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831Y1 - 텀블러 - Google Patents

텀블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831Y1
KR200476831Y1 KR20140004025U KR20140004025U KR200476831Y1 KR 200476831 Y1 KR200476831 Y1 KR 200476831Y1 KR 20140004025 U KR20140004025 U KR 20140004025U KR 20140004025 U KR20140004025 U KR 20140004025U KR 200476831 Y1 KR200476831 Y1 KR 2004768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utton
hinge
spring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040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찬
Original Assignee
박승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찬 filed Critical 박승찬
Priority to KR201400040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8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8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8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한 손으로 덮개를 여닫을 수 있고, 더불어 잠금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고, 외부의 충격이나 사용자의 실수로 버튼을 눌러 덮개가 개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용기(100)의 외부면에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버튼(10)을 작동시켜 밀폐뚜껑(300)의 잠금을 해제시키고 개방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게 음료를 섭취할 수 있는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밀폐뚜껑(300)을 덮개(200)에 덮는 동시에 잠금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재차 잠금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텀블러(1)는 밀폐뚜껑(300)의 후방에 힌지(3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휴대가 편리하고, 휴대 중에 이물질로 인해 걸리는 현상이 없으며, 텀블러(1)를 안전하게 보관 및 휴대할 수 있는 사용상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텀블러{A tumbler}
본 고안은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한 손으로 덮개를 여닫을 수 있고, 더불어 잠금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고, 외부의 충격이나 사용자의 실수로 버튼을 눌러 덮개가 개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텀블러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텀블러는 용기 내부에 물, 맥주, 주스, 커피 등(이하 '음료'라고 한다)을 담아 휴대하면서 음료를 마시는 용도로 사용되며, 외부면 일측에 굽과 손잡이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텀블러의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4-0000463와 같이 하부에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용기와 용기의 상부에 음료가 이동 또는 마시는 중에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용기를 밀폐시킬 수 있는 덮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덮개가 외부로 노출될 시 덮개 주변에 먼지와 이물질이 묻어 위생상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대한민국 공개디자인공보 30-2013-0000454와 같이 덮개의 상부에 형성된 입술을 대고 음료를 마실 수 있는 토출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여닫을 수 있는 밀폐뚜껑이 구성된다.
상기 밀폐뚜껑은 후방에 덮개와 축이 설치되도록 힌지가 외부로 돌출되게 구성되며, 전방에 밀폐뚜껑과 덮개를 잠금 또는 여닫을 수 있게 제어할 수 있도록 버튼이 구성되고, 이 버튼의 일측에는 버튼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잠금장치가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텀블러는 음료를 마시기 위해 밀폐뚜껑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버튼이 작동될 수 있도록 해제시킨 후에 버튼의 하단을 눌러주면, 밀폐뚜껑이 힌지의 축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회동하면서 개방되어 음료를 섭취할 수 있으므로 개방하는 과정이 복잡하여 작동에 불편한 점이 있으며, 사용자의 실수로 잠금장치를 개방하지 않고 버튼을 눌러 버튼이 파손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텀블러의 힌지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 중 외부의 이물질에 걸리는 현상으로 텀블러가 떨어져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옷 등에 걸려 옷이 훼손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등 다수의 문제점이 있었다.
KR 20-2014-0000463 U 2014.01.22. KR 30-2013-0000454 S 2013.04.25.
이에 본 고안자는 상기한 종래 텀블러의 문제점을 해소코자 연구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한 손으로 버튼을 작동시켜 밀폐뚜껑을 잠금 또는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하고, 밀폐뚜껑의 후방에 형성된 힌지를 외부로 노출하지 않고 힌지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텀블러를 제공함에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고안에서는 음료를 담을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에 음료가 배출되는 음료배출공 및 용기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는 공기유입공이 구성된 토출구를 형성하고, 전방에 걸림턱을 형성한 덮개와; 상기 덮개의 후방 중앙에 형성되며, 중앙에 축핀이 삽입되는 힌지내입공을 형성하고, 양측에는 탄지스프링의 중앙에 형성된 걸이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스프링삽입홈을 형성한 힌지와; 상기 덮개의 상부 전방에 내부로 함몰되게 형성한 잠금홈과; 상기 힌지와 축 설치되며, 후방 양측에 축핀이 삽입되는 삽입공을 형성하고, 후방 중앙에 힌지를 내입 설치할 수 있도록 개구된 힌지삽입공간을 형성하며, 후방 내면에 탄지스프링의 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스프링안치홈을 형성하고, 내부 상면에 음료배출공 및 공기유입공을 막을 수 있는 마개를 구성한 밀폐덮개와; 상기 밀폐덮개의 전방에 형성되며, 양측에 축공을 형성하고, 상부에 경사면을 형성한 작동공간과; 상기 작동공간의 축공에 축 설치되도록 양측에 회동축을 형성하고, 상부에 접촉경사면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걸림턱에 걸림되도록 걸림훅을 형성하며, 후방에 누름스프링을 설치 구성한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의 전방에 형성되며, 전방 일측에 삽입홈을 형성하고, 후방 일측에 내입 구성된 버튼이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홈을 형성한 슬라이드공과; '∩'형상으로 절곡하여 삽입홈에 설치되며, 단부에 돌출부를 형성한 가압스프링과; 상기 버튼의 후면 양측에 형성되며, 외면에 가이드턱을 형성하며, 내면에 가압스프링의 돌출부가 삽입되어 버튼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걸림홈을 수개 형성하고, 하부에는 잠금홈에 삽입되도록 스토퍼를 형성한 가이드돌기;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덮개의 상부 전방에 상부로 돌출되게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가이드돌기의 하부에 형성된 스토퍼를 걸림돌기에 걸림되도록 형성한다.
본 고안에서 텀블러는 용기의 외부면에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버튼을 작동시켜 밀폐뚜껑이 작동될 수 있도록 잠금을 해제시킬 수 있고, 이와 동시에 후방에 구성된 힌지로 밀폐뚜껑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회동시켜 개방하여 용기에 담겨 있는 음료를 마실 수 있고, 신속하게 밀폐뚜껑을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밀폐뚜껑을 덮개에 덮는 동시에 잠금 기능을 제공하므로 재차 잠금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텀블러는 밀폐뚜껑의 후방에 힌지를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휴대가 편리하고, 휴대 중에 이물질에 걸리는 현상이 없으며, 텀블러를 안전하게 보관 및 휴대할 수 있는 사용상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텀블러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텀블러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작동부재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텀블러의 일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텀블러의 일 실시예를 보인 배면도
도 6은 A-A선 단면도
도 7은 텀블러의 밀폐뚜껑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텀블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측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텀블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텀블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12는 버튼의 작동상태도
도 13a 내지 도 13d는 텀블러의 작동상태도
이하에서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텀블러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텀블러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작동부재의 분리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텀블러의 일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텀블러의 일 실시예를 보인 배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A-A선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텀블러의 밀폐뚜껑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음료를 담아 휴대하면서 필요에 따라 음료를 마실 수 있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하부에 음료를 담을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용기(100)와 용기(100) 상부에 용기(100)를 밀폐시킬 수 있는 덮개(200)로 구성된다.
상기 용기(100)는 냉온 음료를 보관하여 보온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외부면을 2중 구조로 형성된 것이 대부분이며, 내부에 음료를 담을 수 있도록 내부공간(110)이 형성되고, 내부 상부에 덮개와 체결되어 밀폐시킬 수 있도록 암나사부(120)를 형성한다.
상기 덮개(200)는 외부면에 용기(100)의 암나사부(120)와 체결되도록 수나사부(210)를 형성하고, 상부에는 용기(100)에 저장된 음료가 배출되어 마실 수 있도록 토출구(220)를 형성하며, 전방에 버튼(10)이 걸림 구성될 수 있도록 걸림턱(230)을 형성하고, 후방 중앙에 밀폐덮개(300)가 축 설치될 수 있도록 힌지(30)를 형성하며, 상부 전방에 버튼(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로 함몰된 잠금홈(40)을 형성하고, 하부에 덮개(200)와 용기(100)를 결합한 후 용기(100)에 저장된 음료가 용기(100) 덮개(200)와 용기(100) 사이로 흐르거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밀폐시키는 패킹(240)이 구성되며, 후방에 밀폐덮개(300)가 개방될 시 멈출 수 있도록 완충턱(250)을 형성한다.
상기 힌지(30)는 밀폐덮개(30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밀폐덮개(3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며, 중앙에 축핀(33)이 삽입될 수 있도록 좌·우로 관통된 힌지내입공(31)을 형성하고, 양측에 탄지스프링(34)을 삽입 고정할 수 있도록 스프링삽입홈(32)를 형성한다.
상기 탄지스프링(34)의 중앙에는 스프링삽입홈(32)에 내입 결합될 수 있도록 '∪'형상의 걸이부(34a)를 형성한다.
상기 토출구(220)는 내부 중앙에 음료가 배출될 수 있는 음료배출공(221)이 형성되고, 내부 후방에는 음료가 배출되는 중 용기의 내부가 일시적 진공상태가 되어 음료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는 공기유입공(222)이 형성된다.
상기 밀폐덮개(300)는 후방 양측에 축핀(33)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310)을 형성하고, 후방 중앙에 힌지(30)를 내입 설치할 수 있도록 개구된 힌지삽입공간(320)을 형성하며, 후방 내면에 탄지스프링(34)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스프링안치홈(330)을 형성하고, 전방에 버튼(10)을 설치할 수 있는 작동공간(340)을 형성하며, 내부 상면에 음료배출공(221)과 공기유입공(222)을 막을 수 있는 마개(350)를 구성한다.
상기 작동공간(340)은 양측에 작동부재(20)가 축 설치될 수 있도록 축공(341)을 형성하고, 상부에 작동부재(20)의 상단이 걸림되어 외부로 이탈됨을 방지하고 작동부재(2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경사면(342)을 형성한다.
상기 작동부재(20)는 전방에 버튼(10)을 삽입할 수 있도록 전·후로 관통된 슬라이드공(21)을 형성하고, 하부에 덮개(200)의 걸림턱(230)에 걸림 구성될 수 있도록 걸림훅(22)을 형성하고, 후방에 누름스프링(27)이 설치될 수 있는 내입홈(28)을 형성하며, 양측에는 작동공간(340)의 축공(341)에 축 설치되어 작동부재(20)가 회동될 수 있도록 회동축(20a)을 형성하고, 상부에 밀폐덮개(300)의 경사면(342)과 면 접촉되어 작동부재(20)가 외부로 이탈됨을 방지하고 작동부재(20)의 회전 각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접촉경사면(20b)을 형성한다.
상기 슬라이드공(21)은 일측에 가압스프링(25)을 내입 설치할 수 있는 삽입홈(23)을 형성하고, 후방 일측에 내입된 버튼(10)이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홈(24)을 형성한다.
상기 가압스프링(25)은 버튼(10)이 상·하로 이동될 시 가압되도록 '∩'형상으로 절곡되게 형성하고, 단부에 버튼(1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아치 형상으로 절곡된 돌출부(26)를 형성한다.
상기 버튼(10)은 전면에 손가락으로 버튼(10)을 작동시킬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내부로 함몰된 안치홈(11)을 형성하고, 후면 양측에는 작동부재(20)의 슬라이드공(21)에 삽입 구성되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돌기(12)를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돌기(12)는 외면에 이탈방지홈(24)에 걸림 구성되어 이탈을 방지하고 버튼(10)이 상·하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턱(14)을 형성하며, 내면에 가압스프링(25)의 돌출부(26)가 삽입되어 버튼(1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걸림홈(13)을 수개 형성하고, 상기 이탈방지홈(24)에 걸림되어 이탈을 방지하고 버튼(10)이 상·하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턱(14)을 형성하며, 하부에 잠금홈(40)에 삽입되어 버튼(10)이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토퍼(15)를 형성한다.
상기 회동축(20a)의 하부 양측에는 버튼(10)의 스토퍼(15)가 상·하로 이동될 시 스토퍼(15)가 외부로 이탈됨을 방지하고 버튼(10)이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이탈방지공(29)을 형성하면, 본 고안은 완성된다.
도 8과 도 9는 텀블러(1)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 덮개(200)의 상부 전방에 상부로 돌출된 걸림돌기(50)를 형성하여 버튼(10)의 스토퍼(15)가 걸림되고 버튼(10)을 외부에서 누를 경우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완성된다.
도 10과 도 11은 텀블러(1)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슬라이드공(21) 사이에 가압스프링(25)을 내입 설치할 수 있는 삽입홈(23)을 형성한다.
상기 가압스프링(25)은 버튼(10)이 상·하로 이동될 시 가압되도록 '∩'형상으로 절곡되게 형성하고, 양단부에 버튼(1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아치 형상으로 절곡된 돌출부(26)을 형성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는 완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텀블러(1)는 각종 음료를 용기(100)의 내부공간(110)에 보관하여 휴대하면서 음료를 섭취하는 것으로서, 이하에서 작동순서를 설명한다.
텀블러(1)의 용기(100) 내부공간(110)에 각종 음료를 넣은 상태에서 용기(100)의 상부에 밀폐덮개(300)와 힌지(30)로 축 설치된 덮개(200)를 결합하고, 텀블러(1)를 휴대 중 용기에 들어 있는 음료를 섭취하기 위해서는 도 12과 같이 버튼(10)에 손가락을 놓은 상태에서 상부로 상승시키면, 버튼(10)의 가이드돌기(12)가 작동부재(20)의 슬라이드공(21)에 따라 상승하고, 가압스프링(25)은 단부에 형성된 돌출부(26)가 버튼(10)의 걸림홈(13)에서 이탈되어 내부로 압착된 상태로 탄력 지지되고, 이와 동시에 버튼(10)의 스토퍼(15)가 덮개(200)의 잠금홈(40)에서 인출되어 작동부재(20)가 자유회동 가능한 상태가 되며, 도 13a 내지 도 13d와 같이 버튼(10)을 작동부재(20)의 슬라이드공(21)의 상부까지 이동시키면, 가압스프링(25)의 돌출부(26)는 가이드돌기(12)의 측면 하부에 형성된 걸림홈(13)에 가압스프링(25)의 탄성으로 삽입되어 버튼(10)이 하부로 이동되지 않고 고정 구성되며, 버튼(10)을 작동공간(340)의 내부로 누르면, 작동공간(340)의 축공(341)에 축 설치된 작동부재(20)가 작동공간(340)의 내부로 회동되며, 이와 동시에 작동부재(20)의 누름스프링(27)이 압착되어 탄력 지지되고, 덮개(200)의 걸림턱(230)에 걸림 구성된 작동부재(20)의 걸림훅(22)이 걸림턱(230)에서 이탈하게 되며, 버튼(10)에서 손가락을 놓으면, 누름스프링(27)에 의해 작동부재(20)는 작동공간(340)의 외부 쪽으로 회동되고, 밀폐덮개(300)의 경사면(342)에 작동부재(20)의 상단에 형성된 접촉경사면(20b)이 걸려 더 이상 회동되지 않고 고정 구성되며, 밀폐덮개(300)는 힌지(30)의 탄지스프링(34)에 의해 전방에서 후방으로 회동되어 열리게 되는 것이다.
텀블러(1)의 덮개(200)에서 열린 밀폐덮개(300)를 덮을 경우에는 밀폐덮개(300)를 후방에서 전방으로 회동시켜 덮개(200)의 걸림턱(230)에 작동부재(20)의 걸림훅(22)을 걸림되게 삽입 구성하면, 밀폐덮개(300)는 이탈되지 않고 덮개(200)에 덮은 상태로 유지되고, 버튼(10)을 잡고 아래로 하강시키면, 버튼(10)의 스토퍼(15)가 덮개(200)의 잠금홈(40)에 삽입되어 버튼(10)을 외부에서 누르거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 버튼(10)이 작동되지 않고 견고히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작동부재(20)에 이탈방지공(29)을 형성하여 버튼(10)을 상·하로 이동시킬 때 버튼(10)의 스토퍼(15)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원활하게 작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텀블러(1)는 한 손으로 버튼(10)을 작동시켜 잠금 또는 해제시킬 수 있고, 신속하게 밀폐덮개(300)를 여닫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
그리고 밀폐뚜껑(300)의 후방 내부에 힌지(30)를 내입 구성할 수 있는 힌지삽입공간(320)을 구성하여 힌지(30)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휴대 중에 걸리는 현상이 없고 휴대하기 편리하며, 텀블러(1)의 힌지(30)에 걸려 발생되는 각종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사용상의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는바, 본 고안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정한 변형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이상의 명세서에 설명된 여러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와 관련되는 균등수단에 대해서는 그 보호범위가 미친다고 할 것이다.
1: 텀플러
10: 버튼 11: 안치홈
12: 가이드돌기 13: 걸림홈
14: 가이드턱 15: 스토퍼
20: 작동부재 20a: 회동축
20b: 접촉경사면 21: 슬라이드공
22: 걸림훅 23: 삽입홈
24: 이탈방지홈 25: 가압스프링
26: 돌출부 27: 누름스프링
28: 내입홈 29: 이탈방지공
30: 힌지 31: 힌지내입공
32: 스프링삽입홈 33: 축핀
34: 탄지스프링 34a: 걸이부
40: 잠금홈 50: 걸림돌기
200: 덮개 210: 수나사부
220: 토출구 221: 음료배출공
222: 공기유입공 230: 걸림턱
240: 패킹 250: 완충턱
300: 밀폐덮개 310: 삽입공
320: 힌지삽입공간 330: 스프링안치홈
340: 작동공간 341: 축공
342: 경사면 350: 마개

Claims (5)

  1. 음료를 담을 수 있는 내부공간(110)이 형성된 용기(100)와;
    상기 용기(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에 음료가 배출되는 음료배출공(221) 및 용기(100)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는 공기유입공(222)이 구성된 토출구(220)를 형성하고, 전방에 걸림턱(230)을 형성한 덮개(200)와;
    상기 덮개(200)의 후방 중앙에 형성되며, 중앙에 축핀(33)이 삽입되는 힌지내입공(31)을 형성하고, 양측에는 탄지스프링(34)의 중앙에 형성된 걸이부(34a)가 삽입 고정되도록 스프링삽입홈(32)을 형성한 힌지(30)와;
    상기 덮개(200)의 상부 전방에 내부로 함몰되게 형성한 잠금홈(40)과;
    상기 힌지(30)와 축 설치되며, 후방 양측에 축핀(33)이 삽입되는 삽입공(310)을 형성하고, 후방 중앙에 힌지(30)를 내입 설치할 수 있도록 개구된 힌지삽입공간(320)을 형성하며, 후방 내면에 탄지스프링(34)의 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스프링안치홈(330)을 형성하고, 내부 상면에 음료배출공(221) 및 공기유입공(222)을 막을 수 있는 마개(350)를 구성한 밀폐덮개(300)와;
    상기 밀폐덮개(300)의 전방에 형성되며, 양측에 축공(341)을 형성하고, 상부에 경사면(342)을 형성한 작동공간(340)과;
    상기 작동공간(340)의 축공(341)에 축 설치되도록 양측에 회동축(20a)을 형성하고, 상부에 접촉경사면(20b)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걸림턱(230)에 걸림되도록 걸림훅(22)을 형성하며, 후방에 누름스프링(27)을 설치 구성한 작동부재(20)와;
    상기 작동부재(20)의 전방에 형성되며, 전방 일측에 삽입홈(23)을 형성하고, 후방 일측에 내입 구성된 버튼(10)이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홈(24)을 형성한 슬라이드공(21)과;
    '∩'형상으로 절곡하여 삽입홈(23)에 설치되며, 단부에 돌출부(26)를 형성한 가압스프링(25)과;
    상기 버튼(10)의 후면 양측에 형성되며, 외면에 가이드턱(14)을 형성하며, 내면에 가압스프링(25)의 돌출부(26)가 삽입되어 버튼(1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걸림홈(13)을 수개 형성하고, 하부에는 잠금홈(40)에 삽입되도록 스토퍼(15)를 형성한 가이드돌기(12);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2. 음료를 담을 수 있는 내부공간(110)이 형성된 용기(100)와;
    상기 용기(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에 음료가 배출되는 음료배출공(221) 및 용기(100)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는 공기유입공(222)이 구성된 토출구(220)를 형성하고, 전방에 걸림턱(230)을 형성한 덮개(200)와;
    상기 덮개(200)의 후방 중앙에 형성되며, 중앙에 축핀(33)이 삽입되는 힌지내입공(31)을 형성하고, 양측에는 탄지스프링(34)의 중앙에 형성된 걸이부(34a)가 삽입 고정되도록 스프링삽입홈(32)을 형성한 힌지(30)와;
    상기 덮개(200)의 상부 전방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한 걸림돌기(50)와;
    상기 힌지(30)와 축 설치되며, 후방 양측에 축핀(33)이 삽입되는 삽입공(310)을 형성하고, 후방 중앙에 힌지(30)를 내입 설치할 수 있도록 개구된 힌지삽입공간(320)을 형성하며, 후방 내면에 탄지스프링(34)의 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스프링안치홈(330)을 형성하고, 내부 상면에 음료배출공(221) 및 공기유입공(222)을 막을 수 있는 마개(350)를 구성한 밀폐덮개(300)와;
    상기 밀폐덮개(300)의 전방에 형성되며, 양측에 축공(341)을 형성하고, 상부에 경사면(342)을 형성한 작동공간(340)과;
    상기 작동공간(340)의 축공(341)에 축 설치되도록 양측에 회동축(20a)을 형성하고, 상부에 접촉경사면(20b)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걸림턱(230)에 걸림되도록 걸림훅(22)을 형성하며, 후방에 누름스프링(27)을 설치 구성한 작동부재(20)와;
    상기 작동부재(20)의 전방에 형성되며, 전방 일측에 삽입홈(23)을 형성하고, 후방 일측에 내입 구성된 버튼(10)이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홈(24)을 형성한 슬라이드공(21)과;
    '∩'형상으로 절곡하여 삽입홈(23)에 설치되며, 단부에 돌출부(26)를 형성한 가압스프링(25)과;
    상기 버튼(10)의 후면 양측에 형성되며, 외면에 가이드턱(14)을 형성하며, 내면에 가압스프링(25)의 돌출부(26)가 삽입되어 버튼(1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걸림홈(13)을 수개 형성하고, 하부에는 걸림돌기(50)에 걸림되도록 스토퍼(15)를 형성한 가이드돌기(12);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3. 음료를 담을 수 있는 내부공간(110)이 형성된 용기(100)와;
    상기 용기(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에 음료가 배출되는 음료배출공(221) 및 용기(100)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는 공기유입공(222)이 구성된 토출구(220)를 형성하고, 전방에 걸림턱(230)을 형성한 덮개(200)와;
    상기 덮개(200)의 후방 중앙에 형성되며, 중앙에 축핀(33)이 삽입되는 힌지내입공(31)을 형성하고, 양측에는 탄지스프링(34)의 중앙에 형성된 걸이부(34a)가 삽입 고정되도록 스프링삽입홈(32)을 형성한 힌지(30)와;
    상기 덮개(200)의 상부 전방에 내부로 함몰되게 형성한 잠금홈(40)과;
    상기 힌지(30)와 축 설치되며, 후방 양측에 축핀(33)이 삽입되는 삽입공(310)을 형성하고, 후방 중앙에 힌지(30)를 내입 설치할 수 있도록 개구된 힌지삽입공간(320)을 형성하며, 후방 내면에 탄지스프링(34)의 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스프링안치홈(330)을 형성하고, 내부 상면에 음료배출공(221) 및 공기유입공(222)을 막을 수 있는 마개(350)를 구성한 밀폐덮개(300)와;
    상기 밀폐덮개(300)의 전방에 형성되며, 양측에 축공(341)을 형성하고, 상부에 경사면(342)을 형성한 작동공간(340)과;
    상기 작동공간(340)의 축공(341)에 축 설치되도록 양측에 회동축(20a)을 형성하고, 상부에 접촉경사면(20b)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걸림턱(230)에 걸림되도록 걸림훅(22)을 형성하며, 후방에 누름스프링(27)을 설치 구성한 작동부재(20)와;
    상기 작동부재(20)의 전방에 형성되며, 후방 일측에 내입 구성된 버튼(10)이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홈(24)을 형성한 슬라이드공(21)과;
    상기 슬라이드공(21) 사이에 형성된 삽입홈(23)과;
    '∩'형상으로 절곡하여 삽입홈(23)에 설치되며, 양단부에 돌출부(26)를 형성한 가압스프링(25)과;
    상기 버튼(10)의 후면 양측에 형성되며, 외면에 가이드턱(14)을 형성하며, 내면에 가압스프링(25)의 돌출부(26)가 삽입되어 버튼(1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걸림홈(13)을 수개 형성하고, 하부에는 잠금홈(40)에 삽입되도록 스토퍼(15)를 형성한 가이드돌기(12);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10)의 전면에는 내부로 함몰된 안치홈(11)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20a)의 하부 양측에는 스토퍼(15)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공(29)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KR20140004025U 2014-05-26 2014-05-26 텀블러 KR2004768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4025U KR200476831Y1 (ko) 2014-05-26 2014-05-26 텀블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4025U KR200476831Y1 (ko) 2014-05-26 2014-05-26 텀블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831Y1 true KR200476831Y1 (ko) 2015-04-08

Family

ID=53034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4025U KR200476831Y1 (ko) 2014-05-26 2014-05-26 텀블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831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170U (ko) 2015-07-03 2017-01-11 최영덕 텀블러
JP2017165424A (ja) * 2016-03-14 2017-09-21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飲料用容器の栓体
CN107863495A (zh) * 2016-09-21 2018-03-30 株式会社东芝 电极结构体、二次电池、电池包及车辆
CN108742044A (zh) * 2018-08-31 2018-11-06 美诗刻(昆山)家居用品有限公司 保温杯的可拆卸引水口结构
CN108968589A (zh) * 2018-08-31 2018-12-11 美诗刻(昆山)家居用品有限公司 保温杯的杯盖弹起缓冲限位结构
JP2019529048A (ja) * 2016-09-28 2019-10-17 パフューム クリスチャン ディオール 固体、液体またはペースト状製品を収容することができるポット
KR102254541B1 (ko) * 2020-01-23 2021-05-20 최염 물병 뚜껑
KR102444634B1 (ko) * 2022-05-03 2022-09-19 주식회사 한주글로벌 물병 뚜껑
KR20220167607A (ko) * 2021-06-14 2022-12-21 (주) 성림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8729A (ja) 2004-12-08 2006-06-22 Tiger Vacuum Bottle Co Ltd 片開きボトル
KR20090047212A (ko) * 2007-11-07 2009-05-12 문기원 잠금 수단을 갖는 음료용기뚜껑
JP2012050877A (ja) 2011-12-01 2012-03-15 Tiger Vacuum Bottle Co Ltd 片開きボトル
JP5375266B2 (ja) * 2009-03-31 2013-12-25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ボトルの蓋ロック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8729A (ja) 2004-12-08 2006-06-22 Tiger Vacuum Bottle Co Ltd 片開きボトル
KR20090047212A (ko) * 2007-11-07 2009-05-12 문기원 잠금 수단을 갖는 음료용기뚜껑
JP5375266B2 (ja) * 2009-03-31 2013-12-25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ボトルの蓋ロック構造
JP2012050877A (ja) 2011-12-01 2012-03-15 Tiger Vacuum Bottle Co Ltd 片開きボトル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170U (ko) 2015-07-03 2017-01-11 최영덕 텀블러
JP2017165424A (ja) * 2016-03-14 2017-09-21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飲料用容器の栓体
CN107863495A (zh) * 2016-09-21 2018-03-30 株式会社东芝 电极结构体、二次电池、电池包及车辆
JP2019529048A (ja) * 2016-09-28 2019-10-17 パフューム クリスチャン ディオール 固体、液体またはペースト状製品を収容することができるポット
JP7066722B2 (ja) 2016-09-28 2022-05-13 パフューム クリスチャン ディオール 固体、液体またはペースト状製品を収容することができるポット
CN108742044B (zh) * 2018-08-31 2023-11-28 美诗刻(昆山)家居用品有限公司 保温杯的可拆卸引水口结构
CN108742044A (zh) * 2018-08-31 2018-11-06 美诗刻(昆山)家居用品有限公司 保温杯的可拆卸引水口结构
CN108968589A (zh) * 2018-08-31 2018-12-11 美诗刻(昆山)家居用品有限公司 保温杯的杯盖弹起缓冲限位结构
CN108968589B (zh) * 2018-08-31 2023-11-28 美诗刻(昆山)家居用品有限公司 保温杯的杯盖弹起缓冲限位结构
KR102254541B1 (ko) * 2020-01-23 2021-05-20 최염 물병 뚜껑
KR20220167607A (ko) * 2021-06-14 2022-12-21 (주) 성림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
KR102623823B1 (ko) * 2021-06-14 2024-01-11 (주) 성림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
KR102444634B1 (ko) * 2022-05-03 2022-09-19 주식회사 한주글로벌 물병 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6831Y1 (ko) 텀블러
CN107150854B (zh) 用于容器的盖子组合件
EP3009053B1 (en) Lid assembly and drinking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JP5354063B1 (ja) 飲料容器の栓体
JP7168316B2 (ja) バイオネット圧力調理器および移動錠
JP6027647B1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JP2005193944A (ja) 飲料用容器の栓体
CN105996669B (zh) 保温杯
JP7104459B2 (ja) 連結可能なボウルと蓋ハンドルを備えたバイオネット圧力調理器
JP4449725B2 (ja) 片開きボトル
JP6509783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JP5429778B2 (ja) 蓋付き注出栓
US10612686B2 (en) Safety faucet for hot water
JP7090489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TWM455698U (zh) 飲料容器密封蓋
KR20140036578A (ko) 저장용기
JP6282070B2 (ja) 冷水筒
KR100933665B1 (ko) 내용물의 안전 보관이 가능한 음료 용기
JP5170399B2 (ja) 携帯用液体容器
TWM452926U (zh) 飲料容器密封蓋
JP6466387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JP4697675B2 (ja) 飲料容器の栓体
JP6279278B2 (ja) 蓋部材及び容器
CN214317846U (zh) 开盖保护结构及搅拌装置
KR101725604B1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