(124)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 마개부(122)는 음용구(124)의 구조에 따라 와이어 등으로 덮개부(123)와 분리되어 별도의 구성품으로 구성되거나, 덮개부(123)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덮개부(123)는, 상기 클로저부(121)와 마개부(122)를 덮도록 클로저부(121)의 상부에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음용구(124)를 포함하는 상기 음용수트레이(100)의 상부를 차폐하고,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음용구(12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내부에 저장된 음료를 용이하게 음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덮개부(123)는 버튼부(125)에 의하여 상기 클로저부(12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버튼부(125)는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형식으로 구성되어, 일측은 클로저부(121)의 외주측면에 결합하고 타측은 덮개부(123)와 결합하고, 덮개부(123)가 클로저부(121)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회동에 따라 덮개부(123)가 클로저부(121)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첨가물트레이(200)는 상기 음용수트레이(10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내부에 첨가물이 저장되는 첨가물 저장공간(201)이 형성되어 액상의 첨가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첨가물트레이(200)는, 컵형상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하단이 차폐되어 내측으로 첨가물 저장공간(20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첨가물트레이(200)는, 개방된 상부가 음용수트레이(10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착탈 결합의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용수트레이(100)와 첨가물트레이(200)는 나사결합을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음용수트레이(100)는, 하부 내측면에 제1나사산(113)이 형성되고, 상기 첨가물트레이(200)는 상기 음용수트레이(100)와 대면하는 상부 외측면에 제1나사산(113)과 치합되는 제2나사산(202)이 형성되어, 상기 음용수트레이(100)와 첨가물트레이(200)가 제1나사산(113)과 제2나사산(202)의 나사결합을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나사산(113)과 제2나사산(202)은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음용수트레이(100)의 내측면과 첨가물트레이(200)의 외측면에 각각 형성된 것을 실시예로 나타내었으나, 상기 제1나사산(113)과 제2나사산(202)을 음용수트레이(100)의 외측면과 첨가물트레이(200)의 내측면에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음용수트레이(100)와 첨가물트레이(200)를 나사결합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경우에는 체결력이 높기 때문에 사용 중 첨가물트레이(200)가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기밀성이 높아 첨가물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한 음용수트레이(100)와 첨가물트레이(20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한 나사결합 방식 외 다른 착탈 결합방식을 취할 수 있다.
가령, 상기 음용수트레이(100)와 상기 첨가물트레이(200)는, 스냅방식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착탈이 용이하도록 구성되고 단조로운 형상에 의하여 제조가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음용수트레이(100)와 첨가물트레이(200)는, 나사산 대신 단차가 형성되도록 스냅홈과 스냅돌기가 형성되어, 압입을 통해 스냅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첨가물트레이(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음용수트레이(10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만큼, 첨가물의 종류에 따라 카트리지 형식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첨가물을 선택한 후 이를 음용수트레이(100)에 결합하여 음료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첨가물트레이(200)는,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확인부(203;도 2 참조)을 형성하고, 상기 확인부에 눈금부를 형성하여 첨가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펌핑유닛(300)은, 음용수트레이(100)와 첨가물트레이(200)에 각각 설치되어, 첨가물 저장공간(201)의 첨가물을 펌핑하여 음용수 저장공간(111)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이용자의 펌핑에 의해 정량씩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펌핑횟수에 따라 첨가물 첨가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세하게, 상기 펌핑유닛(300)은, 펌핑버튼부(310)와, 펌핑부(320)와, 기밀수단(3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펌핑버튼부(310)는, 음용수트레이(100)의 상부에 슬라이딩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이용자의 가압에 따라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펌핑버튼부(310)는, 스템부(311)와, 가이드부싱(3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템부(311)는, 음용수트레이(100)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구(129)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어, 상부는 음용수트레이(100)의 상부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이용자가 상단부를 가압하고, 하부는 펌핑부(320)에 외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템부(311)는, 상단부에 버튼캡(313;도 6 참조)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버튼캡(313)은 사용자가 스템부(311)를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단부의 평면적이 스템부(311)의 평면적 보다 넓게 형성되며, 스템부(311)의 상단부에 나사 체결되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싱(312)은, 관 형상으로 내측으로 스템부(311)가 삽입되어, 왕복이동하는 스템부(311)를 가이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싱(312)은, 기밀부재(330)의 상부 내측에 삽입되고, 상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의 하단부 측면이 삽입구(129)의 상면에 접촉되어 삽입구에 고정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내주면 또는 내측면으로 스템부(311)가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싱(312)은, 기밀부재(330)의 상단부를 삽입구(129) 내주면에 고정하고 스템부(311)의 상하방향 이동 시 기밀부재(330)와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기밀부재(330)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펌핑부(320)는, 음용수 저장공간 내에 위치하여 펌핑버튼부(310)의 왕복이동에 의하여 승하강하고, 음용수 저장공간(111)과 첨가물 저장공간(201)과 각각 연통되게 연결되어 승하강에 의하여 첨가물을 흡입하여 음용수 저장공간(111)으로 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펌핑부(320)는, 흡입관(321)과, 배출관(322)과, 피스톤부(323)와, 개폐밸브(3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흡입관(321)은, 중공관 형상으로 하부트레이(110)의 바닥면에 형성된 관통공(114)에 관통 삽입되어 세워지며, 일측은 첨가물 저장공간(201)과 연통되게 첨가물트레이(200)의 내부로 연장되고, 타측은 음용수 저장공간(111) 내에 배치되어 피스톤부(323)에 의하여 첨가물 저장공간(201)의 첨가물이 유입된다.
이때, 상기 흡입관(321)은 첨가물트레이(200)와 음용수트레이(100)의 내측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하단부는 첨가물트레이(200)의 저면과 인접하도록 위치하여, 첨가물 저장공간(201) 내 첨가물의 유입이 용이하고, 첨가물트레이(200)를 기울여 잔량의 첨가물까지도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펌핑유닛(300)은, 상기 첨가물트레이(200)와 상기 음용수트레이(100)의 중심축부에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흡입관(321)은 하부에 지지관(321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관(3211)은, 내측으로 흡입관(321)이 관통 삽입되고, 하부트레이(110)의 바닥부에 형성된 관통공(114)의 상단측에 위치하여, 첨가물트레이(200) 내 흡입관(321)의 최소 길이를 보장하고, 관통공(114)과 흡입관(321)의 외측면 사이로 첨가물이 음용수트레이(1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관(3211)은 탄성밴드로 구성되어 흡입관(321)에 끼워지거나, 너트형태로 형성되어 나사결합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흡입관(321)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흡입 단부에 메쉬망을 설치하여 펌핑버튼부(310) 내로 불순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펌핑버튼부(310)의 기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배출관(322)은, 중공관 형상으로 상기 음용수 저장공간(111)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된 첨가물을 상기 음용수저장공간(111)으로 유출시킨다.
상기 배출관(322)는, 중공관 형상으로 일측은 피스톤로드(3231)의 상부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측은 음용수 저장공간(111)과 연통되어 피스톤 하우징(322)의 내부공간(3232a)과 피스톤로드(3231)의 유로(3231a)를 거친 첨가물을 음용수 저장공간(111)으로 공급한다.
상기 배출관(3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첨가물이 음용수 저장공간(111)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한 'ㄱ'형상 외 다양한 형상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피스톤부(323)는, 음용수 저장공간(111) 내에 위치하고 흡입관(321)의 타측 단부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펌핑버튼부(310)의 왕복이동에 의하여 흡입관(321)을 통하여 첨가물을 흡입하고, 흡입된 첨가물을 상기 배출관(322)으로 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피스톤부(323)는, 펌핑버튼부(310)와 연동되어 펌핑버튼부(310)의 왕복이동에 의해 승하강하도록 구성되며, 피스톤로드(3231)와, 피스톤하우징(3232)과, 탄성부재(32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피스톤로드(3231)는, 상부는 펌핑버튼부(310)와 접촉 연결되고 하부는 피스톤 하우징(322)의 내부공간(3232a)에 삽입된다.
상기 피스톤로드(3231)는, 내부에 유로(3231a)가 형성되어 펌핑 시 피스톤 하우징(322) 내의 첨가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내부에 유로(323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하우징(3232)은, 내부공간(3232a)에 피스톤로드(3231)가 승하강되도록 설치되고, 흡입관(321)과 배출관(322)이 각각 연통되게 연결된다.
상기 피스톤 하우징(3232)은, 상기 음용수 저장공간(111)에 위치하여 흡입관(321)의 타단부와 연통되고, 내부공간(3232a)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3232a)에 피스톤로드(3231)가 승하강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피스톤 하우징(3232)은, 피스톤로드(3231)의 승하강에 따른 내부압력변화에 의하여 첨가물 저장공간(201)의 첨가물이 내부공간(3232a)으로 상기 첨가물이 유입된다.
상기 탄성부재(3233)는, 피스톤로드(3231)와 결합하여 승하강 하는 피스톤로드(3231)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성부재(3233)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로드(3231)의 외주면에 끼워지고 피스톤하우징(3232)에 삽입되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이러한 탄성부재(3233)의 구성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상기 개폐밸브(324)는, 흡입관(321) 연결되는 피스톤 하우징(3232)의 하부에 설치되어 피스톤 로드(3231)의 승하강에 따라 흡입관(32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개폐밸브(324)는, 흡입관(321)과 상기 피스톤 하우징(3232)의 내부공간(3232a)과 연통되는 밸브유로 상에 설치되는 볼밸브(324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볼밸브(3241)는, 밸브유로에서 피스톤부(323)의 승하강에 따라 이동하고, 이러한 승하강에 의하여 흡입관(321)과 밸브유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볼밸브(3241)는, 흡입관(321)의 상단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일 방향 댐퍼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피스톤 하우징(3232) 내에 흡입력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상방으로 이동되어 흡입관(321)을 개방하고, 피스톤 하우징(3232) 내에 압축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하방으로 이동되어 흡입관(321)의 상단을 차폐한다.
상기 볼밸브(3241)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금속, 세라믹 또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강구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료제조용 텀블러는, 펌핑유닛(300)을 수동식으로 가압하여 사용자가 첨가물을 펌핑하여 음용수 저장공간(111)으로 공급하는 경우를 실시예로 나타내었으나, 이와는 다른 실시예로 흡입모터를 이용하여 첨가물을 펌핑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음료제조용 텀블러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펌핑모터를 포함하는 펌핑유닛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펌핑유닛은, 일측은 첨가물트레이의 내부로 연장되고, 타측은 음용수 저장공간 내에 배치되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과 연결되는 흡입모터와, 상기 흡입모터를 작동시키고 상기 음용수트레이의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스위치부와, 흡입모터와 연결되어 첨가물이을 용수 저장공간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밀수단(330)은, 펌핑버튼부(310)에 결합하여 펌핑버튼부(310)를 상기 음용수 저장공간(111)과 구획시켜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음용수 저장공간(111)으로부터 상기 펌핑버튼부(310)를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밀수단(330)은,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폐쇄된 원통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면으로 펌핑버튼부(310)의 스템부(311)가 삽입되어, 스템부(311)의 하부 측면을 감싸고, 스템부(311)의 하면이 내측 바닥면에 접촉되고, 외측저면이 상기 펌핑부(320) 상단에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밀수단(330)은, 삽입구(129) 내측면과 스템부(311) 외측면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여, 삽입구(129)를 통해 음용수 저장공간(111) 내 제조된 음료나 음용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밀수단(330)은, 왕복슬라이딩 이동하는 스템부(311)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신축되도록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주름부가 형성된 벨로우즈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126,127은 오링형상의 패킹을 나타내며, 128은 첨가물트레이(200)의 하부에 결합하여 슬립을 방지하는 패드를 나타낸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기밀수단(330)은 펌핑을 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수축된 상태로 있다가, 이용자가 펌핑하여 스템부(311)가 하방으로 이동할 시에는 신장되도록 구성된다.
도 6은, 상기 기밀수단(330a,330b)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기밀수단(330a)은, 바닥면에 상방 또는 하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돌출된 볼록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a)는 기밀수단(330a)의 하면이 상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실시예를 나태내고 있다.
한편, 상기 기밀수단(330b)은,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방 및 하방이 돌출된 볼록부(331)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기밀수단(330b)은, 상기 스템부(311) 또는 피스톤로드(3231) 상단부와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접촉마찰 등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부트레이(120)와 하부트레이(110)가 회전을 통한 나사결합방식으로 조립 결합되는 경우, 펌핑버튼부(310)가 상부트레이(120)의 삽입구(129)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트레이(120)를 하부트레이(110)에 나사결합방식으로 회전하여 조립되면, 조립과정에서 기밀부재(330)의 하단부가 피스톤로드(3231)의 상단부에 회전 접촉하면서 마찰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마찰이 기밀수단(330b)의 하단부 훼손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때문에, 상기 기밀수단(330b)의 하단면에 볼록부(331)를 형성함으로서 피스톤로드(3231) 상단면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여, 조립 시 회전접촉에 따른 마찰력을 저감시켜 기밀수단(330b)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기밀수단(330,330a,330b)은,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탄력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펌핑 시에는 스템부(311)와 피스톤로드(3231) 사이에서 압착되어 접촉면적이 증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펌핑 시 스템부(311)의 하강 이동력이 피스톤로드(3231)에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기밀수단(330,330a,330b)은, 펌핑버튼부(310)와 펌핑부(320)를 구획함은 물론, 기존의 오링 형태가 아닌 음용수 저장공간(111) 내 스템부(311)의 하면과 외주측면을 포함하는 하부 측면을 모두 감싸는 컵형상으로 형성되어, 펌핑버튼부(310)가 관통 삽입되는 삽입홀을 보다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어 삽입구(129)의 기밀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사용 시 삽입구(129)을 통해 음용수저장공간(111) 내 음료 또는 음용수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사용성 및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료제조용 텀블러는, 펌핑유닛(300)을 통하여 첨가물트레이(200)의 첨가물을 펌핑하여 음용수 저장공간(111)으로 공급함에 따라 첨가물 저장공간(201)에 음압이 형성되어, 첨가물의 펌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이로 인해 1회 펌핑에 대하여 유출되는 첨가물의 양이 줄어들게 되어 유출량이 불균일하게 되면서 정량의 혼합 음료를 제조하는 것이 어려워지게 되고, 나아가 첨가물트레이(200)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 첨가물 저장공간(201)의 내부압력으로 개방이 어려울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음료제조용 텀블러는, 펌핑 시 첨가물 저장공간(201) 내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켜 내부에 형성된 음압(진공압)을 해지시킴으로써, 펌핑을 원활하게 함은 물론 펌핑에 따른 첨가물의 유출량을 일정하게 하고, 첨가물트레이(200)의 개방이 용이하도록 공기유입수단(140)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입수단(140)은 첨가물 트레이(200) 내외부가 연통되어, 첨가물 트레이(200) 내부와 외부의 기압 차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첨가물 트레이(200) 외부의 공기를 상기 첨가물 트레이 내부로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유입수단(140)은 공기유입통로(112) 상에 설치되어, 첨가물 저장공간(201)과 외부와의 압력차 또는 사용자의 조작과 같은 외력에 의하여 공기유입통로(11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첨가물 저장공간(201)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유입통로(112)는, 상기 하부트레이(110)의 저면에 형성되어 외부와 상기 첨가물 저장공간(201)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공기유입통로(112)는 하부트레이(110)의 음용수 저장공간(111)과는 연통되지 않도록 일단은 상기 하부트레이(110) 외측 하부에 형성되어 두께부분을 따라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첨가물트레이(20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첨가물 저장공간(201) 내 첨가물이 공기유입통로(112)를 통하여 누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공기유입수단(140)은, 외력에 의하여 개폐되게 하는 가압식 구성과, 압력차에 의하여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압력반응방식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도 7은 이러한 가압식 구성을 갖는 공기유입수단(140)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공기유입수단(140)은, 유입버튼몸체(141)와, 탄성스프링(14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버튼몸체(141)는, 공기유입통로(112) 상에 설치되어 외력(가압)에 의하여 왕복 이동하여 공기유입통로(112)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상기 탄성스프링(142)은, 상기 유입버튼몸체(141)에 설치되어 유입버튼몸체(141)에 공기유입통로(112)를 차폐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공기유입수단(140)은, 원통관 형상으로 공기유입통로(112)내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내측으로 상기 유입버튼몸체(141)가 삽입되는 끼움부(14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음료제조용 텀블러는, 반복되는 펌핑이나 뜨거운 첨가물의 온도에 따라 첨가물 저장공간(201) 내에 음압이 발생하게 되어, 유출되는 첨가물의 양이 불균일하거나 첨가물트레이(200)의 개방이 어려운 경우, 공기유입수단(140)을 통하여 탄성스프링(142)에 의하여 유입버튼몸체(141)가 공기유입통로(112)를 패쇄한 상태에서 이용자가 유입버튼몸체(141)를 눌러주어 공기유입통로(112)를 개방하고, 이렇게 개방된 공기유입통로(112)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첨가물 저장공간(201)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첨가물 저장공간(201)의 음압이 해지되게 함으로써, 첨가물트레이(200)의 개방이 용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압력반응식 구성을 갖는 공기유입수단(140a)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공기유입수단(140a)은, 상기한 실시예와는 달리 공기유입통로(112) 상에 설치되고,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압력차 또는 외력에 의하여 탄성 변형되어 상기 공기유입통로(112)를 자동으로 개폐함으로써 첨가물 저장공간(201)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공기유입수단(140a)은 자체 재질이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한 탄성스프링(142)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어 보다 간단한 구성을 이룰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유입수단(140a)은,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첨가물트레이(500) 내부와 외부의 기압 차이에 의하여 탄성 변형되어 공기유입통로(112)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탄성버튼으로 구성되고, 공기유입통로(112)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유입통로(112)는, 하부트레이(110)의 저면에 형성되어 첨가물 저장공간(201)과 연통되며, 첨가물 저장공간(201) 내 공기유입통로(112)의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한 탄성버튼은, 버튼몸체(145)와, 버튼몸체(145)에 결합하는 패드(14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버튼몸체(145)는, 첨가물 저장공간(201) 측에서 공기유입통로(112)에 삽입되되, 외주면으로 공기가 유출입되도록 공기유입통로(112)의 내벽면으로부터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패드(146)는, 상기 버튼몸체(145)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어 버튼몸체(145)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공기가 유출입되는 이격공간을 덮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패드(146)는 압력차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도록 형성되어(화살표 방향), 첨가물 저장공간(201)과 외부와의 압력차가 발생하면 공기유입통로(112)를 자동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한 공기유입수단(140a)의 작동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상기 공기유입수단(140a)은 첨가물트레이(500) 내부와 외부의 기압 차이가 거의 없는 경우 상기 패드(146)가 첨가물 트레이(20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공기유입통로(112)가 차폐되고, 이에 첨가물트레이(20) 내의 첨가물 유출을 방지한다.
그러다가, 상기 펌핑버튼부(310)의 작동 등에 의하여 첨가물저장공간(201) 내부의 압력이 낮아져 외부와의 압력차가 발생하면, 상기 패드(146)가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공기유입통로(112)가 개방되고, 이렇게 되면 개방된 공기유입통로(112)를 통하여 첨가물트레이 저장공간(201)으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된다.
한편,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공기유입수단(140a)은 첨가물트레이(200) 내부 저장공간(201) 내에 설치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도록 구성되어 음료제조용 텀블러의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음료제조용 텀블러의 첨가물의 흡입 및 배출과정을 포함하는 작동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상기 음용수트레이(100)와 첨가물트레이(200) 각각에 액상의 음용수와 첨가물이 채워지고, 피스톤 하우징(322) 내에도 첨가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이용자가 펌핑버튼부(310)를 하방으로 누르게 되면, 이에 따라 피스톤부(323)도 이와 대응하여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피스톤 하우징(3232) 내 피스톤로드(3231)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피스톤 하우징(3232)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렇게 피스톤 하우징(3232) 내 압력이 증가하게 되면, 상기 볼밸브(3241)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흡입관(321)의 상단을 차폐하게 된다.
그리고 피스톤 하우징(3232) 내 첨가물은 피스톤로드(3231)의 유로(3231a)와 배출관(322)을 거쳐 음용수 저장공간(111)에 투입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이용자가 펌핑버튼부(310)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볼밸브(3241)에 의하여 첨가물의 흡입은 차단되고, 피스톤 하우징(3232) 내 첨가물은 음용수 저장공간(111)으로 투입된다.
한편, 상기한 상태에서 이용자가 상기 펌핑버튼부(310)에 가해진 압력을 해제하면 피스톤부(323)는 탄성부재(3233)에 의하여 상방으로 복원 이동된다. 그러면, 피스톤부(323)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피스톤로드(3231)도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피스톤 하우징(3232) 내의 압력은 저압으로 변화된다.
그리고 상기 볼밸브(3241)는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흡입관(321)의 상단이 개방되고, 흡입관(321)을 따라 첨가물 저장공간(201)의 첨가물이 흡입관(321)을 따라 이동하여 피스톤 하우징(3232) 내로 유입되어, 첨가물이 피스톤 하우징(3232) 내에 채워지도록 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펌핑유닛(300)을 통하여 이용자는 펌핑버튼부(310) 누름 동작을 반복하여 첨가물트레이(200)에 저장된 첨가물을 일정량씩 음용수트레이(100)에 투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이용자의 펌핑작업은 피스톤로드(3231)의 이동에 따른 피스톤 하우징(3232) 내의 압력에 의하여 일정량의 첨가물이 음용수 저장공간(111)에 투입되게 하며, 첨가물의 투입량은 피스톤 하우징(3232)의 내부공간(3232a)의 용적과, 피스톤로드(3231)의 승하강 거리에 따른 압력에 따라 달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는 도 4의 음료제조용 텀블러에서 첨가물트레이(4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음료제조용 텀블러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음료제조용 텀블러의 구성과 대비되는 구성만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첨가물트레이(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음용수트레이(10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지만, 도 9 및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음용수트레이(100a)의 측면에 위치하여 음용수트레이(100a)의 측면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트레이(150)는 측면에 가이드몸체(151)가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몸체(151)는 음용수 저장공간(111) 내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원통형상의 결합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부 중심부는 첨가물 트레이(400)의 돌출관부(410)가 삽입되는 결합공(152)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관부(410)는, 첨가물 트레이(400)상부 외측을 따라 돌출되게 연장되고, 중공관 형상으로 내측으로 펌핑유닛(300)이 삽입된다.
상기 첨가물트레이(400)는, 상부에 돌출관부(410)가 돌출되게 관통 형성되고, 내부에 첨가물 저장공간(40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간에 세워져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다.
한편, 상기한 음료제조용 텀블러의 경우 상기 음용수트레이(100a)와 첨가물트레이(400)는 상기 돌출관부(410)가 결합공(152)에 스냅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이를 통해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트레이(150)의 하단부에 받침부(153)를 결합하여 하부트레이(150)와 첨가물트레이(400)를 상방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11은 도 4의 음료제조용 텀블러에서 음용수트레이(100)에 가이드관(130)이 형성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로서, 전술한 도 4의 음료제조용 텀블러의 구성과 비교하여 이와 대별되는 구성만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트레이(160)는, 음용수 저장공간(111) 내에 위치하고, 펌핑유닛(300)이 삽입되는 가이드관(1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관(130)은, 상기 관통공(114)으로부터 음용수 저장공간(111)의 내측으로 상방 연장되고, 관형상으로 내측으로 펌핑유닛(300)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관(130)은, 내측으로 상기 펌핑버튼부(310)와, 피스톤부(323)와, 흡입관(321)의 상부가 내측으로 삽입되게 구성함으로써, 내부에 삽입된 구성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관통공(114)으로부터 첨가물이 유출되어 음용수 저장공간(111)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170은 상부트레이를 나타내며, 122a는 상부트레이(170)에 결합하는 마개부를 나타낸다.
상기 음료제조용 텀블러는, 제조가 용이하고, 열에 강한 소재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폴리프로필렌(PP), 트라이탄, 실리콘, 폴리에틸렌, 페트(PET) 등 다양한 소재로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2는 상기 음료제조용 텀블러에서 첨가물트레이(5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첨가물트레이(500)는, 첨가물이 저장된 첨가물캡슐(520)을 이용한 실시예로, 첨가물이 저장된 첨가물캡슐(520)을 첨가물트레이(500)의 내부에 캡슐 수납형태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첨가물트레이(500)는, 사용자가 첨가물 저장공간(201)에 첨가물 원액을 투입하지 않고 제조사로부터 구매한 첨가물 원액이 수용된 첨가물캡슐(520)을 첨가물 저장공간(201)에 삽입하여 간편하게 첨가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첨가물트레이(5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첨가물트레이(500)는 첨가물트레이 상부몸체(510)와, 첨가물트레이 상부몸체(510)와 나사체결되고 내부에 첨가물 저장공간(201)이 형성된 첨가물트레이 하부몸체(530)와, 첨가물트레이 하부몸체(530)의 저장공간에 삽입되며 내부에 첨가물이 저장된 첨가물캡슐(520)과, 첨가물트레이 하부몸체(530)의 하부에 결합하여 슬립을 방지하는 패드(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첨가물캡슐(5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컵 형상으로 첨가물트레이 하부몸체(530)의 저장공간에 삽입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고, 상부의 개구면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휴대 시 내부에 수용된 첨가물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비닐소재 등으로 이루어진 차폐부재에 의하여 차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료제조용 텀블러는, 근거리 무선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을 탑재하도록 구성되어,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음료제조용 텀블러는, 근거리 무선통신 부품이 음용수트레이(100)나 첨가물트레이(200,400,500)에 설치되어 음료제조용 텀블러를 사용함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렇게 감지된 정보를 지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의 휴대단말기로 송신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부품은 공지의 NFC칩 또는 NFC카드 등 다양한 부품구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한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정보 활용은, 날짜, 첨가물의 종류, 첨가물의 수용량, 첨가물의 누적 사용량 등 음료제조용 텀블러 사용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NFC부품이 감지하도록 하여, 이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첨가물의 섭취량 등 사용자의 건강관리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활용예는 일 실시예로 이 외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음료제조용 텀블러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음료제조용 텀블러는, 음용수트레이(600)와, 음용수트레이(600) 하부에 결합하는 첨가물트레이(700)와, 음용수트레이(600)와 첨가물트레이(700)에 결합하는 펌핑유닛(800;도 15참조)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음용수트레이(600)는, 원통형의 텀블러의 몸체를 구성하는 부분으로 내부에 음용수 저장공간(614)이 형성되어 음용수 또는 음료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음용수트레이(600)는, 하부트레이(610)와, 상부트레이(6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하부트레이(610)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단이 차폐되어 내부에 음용수 또는 음료를 저장하는 음용수 저장공간(614)이 형성되며, 하단 바닥부에 상기 펌핑유닛(800)이 관통 삽입되도록 관통공(615)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관통공(615)은 평면상으로 봤을 때 상부트레이(620)의 중심부로부터 벗어나 상부트레이(620)의 내주측면에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펌핑유닛(800)이 음용수트레이(600)와 첨가물트레이(700)이 내측면에 인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트레이(620)는, 하부트레이(61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부가 개방된 하부트레이(610)의 상부를 차폐하고, 이용자가 음용수 저장공간(614)의 음용수 또는 음료를 마실 수 있는 음용구(632)가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 상기 상부트레이(620)는, 클로저부(630)와, 회전덮개부(640)와, 차폐모듈(6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클로저부(630)는, 상기 하부트레이(61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면에 이용자가 저장된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음용구(632)가 관통 형성되며, 상면으로 상기 음용구(632)와 이격되도록 설치구(631)를 통해 상기 펌핑유닛(800)이 관통 설치된다.
도면에서, 상기 클로저부(630)는, 하부트레이(610)와 서로 나사결합을 통하여 착탈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스냅결합방식 또는 버튼 방식 등 착탈 가능하고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식이라면 다양하게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회전덮개부(640)는, 상기 클로저부(63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외력(사용자의 조작)이 발생되면, 하단부 내측 중앙부에 형성된 회전축(65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덮개부(640)는, 개구부(641)가 형성되어 상기 클로저부(630)의 상부가 노출되고, 상기 개구부(641)를 통하여 회전에 따라 음용구(632)와 펌핑유닛(800)을 노출시키도록 구성된다.
도면에서, 상기 회전덮개부(640)는, 컵형상으로 하부가 개방되어 하부 내측면과 클로저부(630)의 상면이 서로 접촉된 상태로 클로저부(6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경우를 실시예로 나타내고 있다.
한편, 상기 상부트레이(620)는, 상기 클로저부(630)와 상기 회전덮개부(640)의 상대적인 회전위치에 따라, 보관모드, 음용모드 및 펌핑모드로 사용상태가 구분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보관모드는, 상기 음용구(632) 및 상기 펌핑유닛(800)이 차폐되어 이용자가 음용수 또는 음료의 섭취 및 상기 펌핑유닛(800)의 작동을 차단하고, 상기 차폐모듈(650)에 의하여 상기 음용구(632)는 차폐된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음용모드는, 상기 개구부(641)에 의하여 상기 음용구(632)가 개방되어 사용자가 상기 음용구(632)를 통하여 음용수 또는 음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하고, 펌핑유닛(800)이 차폐된 상태를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상기 펌핑모드는, 상기 개구부(641)에 의하여 상기 음용구(632)는 차폐되고 상기 펌핑유닛(800)은 개방되어 사용자가 상기 펌핑유닛(800)을 작동할 수 있도록 하고, 이때 상기 차폐모듈(650)에 의하여 상기 음용구(632)는 차폐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상부트레이(620)는, 상기한 보관모드, 음용모드 및 펌핑모드로의 전환을 음용모드로부터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보관모드 및 펌핑모드로 변환되게 하거나, 또는 펌핑모드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보관모드 및 음용모드로 변환되게 할 수 있다.
후술되는 도 20 내지 도 22에서 상기 상부트레이(620)는, 펌핑모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90°회전되면 보관모드 상태가 되고, 상기 보관모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90°회전되면 음용모드 상태가 되는 경우를 실시예로 나타내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한 각 모드는 상기 클로저부(630)와 상기 회전덮개부(640)의 상대적인 회전위치에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한 상부트레이(620)의 각 모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후의 회전덮개부(640)의 위치에 따른 각 모드 및 이에 따른 차폐모듈(650)의 작동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차폐모듈(650)은, 상기 클로저부(630)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부가 상기 회전덮개부(640)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덮개부(640)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 및 상기 회전덮개부(640)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회전덮개부(640)의 회전 시 상기 음용구(632)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도 1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차폐모듈(650)은, 차폐지지부(652)와, 탄성부재(66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폐지지부(652)는, 회전축부(6512)와, 지지몸체(661)와, 차폐부(662)를 포함하고, 이와 더불어 에어차폐부(664)와, 밸런스지지부(66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차폐지지부(652)는, 상기 회전축(651)에 축결합하여 상기 회전덮개부(64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음용구(632)를 개폐하며, 회전덮개부(640)의 회전운동에 대하여 상하이동하여 상기 음용구(632)를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먼저, 상기 회전축부(6512)는, 상기 회전덮개부(640)에 고정 결합된 회전축(651)이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651)을 따라 승하강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축(651)은 외주면을 따라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부(6512)는 상기 회전축(651)이 삽입되는 삽입홀의 내주면에 상기 나사부가 치합되는 캠나사(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651)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부(6512)는 승하강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보관모드 및 펌핑모드 시에는 음용구 및 에어홀이 차폐된 상태가 유지되어야 하고, 음용모드 시에는 음용구 및 에어홀이 개방된 상태가 되어야 한다.
이를 위히여, 본 발명에서는 펌핑모드와 보관모드의 각도값(예: +22.5도)에 대응한 회전축(651)의 나사 피치값만큼 회전축부(6512)와 차폐부(662)의 이격공간(이격거리)이 마련되어 있어, 회전덮개부(640)를 회전하여도 차폐모듈(650)이 펌핑모드와 보관모드(예: +22.5도)에도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각 모드별 회전축(651)의 회전과 이에 따른 차폐모듈(650)의 구체적인 작동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차폐모듈(650)이, 차폐지지부(652)와, 탄성부재(663)를 포함하여 구성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한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차폐모듈(650)은, 상기한 탄성부재(663) 없이 차폐지지부(652)로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한 실시예의 경우, 상기 차폐지지부(652)는, 상기 캠나사를 수평구간과 경사구간으로 구분하여, 수평구간에서는 보관모드와 펌핑모드가 되게 하여 음용구 및 에어홀이 차폐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고, 경사구간에는 음용모드가 되게 하여 음용구 및 에어홀이 개방된 상태가 되게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차폐지지부(652)의 승하강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펌핑모드와 보관모드 사이에서는 차폐지지부(652)가 승강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캠나사를 수평캠으로 형성하고, 보관모드와 음용모드 사이에서는 차폐지지부(652)가 하강할 수 있도록 캠나사를 경사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몸체(661)는, 내측으로 상기 회전축부(6512)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회전축부(6512)와 연동하여 하강하도록 구성되며, 승강은 탄성부재(663)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차폐부(662)는, 일단부가 상기 지지몸체(661)의 외측면에 결합하고, 상기 일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타단부가 상기 음용구(632)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에어차폐부(664)는, 상기 지지몸체(661)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결합하고, 상기 회전축부(6512)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클로저부(630)에 형성된 에어홀(634)을 개폐하도록 연장 형성된다.
상기 밸런스지지부(665)는, 상기 차폐부(662)와 상기 에어차폐부(664) 사이의 상기 지지몸체(661)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결합하여, 상기 회전축부(6512)를 중심으로 상기 차폐부(662)와 상기 에어차폐부(664)와의 편심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성부재(663)는, 차폐지지부(652)와 결합하고, 차폐지지부(652)를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세부적으로, 상기 탄성부재(663)는, 지지몸체(661)와 차폐부(662)를 회전덮개부(640)를 향하여 상방 지지하여 차폐부(662)의 패킹(6621)이 음용구(632)에 밀착되게 하여,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클로저부(630)에는, 회전덮개부(640)의 회전 시 차폐모듈(650)이 회전하지 않고 상하이동만 할 수 있도록 상기 차폐모듈(650)의 회전을 제한하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슬릿은, 하부가 개방되고, 수직방향의 슬릿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상기 슬릿에 상기 차폐부(662)와 에어차폐부(6641)와 밸런스지지부(6651)가 삽입되어 상기 차폐지지부(652)가 상기 슬릿을 따라 상하이동 되도록 가이드함과 동시에 회전을 제한한다.
한편, 상기 상부트레이(620)는, 상기한 펌핑모드, 음용모드 및 보관모드 시 상기 클로저부(630)와 상기 회전덮개부(640)의 상대적인 회전위치가 설정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가이드하고, 회전덮개부(640)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도록 가이드홈(642)과, 회전방지용 스토퍼돌기(635)를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642)은, 상기 회전덮개부(640)의 하단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음용모드와, 상기 펌핑모드와, 상기 보관모드에 대한 상기 회전덮개부(640)의 회전반경에 대응하는 호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돌기(635)는, 상기 클로저부(63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홈(642)에 끼워지고, 회전 시 가이드홈(642)의 내측면에 걸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회전덮개부(64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가이드홈(642)은, 펌핑모드, 보관모드 및 음용모두 각각이 90°의 회전각을 갖는 회전덮개부(640)의 회전각에 대응하여, 회전덮개부(640)의 회전각이 180°가 되도록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 회전덮개부(640)의 설정 회전각에 대응하여 그 길이를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사용자로 하여금 각 모드 시 회전덮개부(630)의 위치를 확인 또는 안내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642) 내 스토퍼돌기(635)가 안착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회전덮개부(630)는 가이드홈(642)의 폭을 각 모드 지점에 대하여 넓게 형성하여 스토퍼돌기(635)의 안착위치를 안내시키거나, 또는 가이드홈(642)의 형성깊이를 깊게하여 스토퍼돌기(635)의 안착위치를 안내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한 가이드홈(642)과 스토퍼돌기(635)는, 회전덮개부(640)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여, 탄성부재(663)의 변형 및 차폐지지부(652)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의도치 않은 상부트레이(620)의 해체를 방지하고, 작동구간 내에서 회전덮개부(640)가 안정적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서로 대면하는 상기 스토퍼돌기(635)의 측면 및 상기 가이드홈(642)의 내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스토퍼돌기(635)의 상기 가이드홈(642) 이탈 외력이 감소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경사면은, 일정한 이탈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스토퍼돌기(635)가 상기 가이드홈(642)을 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회전덮개부(640)가 클로저부(63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7의 (a)는 경사면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고, (b)와 (c)는 각각 경사면이 형성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경사면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돌기(635)에 형성되거나, 또는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홈(642)에 형성될 수 있는 등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경사면은, 회전덮개부(640)의 과도한 회전이 방지되어야 하는 방향에 대해서는 형성되지 않아야 하고,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그 반대인 방향에 형성되어야 한다.
이에, 후술되는 도 21 내지 도 23에서와 같이 펌핑모드, 보관모드 및 음용모드가 순차적으로 변환된다고 할 때, 상기 경사면은 펌핑모드인 상태에서 서로 접촉하는 가이드홈(642)과 스토퍼돌기(635)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도 23의 음용모드 시 서로 접촉되는 가이드홈(642)과 스토퍼돌기(635)의 타측면에는 경사면이 아닌 경사도가 큰 직각 형태의 홈과 돌기의 형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트레이(610)는,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보온성 및 단열성을 확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트레이(610)는, 제1몸체(611)와, 제2몸체(612)와, 결합부(6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611)는, 하부는 폐쇄되고 상부는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상기 펌핑유닛(800)이 관통 설치되는 관통공(615)이 형성된다.
상기 제2몸체(612)는, 상기 공기층을 형성하도록 이격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몸체(611)의 내측에 고정 결합되고 내부로 상기 음용수 저장공간(614)이 형성되며, 상기 펌핑유닛(800)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몸체(611)와 제2몸체(612)는 융착 등을 통하여 고정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한 제1몸체(611)와 제2몸체(612)의 재질에 따라 그 고정방법을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2몸체(612)는, 내측으로 상기 피스톤 하우징(832)이 고정 결합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하우징(832)과 일체로 형성되어 동시에 제조성형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613)는, 하단부가 상기 제2몸체(612)의 상단부에 접촉되게 상기 제1몸체(611)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클로저부(63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상기 첨가물트레이(700)는, 상기 음용수트레이(600)의 하부에 나사결합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하단이 차폐되어 내측으로 상기 첨가물 저장공간(701)이 형성되어 액상의 첨가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9을 참조하면, 상기 첨가물트레이(700)는, 상기 첨가물 저장공간(701)의 내부에 삽입되고 내부에 첨가물이 저장된 첨가물캡슐(7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첨가물캡슐(710)은, 첨가물트레이(700)의 첨가물 저장공간(701) 형상과 대응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하단이 차폐되어, 외측면이 첨가물 저장공간(701)의 내측면에 접촉되게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첨가물캡슐(710)은, 상단부가 상기 첨가물트레이(700)의 상단부 측면을 감싸도록 절곡된 안착부(7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711)는, 첨가물트레이(700) 내부로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첨가물트레이(700) 내부로 첨가물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조립 시 상단부의 형태변형 등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펌핑유닛(800)은, 음용수트레이(600)와 첨가물트레이(700)에 각각 설치되어, 첨가물 저장공간(701)의 첨가물을 펌핑하여 음용수 저장공간(614)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펌핑유닛(800)은, 이용자의 펌핑에 의해 첨가물을 정량씩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펌핑횟수에 따라 첨가물 첨가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펌핑유닛(8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첨가물트레이(700)와 음용수트레이(6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첨가물트레이(700)와 음용수트레이(600)의 내측면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펌핑유닛(800)은, 펌핑버튼부(810)와, 펌핑부(820)와, 기밀수단(8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펌핑버튼부(810)는, 상기 상부트레이(620)에 슬라이딩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이용자의 가압에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펌핑버튼부(810)는, 스템부(811)와, 가이드부싱(8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템부(811)는, 음용수트레이(600)의 삽입구(633;도 15참조)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부는 음용수트레이(600) 외부로 노출되어 이용자가 상단부를 가압하고, 하부는 펌핑부(820)에 외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싱(812)은, 관 형상으로 내측으로 스템부(811)가 삽입되어 왕복이동하는 스템부(811)를 가이드하고, 기밀수단(850)의 상부 내측에 삽입된다. 상기 가이드부싱(812)은, 상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의 하단부 측면이 삽입구(633)의 상면에 접촉되어 삽입구(633)에 고정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싱(812)은, 플랜지부를 통하여 기밀수단(850)의 상단부를 삽입구(633) 내주면에 고정하고 스템부(811)의 상하방향 이동 시 기밀수단(850)과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기밀수단(850)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펌핑부(820)는, 상기 하부트레이(610)의 음용수 저장공간(614) 내에 위치하여 상기 펌핑버튼부(810)의 왕복이동에 의하여 승하강하고, 상기 음용수 저장공간(614)과 상기 첨가물 저장공간(701)과 각각 연통되게 연결되어 승하강에 의하여 상기 첨가물을 흡입하여 상기 음용수 저장공간(614)으로 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펌핑부(820)는, 흡입관(821)과, 피스톤부(830)와, 배출관(822)과, 개폐밸브(8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관(821)은, 중공관 형상으로 일측이 상기 첨가물 저장공간(701)과 연통되게 상기 첨가물트레이(700)의 내부로 연장되고, 타측은 음용수 저장공간(614) 내에 배치되어 피스톤부(830)에 의하여 첨가물 저장공간(701)의 첨가물이 유입된다.
이때, 상기 흡입관(821)은 첨가물트레이(700)와 음용수트레이(600)의 내측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하단부는 첨가물트레이(700)의 저면과 인접하도록 위치하여, 첨가물 저장공간(701) 내 첨가물의 유입이 용이하고, 첨가물트레이(700)를 기울여 잔량의 첨가물까지도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관(821)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흡입 단부에 메쉬망을 설치하여 펌핑부(820) 내로 불순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펌핑부(820)의 기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부(830)는, 음용수 저장공간(614) 내에 위치하고 흡입관(821)의 타측 단부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펌핑버튼부(810)의 왕복이동에 의하여 흡입관(821)으로부터 첨가물을 흡입하고, 흡입된 첨가물을 배출관(822)으로 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피스톤부(830)는, 피스톤로드(831)와, 피스톤 하우징(832)과, 탄성부재(8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로드(831)는, 상기 펌핑버튼부(810)와 연동되어 상기 펌핑버튼부(810)의 왕복이동에 의해 승하강하고, 피스톤 하우징(832)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펌핑 시 피스톤 하우징(832) 내의 첨가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 하우징(832)은, 내부공간에 피스톤로드(831)가 승하강되도록 설치되고, 흡입관(821)과 배출관(822)이 각각 연통되게 연결되며, 상기 피스톤로드(831)의 승하강에 따른 내부압력변화에 의하여 첨가물 저장공간(701)의 첨가물이 내부공간으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피스톤 하우징(832)은, 내부에 첨가물이 유입되는 만큼 일정 사용 후 세척이 필요하다.
이에, 상기 피스톤 하우징(832)은, 피스톤몸체(851)와, 피스톤덮개(852)를 포함하여 서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세척 시에는 피스톤덮개(852)를 분리하여 내부공간을 개방하고, 사용 시에는 피스톤덮개(852)를 결합하여 내부공간을 차폐되도록 구성된다.
세부적으로, 상기 피스톤몸체(851)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로 흡입관(821)이 연통되게 연결되며, 내측으로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몸체(851)는, 후술되는 제2몸체(612)에 고정될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몸체(612)와 일체로 형성되어, 동시에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덮개(852)는, 상기 피스톤몸체(851)의 상부에 결합하여, 피스톤몸체(851)의 상부를 차폐하며, 상기 배출관(822)이 관통 삽입된다.
한편, 상기 피스톤덮개(852)는, 탄성부재(833)에 의하여 상방 지지되어 피스톤몸체(851)와 밀착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피스톤몸체(851)와 피스톤덮개(852)의 착탈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피스톤몸체(851)는, 상단부 내주측면으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착탈홈(851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덮개(852)는, 외주면에 회전에 따라 상기 착탈홈(8511)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착탈돌기(852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착탈돌기(8521)와 착탈홈(8511)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어, 서로의 위치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착탈돌기(8521)의 걸림이 해제되고, 서로의 위치가 다른 경우에는 간섭으로 인하여 착탈돌기(8521)가 걸리도록 구성된다.
이에, 세척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피스톤덮개(852)를 가압하여 피스톤몸체(851)로부터 피스톤덮개(852)를 이격시킨 다음, 이 상태에서 착탈돌기(8521)가 착탈홈(8511)의 위치에 위치하도록 회전시켜 착탈돌기(8521)가 착탈홈(8511)으로부터 걸림이 해제되도록 하여 피스톤덮개(852)를 분리한다.
반면, 피스톤덮개(852)를 조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과정과 반대가 되도록, 사용자는 피스톤덮개(852)의 착탈돌기(8521)가 착탈홈(8511)의 위치에 위치하도록 한 다음, 이 상태에서 가압하여 회전시켜 착탈돌기(8521)가 피스톤몸체(851) 상단부에 걸리도록 한다.
한편, 상기 착탈돌기(8521)와 착탈홈(8511)의 형성위치는, 하부트레이(610)에 대한 펌핌유닛의 결합위치에 제한 받을 수 있다.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관(822)이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만큼 회전덮개부(640)의 회전시 배출관(822)이 하부트레이(610)에 간섭을 일으켜 회전이 제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상기 착탈돌기(8521)와 착탈홈(8511)은 상기한 배출관(822)의 회전가능범위를 고려하여 그 위치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833)는, 피스톤 하우징(832)의 내부에 위치하고 피스톤로드(831)와 결합되어, 피스톤로드(831)가 가압되어 하방으로 이동된 후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출관(822)은, 중공관 형상으로 상기 피스톤부(830)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음용수 저장공간(614) 내부에 설치되고, 펌핑된 상기 첨가물을 상기 음용수 저장공간(614)으로 유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출관(822)은, 일측이 피스톤로드(831)의 상부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측이 음용수 저장공간(614)과 연통되어 첨가물을 음용수 저장공간(614)으로 공급한다. 상기 배출관(8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단부가 하방으로 절곡형성되어 첨가물이 음용수 저장공간(614)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출관(822)은, 사용자가 첨가물의 이동유로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외주측면에 슬라이딩 개폐부(8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개폐부(823)는, 배출관(822)의 상면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내부의 첨가물 이동공간이 개방되게 한다.
상기 개폐밸브(840)는, 흡입관(821) 연결되는 피스톤 하우징(832)의 하부에 설치되어 피스톤 로드의 승하강에 따라 흡입관(82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개폐밸브(840)는, 흡입관(821)과 하우징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밸브유로(842) 상에 설치되어, 피스톤로드(831)의 승하강에 따라 이동하여 밸브유로(842)를 개폐하는 구형의 볼밸브(8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미설명부호 841은 밸브몸체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볼밸브(843)는, 피스톤 하우징(832) 내에 흡입력이 발생되는 경우 상방으로 이동되어 밸브유로(842)를 개방하고, 피스톤 하우징(832) 내에 압축력이 발생하는 경우 하방으로 이동되어 밸브유로(842)를 차폐한다.
상기 볼밸브(843)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금속, 세라믹 또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강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밀수단(850)은, 펌핑버튼부(810)에 결합하여 펌핑버튼부(810)와 펌핑부(820)를 구획하고, 펌핑버튼부(810)와 펌핑부(82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밀수단(850)은,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폐쇄된 원통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면으로 펌핑버튼부(810)가 삽입되어 펌핑버튼부(810)의 하면이 바닥면에 접촉되고, 하단면이 펌핑부(820)에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밀수단(850)은, 상하방향으로 신축되도록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주름부가 형성된 벨로우즈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기밀수단(850)의 상세한 구성은 전술한 도 6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음료제조용 텀블러는, 외부와 상기 첨가물 저장공간(701)이 서로 연통되는 공기유입통로 상에 설치되고, 공기유입통로를 자동으로 개폐하여 첨가물 저장공간(701)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수단(140b;도 15,도 18참조)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입수단(140b)은, 압력반응식의 탄성버튼으로 구성되어, 하부트레이(610)의 바닥부에 외부와 첨가물 저장공간(701)이 서로 연통되도록 공기유입통로가 형성되고, 첨가물 트레이 내부와 외부의 기압 차이에 따라 공기유입통로를 자동으로 개폐하여 첨가물 트레이 외부의 공기를 첨가물 트레이 내부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유입수단(140b)는, 전술한 도 8의 공기유입수단(140a)의 구성 및 작용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에서 공기유입수단(140b)은, 압력반응식의 탄성버튼을 적용한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도 7에 도시된 가압방식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미설명부호 6513,720은 각각 고정캡과 첨가물트레이 덮개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 21 내지 도 24을 참조하여, 보관모드, 음용모드 및 펌핑모드의 각 모드와 관련하여 상기 회전덮개부(640)의 회전동작과, 이에 따른 차폐모듈(650)의 승하강 이동을 포함하는 작동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트레이(620)는, 회전덮개부(640)의 회전에 따라 보관모드, 음용모드 및 펌핑모드로 각각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폐모듈(650)의 승하강 이동은, 탄성부재(663)를 포함하여 탄성부재(663)와 회전축부(6512)와 회전축(651)의 나사결합에 의한 피치이동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았지만 탄성부재(663) 없이 캠나사의 경사도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차폐모듈(650)의 승하강이 탄성부재(663)와 회전축부(6512)와 회전축(651)의 나사결합에 의해 승하강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21은 펌핑모드 시 회전덮개부(640)의 위치 및 차폐모듈(650)의 작동을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펌핑모드 시 상기 회전덮개부(640)는, 개구부(641)가 펌핑버튼부(810)가 위치하는 좌측에 위치하고 있어, 사용자가 펌핑버튼부(810)를 가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때의 차폐모듈(650)은, 펌핑 시 음용구(632)를 통해 음료 등이 누출되지 않도록 차폐부(662)의 패킹(6621,6641,6651)이 음용구(632)에 밀착되어 음용구(632)가 차폐되고, 에어홀(634) 또한 차폐되어 음용수 저장공간(614)이 완전 밀폐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642)과 스토퍼돌기(63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접촉하는 면에 대하여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2은 보관모드 시 회전덮개부(640)의 위치 및 차폐모듈(650)의 작동을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보관모드 시 상기 회전덮개부(640)는, 펌핑모드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90°(반시계 방향의 회전을 음의 방향으로 한다)회전하여 클로저부(630)의 상면만이 노출되어 의도치 않은 핌핑이나, 음용구(632) 노출이 방지된다.
이때, 보관모드 시 상기 차폐모듈(650)은, 펌핑모드로부터 상기 회전덮개부(640)가 회전하여도 차폐부(662)의 패킹(6621,6641,6651)이 음용구(632)에 밀착되며, 펌핑모드에서 보관모드까지는 차폐부(662)가 음용구(632)를 차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보관모드 시에도 상기 차폐모듈(650)은, 보관 시 음료 등이 누출되지 않도록 차폐부(662)의 패킹(6621,6641,6651)이 음용구(632)를 차폐시키도록 구성되고, 에어홀(634) 또한 차폐되어 음용수 저장공간(614)이 완전 밀폐된다.
도 23는 음용모드 시 회전덮개부(640)의 위치 및 차폐모듈(650)의 작동을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음용모드 시 상기 회전덮개부(640)는 펌핑모드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180°회전하여, 개구부(641)가 음용구(632)가 위치하는 우측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음용구(632)를 통하여 음료 등을 음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때의 차폐모듈(650)은 차폐부(662)가 하강하여 음용구(632)를 개방시켜, 음용수 저장공간(614) 내의 음료가 음용구(632)를 통해 유출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이때 상기 에어홀(634)은, 개방되어 사용자가 음용구(632)를 통하여 음료를 섭취할 시 외부공기가 음용수 저장공간(614) 내로 유입되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용이하게 음료 섭취를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642)과 스토퍼돌기(63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접촉하는 면에 대하여 경사도가 큰 직각 형태의 홈과 돌기의 형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덮개부(640)는, 상기한 보관모드, 음용모드 및 펌핑모드에 대하여 90°회전각을 기준으로 각 모드가 변경된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다양한 회전각을 기준으로 모드변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차폐모듈(650)의 세부 이동위치는, 펌핑모드와 보관모드 시에는 차폐부(662)가 승강된 상태가 유지되어 음용구(632)를 차폐하고, 음용모드 시에는 차폐부(662)가 하강하여 음용구(632)를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차폐모듈(650)의 승하강이 탄성부재(663)에 의해 제어되는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탄성부재(66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몸체(661) 하부에 상단이 지지되고, 상기 회전축부(6512) 하단에 하단이 지지되어 상기 지지몸체(661)에 상방으로의 탄성지지력을 부가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회전축부(6512)는 회전축(651)의 회전에 의해 상단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플랜지부(6512a)가 기 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몸체(661)와 접촉되고, 이후 상기 지지몸체(661)를 구속하면서 함께 하강한다.
이때 상기 접촉위치는, 상기 보관모드 위치로 설정될 수 있으나(b지점), 상기 접촉위치를 상기 보관모드와 상기 음용모드 사이의 위치로 설정할 수도 있다(b'지점).
한편, 상기에서는, 차폐모듈(650)의 승하강이 탄성부재(663)와 회전축부(6512)와 회전축(651)의 나사결합에 의한 피치이동에 의해 제어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차폐모듈(650)이, 펌핑모드, 보관모드 및 음용모드로의 변환이 경사캠으로 이루어진 캠나사에 의하여 이루어진다고 할 때, 각 모드에 대한 차폐모듈(650)의 작동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4의 (a)는 회전덮개부(640)의 회전에 따른 각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음용모드, b는 보관모드, c는 펌핑모드를 각각 나타내고, (b)는 이러한 각 모드 시 차폐부(662)에 의한 음용구(632)의 개폐작동을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부(6512)는, 지지몸체(661)의 삽입구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상단부에 플랜지부(6512a)가 형성되어 지지몸체(661)의 상부이동을 구속하도록 구성된다.
먼저, 음용모드 시 회전덮개부(630)의 개구부(641)의 위치가 우측((a)의 a지점)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차폐부(662)는 하강된 상태로서 음용구(632)를 개방하게 된다((b)의 a지점).
이 후 보관모드가 되도록 회전덮개부(630) 개구부(641)의 위치가 중앙 하측((a)의 b지점)에 위치하게 되면, 차폐부(662) 승강하게 되어 음용구(632)를 차폐한다((b)의 b지점).
한편, 펌핑모드 시 회전덮개부(630)의 개구부(641) 위치는 좌측((a)의 c지점)에 위치하게 되어 음용구(632)를 차폐한 상태를 유지한다((b)의 c지점).
상기한 구성에서 음용구(632)의 개방은 회전덮개부(630)가 보관모드에서 음용모드로 회전되는 지점부터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하강하여 이루어진다.
즉, 음용구(632)의 개방은 보관모드인 b지점부터 이루진다고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음용구(632)가 차폐되는 구간은 펌핑모드인 c에서 보관모드인 b구간까지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음용구(632)가 개방되는 시기를 b지점으로부터 b'지점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음용구(632)가 차폐되는 구간을 늘림으로써 원하지 않는 회전덮개부(630)의 회전에 의해서도 음용구(632)가 개방되지 않도록 하여 기밀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덮개부(630)가 보관모드인 중앙지점으로부터 음용모드 측으로 다소 회전하여도 텀블러의 기밀성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음용구(632)의 개방시기를 조절함에 있어, 전술한 캠나사의 캠경사각을 통하여 조절 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음용구(632)의 개방시기를 조절한다고 할 때, θ1는 펌핑모드에서 음용모드까지의 회전덮개부(640) 회전각을 나타내고, θ2는 음용구(632)가 차폐되는 회전덮개부(640)의 회전각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음료제조용 텀블러의 첨가물의 흡입 및 배출과정을 포함하는 작동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상기 음용수트레이(600)와 첨가물트레이(700) 각각에 액상의 음용수와 첨가물이 채워지고, 피스톤 하우징(832) 내에도 첨가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첨가물이 액상의 음용수에 혼합되도록 펌핑유닛(800)을 작동시킨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회전덮개부(640)를 펌핑모드가 되도록 회전시켜 펌핑버튼부(810)가 개구부(641)에 노출되게 하고, 사용자가 펌핑버튼부(810)를 하방으로 누르게 되면, 이에 따라 피스톤부(830)도 이와 대응하여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피스톤 하우징(832) 내 피스톤로드(831)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피스톤 하우징(832)내부의 압력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볼밸브(843)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밸브유로(842)를 차폐함과 동시에, 피스톤 하우징(832) 내 첨가물은 피스톤로드(831)의 유로와 배출관(822)을 거쳐 음용수 저장공간(614)에 투입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펌핑버튼부(810)에 가해진 압력을 해제하면 피스톤로드(831)는 탄성부재(663)에 의하여 상방으로 복원 이동하게 되면서, 피스톤 하우징(832) 내의 압력은 저압으로 변화되고, 이에 따라 볼밸브(843)는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밸브유로(842)를 개방시킨다.
이렇게, 밸브유로(842)가 개방되면, 흡입관(821)을 따라 첨가물 저장공간(701)의 첨가물이 흡입관(821)을 따라 이동하여 피스톤 하우징(832)내로 유입되어 채원진다.
여기서, 사용자는, 펌핑버튼부(810) 누름 동작을 반복하여 첨가물트레이(700)에 저장된 첨가물을 일정량씩 음용수트레이(600)에 투입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에 따라 음용수에 첨가물이 저장되면, 사용자는 이를 마시기 위하여, 회전덮개부(640)를 음용모드로 회전시켜 음용구(632)를 개방시키고, 음용구(632)를 통하여 첨가물이 혼합된 음료를 음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음료제조용 텀블러를 보관하기 위해서는, 상기 회전덮개부(640)를 회전시켜 개구부(641)가 클로저부(630)에 의하여 차폐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상부트레이(62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5 및 도 26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트레이(620)는, 빨대부(673)를 구비하여, 음용구(632)가 아닌 빨대부(673)를 통하여 이용자가 음용수 또는 음료를 음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상부트레이(620)는, 클로저부(671)와, 회전덮개부(640)(672)와, 빨대부(673)와, 개폐마개(67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클로저부(671)는, 하부트레이(61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면 중앙부에 제1관통삽입구(6711)가 관통 형성되며, 제1관통삽입구(6711)와 이격되게 위치하고 상면으로 펌핑유닛(800)이 관통 삽입된다.
상기 회전덮개부(672)는, 제1관통삽입구(6711)와 대응되는 상면 중앙부에 제2관통삽입구(6721)가 형성되고, 외력에 의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클로저부(671)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기 회전덮개부(672)는, 클로저부(671)가 노출되도록 개구부(641)가 형성되어, 회전에 의하여 상기 펌핑유닛(800)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킨다.
상기 빨대부(673부는, 관 형상으로 이용자가 상기 음용수 저장공간(614)의 음용수 또는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제1관통삽입구(6711)와 제2관통삽입구(6721)에 동시에 삽입되고, 삽입단부는 음용수 저장공간(614) 내에 위치하여 음용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빨대부(673)는, 상하방향으로 탄력적인 신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주름부(6731)가 형성되어, 보관 시에는 축소시켜 개폐마개(674)를 차폐하고, 음용 시 개폐마개(674)를 개방하면 신장되어 이용자가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폐마개(674)는, 제2관통삽입구(6721)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빨대부(673)가 축소된 상태에서 제2관통삽입구(6721)를 차폐시키는 역할을 하며, 연결부재(675)를 통하여 회전덮개부(672)와 연결되어 분실이 방지될 수 있다.
도 27은 상기 음료제조용 텀블러에서 회전덮개부와 클로저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에서 (a)는 회전덮개부의 평면도를 나타내며, (b)는 회전덮개부의 측단면도를 나타내고, (c)는 펌핑유닛이 결합된 클로저부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회전덮개부와 클로저부와 대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기로 하며, 아울러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을 나타낸다.
먼저, 도 27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덮개부(643)는, 하부면으로 스토퍼돌기(635a)와, 누출방지홈(644)이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돌기(635a)는, 회전덮개부(643)의 하단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후술되는 상기 클로저부(680)의 가이드홈(642a)에 끼워진다.
상기 스토퍼돌기(635a)는, 회전덮개부(643)의 회전 시 상기 가이드홈(642a)의 내측면에 걸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회전덮개부(643)의 회전각도를 제한함으로써, 회전덮개부(643)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전술한 스토퍼돌기(635)의 구성 및 목적과 유사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상기 스토퍼돌기(635a)는, 회전덮개부(643)의 중심을 기준으로 누출방지홈(644)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그 위치선정은 다양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서로 대면하는 상기 스토퍼돌기(635a)의 측면 및 상기 가이드홈(642a)의 내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스토퍼돌기(635a)의 상기 가이드홈(642a) 이탈 외력이 감소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면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정한 이탈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스토퍼돌기(635a)가 상기 가이드홈(642a)을 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회전덮개부(643)가 클로저부(68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경사면은, 회전덮개부(643)의 과도한 회전이 방지되어야 하는 방향에 대해서는 형성되지 않아야하고,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그 반대인 방향에 형성되어야 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도 17의 스토퍼돌기(635)와 가이드홈(642)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누출방지홈(644)은, 회전덮개부(643)의 하면에 형성되며, 음용모드 시 에어홀(634)이 홈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에어차폐부(664)가 에어홀(634)로부터 이탈 시 내부압력에 따라 에어홀(634)로 역류된 음용수가 음료제조용 텀블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누출방지홈(644)은, 에어홀(634)의 표면장력에 의해 에어홀(634)에 부착된 음용수가 펌핑압력에 의해 에어홀(634) 외부로 누출될 시, 회전덮개부(643)와 클로저부(680) 사이의 미세 이격공간을 따라 외부로 확산되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누출방지홈(644)은 에어홀(634)을 역류한 음용수가 회전덮개부(643)와 클로저부(680) 사이의 접합단부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음용수가 접합단부로부터 미세 이격공간을 따라 확산되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누출방지홈(644)은, 회전덮개부(643)의 회전 시 에어홀(634)의 이동 경로와 일치하도록 에어홀(634)과 동일 원주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출방지홈(644)은, 에어홀(634)의 직경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에어홀(634)이 내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바람직하게는 역류한 음용수의 확산범위를 포함할 수 있도록 충분히 큰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에어홀(634)은 상기 누출방지홈(644)의 폭 내에 위치하여 수용되도록, 그 크기와 위치 배치가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누출방지홈(644)에는, 안착돌기(636)가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안착돌기(636)는, 누출방지홈(644)에 끼워져 회전덮개부(643)의 회전 시 누출방지홈(644)을 따라 이동하면서, 보관모드 시 상기 안착돌기(636)가 해당지점에 안착되어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탈방지부(645)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645)는, 상기 안착돌기(636)가 안착되면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고, 모드변경을 위해 사용자에 의하여 외력이 발생되는 경우에 외력에 의해서만 안착돌기(636)의 이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때문에, 상기 안착돌기(636)는, 보관모드 시 작은 외력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이탈방지부(645)에 의하여 해당위치에 위치하기 때문에, 보관상태에서 회전덮개부(643)의 회전으로 인한 음용구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64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출방지홈(644)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돌기(636)가 안착되는 이탈방지홈(6451)과, 상기 이탈방지홈(6451)의 전후단에 각각 형성된 단턱부(64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안착돌기(636)는, 모드변경 시 누출방지홈(644)을 따라 이동하다가 보관모드와 같이 특정 모드 시 상기 이탈방지홈(6451)에 안착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여기서, 상기 이탈방지홈(6451)은, 상기 누출방지홈(644)과 같은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6452)가, 이탈방지홈(6451)에 안착된 안착돌기(636)의 전후방향 이동을 제한하여 안착돌기(636)를 상기 이탈방지홈(6451)에 구속시킨다.
한편, 상기 이탈방지부(645)는, 상기한 이탈방지홈(6451)과 단턱부(6452) 외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누출방지홈(644)의 깊이와 너비를 달리 형성하여 상기한 안착돌기(636)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27의 (c)를 참조하면, 상기 클로저부(680)는, 안착돌기(636)와, 가이드홈(642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돌기(636)는, 상기 클로저부(68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이탈방지홈(6451)에 끼워진다.
상기 가이드홈(642a)은 상기 클로저부(680)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돌기(635a)가 끼워지고, 상기 펌핑모드, 음용모드 시 회전덮개부(643)의 회전 반경에 대응하도록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첨가물 저장 캡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첨가물 저장 캡슐은 음료제조용 첨가물을 별도로 저장하였다가 필용시 텀블러에 수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도 28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첨가물 저장 캡슐의 사시도이고, (b)는 그 측면도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첨가물 저장 캡슐(10000)은 크게 측벽부(11000), 바닥부(12000) 및 밀폐필름(130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뒤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며, 먼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첨가물 저장 캡슐(10000)이 사용되는 음료제조용 텀블러(200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9는 첨가물 저장 캡슐(10000)이 상기 첨가물트레이(23000)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첨가물 저장 캡슐(10000)은 음료제조용 텀블러(20000)의 첨가물트레이(23000)에 수납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첨가물트레이에 첨가물 저장 캡슐(10000) 삽입하는 경우 측벽부(11000)는 첨가물트레이(23000)의 내측면(23200)에 접하여 위치하고, 바닥부(12000)는 상기 첨가물트레이(23000)의 바닥면(23300)에 접하여 위치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음료제조용 텀블러(20000)에 직접 첨가물을 투입하는 대신 첨가물을 저장한 캡슐(10000)을 수납시켜 사용함으로써, 액상의 첨가물을 텀블러(20000)에 투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첨가물의 유출에 의한 첨가물의 손실, 위생상의 문제점 등을 해결하고 용이하게 첨가물을 텀블러에 투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액상의 첨가물을 직접 텀블러(20000)의 첨가제 수납공간(23000)에 투입하는 경우에는, 사용 후 매번 첨가제 수납공간(23000)을 세척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꿀이나 홍삼액 등과 같이 점성이 높은 첨가물의 경우 수납공간 바닥 테두리 등에 고착된 첨가물을 제거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첨가물이 저장된 캡슐(10000)을 직접 첨가물트레이(23000)에 삽입하여 사용함으로써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2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첨가물 저장 캡슐(10000)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2000)는 그 중앙부에 내측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바닥 돌출부(12100)와, 상기 바닥 돌출부(12100)와 상기 측벽부(11000) 사이에 형성되는 바닥 저면부(12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바닥 저면부(12200)의 상부에는 첨가물을 인출하기 위하여 펌핑유닛(24000)의 흡입관(24300) 저면 단부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입관(24300)의 단부는 상기 바닥 저면부(12200)와 상기 바닥 돌출부(12100) 상면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캡슐(10000) 내에 저장된 첨가물이 마지막까지 바닥 저면부(12200)로 모이게 되어 잔량의 첨가물을 남김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바닥 돌출부(12100)는, 바닥면(12000)의 수직 방향에 대하여 내측으로 소정 각도를 가지며 바닥면(12000)의 내측 상방으로 연장되는 경사면(12100b)과, 상기 경사면(12100b)에서 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상면(12100a)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꿀이나 홍삼원액 등과 같이 점성이 높은 첨가물의 경우에도 첨가물이 상기 바닥 돌출부(12100)의 경사면(12100b)을 따라 바닥 저면부(12200)로 모이게 됨으로써 첨가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첨가물 저장 캡슐(10000)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11000)의 상단 테두리에는, 상기 첨가물트레이(23000)의 상단 테두리에 안착하기 위한 안착부(11100)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착부(11100)는, 상기 측벽부(11000)의 상단에서 상기 첨가물트레이(23000)의 상단 테두리 두께에 상응하는 거리만큼 외측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수평판(11100a)과, 상기 수평판(11100a)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소정 거리 연장되는 수직판(11100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11100)는, 첨가물트레이(23000) 내부로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첨가물트레이(23000) 내부로 첨가물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조립 시 상단부의 형태변형 등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11100)의 수직판(11100b)은 오염되지 않은 파지 영역을 제공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캡슐(10000)의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밀폐필름(13000)는, 캡슐(10000)에 저장된 첨가물을 밀폐하는 기능을 수행하다. 따라서, 캡슐(10000)에 첨가물을 채운 후 측벽부(11000)의 상단 테두리에 접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폐필름(13000)는 비닐 등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첨가물트레이(23000)에 첨가물 저장 캡슐(10000)을 삽입후에는, 상기 측벽부(11000)의 상단 테두리에서 밀폐필름(13000)를 분리하여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11000)는, 그 외주면 상부가 돌출된 돌출부(11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12200)의 경계에는 첨가물트레이(23000)의 내측면(23200)에 안착하는 단차부(11300)가 형성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첨가물 저장 캡슐(10000)은, 상기 단차부(11300)에 의하여 첨가물트레이(23000)의 정확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에 따른 첨가물 저장 캡슐의 외주면에 형성된 단차부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먼저, 도 30를 참조하면, 상기 단차부(11300)는, 상기 측벽부(11000)의 외주면을 따라 수평 방향(a)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1를 참조하면, 상기 단차부(11300)는 상기 측벽부(11000)의 외주면을 따라 수평 방향에 대하여 양의 경사각을 갖는 선분(b)과 음의 경사각을 갖는 선분(c)이 교차하며 연속적으로 이어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단차부(13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이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첨가물 저장 캡슐(10000)은, 첨가물트레이(23000) 내측면(23200)의 정합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시 첨가물트레이(23000) 내에서 캡슐(10000)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2를 참조하면, 상기 단차부(11300)는 상기 측벽부(11000)의 외주면을 따라 수평 방향에 대하여 양의 곡률을 갖는 원호(d)와 음의 곡률을 갖는 원호(e)가 교차하며 연속적으로 이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단차부(11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물결 모양이 이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양의 곡률을 갖는 원호(d)란 위로 볼록한 원호를 의미하며, 음의 곡률을 갖는 원호(e)란 아래로 볼록한 원호를 의미한다.
이에 의하여, 상기 첨가물 저장 캡슐(10000)은, 첨가물트레이(23000) 내측면(23200)의 정합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첨가물 저장 캡슐(10000)을 첨가물트레이(23000)에서 인출할 때, 안착부(11100)의 수직판(11100b)을 손으로 파지하고 회전시킴으로써 단차부(11300)의 물결 모양 경사의 회전력에 의하여 용이하게 회전시켜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33를 참조하면, 상기 양의 곡률을 갖는 원호 및 음의 곡률을 갖는 원호는 각각, 서로 다른 중심점을 갖는 두 개의 원호(f, g)가 서로 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단차부(11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물결 모양이 마루 부분과 골 부분이 뾰쪽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 도 31의 실시예와 도 32의 실시예의 장점을 모두 취한 형태의 실시예에 해당한다. 이에 의하여 상기 첨가물 저장 캡슐(10000)은, 첨가물트레이(23000) 내측면(23200)의 정합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되면서도, 첨가물 저장 캡슐(10000)을 인출시 단차부(11300)의 회전력에 의해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첨가물 저장 캡슐(10000)은, 제조가 용이하고, 충격 및 열에 강한 소재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폴리프로필렌(PP), 트라이탄, 실리콘, 폴리에틸렌, 페트(PET) 등 다양한 소재로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첨가물 저장 캡슐(10000)은 QR 코드를 추가로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QR 코드 스티커(30000)를 첨가물트레이(23000)의 하부에 부착하여 스캔시 음료제조용 텀블러를 사용함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의 휴대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첨가물트레이(23000)의 하부를 투명재질로 형성하고(40000), 첨가물 저장 캡슐(10000)의 하부에 QR 코드 스티커(41000)를 부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한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활용은, 첨가물의 종류, 구성성분 함량, 유통 기한, 첨가물의 제조원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활용예는 일 실시예로 이 외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음용수와 첨가물을 함께 수용하고, 이용자의 필요에 따라 첨가물을 펌핑하여 음용수에 첨가함으로써 음료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기밀을 유지하여 외부로 음료가 누수되지 않도록 하는 음료제조용 텀블러 및 이에 삽입되어 사용되는 첨가물 저장 캡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기밀수단을 통하여 음료 제조 시 첨가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기밀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펌핑 시 또는 사용 시 첨가물이나 음료의 누출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첨가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휴대 시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5)

  1. 상부가 개방되고 하단이 차폐되어 내부에 음용수 또는 음료를 저장하는 음용수 저장공간이 형성된 하부트레이와, 상기 하부트레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부가 개방된 상기 하부트레이의 상부를 차폐하고, 이용자가 상기 음용수 저장공간의 음용수 또는 음료를 마실 수 있는 음용구가 형성된 상부트레이를 포함하는 음용수트레이와;
    상기 음용수트레이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내부에 첨가물이 저장되는 첨가물 저장공간이 형성된 첨가물트레이와;
    상기 음용수트레이와 상기 첨가물트레이에 걸쳐 관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첨가물을 펌핑하여 상기 음용수 저장공간으로 공급하는 펌핑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펌핑유닛은,
    상기 상부트레이에 슬라이딩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이용자의 가압에 따라 이동하는 펌핑버튼부와,
    상기 하부트레이의 음용수 저장공간 내에 위치하여 상기 펌핑버튼부의 왕복이동에 의하여 승하강하고, 상기 음용수 저장공간과 상기 첨가물 저장공간과 각각 연통되게 연결되어 승하강에 의하여 상기 첨가물을 흡입하여 상기 음용수 저장공간으로 유출시키는 펌핑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용 텀블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유닛은,
    상기 펌핑버튼부에 결합되어 상기 펌핑버튼부를 상기 음용수 저장공간과 구획시켜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음용수 저장공간으로부터 상기 펌핑버튼부를 차폐하는 기밀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용 텀블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수단은,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폐쇄된 원통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면으로 상기 펌핑버튼부가 삽입되어 상기 펌핑버튼부의 하면이 내측 바닥면에 접촉되고, 외측저면이 상기 펌핑부 상단에 접촉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용 텀블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수단은,
    상하방향으로 신축되도록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주름부가 형성된 벨로우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용 텀블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수단의 바닥면은,
    상방 또는 하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돌출된 볼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스템부 또는 상기 펌핑부와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용 텀블러.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버튼부는,
    상기 음용수트레이의 삽입구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부는 상기 음용수 트레이 외부로 노출되어 이용자가 상단부를 가압하고, 하부는 상기 펌핑부에 외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스템부와;
    내측으로 상기 스템부가 삽입되어 왕복이동하는 상기 스템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용 텀블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부는,
    중공관 형상으로 일측이 상기 첨가물 저장공간과 연통되게 상기 첨가물트레이의 내부로 연장되고, 타측은 상기 음용수 저장공간 내에 배치되는 흡입관과;
    상기 음용수 저장공간 내에 위치하고, 상기 흡입관의 타측 단부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펌핑버튼부의 왕복이동에 의하여 상기 흡입관으로부터 상기 첨가물을 흡입하는 피스톤부; 그리고
    중공관 형상으로 상기 피스톤부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펌핑된 상기 첨가물을 상기 음용수 저장공간으로 유출시키는 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용 텀블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외주측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배출관과 연통된 첨가물 이동공간이 개방되도록 하는 슬라이딩개폐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용 텀블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은,
    흡입단부에 메쉬망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용 텀블러.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펌핑버튼부와 연동되어 상기 펌핑버튼부의 왕복이동에 의해 승하강하고,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피스톤로드와;
    내부공간에 상기 피스톤로드가 승하강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흡입관과 상기 배출관이 각각 연통되게 연결되며, 상기 피스톤로드의 승하강에 의하여 상기 내부공간으로 상기 첨가물이 유입되는 피스톤 하우징; 그리고
    상기 피스톤로드와 결합하여 상기 피스톤로드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용 텀블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하우징은,
    상기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피스톤몸체와;
    상기 피스톤몸체의 상부에 결합하여 상기 피스톤몸체의 상부를 차폐하는 피스톤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피스톤몸체는,
    상단부 내주측면으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착탈홈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덮개는,
    외주면에 회전에 따라 상기 착탈홈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착탈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착탈홈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용 텀블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부는,
    상기 흡입관과 연결되는 상기 피스톤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 로드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흡입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용 텀블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흡입관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밸브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로드의 승하강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밸브유로를 개폐하는 구형의 볼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용 텀블러.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유닛은,
    상기 첨가물트레이와 상기 음용수트레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첨가물트레이와 상기 음용수트레이의 내측면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용 텀블러.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트레이는,
    상기 하부트레이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면에 상기 음용구가 관통 형성되며, 상면으로 상기 음용구와 이격되게 상기 펌핑유닛이 관통 설치되는 클로저부와;
    상기 클로저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내측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클로저부가 노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회전 시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음용구 또는 상기 펌핑유닛의 상부를 노출시키는 회전덮개부; 그리고
    상기 클로저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부가 상기 회전덮개부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덮개부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 및 상기 회전덮개부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회전덮개부의 회전 시 상기 음용구를 개폐하는 차폐지지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용 텀블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트레이는,
    상기 클로저부와 상기 회전덮개부의 상대적인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음용구 및 상기 펌핑유닛이 차폐되어 이용자가 음용수 또는 음료의 섭취 및 상기 펌핑유닛의 작동을 차단하고, 상기 차폐지지부에 의하여 상기 음용구는 차폐되는 보관모드와;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음용구가 개방되어 사용자가 상기 음용구를 통하여 음용수 또는 음료를 섭취할 수 있게 하는 음용모드; 그리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음용구는 차폐되고 상기 펌핑유닛은 개방되어 사용자가 상기 펌핑유닛을 작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차폐지지부에 의하여 상기 음용구는 차폐되는 펌핑모드;로 사용상태가 구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용 텀블러.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트레이는,
    음용모드로부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보관모드 및 펌핑모드 순으로 변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용 텀블러.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지지부는,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회전축을 따라 승하강하는 회전축부와;
    내측으로 상기 회전축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회전축부에 상단 및 하단이 지지되어 상기 회전축부와 연동하여 승하강하는 지지몸체와;
    일단부가 상기 지지몸체의 외측면에 결합하고, 상기 일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타단부가 상기 음용구를 개폐하는 차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용 텀블러.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삽입홀의 내주면에 상기 나사부가 치합되는 캠나사가 형성되되, 상기 펌핑모드로부터 보관모드 사이의 구간에는 수평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보관모드로부터 상기 음용모드 사이의 구간에는 경사나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용 텀블러.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삽입홀의 내주면에 상기 나사부가 치합되는 캠나사가 형성되되, 상기 펌핑모드로부터 상기 보관모드와 상기 음용모드 사이의 기 설정된 위치까지의 구간에는 수평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보관모드로부터 상기 음용모드 사이의 기 설정된 위치로부터 상기 음용모드 사이의 구간에는 경사나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용 텀블러.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지지부는,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회전축을 따라 승하강하는 회전축부와;
    내측으로 상기 회전축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회전축부에 상단이 지지되어 상기 회전축부와 연동하여 하강하는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 하부에 상단이 지지되고, 상기 회전축부 하단에 하단이 지지되어 상기 지지몸체에 상방으로의 탄성지지력을 부가하는 탄성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지지몸체의 외측면에 결합하고, 상기 일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타단부가 상기 음용구를 개폐하는 차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용 텀블러.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단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기 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몸체와 접촉되어 상기 지지몸체와 함께 하강하되,
    상기 접촉위치는, 상기 보관모드 위치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용 텀블러.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단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기 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몸체와 접촉되어 상기 지지몸체와 함께 하강하되,
    상기 접촉위치는, 상기 보관모드와 상기 음용모드 사이의 위치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용 텀블러.
  24.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지지부는,
    상기 지지몸체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결합하고, 상기 회전축부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클로저부에 형성된 에어홀을 개폐하도록 연장 형성된 에어차폐부와;
    상기 차폐부와 상기 에어차폐부 사이의 상기 지지몸체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결합하여, 상기 회전축부를 중심으로 상기 차폐부와 상기 에어차폐부와의 편심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밸런스지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용 텀블러.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저부는,
    상기 차폐지지부의 상부측면이 끼워져 상기 차폐지지부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고 회전을 제한하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용 텀블러.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트레이는,
    상기 회전덮개부의 하단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음용모드와, 상기 펌핑모드와, 상기 보관모드에 대한 상기 회전덮개부의 회전반경에 대응하는 호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클로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지고, 상기 회전덮개부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회전방지용 스토퍼돌기가 형성됨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용 텀블러.
  27. 제 26 항에 있어서,
    서로 대면하는 상기 스토퍼돌기의 측면 및 상기 가이드홈의 내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스토퍼돌기의 상기 가이드홈 이탈 외력이 감소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용 텀블러.
  2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덮개부는,
    하단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덮개부의 회전반경에 대응하는 호형상의 누출방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누출방지홈의 내측으로 이격되게 위치하고 하단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스토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클로저부는,
    음용수저장공간과 연통되도록 에어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누출방지홈에 끼워지는 안착돌기와,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돌기가 끼워지는 호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용 텀블러.
  29. 제 28 항에 있어서,
    서로 대면하는 상기 스토퍼돌기의 측면 및 상기 가이드홈의 내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스토퍼돌기의 상기 가이드홈 이탈 외력이 감소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용 텀블러.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누출방지홈은,
    상기 회전덮개부의 회전 시 상기 에어홀의 이동경로와 일치하도록 상기 에어홀과 동일 원주상에 위치하고,
    상기 에어홀은,
    상기 누출방지홈의 폭보다 작도록 형성되어, 상기 누출방지홈의 폭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용 텀블러.
  31.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덮개부는,
    상기 누출방지홈에 형성되어, 상기 보관모드 시 상기 안착돌기가 해당지점에 안착되어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이탈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누출방지홈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돌기가 안착되는 이탈방지홈과, 상기 이탈방지홈의 전후단에 각각 형성된 단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용 텀블러.
  3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트레이는,
    상기 음용수 저장공간 내에 위치하고, 상기 펌핑유닛이 내측으로 삽입되게 하는 가이드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용 텀블러.
  33.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트레이는,
    하부는 폐쇄되고 상부는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상기 펌핑유닛이 관통 설치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의 내측에 고정 결합되고 내부로 상기 음용수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펌핑유닛이 결합되는 제2몸체; 그리고
    하단부가 상기 제2몸체의 상단부에 접촉되게 상기 제1몸체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클로저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용 텀블러.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는, 내측으로 상기 피스톤 하우징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용 텀블러.
  35.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물트레이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단이 차폐되어 내측으로 상기 첨가물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음용수트레이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용 텀블러.
  36. 제 1 항 내지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와 상기 첨가물 저장공간이 서로 연통되는 공기유입통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유입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첨가물 저장공간으로 외부공기가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용 텀블러.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통로는, 상기 하부트레이의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수단은,
    상기 하부트레이 외측 하부에 설치되고, 외력에 의하여 상기 공기유입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첨가물 저장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용 텀블러.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수단은,
    상기 공기유입통로 상에 설치되고, 외력에 의하여 왕복 이동하여 상기 공기유입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유입버튼몸체와;
    상기 유입버튼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버튼몸체에 상기 공기유입통로를 차폐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용 텀블러.
  39.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통로는, 상기 하부트레이의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수단은,
    상기 하부트레이의 바닥부에 형성되고, 상기 첨가물 트레이 내부와 외부의 기압 차이에 따라 상기 공기유입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첨가물 트레이 외부의 공기를 상기 첨가물 트레이 내부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용 텀블러.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수단은,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첨가물 트레이 내부와 외부의 기압 차이에 의하여 탄성 변형되어 상기 공기유입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탄성버튼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용 텀블러.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수단은,
    상기 첨가물 저장공간 내 상기 공기유입통로의 단부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용 텀블러.
  42. 텀블러에 내장되어 사용되는 첨가물 저장 캡슐로서,
    상기 첨가물 저장 캡슐은,
    텀블러 하단에 결합되어, 텀블러 본체 내부로 펌핑되는 첨가물이 수용되는 첨가물트레이에 삽입되어 구비되고,
    상기 첨가물 저장 캡슐은,
    상기 첨가물트레이의 내측면에 접하여 위치하는 측벽부와;
    상기 첨가물트레이의 바닥면에 접하여 위치하는 바닥부; 그리고
    상기 측벽부의 상부를 밀폐하는 밀폐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용 첨가물 저장 캡슐.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중앙부에 내측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바닥 돌출부와,
    상기 바닥 돌출부와 상기 측벽부 사이에 형성되는 바닥 저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용 첨가물 저장 캡슐.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돌출부는,
    바닥면의 수직 방향에 대하여 내측으로 소정 각도를 가지며 바닥면의 내측 상방으로 연장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에서 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상면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용 첨가물 저장 캡슐.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물 저장 캡슐의 상기 바닥 저면부 상부에는 상기 첨가물을 인출하기 위한 흡입관의 저면 단부가 위치하되,
    상기 흡입관의 단부는 상기 바닥 저면부와 상기 바닥 돌출부 상면 사이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용 첨가물 저장 캡슐.
  46.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텀블러 내에 구비되는 펌핑유닛 흡입관의 일측은 상기 첨가물 저장 캡슐과 연통되게 상기 첨가물트레이의 내부로 연장되고, 타측은 상기 음용수 저장공간 내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용 첨가물 저장 캡슐.
  47.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그 외주면 상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돌출부 경계에 상기 첨가물트레이의 내측면에 안착되는 단차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용 첨가물 저장 캡슐.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상기 측벽부의 외주면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용 첨가물 저장 캡슐.
  49.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상기 측벽부의 외주면을 따라 수평 방향에 대하여 양의 경사각을 갖는 선형부와 음의 경사각을 갖는 선형부가 교번하여 연속적으로 이어진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용 첨가물 저장 캡슐.
  50.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상기 측벽부의 외주면을 따라 수평 방향에 대하여 양의 곡률을 갖는 원호부와 음의 곡률을 갖는 원호부가 교번하여 연속적으로 이어진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용 첨가물 저장 캡슐.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의 곡률을 갖는 원호부 및 음의 곡률을 갖는 원호부는,
    각각 서로 다른 중심점을 갖는 두 개의 원호가 서로 결합된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용 첨가물 저장 캡슐.
  52.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상단 테두리에는,
    상기 첨가물트레이의 상단 테두리에 안착하기 위한 안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용 첨가물 저장 캡슐.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서 상기 첨가물트레이의 상단 테두리 두께에 상응하는 거리만큼 외측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소정 거리 연장되는 수직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용 첨가물 저장 캡슐.
  54.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필름은,
    상기 측벽부의 상단 테두리에 접착되어 구비되며,
    상기 첨가물트레이에 상기 첨가물 저장 캡슐을 삽입시, 상기 측벽부의 상단 테두리에서 분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용 첨가물 저장 캡슐..
  55.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하면에 QR 코드 스티커가 부착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용 첨가물 저장 캡슐.
PCT/KR2019/009525 2018-07-31 2019-07-31 음료제조용 텀블러 및 이를 위한 첨가물 저장 캡슐 WO2020027567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80049724.6A CN112469639B (zh) 2018-07-31 2019-07-31 饮料制造用随行杯及用于其的添加物储存囊
US17/262,127 US11871874B2 (en) 2018-07-31 2019-07-31 Tumbler for preparing beverage and additive-storing capsule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89275 2018-07-31
KR10-2018-0089275 2018-07-31
KR10-2019-0085276 2019-07-15
KR1020190085276A KR102210005B1 (ko) 2019-07-15 2019-07-15 음료제조용 텀블러
KR10-2019-0085190 2019-07-15
KR20190085278 2019-07-15
KR10-2019-0085278 2019-07-15
KR1020190085190A KR102210000B1 (ko) 2018-07-31 2019-07-15 음료제조용 텀블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27567A1 true WO2020027567A1 (ko) 2020-02-06

Family

ID=69232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9525 WO2020027567A1 (ko) 2018-07-31 2019-07-31 음료제조용 텀블러 및 이를 위한 첨가물 저장 캡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CN (1) CN112469639B (ko)
WO (1) WO20200275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23263A (zh) * 2021-04-21 2022-06-14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排浆和清洗的食品加工机用阀体组件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746Y1 (ko) * 2006-03-13 2006-06-23 (주)민진 가압식 펌핑장치가 적용된 이중의 용기구조를 갖는포장용기
JP2010001062A (ja) * 2008-06-23 2010-01-07 Chidoriya Soke Kk 筒状容器
US20100064899A1 (en) * 2007-01-15 2010-03-18 Swiss Caffe Asia Ltd. Capsule, means for piercing the base of a capsule and device for preparing a beverage
KR20120021781A (ko) * 2010-08-17 2012-03-09 임지성 기능성 텀블러
JP2014001788A (ja) * 2012-06-18 2014-01-09 Nippon Soken Inc 高圧流体供給システム
US20150223632A1 (en) * 2014-02-10 2015-08-13 Joshua Hall Portable beverage container
US20160242594A1 (en) * 2013-10-18 2016-08-25 K-Fee System Gmbh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KR20170113433A (ko) * 2017-03-31 2017-10-12 박문식 첨가물 수납공간이 구비된 텀블러
US20170326617A1 (en) * 2014-11-14 2017-11-16 Koninklijke Douwe Egberts B.V. A method of forming a cup-shaped body for a beverage capsu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66696A1 (en) * 2001-06-13 2002-12-18 Taplast S.p.A. Bellows pump for delivery gas-liquid mixtures
JP4116331B2 (ja) * 2002-05-30 2008-07-09 二瀬 克規 液状被包装物の注出装置および注出構造
JP5643528B2 (ja) * 2009-03-30 2014-12-17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基板処理装置
KR101728277B1 (ko) * 2016-04-01 2017-04-18 박문식 첨가물 수납공간이 구비된 텀블러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746Y1 (ko) * 2006-03-13 2006-06-23 (주)민진 가압식 펌핑장치가 적용된 이중의 용기구조를 갖는포장용기
US20100064899A1 (en) * 2007-01-15 2010-03-18 Swiss Caffe Asia Ltd. Capsule, means for piercing the base of a capsule and device for preparing a beverage
JP2010001062A (ja) * 2008-06-23 2010-01-07 Chidoriya Soke Kk 筒状容器
KR20120021781A (ko) * 2010-08-17 2012-03-09 임지성 기능성 텀블러
JP2014001788A (ja) * 2012-06-18 2014-01-09 Nippon Soken Inc 高圧流体供給システム
US20160242594A1 (en) * 2013-10-18 2016-08-25 K-Fee System Gmbh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US20150223632A1 (en) * 2014-02-10 2015-08-13 Joshua Hall Portable beverage container
US20170326617A1 (en) * 2014-11-14 2017-11-16 Koninklijke Douwe Egberts B.V. A method of forming a cup-shaped body for a beverage capsule
KR20170113433A (ko) * 2017-03-31 2017-10-12 박문식 첨가물 수납공간이 구비된 텀블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23263A (zh) * 2021-04-21 2022-06-14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排浆和清洗的食品加工机用阀体组件
CN114623263B (zh) * 2021-04-21 2023-12-08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排浆和清洗的食品加工机用阀体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469639A (zh) 2021-03-09
CN112469639B (zh) 202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30450A1 (ko) 내용물 수취장치와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WO2020153826A1 (ko) 전기 주전자
WO2020153825A1 (ko) 전기 주전자
WO2019212176A1 (ko) 청소기의 노즐
WO2019212177A1 (ko) 청소기의 노즐
WO2019212188A1 (ko) 청소기의 노즐
WO2018190537A1 (ko) 진공텀블러 및 이를 구비한 믹서기
WO2015008943A1 (ko) 전기밥솥
WO2019212187A1 (ko) 청소기의 노즐
WO2016018016A1 (en) Display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background
WO2020055216A1 (ko) 청소기
WO2020246730A1 (ko) 청소기
WO2021040222A1 (en) Water discharg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20122631A1 (ko)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WO2019112396A1 (ko) 휴대폰 케이스
WO2020027567A1 (ko) 음료제조용 텀블러 및 이를 위한 첨가물 저장 캡슐
WO2021071348A1 (ko)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AU2019381567B2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WO2021020908A1 (en) Cleaner
WO2021162151A1 (ko) 전기 주전자
WO2021149927A1 (ko) 전기 주전자
WO2019031897A1 (ko) 화장품 용기
WO2011059269A2 (ko) 공기흡입펌프와 이를 이용한 비닐봉투의 진공 및 밀봉 방법
WO2020190037A1 (ko) 전기 주전자
WO2021071103A1 (ko) 블렌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4463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4463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