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3665B1 - 내용물의 안전 보관이 가능한 음료 용기 - Google Patents

내용물의 안전 보관이 가능한 음료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3665B1
KR100933665B1 KR1020070123464A KR20070123464A KR100933665B1 KR 100933665 B1 KR100933665 B1 KR 100933665B1 KR 1020070123464 A KR1020070123464 A KR 1020070123464A KR 20070123464 A KR20070123464 A KR 20070123464A KR 100933665 B1 KR100933665 B1 KR 100933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slide member
container
vertical wall
pivoti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3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6351A (ko
Inventor
이재웅
Original Assignee
이재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웅 filed Critical 이재웅
Priority to KR1020070123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3665B1/ko
Publication of KR20090056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6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57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made separately from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76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65D47/089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within a flat surface of the base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 B65D47/2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linear movement
    • B65D47/28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linear movement between plana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2Grip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본체 속의 내용물이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잠금수단을 구비한 음료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커피 등의 음료를 보관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뚜껑과;
상기 뚜껑에 힌지핀 구조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 날개와;
상기 회동 날개의 직하부 위치의 뚜껑에 상기 용기 본체에 보관된 음료를 배출하도록 형성된 배출구멍과;
상기 배출 구멍에 끼워져 용기본체 내를 밀봉하거나 또는 벗겨져 개방되도록 상기 회동날개의 저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마개부와;
상기 회동날개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뚜껑의 외주로 돌출하도록 연장하는 손잡이부와;
상기 배출구멍과 이웃해서 상기 뚜껑에 형성되는 외부 공기 도입공과;
상기 외부 공기 도입공을 개폐하도록 상기 회동날개 저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료 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외곽을 형성하도록 수직에 가깝게 상측을 항해 돌출되는 수직벽면과;
상기 회동날개의 상부면에 상기 수직벽면을 향해 수평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회동날개를 상기 수직 벽면에 대해 잠금하거나 또는 잠금 해 제하는 잠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음료용기, 뚜껑, 잠금수단, 슬라이드부재, 잠금돌기, 잠금요홈

Description

내용물의 안전 보관이 가능한 음료 용기{Safekeeping container for drinking}
본 발명은 커피나 더운 물 또는 탄산 음료등의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관 할 수 있는 휴대용 음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커피나 더운 물 또는 탄산음료 등의 경우 보온과 보냉이 가능한 단열 용기에 담아 가까이에 두거나 또는 가지고 다니면서 필요할 때마다 꺼내어 시음하는 사람들이 많이 늘고 있다.
이를 위해 도 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단열이 되는 이중 용기 벽을 가지는 용기 본체(32)와, 그 용기본체(32)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음료 등의 내용물이 쏟아지지 않게 하며, 필요시 음료를 외부로 배출하게 하는 뚜껑(33)으로 된 음료용기(31)가 음료의 보관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용기본체(2)에 커피 등을 보관하기 위해서는 뚜껑(33)을 용기본체(32)에서 분리시킨 후 커피 등을 용기본체(32)내에 부어 채우고, 다시 뚜껑(33)을 닫아 내용물을 밀봉시키게 되는데, 용기본체(32)에 담겨 있는 커피 등의 음료를 마시고자 할 때에는 뚜껑(33)을 여는 대신에 뚜껑(33)에 형성된 회동날개(34)를 젖혀 열게 되면(점선 도시 참조) 음료 배출 구멍(35)을 막고 있던 마개부(36)가 배출구멍(35)에서 빠지게 되면서 배출구멍(35)이 개방되게 되므로써, 개방된 배출구멍(35)을 통해 커피 등의 음료를 컵 등에 따라 마실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회동날개(34)는 핀축(37)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뚜껑(33)에 결속되어있어 뚜껑(33)의 상부측에서 배출구멍(35)을 향해 회동날개(34)를 내리누르게 되면, 마개부(36)가 배출구멍(35)에 기밀하게 끼워지게 되면서 내용물을 밀봉하게 되므로, 회동날개(34)를 반대로 젖혀 개방시킬 때에는 상당한 개방력을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회동날개(34)에는 통상 손잡이부(38)를 뚜껑(33)의 외주로 돌출시켜 형성하므로써, 배출구멍(35)의 개방시 지렛대 역할을 하는 손잡이부(38)를 손가락 끝으로 밀어올려 회동날개(34)를 열어젖히게 되어 있다.
그런데, 음료 용기(31)내에 보관되는 내용물이 뜨거운 커피나 차 또는 탄산음료일 때 내부압이 형성되어 가끔씩 회동날개(34)가 내부압을 못이기고 개방되어 내용물이 쏟아지는 문제가 소비자 불만 사항중 하나로 지적되어 왔다.
또 내용물의 안전한 밀봉을 위해 마개부(36)가 배출구멍(35)에 빡빡하게 끼워지도록 구성하는 경우, 뚜껑(33)의 외주로 돌출된 손잡이부(38)의 돌출 길이가 작게 되면 큰 힘이 필요하여 불편하고, 또 회동날개(34)가 벗겨지는 순간 순간적으로 힘의 공백 현상을 가져와 용기(31)가 크게 흔들리게 되면서 내용물이 넘쳐나 화상을 입거나 주변을 더럽히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으며, 이때문에 회동날개(34)의 안정적 개방 작동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손잡이부(38)의 돌출량을 비교적 크게 하고 있으나, 손잡이부(38)의 돌출량이 커지게 되므로써 휴대중에 손잡이부(38)가 다른 물체에 걸리게 될 경우 예기치 않게 회동날개(34)가 벗겨져 내용물이 쏟아지는 문제가 종종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그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용기본체속의 내용물이 안전하게 보관 될 수 있도록 하는 잠금수단을 구비한 음료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커피 등의 음료를 보관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뚜껑과;
상기 뚜껑에 힌지핀 구조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 되는 회동 날개와;
상기 회동 날개의 직하부 위치의 뚜껑에 상기 용기 본체에 보관된 음료를 배출하도록 형성된 배출구멍과;
상기 배출 구멍에 끼워져 용기본체내를 밀봉하거나 또는 벗겨져 개방되도록 상기 회동날개의 저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마개부와;
상기 회동날개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뚜껑의 외주로 돌출하도록 연장하는 손잡이부와;
상기 배출구멍과 이웃해서 상기 뚜껑에 형성되는 외부 공기 도입공과;
상기 외부 공기 도입공을 개폐하도록 상기 회동날개 저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료 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외곽을 형성하도록 수직에 가깝게 상측을 향해 돌출되는 수직벽면과;
상기 회동날개의 상부면에 상기 수직벽면을 향해 수평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회동날개를 상기 수직 벽면에 대해 잠금하거나 또는 잠금 해제하는 잠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수직벽면 방향으로 수평 이동이 가능하게 상기 회동날개에 장착되는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선단에 돌출된 잠금돌기와;
상기 회동날개의 상기 수직 벽면에 접하도록 연장된 수직 절곡부에 상기 잠금돌기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형성된 관통구멍과;
상기 슬라이드부재가 잠금을 위해 슬라이드 될 때 상기 관통구멍을 통과하게 되는 상기 잠금돌기의 선단을 구속하여 상기 회동날개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수직 벽면에 형성되는 잠금요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양쪽 측면은 상기 회동날개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요철 계합 구조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회동날개에 가이드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저면으로 상기 가이드 장공의 안내를 따라 이동이 허용되는 가이드 돌기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상부 표면에 손가락으로 미는 힘에 대해 마찰력을 부여하기 위한 마찰 접촉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회동날개의 마개부가 뚜껑의 배출구멍을 막은 상태에서 슬라이드 부재를 밀어 잠금수단이 일단 잠금 작동되면 용기본체내의 압력이나 손잡이부에 가해지는 개방력의 작용에 의해 회동날개가 젖혀지게 되는 움직임이 차단되어 용기본체내의 내용물이 임의로 쏟아지게 되는 일이 없이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료 용기의 정단면도로서 잠금수단이 잠금작동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음료 용기의 정단면도로서 잠금수단이 잠금 작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음료 용기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회동날개와 슬라이드 부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이다.
도면중 부호 1로 나타낸 본 발명의 음료 용기(1)는 크게 용기본체(2)와 뚜껑(3)으로 구성되며, 용기본체(2)는 보온과 보냉을 위하여 가능하면 단열 구조, 예를 들면 도시한 것과 같이 스테인레스재를 사용하여 2중벽(2A)(2B) 사이에 공기층공간(4)을 두므로서 뜨거운 커피나 냉차 등의 음료수를 보관시 내용물의 보관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 될 수 있다.
상기한 뚜껑(3)은 용기본체(2)에 눌러 끼워 돌리게 되면 잠금되고, 반대로 돌려 잡아 빼면 분리되는 나사(5) 체결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한 뚜껑(3)에는 회동날개(6)가 힌지핀(7)을 통해 뚜껑(3)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 날개(6)의 선단 저면(6A)에는 하부측을 향해 마개부(8)가 돌출되어 있으며, 이 마개부(8)의 단면 형상을 가진 음료의 배출구멍(9)이 뚜껑(3)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마개부(8)가 배출구멍(9)에 끼워지면, 용기본체(2)내에 들어 있는 커피 등의 내용물이 밀봉되게 보관되며, 회동날개(6)가 힌지핀(7)을 중심하여 회동하여 마개부(8)가 배출구멍(9)에서 빠져나가게 되면 배출구멍(9)이 개방되어 내용물을 배출구멍(9)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한 회동날개(6)의 선단에는 대략 수직에 가깝게 절곡되어 연장되는 수직절곡부(10)가 뚜껑(3)의 외곽을 형성하도록 수직에 가깝게 상측으로 돌출하여 기립 하고 있는 수직 벽면(11)(이 수직벽면은 수직면 또는 상측으로 갈수록 확개되는 경사면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다시 수직절곡부(10)의 상단에서 뚜껑(3)의 외주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손잡이부(12)가 일체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뚜껑(3)에는 상기 회동날개(6)의 마개부(8)가 배출구멍(9)에 닫힌 상태하에서 회동날개(6)를 잠금시키기 위한 잠금수단(13)이 마련되어 있는데, 상기한 잠금수단(13)은 힌지핀(7)쪽에서 수직절곡부(10)쪽을 향해 수평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드부재(14)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슬라이드부재(14)는 도 4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이 회동날개(6)와 요철(15)구조로 계합하므로써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며, 이를 위해 슬라이드 부재(14)는 회동날개(6)의 후방에서 요철(15) 부위를 일치시켜 밀어 넣어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한 잠금수단(13)은 상기 회동날개(6)를 닫은 상태, 즉 상기 마개부(8)가 배출구멍(9)에 끼워져 배출구멍(9)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 회동날개(6)가 고정되도록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부재(14)와, 그 슬라이드부재(14)의 선단에 돌출된 잠금돌기(16) 및, 상기 잠금돌기(16)가 통과하도록 수직절곡부(10)에 형성되는 관통구멍(17)과,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관통구멍(17)을 통과한 잠금돌기(16)를 구속하여 상기 회동날개(6)의 회동 작동을 방지하는 잠금요홈(18)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잠금요홈(18)은 수직벽면(11)을 움푹 들어가게 하여 상측에 형성되는 단턱에 잠금돌기(16)가 걸려 지지되게 하는 파인홈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잠금돌 기(16)가 끼워져 결합하는 구멍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슬라이드부재(14)의 상면에는 손가락으로 밀때 마찰력을 주기 위하여 작은 돌기들의 집합체나 또는 별도의 고무재로 되는 마찰접촉부(19)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잠금수단(13)의 일 구성 요소인 슬라이드부재(14)의 또다른 계합 상태를 보여주는 실시예로서, 회동날개(6)에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따라 가이드장공(20)을 형성하고, 그 가이드장공(20)에 끼워져 탄성에 의해 벌어져 빠지지 않도록 걸림되는 가이드돌기(21)를 슬라이드부재(14) 저면에 돌출시켜 슬라이드부재(14)를 손가락으로 밀면 가이드돌기(21)가 가이드장공(20)의 안내를 따라 구멍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22는 배출구멍(9)을 통해 음료를 따를 때 음료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용기본체(2)내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외부공기도입공이며, 부호 23은 외부공기도입공(22)을 개폐하는 돌기로서, 복잡함을 피하고자 편의상 평면도인 도 5에만 나타내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용기뚜껑의 잠금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커피 등의 뜨거운 음료를 용기(1)에 담고자 하면 용기본체(2)에 나사(5) 체결에 의해 장착된 뚜껑(3)을 체결해제 방향으로 몇 바퀴 돌린 후 잡아 빼면 뚜껑(3)이 분리된다.
이상태에서 음료를 용기본체(2)에 넣고 뚜껑(3)을 장착한 다음 마개부(8)가 배출구멍(9)에 완전히 끼워지도록 회동날개(6)를 내리 누르게 되며, 마개부(8)가 배출구멍(9)을 차단하게 되면 내용물은 밀봉되어 쏟아지지 않게 된다.
다음에 이 상태에서 회동날개(6) 상면의 슬라이드부재(14) 위의 마찰접촉부(19)에 엄지손가락을 대고 관통구멍(17)쪽을 향해 밀면 슬라이부재(14)가 이동하게 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14)의 선단이 수직절곡부(10)에 접할 때 까지 끝까지 밀면 잠금돌기(16)가 수직절곡부(10)의 관통구멍(17)을 통과하여 잠금요홈(18)에 진입하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잠금돌기(16)가 잠금요홈(18)내에 위치하게 되면 뚜껑(3)의 외주로 돌출된 상태의 손잡이부(12)를 상측으로 들어올리게 되더라도 잠금돌기(11)가 잠금요홈(18)에 의해 걸려 지지되므로써 회동날개(6)의 회동이 방지되어 내용물의 안전한 보관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와같은 상태로 용기(1)를 보관하다가 음료를 마시고자 할 때에는 슬라이드부재(14)를 잠금 해제 방향으로 밀게 되며, 슬라이드부재(14)가 후퇴하여 잠금돌기(16)가 잠금요홈(18)에서 벗어났슴이 확인되면, 손잡이부(12)를 상측으로 밀어올리게 되며, 이때의 미는 힘에 의해 회동날개(6)가 힌지핀(7)을 중심으로 회동(도시 상태에서는 시계 방향 회동)하게 되고 이에따라 마개부(8)가 배출구멍(9)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회동날개(6)가 완전히 젖혀져 우측으로 넘어가게 되면 배출구멍(9)이 완전히 노출되며, 이와 같은 개방 상태에서 용기(1)를 컵을 향해 기울이면 배출구멍(9)을 통해 내부의 음료가 컵으로 배출되어 음료를 마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료 용기의 정단면도로서, 잠금수단이 작동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음료 용기의 정단면도서로 잠금수단이 잠금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음료 용기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음료 용기의 뚜껑에 있어, 회동 날개를 열어 젖힌 상태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회동날개와 슬라이드 부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
도 7은 종래의 음료 용기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음료용기 2 : 용기본체
3 : 뚜껑 4 : 공간
5 : 나사 6 : 회동날개
7 : 힌지핀 8 : 마개부
9 : 배출구멍 10 : 수직절곡부
11 : 수직벽면 12 : 손잡이부
13 : 잠금수단 14 : 슬라이드부재
15 : 요철 16 : 잠금돌기
17 : 관통구멍 18 : 잠금요홈
19 : 마찰접촉부 20 : 가이드장공
21 : 가이드돌기 22 : 외부공기도입공
23 : 돌기

Claims (5)

  1. 커피 등의 음료를 보관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뚜껑과;
    상기 뚜껑에 힌지핀 구조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 되는 회동 날개와;
    상기 회동 날개의 직하부 위치의 뚜껑에 상기 용기 본체에 보관된 음료를 배출하도록 형성된 배출구멍과;
    상기 배출 구멍에 끼워져 용기본체내를 밀봉하거나 또는 벗겨져 개방되도록 상기 회동날개의 저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마개부와;
    상기 회동날개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뚜껑의 외주로 돌출하도록 연장하는 손잡이부와;
    상기 배출구멍과 이웃해서 상기 뚜껑에 형성되는 외부 공기 도입공과;
    상기 외부 공기 도입공을 개폐하도록 상기 회동날개 저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료 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외곽을 형성하도록 수직에 가깝게 상측을 향해 돌출되는 수직벽면과;
    상기 회동날개의 상부면에 상기 수직벽면을 향해 수평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회동날개를 상기 수직 벽면에 대해 잠금하거나 또는 잠금 해제하는 잠금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수직벽면 방향으로 수평 이동이 가능하게 상기 회동날개에 장착되는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선단에 돌출된 잠금돌기와;
    상기 회동날개의 상기 수직 벽면에 접하도록 연장된 수직 절곡부에 상기 잠금돌기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형성된 관통구멍과;
    상기 슬라이드부재가 잠금을 위해 슬라이드 될 때 상기 관통구멍을 통과하게 되는 상기 잠금돌기의 선단을 구속하여 상기 회동날개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수직 벽면에 형성되는 잠금요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안전 보관이 가능한 음료 용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양쪽 측면은 상기 회동날개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요철 계합 구조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안전 보관이 가능한 음료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회동날개에 가이드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저면으로 상기 가이드 장공의 안내를 따라 이동이 허용되는 가이드 돌기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안전 보관이 가능한 음료 용기.
  5. 제 1 항 또는 제 3 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상부 표면에 손가락으로 미는 힘에 대해 마찰력을 부여하기 위한 마찰 접촉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안전 보관이 가능한 음료 용기.
KR1020070123464A 2007-11-30 2007-11-30 내용물의 안전 보관이 가능한 음료 용기 KR100933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464A KR100933665B1 (ko) 2007-11-30 2007-11-30 내용물의 안전 보관이 가능한 음료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464A KR100933665B1 (ko) 2007-11-30 2007-11-30 내용물의 안전 보관이 가능한 음료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351A KR20090056351A (ko) 2009-06-03
KR100933665B1 true KR100933665B1 (ko) 2009-12-23

Family

ID=40987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3464A KR100933665B1 (ko) 2007-11-30 2007-11-30 내용물의 안전 보관이 가능한 음료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36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9206A (ko) * 2014-03-19 2015-10-01 주식회사 한주 물통 뚜껑
WO2022265267A1 (ko) * 2021-06-16 2022-12-22 박서주 오염이 방지되는 텀블러뚜껑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5842U (ko) * 1986-01-14 1987-07-23
KR200315101Y1 (ko) * 2003-01-29 2003-06-02 문기원 컵 뚜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5842U (ko) * 1986-01-14 1987-07-23
KR200315101Y1 (ko) * 2003-01-29 2003-06-02 문기원 컵 뚜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9206A (ko) * 2014-03-19 2015-10-01 주식회사 한주 물통 뚜껑
KR101627688B1 (ko) * 2014-03-19 2016-06-07 주식회사 한주 물통 뚜껑
WO2022265267A1 (ko) * 2021-06-16 2022-12-22 박서주 오염이 방지되는 텀블러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351A (ko) 200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9620B2 (en) Lid assembly for a container
US20170253396A1 (en) Dual drink mode lid assembly for a container
KR200476831Y1 (ko) 텀블러
JP2005193944A (ja) 飲料用容器の栓体
JP6027647B1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JP4482944B2 (ja) 蓋付き飲料用容器
US9936830B2 (en) Sealing pitcher assembly
RU2007136053A (ru) Крышка для питья для емкости
KR100933665B1 (ko) 내용물의 안전 보관이 가능한 음료 용기
JP2017007742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JP5016459B2 (ja) 冷水筒
KR200473995Y1 (ko) 개폐 조절손잡이를 구비한 텀블러용 뚜껑
EP2966001B1 (en) Container cover with pour spout and spoon
JP7090489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KR101229152B1 (ko) 밀폐수단을 구비한 음료용기 뚜껑
JP3075175B2 (ja) 液体容器
JP5306441B2 (ja) 飲料ボトル
JP5451297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6754189B2 (ja) 飲料容器の蓋体ロック構造
JP6466387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JP3001850U (ja) 飲料用容器の蓋
KR20050109017A (ko)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 뚜껑
JP2013121848A (ja) 飲料容器
KR200454700Y1 (ko) 원터치 손잡이와 회전 개폐구 어셈블리를 가지는 알루미늄 캔
KR200443478Y1 (ko) 이중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