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3823B1 -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3823B1
KR102623823B1 KR1020210076782A KR20210076782A KR102623823B1 KR 102623823 B1 KR102623823 B1 KR 102623823B1 KR 1020210076782 A KR1020210076782 A KR 1020210076782A KR 20210076782 A KR20210076782 A KR 20210076782A KR 102623823 B1 KR102623823 B1 KR 102623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water bottle
pets
wat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6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7607A (ko
Inventor
옥종수
Original Assignee
(주) 성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성림 filed Critical (주) 성림
Priority to KR1020210076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823B1/ko
Publication of KR20220167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7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8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05Drinking bowls with anti-splash or anti-spilling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A01K7/025Water tan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동물과 외출시 음료 특히 물을 애완동물에게 급수할 수 있는 급수기에 관한 것으로, 물통의 호환성이 가능하도록 하며 물통 선단부에 결합된 캡에 구비된 토출공과 음료수용부간의 간격을 최대화하여 음료수납커버체에 음료가 가득채워졌다고 하더라도 토출공에 도달치 아니하도록 함으로서 토출된 음료가 물병으로 역류되지 아니함으로서 위생적인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물병(10)과 상기 물병(1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 외주면에 결합되며 일측 끝단에는 회동방지돌출부(200)가 구비된 캡(20)과 상부는 상기 캡(20)을 커버하는 형상으로 상기 캡(20)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캡(20)의 타측은 상기 물병(10) 외주면 소정의 길이만큼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음료 수용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음료 수용부(30)는,
상면에는 상기 캡(20)을 감싸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저면 중앙에는 마개(301)가 구비되어 있고 저면 양측에는 회동방지돌기(302)가 구비되어 있으며 외주 일측에는 걸림부재(303)가 구비된 커버체(300); 상기 커버체(300) 하부에는 일측 양단에 연장된 상태로 각각 소정의 위치에 회동공(311)이 천공된 회동연장판재(310);상기 커버체(300)의 타측은 상기 물병(10) 외주면 소정의 길이만큼 감싸는 내주면이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음료 수납 커버체(320);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와,
상기 물병(10)의 개구부 외주면 하측 소정의 위치에는 외주면에 걸림리브(10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와,
상기 캡(20)은, 중앙에 토출공(211)이 천공되어 있고 일측 양단에는 결합홈부(212)가 구비된 본체(210); 상기 결합홈부(212) 끝단과 일체로 연결 형성된 연장판재(220); 상기 연장판재(220) 사이에는 상기 음료 수용부(30)가 회동 가능하도록 축부(230)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축부(230) 양단은 상기 연장판재(220)를 관통한 돌기(2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부(230)의 중앙에는 후방측으로 상기 회동방지돌출부(200)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와,
상기 회동방지돌출부(200) 중앙에는 관통공(201)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와,
상기 물병(10)의 외주면은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물병(10)에 일치토록 상기 음료 수납 커버체(320)의 내주면은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와,
상기 걸림부재(303)는 중앙에 홈부(30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애완동물과 외출시 편리하고 간편하게 휴대 가능하며 애완동물에게 용이하게 수시로 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물통의 호환성이 가능하도록 하여 어떠한 물통이라도 사용이 가능하여 장기간 사용에 따른 물통의 교체시 저렴한 비용 또는 종래에 갖고 있는 일반 물통에 적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이며 및 실용적이며, 물통 선단부에 결합된 캡에 구비된 토출공과 음료수용부간의 간격을 최대화하여 음료수납커버체에 음료가 가득채워졌다고 하더라도 토출공에 도달치 아니하도록 함으로서 토출된 음료가 물병으로 역류되지 아니함으로서 위생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이다.

Description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portable drink dispenser for pets}
본 발명은 애완동물과 외출시 음료 특히 물을 애완동물에게 급수할 수 있는 급수기에 관한 것으로, 물통의 호환성이 가능하도록 하며 물통 선단부에 결합된 캡에 구비된 토출공과 음료수용부간의 간격을 최대화하여 음료수납커버체에 음료가 가득채워졌다고 하더라도 토출공에 도달치 아니하도록 함으로서 토출된 음료가 물병으로 역류되지 아니함으로서 위생적인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에 관한 것이다.
애완동물 혹은 반려동물을 기르는 인구가 늘어나면서 애완동물 용품은 하나의 중요한 제품 시장을 이루고 있다.
애완동물 용품 가운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들 중 하나는 애완동물 급수용 물통이다.
애완동물은 입 구조가 사람과 달라 물통의 물을 먹이려면 다시 입구가 넓은 용기에 물을 옮겨 담아 먹도록 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기존 애완동물용 물통중에는 물통 본체의 개방부를 막는 뚜껑의 입구를 사선 방향으로 넓게 형성하여 물을 먹기 쉽게 만든 것들이 있다.
한편, 애완동물이 물을 먹을 때 용기에 물을 주면 물은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외부 먼지, 세균 등에 의해 오염되기 쉽고, 먹는 과정에서 애완 동물의 타액과 함께 세균이 들어가 오염이 될 수도 있으며, 일단 오염이 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염의 영향은 더 커지게 된다.
또한, 물을 담은 용기에서 애완동물이 물을 먹거나 다른 활동을 하면서 용기를 건들이거나 쓰러뜨려 물을 바닥에 쏟는 경우도 많다.
이런 문제점 때문에 물통 뚜껑 부위에 물통을 거꾸로 기울이면 물이 흘러나올 수 있도록 튜브 혹은 파이프를 설치하고, 그 끝단에 급수용 니플(nipple)을 설치하여 동물이 혀로 니플을 위로 올리거나 건드리면 니플 틈새로 물이 흘러나와 물을 먹을 수 있도록 물통을 형성한 뒤, 물통 거치대에 뚜껑 부분이 아래를 향하도록 물통을 거치하는 급수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이때 사용되는 니플의 구체적 구조는 물통을 사용하는 동물의 종류에 따라, 키우는 동물 개체수나 주변 환경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사용되는 기본 구조는 대동소이한 형편이며 애완동물용은 아니고 가금 사육용이지만 그 급수용 니플의 한 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36829호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애완동물과 외출시에는 대부분이 물병에서 물을 사용자의 손바닥에 토출 담아서 애완동물에게 먹이는 재래식 방식과 최근에는 선행자료 특허등록 제10-2197206호 발명의 명칭 '애완동물용 물병'이 있으며 상기 선행자료를 살펴보면,
음료수용부가 플렉시블하게 되어 있고 물병의 선단부에 끼워서 뒤집어서 음료 등 물이 수납가능하도록 오목하게 형성하고 상기 물병의 토출구에 착탈가능하게 형성된 마개를 제거한 후 물병내에 수납된 음료 등 물을 토출하여 음료수용부에 수납하여 애완동물이 마실수 있도록 되어 있는 구조로서,
상기 선행자료는 물병과 플라스틱 커버라는 구조가 결합되어 있어 일반적인 물병에는 적용이 불가하여 물병의 장기간 사용에 따른 손상이나 폐기 상황시 선행자료 전체를 재구매하여야 하는 결론적으로 일반적인 물병과의 호환성이 없는 문제점과,
또 다른 문제점은 음료수용부에 음료 등 물이 수납시 플라스틱 커버의 토출구가 토출된 물에 접촉 또는 물에 잠기는 형태로 구성된 결과 토출된 물이 재차 토출구를 통해 역류하여 물병에 유입됨으로서 오염된 물이 물병 전체에 수용된 물을 오염시켜 결국 애완동물에게 해를 기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토출구 마개가 음료수용부를 갖는 음료용기용 커버와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서 애완동물에 물을 먹이기 위해서 음료용기용 커버를 뒤집고 그 이후에 도출구 마개를 제거하고 물 등을 토출하여야 하는 등 복잡성과 토출구 마개가 비록 플렉시블한 재질이지만 손상이 발생시 전체를 재 구매하여야 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 등이 있었다.
국내 특허등록 제10-0736829호 국내 특허등록 제10-219720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우선, 애완동물과 외출시 편리하고 간편하게 휴대 가능하며 애완동물에게 용이하게 수시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으며,
또한, 지나친 비용이나 복잡한 구성, 사용 가능 범위의 제한을 줄이고,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통해 애완동물에게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으며,
다음, 물통의 호환성이 가능하도록 하여 어떠한 물통이라도 사용이 가능하여 장기간 사용에 따른 물통의 교체시 저렴한 비용 또는 종래에 갖고 있는 일반 물통에 적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이며 및 실용적인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으며,
다음, 물통 선단부에 결합된 캡에 구비된 토출공과 음료수용부간의 간격을 최대화하여 음료수납커버체에 음료가 가득채워졌다고 하더라도 토출공에 도달치 아니하도록 함으로서 토출된 음료가 물병으로 역류되지 아니함으로서 위생적인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물병(10)과 상기 물병(1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 외주면에 결합되며 일측 끝단에는 회동방지돌출부(200)가 구비된 캡(20)과 상부는 상기 캡(20)을 커버하는 형상으로 상기 캡(20)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캡(20)의 타측은 상기 물병(10) 외주면 소정의 길이만큼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음료 수용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음료 수용부(30)는,
상면에는 상기 캡(20)을 감싸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저면 중앙에는 마개(301)가 구비되어 있고 저면 양측에는 회동방지돌기(302)가 구비되어 있으며 외주 일측에는 걸림부재(303)가 구비된 커버체(300); 상기 커버체(300) 하부에는 일측 양단에 연장된 상태로 각각 소정의 위치에 회동공(311)이 천공된 회동연장판재(310);상기 커버체(300)의 타측은 상기 물병(10) 외주면 소정의 길이만큼 감싸는 내주면이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음료 수납 커버체(320);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와,
상기 물병(10)의 개구부 외주면 하측 소정의 위치에는 외주면에 걸림리브(10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와,
상기 캡(20)은, 중앙에 토출공(211)이 천공되어 있고 일측 양단에는 결합홈부(212)가 구비된 본체(210); 상기 결합홈부(212) 끝단과 일체로 연결 형성된 연장판재(220); 상기 연장판재(220) 사이에는 상기 음료 수용부(30)가 회동 가능하도록 축부(230)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축부(230) 양단은 상기 연장판재(220)를 관통한 돌기(2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부(230)의 중앙에는 후방측으로 상기 회동방지돌출부(200)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와,
상기 회동방지돌출부(200) 중앙에는 관통공(201)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와,
삭제
상기 물병(10)의 외주면은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물병(10)에 일치토록 상기 음료 수납 커버체(320)의 내주면은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와,
상기 걸림부재(303)는 중앙에 홈부(30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서,
애완동물과 외출시 편리하고 간편하게 휴대 가능하며 애완동물에게 용이하게 수시로 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물통의 호환성이 가능하도록 하여 어떠한 물통이라도 사용이 가능하여 장기간 사용에 따른 물통의 교체시 저렴한 비용 또는 종래에 갖고 있는 일반 물통에 적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이며 및 실용적이며,
물통 선단부에 결합된 캡에 구비된 토출공과 음료수용부간의 간격을 최대화하여 음료수납커버체에 음료가 가득채워졌다고 하더라도 토출공에 도달치 아니하도록 함으로서 토출된 음료가 물병으로 역류되지 아니함으로서 위생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에서 음료수용부의 저면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의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에서 음료수용부를 개방한 상태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의 요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에서 음료수용부의 저면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에서 음료수용부를 개방한 상태의 측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지시부호 10은 물병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병(1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물병으로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통상의 물병을 지칭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병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병(10)의 개구부 외주면 하측 소정의 위치에는 외주면에 걸림리브(10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상기 걸림리브(100)을 구비한 이유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물병(10)은 통상의 구조를 갖는 물병(10)이 기본이지만 실시예로 걸림리브(100)는 걸림끈 등을 체결하여 휴대하기 편리하게 구비한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병(10)의 외주면은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물병(10)에 일치토록 상기 음료 수납 커버체(320)의 내주면은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지시부호 20은 캡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20)은 상기 물병(1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 외주면에 결합되며 일측 끝단에는 회동방지돌출부(200)가 구비된 구조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캡(20)은,
중앙에 토출공(211)이 천공되어 있고 일측 양단에는 결합홈부(212)가 구비된 본체(210)와 상기 결합홈부(212) 끝단과 일체로 연결 형성된 연장판재(220)와 상기 연장판재(220) 사이에는 상기 음료 수용부(30)가 회동 가능하도록 축부(230)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축부(230) 양단은 상기 연장판재(220)를 관통한 돌기(2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부(230)의 중앙에는 후방측으로 상기 회동방지돌출부(200)가 구비된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동방지돌출부(200) 중앙에는 관통공(201)이 천공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관통공(201)은 휴대가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걸이끈 등을 관통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지시부호 30은 음료 수용부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료 수용부(30)은 상부는 상기 캡(20)을 커버하는 형상으로 상기 캡(20)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캡(20)의 타측은 상기 물병(10) 외주면 소정의 길이만큼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상기 음료 수용부(30)는,
상면에는 상기 캡(20)을 감싸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저면 중앙에는 마개(301)가 구비되어 있고 저면 양측에는 회동방지돌기(302)가 구비되어 있으며 외주 일측에는 걸림부재(303)가 구비된 커버체(300)와 상기 커버체(300) 하부에는 일측 양단에 연장된 상태로 각각 소정의 위치에 회동공(311)이 천공된 회동연장판재(310)와 상기 커버체(300)의 타측은 상기 물병(10) 외주면 소정의 길이만큼 감싸는 내주면이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음료 수납 커버체(320)로 이루어진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부재(303)는 중앙에 홈부(30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W는 음료 특히 물을 지시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물병(10)에 음료 등 물을 수용한 다음 물병(10)에 캡(20)을 결합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20)에 구성된 돌기(231)을 음료 수용부(30)의 회동공(311)에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물병(10)의 걸림리브(100)에 걸이끈 등을 결합하여 휴대하거나 또는 관통공(201)에 걸이끈 등을 결합하여 휴대 편리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마개(301)이 캡(20)의 토출공(211)을 폐쇄한 상태이고 축부(230)을 축으로 음료 수용부(30)을 회동하면 자연스럽게 마개(301)가 토출공(211)으로 부터 해지되며, 특히 마개(301)가 토출공(211)을 페쇄한 상태에서는 도 3에 도시된 회동방지돌기(302)가 캡(20)의 결합홈부(212)에 체결되어 음료 수용부(30)가 캡(20)과 유격이 생겨서 회동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토출공(211)으로 부터 마개(301)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토출공(211)으로 부터 음료 등 물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음료 수용부(30)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음료 수용부(30)가 캡(20)과 결합된 상태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 상태에서 애완동물과 야외에 외출시 애완동물에게 음료 등의 물을 먹이고자 할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수용부(30)을 상측으로 회동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수납 커버체(320)의 오목한 내측에 물병(10)에 수용된 음료 등의 물을 토출공(211)을 통해 토출하여 애완동물에게 급수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료 수용부(30)에 구비된 홈부(304) 내측으로 캡(20)에 구비된 회동방지돌출부(200)가 삽입 결합되면서 상기 음료 수용부(30)이 더 이상 회동되지 아니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홈부(304)에 회동방지돌출부(200) 자체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방식으로서 더 이상 상기 음료 수용부(30)가 회동되지 아니함과 동시에 좌우로 유동되지 아니하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음료 수납 커버체(320)에 음료 등 물을 수용 가능하고 또한 음료 수납 커버체(320)에 가득 음료 등의 물을 채우더라도 토출공(211)이 채워진 물에 닿지 아니하여 애완동물이 먹다 남은 물로 인하여 토출공(211) 주변 또는 물병(10) 내부로 오염된 음료 등의 물이 역류하는 문제점은 전혀 없으며, 걸림부재(303)에 형성된 홈부(304) 내측으로 상기 회동방지돌출부(200) 자체가 삽입 결합됨으로서 음료 수용부(30)을 회동하더라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201)을 막거나 간섭하지 아니하므로 상기 관통공(201)에 걸이끈 등을 체결하더라도 무리가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서, 애완동물과 외출시 편리하고 간편하게 휴대 가능하며 애완동물에게 용이하게 수시로 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물통의 호환성이 가능하도록 하여 어떠한 물통이라도 사용이 가능하여 장기간 사용에 따른 물통의 교체시 저렴한 비용 또는 종래에 갖고 있는 일반 물통에 적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이며 및 실용적이며, 물통 선단부에 결합된 캡에 구비된 토출공과 음료수용부간의 간격을 최대화하여 음료수납커버체에 음료가 가득채워졌다고 하더라도 토출공에 도달치 아니하도록 함으로서 토출된 음료가 물병으로 역류되지 아니함으로서 위생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물병 20 : 캡
30 : 음료 수용부 100 : 걸림리브
200 : 회동방지돌출부 201 : 관통공
210 : 본체 211 : 토출공
212 : 결합홈부 220 : 연장판재
230 : 축부 231 : 돌기
300 : 커버체 301 : 마개
302 : 회동방지돌기 303 : 걸림부재
304 : 홈부 310 : 회동연장판재
311 : 회동공 320 : 음료 수납 커버체
W : 음료

Claims (7)

  1. 물병(10)과 상기 물병(1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 외주면에 결합되며 일측 끝단에는 회동방지돌출부(200)가 구비된 캡(20)과 상부는 상기 캡(20)을 커버하는 형상으로 상기 캡(20)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캡(20)의 타측은 상기 물병(10) 외주면 소정의 길이만큼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음료 수용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음료 수용부(30)는,
    상면에는 상기 캡(20)을 감싸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저면 중앙에는 마개(301)가 구비되어 있고 저면 양측에는 회동방지돌기(302)가 구비되어 있으며 외주 일측에는 걸림부재(303)가 구비된 커버체(300);
    상기 커버체(300) 하부에는 일측 양단에 연장된 상태로 각각 소정의 위치에 회동공(311)이 천공된 회동연장판재(310);
    상기 커버체(300)의 타측은 상기 물병(10) 외주면 소정의 길이만큼 감싸는 내주면이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음료 수납 커버체(320);
    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병(10)의 개구부 외주면 하측 소정의 위치에는 외주면에 걸림리브(10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20)은,
    중앙에 토출공(211)이 천공되어 있고 일측 양단에는 결합홈부(212)가 구비된 본체(210);
    상기 결합홈부(212) 끝단과 일체로 연결 형성된 연장판재(220);
    상기 연장판재(220) 사이에는 상기 음료 수용부(30)가 회동 가능하도록 축부(230)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축부(230) 양단은 상기 연장판재(220)를 관통한 돌기(2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부(230)의 중앙에는 후방측으로 상기 회동방지돌출부(200)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방지돌출부(200) 중앙에는 관통공(201)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병(10)의 외주면은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물병(10)에 일치토록 상기 음료 수납 커버체(320)의 내주면은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303)는 중앙에 홈부(30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
KR1020210076782A 2021-06-14 2021-06-14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 KR102623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782A KR102623823B1 (ko) 2021-06-14 2021-06-14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782A KR102623823B1 (ko) 2021-06-14 2021-06-14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607A KR20220167607A (ko) 2022-12-21
KR102623823B1 true KR102623823B1 (ko) 2024-01-11

Family

ID=84536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782A KR102623823B1 (ko) 2021-06-14 2021-06-14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38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953B1 (ko) * 2023-06-30 2023-11-07 오현민 반려동물을 위한 물병 탈착 기반의 휴대용 음수 공급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3905A1 (zh) * 2011-09-08 2013-03-14 深圳市兴日生实业有限公司 便携式宠物喂水器
KR200476831Y1 (ko) * 2014-05-26 2015-04-08 박승찬 텀블러
CN106172063A (zh) 2016-08-31 2016-12-07 殷海涛 一种宠物饮水瓶
CN111374065A (zh) 2018-12-29 2020-07-07 珠海市休普设计制作有限公司 宠物用翻转喂水瓶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829B1 (ko) 2006-04-04 2007-07-10 안광덕 가금 급수용 니플
KR200489159Y1 (ko) * 2017-07-18 2019-05-09 윤소영 개폐각 조절이 용이한 물병 뚜껑
KR102197206B1 (ko) 2018-02-19 2021-01-04 주식회사 지아이엘 애완동물용 물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3905A1 (zh) * 2011-09-08 2013-03-14 深圳市兴日生实业有限公司 便携式宠物喂水器
KR200476831Y1 (ko) * 2014-05-26 2015-04-08 박승찬 텀블러
CN106172063A (zh) 2016-08-31 2016-12-07 殷海涛 一种宠物饮水瓶
CN111374065A (zh) 2018-12-29 2020-07-07 珠海市休普设计制作有限公司 宠物用翻转喂水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607A (ko) 2022-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9336A (en) Combined automatic pet waterer and feeder
AU2003248696B2 (en) Pet drinking aid device
US20080087224A1 (en) Portable animal feed and water dispenser and feeding method
US20130042814A1 (en) Hummingbird feeder with disposable reservoir and reusable base
US5549227A (en) Bidirectional dispenser
US20180360245A1 (en) Convertible Silicone Toddler Cup
US20050109283A1 (en) Multipurpose flow control device
CN111356362B (zh) 不滴水的狗碗
US20080216754A1 (en) Raised dog food bowl with integrated food storage
KR102623823B1 (ko)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
US20060196442A1 (en) Dual-purpose cap for jar-aquarium
US20170190458A1 (en) Pet Water Container and Bowl
US20010029899A1 (en) Hummingbird feeder
KR101450181B1 (ko) 캡슐의 장착이 가능한 컵 뚜껑
US20120222625A1 (en) Animal water bottle cap dispenser device
US6401954B1 (en) Portable container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nd providing consumable substances to pets
KR100823398B1 (ko) 유출구의 개폐가 용이한 병뚜껑
EP3059180B1 (en) Weaning clip
KR20180066794A (ko) 애완동물용 식기
KR102384203B1 (ko) 반려견 휴대용 컵
KR101218644B1 (ko) 음료용기용 분리식 걸림턱 장치
JP2004073345A (ja) 撹拌棒
KR200420581Y1 (ko) 고리가 구비된 음료수용 병마개
KR200351905Y1 (ko) 정수부재가 삽입된 애완동물용 수통
US20020100767A1 (en) Liquid container for impeding mouth contact thereon when drinking threfr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