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6225U - 보온병의 속뚜껑 - Google Patents

보온병의 속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6225U
KR19990036225U KR2019980002027U KR19980002027U KR19990036225U KR 19990036225 U KR19990036225 U KR 19990036225U KR 2019980002027 U KR2019980002027 U KR 2019980002027U KR 19980002027 U KR19980002027 U KR 19980002027U KR 19990036225 U KR19990036225 U KR 1999003622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upling
lid
coupled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20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73961Y1 (ko
Inventor
이종열
Original Assignee
이종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열 filed Critical 이종열
Priority to KR20199800020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3961Y1/ko
Publication of KR199900362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2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9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9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2Vacuum-jacket vessels, e.g. vacuum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온병의 속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그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 하부에 결합되는 밀봉캡체의 결합구조를 단순화하므로 조립 및 생산성이 향상되고 원가도 절감할 수 있게 하여 주기 위해, 뚜껑체(10)를 구성하는 봉합판체(13)의 봉합판체(13)의 후면 결합부(133)에는 저면에 경상누름턱(32)이 돌출된 누름부재(30)를 후단이 상하회동되게 축착하고, 상기 개폐부재(40)의 후단에는 상기 경사누름턱(32)과 접촉하게 경사밀턱(42)을 형성하며, 상기 내체(11)의 하부 내주면에는 결합홈(113)이 빙둘러 설치하고, 하단 내면 양쪽에는 이 결합홈과 연통되는 삽입홈(114)이 하부로 개방되게 형성하며, 하부 일측면에 상기 결합홈(113)이 외부와 연통되게 설치된 관통구(115)의 일측 상면에는 걸이돌기(116)를 하향돌출하고 상기 밀봉캡체(60)의 상주면 양쪽에는 상기 삽입홈(114)을 통해 결합홈(113) 내로 삽입·결합되는 결합돌기(601)들을 설치하여 된 것이다.

Description

보온병의 속뚜껑
본 고안은 보온병의 속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명단축이 방지되고 주입구 밀봉캡의 결합구조를 단순화한 속뚜껑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보온병 속뚜껑중에는 도 1a∼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단에는 뚜껑체(1)의 배출구(1a)를 개폐하는 개폐편(2a)이 후단에는 밀대편(2b)이 각각 일체로 수평연장된 개폐부재(2)가 상부내에 수평으로 전·후진 자재토록 장착되고, 하부의 결합부(1b)에는 병체(3)의 주입구(3a)를 개폐시켜 주는 개폐변(4a)이 뚜껑체(1)의 중앙에 부설된 버튼(1c)과 스프링(4b)의 탄발작용에 의해 승강자재토록 장착된 밀봉캡(4)을 탄성결속링(5)에 의해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결합설치하여 된 것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보온병 속뚜껑은, 병체(3)내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을 인출하기 위해 버튼(1c)을 눌러 도 1c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폐부재(2)가 후진되게 하면, 그 선단의 개폐편(2a)이 후진되어 배출구(1a)가 열리게 되므로 내용물을 인출할 수 있게 되지만, 이때 상기 개폐부재를 전진시켜 주기 위해 그 후단에 부설된 밀대편(2b)은 뚜껑체(1)의 상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노출되기 때문에, 사용중 부주의에 의해 보온병이 넘어지거나 또는 떨어지게 되는 경우에는, 돌출된 밀대편(2b)이 타물체등과 부딪쳐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뚜껑체(1)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됨에 따라 그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부의 결합부(1b)에 결합되는 밀봉캡(4)이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하여 주기 위해 상기 결합부에 탄성결속링(5)을 조립설치하였기 때문에 이 결속링을 별도로 성형하여 조립해야 됨에 따른 부품 및 조립공수가 증가되었음은 물론, 상기 결속링의 일단은 결합부(1b)의 외면으로 노출되고 다른 부분은 내주면에 빙둘러 걸쳐 있게 조립하여야 되므로 조립성과 생산성이 저하되었고 원가도 상승되는 등의 단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여 줌과 동시에 조립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보온병의 속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는 종래 속뚜껑의 일예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1b는 조립상태 확대 종단면도,
도 1c는 동 배출구가 열린 상태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속뚜껑의 분해사시도,
도 3a는 동 조립상태 확대 종단면도,
도 3b는 동 배출구가 열린 상태 종단면도,
도 4는 동 실시예중 밀봉캡체의 조립·분해상태를 보인 일부 절취 저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뚜껑체
11 : 내체 13 : 봉합판체
113 : 결합홈 114 : 삽입홈
115 : 관통구 116 : 걸이돌기
30 : 누름부재
32 : 경사누름턱
40 : 개폐부재
42 : 경사밀턱
50 : 밀봉캡체
601 : 결합돌기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들은 개폐부재가 후진되어도 그 후단이 상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노출되지 않게 함과 동시에, 밀봉캡과 결합부의 자체구조에 의해 밀봉캡을 결합설치할 수 있게 하므로, 개폐부재의 파손 등에 따른 사용수명의 단축이 방지되고, 또 밀봉캡을 간단용이하게 조립설치할 수 있게 되어 조립 및 생산성등도 향상되게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4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속뚜껑을 보인 것이다.
도면부호중(10)은 뚜껑체이며, 이 뚜껑체는 서로 결합되는 내·외체(11)(12)와 이들의 개방된 상부를 봉해주게 결합되는 봉합판체(13)로 구성된다.
그리고, 내체(11)의 일측에는 내용물의 배출로(111)가 수직관통하게 설치되어 있고, 봉합판체(13)에는 상기 배출로와 연통되게 배출구(1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봉합판체의 중앙에는 하주면 양쪽에 걸이돌기(21)들이 부설된 버튼(20)의 결합공(132)이 뚫어설치되고, 상기 배출구(131)의 반대측에는 누름부재(30)의 결합부(133)가 설치된다.
상기 누름부재는 양측 내단에 일체로 부설된 축핀(31)들에 의해 결합구(133)에 회전자재토록 축결합되며, 저면 적정위치에는 경사누름턱(32)이 하향돌출된다.
한편, 상기 내체의 상부와 봉합판체(13)의 하부사이에는 배출로(111)와 배출구(131)를 개폐하는 개폐편(41)이 선단에 일체로 연장설치된 개폐부재(40)가 스프링(50)에 의해 후진방향으로 탄발되게 장착되며, 이 개폐부재의 후단에는 상기 누름부재의 경사누름턱(32)과 접촉되는 경사밀턱(42)이 형성되고, 내주면 양쪽에는 상기 버튼의 걸이돌기(21)들과 접촉되는 경사단턱(43)이 설치된다.
따라서,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누름부재(30)를 눌러 하강시켜 주면 경사누름턱(32)이 하향되면서 개폐부재(40)의 경사밀턱(42)을 앞쪽으로 밀어주게 되므로, 상기 개폐부재가 전진이동되어 그 선단의 개폐편(41)이 배출로(111)와 배출구(131)를 닫아주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되면 상기 개폐부재의 전진에 따라 스프링(50)이 압축되므로, 이 스프링의 탄발력이 상기 개폐부재를 후진시키려고 하지만, 이때는 상승되어 있는 버튼(20)의 걸이돌기(21)에 상기 개폐부재의 경사단턱(43) 상단이 걸려있게 되므로 결국 개폐부재(40)는 전진된 상태에서 정지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버튼(20)을 눌러 하강시켜 주면 걸이돌기(21)도 하강되므로 이에 걸어져 있던 경사단턱(43)의 걸림상태가 해제되기 때문에, 스프링(50)의 탄발력이 작용되어 개폐부재(40)를 후진시켜 주게 되며, 이에 따라 배출로(111)와 배출구(131)는 열리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뚜껑체의 내체(11) 중앙에는 핀공(112)이 수직관통하게 설치되며, 이 핀공에는 이 내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밀봉캡체(60)의 개폐변(61) 상면중앙에 세워 설치된 승강핀(611)의 상부가 관통결합된다.
또한, 상기 승강핀의 상단은 버튼(20)의 저면과 접촉되므로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 버튼을 눌러 하강시켜 주면 승강핀(611)에 의해 개폐변(61)이 하강되며, 이에 따라 이 개폐변에 의해 닫혀있던 밀봉캡체(60)의 하부가 열리게 된다.
이렇게 되면, 병체(70)의 내부와 밀봉캡체(60)의 하부가 연통되고, 동시에 배출로(111)와 배출구(131)가 열리게 되므로, 내용물을 인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내체의 하부 내주면에는 결합홈(113)이 빙둘러 설치되고, 하단 내면 양쪽에는 이 결합홈과 연통되는 삽입홈(114)이 하부로 개방되게 형성되며, 하부의 이들 삽입홈 중간위치에는 상기 결합홈(113)과 외부와 연통되게 적정폭의 관통구(115)가 설치되고 이 관통구의 일측상면에는 걸이돌기(116)가 하향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내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밀봉캡체(60)의 상주면 양쪽에는 삽입홈(114)을 통해 삽입되어 결합홈(113)에 결합되는 결합돌기(601)가 돌출된다.
따라서, 밀봉캡체(60)를 내체(11)의 하부에 결합할 때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결합돌기(601)들을 삽입홈(114)을 통해 삽입한 다음 90°정도 회전시켜 주게 되면 일측 결합돌기(601)는 결합홈(113)내에 결합되어 있게 되고 타측 결합돌기(601)의 외단은 관통구(115)를 관통하게 되면서 도 4의 가상선(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 관통구의 일측 상면에 하향 돌출된 걸이돌기(116)를 지나친 위치에 놓이게 되므로, 이 걸이돌기에 의해 임의로 역회전되지 않게 걸어지게 되어 결국 밀봉캡체(60)는 안정되게 결합 고정된다.
이때, 결합돌기(601)의 외단이 걸이돌기(116)를 지나갈 수 있게 되는 것은 밀봉캡체(60)는 물론 내체(11)가 합성수지로 성형된 것이므로, 상기 결합돌기가 걸이돌기를 지나갈 때 관통구(115)의 하부가 하측으로 벌어졌다가 자체탄성에 의해 다시 원상복귀 되기 때문에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밀봉캡체(60)를 내체(11)의 하부로부터 분리시킬 필요가 있을 때에는 상기 결합시의 반대로 상기 밀봉캡체를 90°정도 역회전시켜 주면 결합돌기(601)가 삽입홈(114) 위치로 되돌아오게 되므로 간단히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밀봉캡체(60)의 하부 주연에는, 병체(70)의 주입부 내주면과의 사이를 밀봉시켜 주는 패킹링(62)이 결합되며, 상기 개폐변의 승강핀(611)은 상기 밀봉캡체의 중앙에 설치된 핀공을 관통하게 결합되어 이 핀공의 상부 공간내에 결합되는 결속캡(63)을 상단에 결착하여 이탈되지 않게 조립되고, 이 결속캡과 핀공 상부의 공간 바닥면 사이에는 개폐변(61)을 상승시켜 주게 스프링(64)이 개재된다.
이에 따라, 버튼(20)을 눌러 승강핀(611)을 하강시켜 주지 않으면, 개폐변(61)은 항상 스프링(64)의 탄발력에 의해 상승되어 내체(11)의 하부를 닫아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체의 상부내에는 제어부재(80)를 스프링(50')의 탄발력에 의해 후진방향으로 이동되게 결합설치되며, 이 제어부재의 선단 내면중간에는 핀공(112) 전면의 절개부를 통해 이 핀공 내로 삽입되는 제어돌기(81)가 돌출되고, 후단 중간에는 상기 내체의 상주면 후측에 뚫어 설치된 출입공(117)을 통해 외측으로 출몰되는 제어편(82)이 부설된다.
따라서, 핀공(112)을 관통하게 승강핀(611)이 결합되어 있으면 이 승강핀에 의해 제어돌기(81)가 핀공(112) 외측으로 밀려나게 되므로, 제어부재(80)가 전진되며, 이렇게 되면 스프링(50')은 압축되고 그 후단의 제어편(82)은 출입공(117) 내로 들어가게 된다.
그러나, 밀봉캡체(60)를 뚜껑체(10)로부터 분리시켜 주면 승강핀(611)이 핀공(112)내에 위치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이때는 제어돌기(81)를 밀어주지 못하게 되며, 이렇게 되면 압축되었던 스프링(50')의 탄발력에 의해 제어부재(80)가 후진되어 그 후단에 부설된 제어편(82)이 출입공(117) 외측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이때는 뚜껑체(10)를 병체(10)에 결합시켜 주고져하여도 이 병체의 상단이 제어편(82)에 걸려서 결합되는 것이 제어된다.
이에 따라 뚜껑체(10)는 항상 밀봉캡체(60)가 결합되어 있어야만 병체(70)에 결합할 수 있게 되므로 밀봉캡체(60)가 결합되어 있지 않은 뚜껑체(10)를 병체(70)에 결합하므로써 부주의에 의해 발생되는 내용물의 유출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속뚜껑은, 버튼(20)을 누르면 개페변(61)이 하강되어 내체(11)의 하부가 열리게 되고 동시에 개폐부재(40)가 후진되어 개폐편(41)에 의해 닫혀있던 배출로(111)와 배출구(131)가 열리게 되므로 병체(70) 내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을 인출할 수 있게 되며, 또 개폐부재(40)가 후진되면 경사밀턱(42)이 경사누름턱(32)을 밀어주게 되므로 누름부재(30)의 후단이 상향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내용물의 인출을 완료한 다음, 누름부재(30)의 상향된 후단을 눌러주면 이 누름부재가 수평상태로 하강되는 과정에서 경사누름턱(32)이 경사밀턱(42)을 밀어주게 되므로, 개폐부재(40)가 전진되어 개폐편(41)이 배출로(111)와 배출구(131)를 닫아주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개폐부재의 경사단턱(43)이 하향되어 있는 버튼(20)의 걸이돌기(21) 위치로부터 벗어나게 되기 때문에 스프링(64)의 탄발력에 의해 개폐변(61)이 상승되어 내체(11)의 하부를 닫아주게 되고, 동시에 승강핀(611)도 상승되므로 그 상단이 하강된 버튼(20)의 원위치로 밀어올려주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속뚜껑은, 배출로와 배출구를 개폐시켜 주는 개폐부재가 후진되어도 그 후단은 뚜껑체의 상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노출되지 않고 누름부재의 후단만 상부로 조금들어 올려지게 되므로 사용중 부주의로 보온병이 넘어지거나 떨어져도 개폐부재는 파손될 염려가 없게되며, 만일 누름부재가 파손되는 경우에는 간단히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수명이 단축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뚜껑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밀봉캡체가 내체의 하부 내주면에 형성된 결합홈 및 삽입홈과, 밀봉캡체의 외주면에 돌출된 결합돌기들의 결합작용에 의해 간단히 결합·분리할 수 있게 되므로,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게 되어 조립 및 생산성이 향상되고 원가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도 있다.

Claims (1)

  1. 개방된 상부가 봉합판체(13)로 봉합되며 상부내에는 배출로(111)와 배출구(131)를 개폐하는 개폐부재(40)가 전·후진 자재토록 장착되고 중앙에는 버튼(20)이 수직으로 승강되게 설치된 내·외체(11)(12)로 구성되는 뚜껑체(10)와, 이 뚜껑체의 하부에 착설되며 개폐변(61)이 승강자재토록 결합된 밀봉캡체(60)를 구비한 보온병의 속뚜껑에 있어서, 상기 봉합판체(13)의 후면 결합부(133)에는 저면에 경상누름턱(32)이 돌출된 누름부재(30)를 후단이 상하회동되게 축착하고, 상기 개폐부재(40)의 후단에는 상기 경사누름턱(32)과 접촉하게 경사밀턱(42)을 형성하며, 상기 내체(11)의 하부 내주면에는 결합홈(113)이 빙둘러 설치하고, 하단 내면 양쪽에는 이 결합홈과 연통되는 삽입홈(114)이 하부로 개방되게 형성하며, 하부 일측면에 상기 결합홈(113)이 외부와 연통되게 설치된 관통구(115)의 일측 상면에는 걸이돌기(116)를 하향돌출하고 상기 밀봉캡체(60)의 상주면 양쪽에는 상기 삽입홈(114)을 통해 결합홈(113)내로 삽입·결합되는 결합돌기(601)들을 설치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병의 속뚜껑.
KR2019980002027U 1998-02-17 1998-02-17 보온병의 속뚜껑 KR2001739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027U KR200173961Y1 (ko) 1998-02-17 1998-02-17 보온병의 속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027U KR200173961Y1 (ko) 1998-02-17 1998-02-17 보온병의 속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225U true KR19990036225U (ko) 1999-09-27
KR200173961Y1 KR200173961Y1 (ko) 2000-03-02

Family

ID=19531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2027U KR200173961Y1 (ko) 1998-02-17 1998-02-17 보온병의 속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39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995Y1 (ko) * 2013-04-15 2014-08-12 우충일 개폐 조절손잡이를 구비한 텀블러용 뚜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995Y1 (ko) * 2013-04-15 2014-08-12 우충일 개폐 조절손잡이를 구비한 텀블러용 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3961Y1 (ko) 200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80006T3 (es) Recipiente con tapa que se puede sellar
JP4159235B2 (ja) ヒンジキャップ
US7661999B2 (en) Connector
KR101803794B1 (ko) 원핸드 방식의 버튼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170067564A (ko) 립스틱 용기 조립체
KR100986313B1 (ko) 진공펌프가 구비된 병마개
CN101449871B (zh) 蛤壳型容器
KR19990036225U (ko) 보온병의 속뚜껑
WO2017002574A1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分与容器
KR100919089B1 (ko) 정수기용 안전 온수 코크 밸브
JP4195234B2 (ja) 気密容器
KR100486945B1 (ko) 화장용기밀콤팩트용기
KR102283157B1 (ko) 캡의 개폐 조작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KR200253622Y1 (ko) 압력조리기의뚜껑열림보조장치
KR20040081086A (ko) 음식물 보관용기
KR200308951Y1 (ko) 머그 뚜껑
JPH11171257A (ja) 減圧容器
KR200327600Y1 (ko) 음식물 보관용기의 사각커버
KR200197720Y1 (ko) 압력솥의 안전장치
KR102697759B1 (ko) 슬라이드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갖는 포장용기
KR102387917B1 (ko) 회전 개폐식 밀폐 구조를 갖는 화장용 어플리케이터
KR0129554Y1 (ko) 보온용기용 액체 인출장치
JP4853895B2 (ja) 蓋体付きキャップ
KR200154819Y1 (ko) 캔디 케이스
KR100407301B1 (ko) 냉장고용 김치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